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ㆍ북한ㆍ중국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 비교 연구

        문영희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he phonological aspects of South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1988), North Korean pronunciation rules (2010), and Chinese-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2016). The differences in the South Korean, North Korean and Chines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mainly include the composition of pronunciation rules, general rules, and pronunciation of vowels and consonants. Among these differences, what is relatively controversial is the pronunciation of ‘ㅚ’, ‘ㅟ’, ‘ㅕ’, ‘ㅖ’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final double consonants ‘ㄼ’. These are not only pronounced differently among the three countries but are also commonly confused in each country. This paper onl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pronunciation rules and their causes in South Korean, North Korean and Chinese-Korean. It is regrettable that it can not establish a unification method of standard pronunciation method. It will be made the next task. 본고는 남한의 「표준 발음법」(2017), 북한의 「문화어발음법」(2010), 그리고 중국 조선족의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 등을 음운론적인 측면으로 그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의 차이는 주로 그 발음법 구성상의 차이, 총칙의 차이, 모음의 발음과 자음의 발음의 차이 등이다.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의 구성을 보면, 모두 자음, 모음과 관련된 발음, 받침과 관련된 발음, 동화 현상에 관련된 발음, 경음화 현상에 관련된 발음, 사잇소리 현상에 관련된 발음 등과 같은 내용이 있다. ‘음의 길이’에 관련된 내용은 남한과 북한이 있고 중국 조선족은 없다. 단어 첫소리 ‘ㄴ, ㄹ’의 발음과 관련된 규정은 북한과 중국 조선족이 있고 남한이 없다. 총칙의 차이는 주로 표준 발음의 기준, 즉 표준어의 기준 차이에 있다. 남한은 현대 서울말을 표준 발음의 기준으로 하고 북한은 평양말을 표준 발음의 기준으로 하며 중국 조선족은 특정한 방언을 표준 발음의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는다.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의 모음 발음의 차이는 'ㅚ,ㅟ'의 발음, 'ㅕ, ㅖ'의 발음, 음의 길이 등이다. 'ㅚ, ㅟ'의 발음에 있어서 남한과 중국 조선족은 ‘ㅚ, ㅟ’가 단모음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모두 인정하지만 북한은 단모음으로만 발음한다. 'ㅕ'의 발음에 있어서 남한은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북한과 중국 조선족은 이와 관련된 규정이 없다. 'ㅖ'의 발음에 있어서 남한은 ‘예, 례’ 이외의 ‘ㅖ’는 [ㅖ]로도 발음될 수 있고 [ㅔ]로도 발음할 수 있다. 북한은 ‘ㄱ, ㄹ, ㅎ’과 ‘ㅖ’와 결합된 글자는 [ㅔ]로만 발음할 수 있고 중국 조선족은 ‘ㄱ, ㄹ, ㅁ, ㅎ’과 ‘ㅖ’와 결합된 글자는 [ㅔ]로만 발음할 수 있다. 음의 길이에 있어서 남북한은 규정한 바가 있지만 중국은 없다.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의 자음 발음의 차이는 단어 첫머리 'ㄴ, ㄹ'의 발음, 받침 'ㄼ'과 받침'ㅇ'의 발음, 경음화 현상, 동화 현상, 사잇소리 현상 등이다. 단어 첫머리 'ㄴ, ㄹ'의 발음에 있어서 남한은 맞춤법에 ‘두음법칙’을 적용하기 때문에 북한, 중국 조선족과 많이 다르다. 겹받침 'ㄼ'의 발음 차이는 주로 '밟-'의 발음에 있다. 남한은 받침 ‘ㄼ’을 [ㄹ]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용언 ‘밟-’과 ‘넓-’의 경우에 [ㅂ]으로 발음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과 중국 조선족은 받침 ‘ㄼ’을 [ㅂ]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받침 'ㅇ'의 발음에 관한 규정은 중국에만 있다. 경음화 현상에 대해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은 비슷한 규정을 하고 있지만 같은 한자어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 대한 규정이 남한과 중국 조선족이 있으나 북한은 없다. 그리고 동화 현상의 차이는 받침소리 [ㅁ, ㅇ]뒤에, 모음 'ㅑ, ㅕ, ㅛ, ㅠ'의 앞에서는 남한과 중국 조선족은 [ㄴ]으로만 발음할 수 있지만 북한은 [ㄴ], [ㄹ] 이중 발음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잇소리 현상에 있어서 합성어에서 앞 형태소 뒤에 ‘이’음이 결합되는 경우와 중국 조선족이 한자어에서 보이는 특수한 경음화 현상에 관한 규정을 사잇소리 현상에 관한 규정에 포함시켰다는 등 두 차이가 있다. 이 차이들 중에서 비교적 논란이 된 것은 'ㅚ, ㅟ'의 발음, 'ㅕ, ㅖ'의 발음, 겹받침 'ㄼ'의 발음 등이다. ...

