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속가능성 과학의 개념적 특성과 접근방법

        이기훈(Ki-Hoon Lee) 지속가능과학회 2010 지속가능연구 Vol.1 No.1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연구가 주제 및 범위 등에 따라 인문학, 사회과학, 순수과학, 공학 등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짐에 따라, 학계가 직면하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복잡성 및 다양성이 심화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남과 북의 문제에서 지속가능성 과학의 위치 및 역할, 그리고 기초학문과 응용학문 사이에서 지속가능성 과학의 위치 및 역할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성 과학이 다루어야 할 핵심 주제로 첫째, 사회-생태 시스템에 대한 과학적 이해, 둘째, 지속가능성에 대한 목표, 셋째, 지속가능성 추진 전략 및 실행, 마지막으로 지속가능성 추진 전략 및 실행등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접근방법을 문제해결 방식과 비판적 이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지속가능성 과학의 8개 구성분야를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속가능성이 학계에 던지는 화두는 한 가지 학문분야가 아닌 다양한 학문범위에서 다제적이고 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통합적인 접근으로 현상파악 및 문제해결을 해 나가야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Since the n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given impacts on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way of integrating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to a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becomes very complex and multi-faceted. Recently, the sustainability science is emerged as a new discipline to embrace sustainability. This paper posits sustainability science in the North and the South as well as in basic and applied research. As key research themes, scientific understanding on society-eco system, goals and objectives of sustainability, and sustainability implementing strategy, are addressed for future directions. In addition,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eory perspectives are applied to develop methodologies and approaches of sustainability science. Finally, eight academic disciplines and areas of sustainability science are addressed.

      • KCI등재

        지속 가능한 교양으로의 전환

        오혜림(Hyerim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의 기본원리와 가치에 입각한 고등교육을 통합시킨 독일의 고등교육 사례를 탐색하여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발전 방안 개발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교육의 실천 가능성에 중요성을 두고, 지속가능발전교육 이행을 위한 운영 체계를 개관하였다. 우선, 독일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관 전체적 접근을 적용하여 대학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가치를 내재화한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후 지속가능발전 관련 기관 전체적 접근 방안에 대한 전략을 이행하고 있는 독일대학 사례를 우선 실천영역에 따라 검토하였다. 결과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독일 고등교육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속가능발전교육 이행을 위한 독일 고등교육 운영 체계는 ‘ESD 국제 실천 프로그램’, ‘지속가능발전교육 2030’와 같은 국제 운영 체계를 토대로 정립되었다. 독일 연방 교육 연구부의 재정 지원을 통해 운영된 대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는 고등교육기관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대학은 대학의 특성과 발전 방향에 적합한 지속가능성의 공통 개념과 실천영역별 이행 전략을 대학기관 전체 관점에서 발전시키고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대학 교양교육 과정에 적용 가능한 전략적 실천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article explores a German university case that integrates the principles and valu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into all aspects of the German higher education system. The study sets out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strategies from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to support general education in South Korea. Methods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for implementation whi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 in the practice and possibilities of general education. Theses are examined to probe how Germany adapts and applies a whole-institution approach to embed the val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 German university case of adapting the whole-institutional approach towards sustainability is then provided. Priority action areas are reviewed for the analysi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action through the approach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illustrative ca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rman higher education system that realizes the val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re as follows. A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uilds upon the global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the Global Action Programm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owards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ing Goals(SDG). A joint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BMBF) i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highe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guideline each university develops a common concept of sustainability and transformative action program that promote the whole-institution approach. Conclusions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insights for general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approach will prove useful in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how apply to the whole-institution approach to general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이연승 ( Lee Yeonseung ),이유나 ( Lee Yuna ),김현정 ( Kim Hyunj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조사를 통해 향후 유아교육현장에서 가정과 연계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방향 탐색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보통이상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을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태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정치적 지속가능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를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생태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정치적 지속가능성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이 높을수록 지속가능발전 사회적, 생태적, 경제적, 정치적 지속가능성 영역에 대한 부모교육의 요구가 높아지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여 지속가능발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knowledge on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education and to develop education for parents by learning what they know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290 parents who had an early childhood in B city. The developed program had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general knowledge on sustainable development was above average. Social sustainability was the highest,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economic sustainability, and politic sustainablilty were high in that order of understanding by subject area. Second, the demand of parent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igh,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economic sustainability, and politic sustainablilty were high in that order of demand by subject area. Third,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when the parents level of recogni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igher, the parents demand for each subject area was higher, the subject areas were social, ecologic, economic, and politic sustainability. These results, It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on sustainable development to help educate paren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would meet the continuous demand of parent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이윤정(Yun Jung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에 준하여 2015 개정 실과교과서 의생활 단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의생활 분야의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따른 실과 의생활 분야의 교과서 분석 결과는 환경적 관점이 50.9%, 사회·문화적 관점 45.9%, 경제적 관점이 3.2% 순이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건강과 웰빙’의 비율이 74.2%로 집중되어 있어 다른 목표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며, 환경적 관점은 ‘책임과 있는 소비와 생산’의 비율이 33.2%로 높으나, 환경적 관점의 목표는 골고루 반영되어 있다. 경제적 관점은 전반적으로 낮은 비율이므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3개 관점이 실과 의생활 분야에 균형 있게 포함되었으면 한다. 둘째, 의생활분야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평가는 먼저 모호했던 지속가능발전의 의미와 의생활에서의 지속가능성을 명확하게 알게 되었고, 실습수업을 통한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행동 역량이 강화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핵심역량인 협력 역량과 통합적 문제해결역량을 기를 수 있었고, 디지털역량 강화와 문화다양성을 넓힐 수 있었으며, 수업지도안 작성을 통해 미래의 지속가능의생활교육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비초등교사들에게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역량을 키우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초등 의생활 분야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경제적 관점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므로 이와 관련된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고, 둘째, 실습 중심의 수업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으므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상호적이고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실습수업의 콘텐츠를 개발과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기를 바란다. In accordance with the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is study analyzed the representation of content related to the SDGs in the clothing and living domain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 education textbook. Based on this analysis, 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program was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living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predominantly focused on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50.9%),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45.9%), and an economic perspective (3.2%). Within the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health and well-being’ dominated at 74.2%, eclipsing other goals. Furthermore,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showed a more even distribution across goals, with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accounting for 33.2%. Considering the low percentage attributed to the economic perspective overall,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the balanced inclusion of all three perspectives of the SDGs in the clothing and living areas. Second,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valuation of the ESD program in clothing and living demonstrate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SDGs and the direction toward sustainability in this domain. The hands-on experience acquired in practical classes provided a concrete demonstration of their commitment to the SDGs, enabling these teachers to cultivate collaboration skills for the SDGs and enhance their integrate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The program strengthened digital capabilities through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dditionally, a lesson plan was prepared for future sustainable clothing and living education while offering opportunities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through clothing culture education. Th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achieving a balance among environment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goal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content related to those topics. Second, considering the proven effectiveness of practice-oriented classes, elementary schools should develop interactive and learner-centered practical class content in addition to emplo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측면에서 2007 개정 중학교 「환경」 교과서의 내용분석