      • KCI등재

        중국조선족 대중소설 연구

        안낙일 ( Nak Il Ahn )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이 글은 중국의 개혁개방시기 이후로 장착된 중국조선족 소설들 중에서도 현대대중소설의 개념과 실제에 부합되는 일련의 소설들을 대상으로, 해당 작품들의 미적 가치와 문학적 의미를 구명해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중국조선족 소설문학은 그 태동기 때부터 한국문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변모된 정치, 문화적 환경 속에서 발전을 거듭하면서 문학적 독자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중국조선족 문학 고유의 특성과 문학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중국조선족 소설은, 비록 현실적으로는 중국 소수민족 문학 중의 하위 갈래로 인식되고 있지만, 민족문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할 때 우리 한민족 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우리 소설`에 다름 아니다.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조선족 소설은 당대 중국사회의 시대 변화에 부응, 급변했던 중국조선족 사회의 변화 양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생존 방식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며, 특히 최근 들어 중국의 산업화, 자본주의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부딪히는 현실에의 생존적 대응방식이기도 한 것이다. 개혁개방 시기 이후 현재의 중국 사회는 후발 아시아 산업국가 특유의 복합적인 사회 양태를 여실하게 경험하고 있다. 이른바, `전근대, 근대, 탈근대의 혼란스런 착종 현상`이 바로 그것으로서, 특히 한중 수교 이후 한국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조선족 사회는 커다란 가치관의 혼란 상태를 겪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이 서구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수용하면서 급변하는 조선족 사회의 변화 양상들은, 이후 조선족 소설들의 창작과 독자대중들이 향유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그대로 수용되고 있다.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재중 조선족 소설 문단 역시 대중소설적인 경향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시`의 의미에 대한 천착, 현대사회와 여성의 의미에 대한 다각적 탐구, 변모된 성의식의 대중소설 수용 양상 등이야말로 중국조선족 대중소설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조선족 대중문학의 온당한 문학사적 시각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중국조선족 대중소설에 대한 문학적 가치 부여와 바람직한 기대지평을 모색해보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과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시대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일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으며, 이 연구의 의미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uncovering the aesthetic value and historical meaning of Korean-Chinese popular literature through detailed analyses of Korean-Chinese popular novel. During the early immigration history of Korean-Chinese people, Korean-Chinese literature had a close tie with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However, years of Chinese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s have shaped Korean-Chinese literature into a rather unique identity in terms of literacy as well as readers. The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popular novel has gone through a quite unique path under the major influence of Chinese communist ideology along with that of North Korean and Russian literature. Each stage of its development exhibits its "localcolor" which is more or less different from Chinese mainstream literature. Especially during the era of post cultural revolution and late 70s, as Chinese government launched its social reforms,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started to show its interest o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fter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an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hip in early 1990s, Korean-Chinese novel society has further witnessed the maturity and variety in its development via rigorous exchange with its South Korean counterparts. It is well known that years of Cultural Revolution came to an end in 1976 and China stepped into a new era of social reforms. Consequently, Chinese society has gone through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o a great extend and it started to embrace some of the capitalistic values and adopt new life style that corresponds to the market economy-based social patterns. Accordingly, Korean-Chinese novel society started to come into shape as popular literature with the increasing demand of novel readers. The contemporary Korean-Chinese novel is characterized by adopting the features and techniques of mainstream Chinese literature as its main frame to portray the changes of Korean-Chinese communities. Through the emerging of novels with distinct features of "reality novel" (depiction of common people`s lives and the real world), "scar literature" and "repentance literature," readers are exposed to various novels with great shape, both aesthetically and conceptually, of contemporary popular novel. The thematic scope of Korean-Chinese novel was further developed in great breadth and depth as Korean-Chinese community had came into contact with South Koreans, subsequently, the themes and writing styles witnessed the enormous development in its diversity. Novel writers shifted their focus not only to the Korean-Chinese community on its journey of searching its true identity but also the lives of Korean-Chinese people, their pains and joys, under ever changing new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popular novels published recently in Korean-Chinese novel society attempts to meet the readers` needs from a new perspective whichis rooted in capitalistic life styles. Despite the inevitable conflict in value system between Korean-Chinese and South Korean in the course of direct or indirect exchange of materials and human resources, Korean-Chinese popular novel was able to successfully embrace the new changes and gain the popularity of the readers. Korean-Chinese popular novel has been a faithful witness and recorder of the life style of one minority group in China Korean-Chinese people, in the course of choosing ways to survive in greater China area. It can also be seen as the literary solution for the problems that Korean-Chinese community is currently facing as China experiences rapid changes in ide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not only the arguments about the Chinese-Korean popular novel but also their theoretical foundations and the feature of development. And then I tried to analyze several novels concre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adequate literary perspective to popular literature and to grope for `open vision` and desirable ground for it. And I think, This task is finally no more than to understand honestly the age to which we belong and ourselves who live in there.