        강운선 ( Woon Sun K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측면에서 2007 개정 중학교 환경 교과서에 반영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형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9년에 출판된 네 종의 중학교 「환경」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중단원을 분석 단위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 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한 자료 처리 도구는 Ucinet Ver. 6.230과 Netdraw 프로그램이다. 사회 연결망 분석 방법으로 네 종의 2007 개정 중학교 환경 교과서의 교육 내용 선정과 조직 형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종의 교과서 모두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을 교과서에 다루고 있었다. 둘째, 자연 자원, 에너지, 기후 변화, 환경 문제, 지속가능 생산, 지속가능 소비, 건강·식품 등의 주제는 네 종의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다루고 있으나, 재해 예방, 빈곤 격차의 완화, 기업의 지속가능성 등의 주제는 교과서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2007 개정 중학교 환경 교과서는 자연 자원, 에너지, 기후 변화, 환경 문제 등 환경적 지속가능성 영역에 집중적으로 반영된 반면, 지속가능 생산, 지속가능 소비, 건강·식품 등 경제, 사회적 지속가능성 영역에 속하는 주제는 제한적으로 포함되었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의 조직과 관련하여 2007 개정 환경 교과서는 환경적 지속가능성 영역 중심으로 교육 내용이 조직되어 있으며, 환경, 경제, 사회의 세 영역을 통합적으로 조직하는 정도는 미약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re reflected in the 2007 revised environmen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I analyzed four different middle school environment textbooks, published in 2009, which are based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r this research I investigated the relations of the contents and the 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textbooks dealt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contents. Second, the common themes found in all the textbooks were natural resource, energy,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problems, sustainable production, sustainable consumption, and healthy foods. However, different themes such as disaster prevention, amelioration of discrepancy of the rich and the poor, and sustainability of enterprises also appeared, and their frequency was various depending on the textbooks. Third, the most highly occuring theme was about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cluding natural resource, biodiversity, energy,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economical and social sustainability such as sustainable cities, sustainable consumption, and sustainable food production were only included in a limited fashion. Finally, the sequence of the textbooks was mainly based o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but the integrity of environment, economy, and social sustainability in its contents was found to be relatively weak.

      • 사회적 책임 관련 용어에 대한 우리말 연구

        이병룡(Lee Byung Yong) 지속가능과학회 2013 지속가능연구 Vol.4 No.3

        조직의 사회적 책임에서 중요한 목표는 지속가능한 개발에 기여하는 것이고, 이 지속가능한 개발의 목표는 전반적인 우리 사회와 지구 행성의 sustainability(지속가능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특정 조직의 지속가능성 또는 ongoing viability(지속적 생존성)과 무관하다. 개별 조직의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관점에서 holistic management approach(하나로 경영 접근방법)으로 취급하여 전반적인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양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지속가능한 소비와 지속가능한 자원 사용, 지속가능한 생계는 모든 조직과 관련이 있으며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과도 관련이 있다. 여기서 우리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용어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이해하여야만 조직이 추구하는 의사결정이나 활동이 조직의 지속적 생존성이 아닌 사회와 환경에 대한 조직의 책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사회적 책임은 지속가능한 개발에 기여하는 것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은 인류에게 공통된 경제, 사회, 환경 목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조직의 책임있는 행위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 논문에서 우리말로 해석하고자 한다. ISO defines a standard as a document, established by consensus and approved by a recognized body that provides, for common and repeated use, rules, guidelines or characteristics for activities or their results, aimed at the achievement of the optimum degree of order in a given context (ISO/IEC Guide 2:2004, definition 3.2). SR(Social Responsibility} is the subject which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but real preparations of the corporations begin recently. Sever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lobal corporations have announced their own guidelines about SR. Many global organizations have established responsible departments in their organizations and spread the principals related social responsibility. ISO has launched International Standard as a guidance on Social Responsibility titled ISO 26000. This paper is a study of terms and definitions in Korean to avoid confusing original meaning that Social Responsibility contribut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ISO/IEC Directives, Part 2, a recommendation is defined as an "expression in the content of a document conveying that among several possibilities one is recommended as particularly suitable, without mentioning or excluding others, or that a certain course of action is preferred but not necessarily required, or that (in the negative form) a certain possibility or course of action is deprecated but not prohibited." Terms and definitions that are not defined in ISO 26000, Clause 2 are used in the common sense of the word, assuming their dictionary meaning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과 토지공법의 과제

        김성배(Kim Sung 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6 土地公法硏究 Vol.75 No.-

        지속가능한 개발 또는 지속가능발전에서 사용되는 “지속가능”은 많이 사용되지만 오남용의 위험성이 존재하며 개발논리로 변질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이 개발로 해석될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성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헌법상 지속가능한 발전의 지표들은 인류공영, 국민통합, 영원한 안녕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서 행정의 수반인 대통령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있으며, 특히 경제분야에서는 자원의 유한성을 바탕으로 한 발전을 위한 균형을 강조하고 있고 국제사회에서도 빈곤문제가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심실천과제였던 것처럼 적정한 소득의 분배, 지역균형 등은 이미 우리 헌법에 투영되어 있다. 헌법적 차원의 논의를 하는 것은 개별 법률이나 국가정책으로 표출되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방향성을 점검하고 경제, 사회, 환경의 3가지 축의 무게중심을 잡는 기준과 원리를 도출하는데 그 의미가 존재한다. 토지공법·부동산공법의 체계화가 행정법제의 정책화경향에 대한 보루로서 기능하고 토지공법 내지 부동산공법의 개념·규율대상·규율체계의 일관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보면 부동산공법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더욱 신중해야 할 것이다. 토지공법과 건축행정법의 분야가 같을 필요도 없으며 공통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개별분류체계의 시작점과 관점이 다르다는 측면을 인정하는 것이 오히려 현실적이다. 토지공법은 토지에 관한 공법으로서 행정법영역뿐만 아니라 헌법영역도 명시적으로 포섭하고 있으며, 실무적·학술단체 운영면에서는 반영되지 않지만, 순수사법을 연구대상으로 하지 않는 모든 법학분야를 포섭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공법분야의 개별 법률이 토지를 적극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토지의 개념을 민법의 개념을 상정하여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공법적 개념의 토지가 민법의 토지개념만을 상정하여야 한다는 논리는 공법과 사법의 구분을 전제하는 국내학술분류문화에서는 간격이 발생하는 주장이다. 공법학의 대상으로 영토개념으로서 토지개념을 상정하면 ①사익추구적 사법적 법이론침투에 대한 방어, ②평면적 토지이용에서 입체적·공간적 측면의 영토이용관리 ③국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영해부분에 대한 종합적 국토관리 ④부동산인 유한재인 자연재인 토지와 인공재인 건축물의 구분 ⑤ 유한재인 국토의 일부인 토지관리원칙과 체계정비등이 수월하게 된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지속가능성은 미래를 위한 준비를 의미하므로 먼저 현재 한국 사회에 대한 문제인식과 점검이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의 연동제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 하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①사회통합과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는 토지정책이 필요하며 토지정책을 마련하기 함에 있어서 ②토지공법의 지평을 확정되어야 하며, ③환경법과 토지공법의 조화가 필요하고 ④지속가능성을 기반하여 국토관리와 산업법률의 조화가 있어야 한다. ①사회통합과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는 토지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초고령화사회에 대비하며 초저출산사회의 탈피를 위한 토지정책과 주택정책의 마련 ㉡해외이주민들의 집단거주현상에 대한 공법적 접근 ㉢도시재생정책의 방향성 확정 ㉣거래세 중심에서 보유세제 중심으로 전환을 통한 형평성과 지속성달성 등이 필요하다. 또한 ②토지공법의 지평을 확정을 하기 위하여 ㉠영토·영공·영해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 국토계획법의 설정 ㉡필로팅 기법의 건축물등 특수문제에 대한 대처등이 필요하다. ③환경법과 토지공법의 조화를 위하여 ㉠토양오염이력제의 도입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실질적 활용방안모색, ㉢배출권거래제를 활용한 권역별 배출권할당과 경쟁시장체계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 지속가능성을 기반 국토관리와 산업법률의 조화를 위하여 토지공법은 토지 관련정책을 형성하는 원동력은 될 수 없지만, 말의 재갈과 경주마의 방향제한장치가 되어야 할 것이다.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are used various occasions but there is a risk of abuse and deterioration of sustainable and sustainabiity. Korean Constitution never use susbtainable or sustainability in the Text but there are many articles that express the core idea of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The term “sustainability” means using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resources in a harmonized and balanced way without wasting or deteriorating in quality those resources to be used by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 needs of the present accord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act of Korea. In the Preamble of Constitution, the core sprit of ESSD are embodied in many paragraphs such as “to consolidate national unity with justice, humanitarianism and brotherly love”, “To afford equal opportunities to every person and provide for the fullest development of individual capabilities in all fields, includ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or “to elevate the quality of life for all citizens and contribute to lasting world peace and the common prosperity of mankind”. Redefining the concept of Public Land Law or Public Property Law have several befits but, using private law concept for redefining the public land law is a mistake in continental legal system which recognizes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law and private law. Concept of land in public law has to root in Constitution not a civil law. In Constitution, Land means the territory of the Rebulbic of Korea. Land in Public law concept has to include property, land, territorial waters, and severign airspace. Recently the ecosystem has been seriously damaged by reckless developmen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now shifting its policy from one of “end-of-pipe” management and being regulation-centered to one striving to be preparatory and self-regulating. The nature conservation plan has been focused on protecting only the wildlife, so a systematic conservation of the nationwide ecosystem is inherently limited. To go beyond this limit, the strengthening of the link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and the land use development plan is necessary.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lf-governing bodies should have reasonable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cooperate for more efficient conservation planning. In order for Korea to further develop and achieve a structural change with respect to its economy and society, it is important to work on realizing the appropriate use of its land. The main task for land policy is to maintain a perspective that public welfare regarding land is first and to promote the realization of the appropriate use of land at the same time. Real estates legislation has introduced and maintained a variety of systems, controlling the strength of regulation depending on changes of times and economic situation.

      • KCI등재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과제

        정기섭(Chung Ki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이 연구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살펴보면서 다문화교육 논의 및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은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에서 사회적 차원을 주제로 한 연구가 거의 없고, 다문화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논의될 수 있다는 관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지속가능성을 실천적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과정을 규제하는 이념으로 파악하고, 지속가능성의 한 부분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틀 에서 다문화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를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구가 현상적인 문제에만 관심을 가짐으로써 방향을 상실한 채 그때그때의 땜질식 처방을 하는 것은 아닌지에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교육 논의에서 사회통합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구성원 모두의 능력습득을 요구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하여 습득해야 하는 능력에는 사회적 결속과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능력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 의 물질적 욕구를 스스로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도 포함되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debate and research by examining the iss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idea of social sustainability. The background i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ocial dimension in the research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the vie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discussed 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is study first identifies sustainability as idea that regulates the proc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s social sustainability as a part of sustainability. This study denn defines in the framework of social sustainability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d multicultural educ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s concerned only with phenomenal problems, so that it will lose its direction and make a tinkering prescription at that time. Second, in the debate on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integration requires the ability of all members to adapt to changing society. Third, the ability to acquire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ability to procure the material demands of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이익지속성이 ESG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종남,정강원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3 기업경영리뷰 Vol.14 No.1

        본 연구는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로 선정한 이익지속성이 비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인 ESG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지속성이 높을수록 ESG 성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결과에서는 ESG 성과(CSR)가 높을수록 이익지속성이 높아진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과관계를 바꾸어 분석하였는데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ESG 성과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이익지속성이 지속적으로 발생해야 되고, 수익성이나 성장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익지속성이 높을수록 환경경영(EN)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이 지속적으로 발생해야 이익 창출을 위해 친환경 기술 개발 등 연구개발비에 투자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받아 수익성등이 증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이익지속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책임(SO)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고려할 때, 기업의 이익이 더욱더 발생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이익지속성이 높을수록 지배구조(GO)도 높아지는 것1으로 나타났다. 이익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지배구조 등의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였고 이러한 결과로 수익과 성장을 이끌어 냈기 때문이다본 연구는 이익지속성, ESG 성과들이 인과관계에 관계없이 지속가능성 지표가 될 수 있도록 상호보완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도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기업은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경영전략 편성 시, ESG 경영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재무적 성과가 기반이 된 경영전략을 편성하고 수행해야 지속가능한 기업이 될 수 있다. 향후 ESG의 공시규모 확대에 따른 배점 편중이 사라지고, 다른 지속가능성 지표를 추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역량평가 지표 틀 탐색

        유의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20세기 후반의 세계의 경제성장이 인류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세계화로 대표되는 오늘날의 자본주의 경제 하에서 환경성·사회성·경제성이 통합되는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속가능발전과 과학기술을 연결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평가에서 과학기술 측면은 간과되거나 일부분에 그쳐 심층적 진단 및 분석이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의 과학기술이 지속가능발전에 이바지하도록, 과학기술의 지속가능발전 기여 역량을 평가하는 지표와 틀을 탐색한다. 주요 연구내용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과학기술의 관계를 조망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지구 자연 및 사회경제 환경 변화와 지속가능발전 이슈를 정리하고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궤도도 추적하였다. 이어서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지표 틀을 모색하는 동시에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지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지표 틀을 추구하였다. 결론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과학기술의 연결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한 논리적 토대 위에 지속가능발전 이슈, 특히 우리나라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기술들의 내용이 필요한 지 드러냈으며, 그 기술들의 역량평가 지표와주요 세부기술을 시안적으로 소개하였다. 정책제언본 연구의 지표 틀은 기술영향평가, R&D 자원배분에 활용하여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에 더 많은 자원이 배분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국가 전략 측면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주요 테마인 기후, 에너지, 수송, 국토, 자원 및 폐기물 관리를 통합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이어서 경로의 통합 전략 전략도 추천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의 핵심 경로인 분리(Decoupling), 혁신, 합리의 통합전략이다. 요 약 제1장 서론 23 제2장 지속가능발전과 과학기술의 관계 29 제1절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특징 29 제2절 지구 자연 및 사회경제 환경 변화와 지속가능발전 이슈 35 제3절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궤도 53 제3장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지표 틀 73 제1절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지표 분석 73 제2절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지표 틀 탐색 92 제3절 정책적 시사점 130 참고문헌 133 부록 137 A. 선진국의 지속가능발전 헤드라인 지표 137 B. UN의 지속가능발전 테마와 지표의 연관도 143 C. 지표 배합 적절성 점검 매트릭스 예 145 D. 과학기술의 역량요소의 다양한 매트릭스 146 E.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세부 내용 147 URL : http://www.stepi.re.kr:8080/app/report/rss.jsp?cmsCd=CM001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