      • KCI등재후보

        중국조선족 대중소설 연구

        안낙일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This study aims at uncovering the aesthetic value and historical meaning of Korean-Chinese popular literature through detailed analyses of Korean-Chinese popular novel. During the early immigration history of Korean-Chinese people, Korean-Chinese literature had a close tie with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However, years of Chinese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s have shaped Korean-Chinese literature into a rather unique identity in terms of literacy as well as readers. The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popular novel has gone through a quite unique path under the major influence of Chinese communist ideology along with that of North Korean and Russian literature. Each stage of its development exhibits its “localcolor” which is more or less different from Chinese mainstream literature. Especially during the era of post cultural revolution and late 70s, as Chinese government launched its social reforms,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started to show its interest o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fter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an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hip in early 1990s, Korean-Chinese novel society has further witnessed the maturity and variety in its development via rigorous exchange with its South Korean counterparts. It is well known that years of Cultural Revolution came to an end in 1976 and China stepped into a new era of social reforms. Consequently, Chinese society has gone through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o a great extend and it started to embrace some of the capitalistic values and adopt new life style that corresponds to the market economy-based social patterns. Accordingly, Korean-Chinese novel society started to come into shape as popular literature with the increasing demand of novel readers. The contemporary Korean-Chinese novel is characterized by adopting the features and techniques of mainstream Chinese literature as its main frame to portray the changes of Korean-Chinese communities. Through the emerging of novels with distinct features of “reality novel” (depiction of common people’s lives and the real world), “scar literature” and “repentance literature,” readers are exposed to various novels with great shape, both aesthetically and conceptually, of contemporary popular novel. The thematic scope of Korean-Chinese novel was further developed in great breadth and depth as Korean-Chinese community had came into contact with South Koreans, subsequently, the themes and writing styles witnessed the enormous development in its diversity. Novel writers shifted their focus not only to the Korean-Chinese community on its journey of searching its true identity but also the lives of Korean-Chinese people, their pains and joys, under ever changing new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popular novels published recently in Korean-Chinese novel society attempts to meet the readers’ needs from a new perspective whichis rooted in capitalistic life styles. Despite the inevitable conflict in value system between Korean-Chinese and South Korean in the course of direct or indirect exchange of materials and human resources, Korean-Chinese popular novel was able to successfully embrace the new changes and gain the popularity of the readers. Korean-Chinese popular novel has been a faithful witness and recorder of the life style of one minority group in China Korean-Chinese people, in the course of choosing ways to survive in greater China area. It can also be seen as the literary solution for the problems that Korean-Chinese community is currently facing as China experiences rapid changes in ide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not only the arguments about the Chinese-Korean popular novel but also their theoretical foundations and the feature of development. And then I tried to analyze several novels concre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adequate literary perspective to popular literature and to grope for ‘open vision’ a... 이 글은 중국의 개혁개방시기 이후로 장착된 중국조선족 소설들 중에서도 현대 대중소설의 개념과 실제에 부합되는 일련의 소설들을 대상으로, 해당 작품들의 미적 가치와 문학적 의미를 구명해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중국조선족 소설문학은 그 태동기 때부터 한국문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변모된 정치, 문화적 환경 속에서 발전을 거듭하면서 문학적 독자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중국조선족 문학 고유의 특성과 문학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중국조선족 소설은, 비록 현실적으로는 중국 소수민족 문학 중의 하위 갈래로 인식되고 있지만, 민족문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할 때 우리 한민족 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우리 소설’에 다름 아니다.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조선족 소설은 당대 중국사회의 시대 변화에 부응, 급변했던 중국조선족 사회의 변화 양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생존 방식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며, 특히 최근 들어 중국의 산업화, 자본주의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부딪히는 현실에의 생존적 대응방식이기도 한 것이다. 개혁개방 시기 이후 현재의 중국 사회는 후발 아시아 산업국가 특유의 복합적인 사회 양태를 여실하게 경험하고 있다. 이른바, ‘전근대, 근대, 탈근대의 혼란스런 착종 현상’이 바로 그것으로서, 특히 한중 수교 이후 한국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조선족 사회는 커다란 가치관의 혼란 상태를 겪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이 서구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수용하면서 급변하는 조선족 사회의 변화 양상들은, 이후 조선족 소설들의 창작과 독자대중들이 향유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그대로 수용되고 있다.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재중 조선족 소설 문단 역시 대중소설적인 경향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시’의 의미에 대한 천착, 현대사회와 여성의 의미에 대한 다각적 탐구, 변모된 성의식의 대중소설 수용 양상 등이야말로 중국조선족 대중소설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조선족 대중문학의 온당한 문학사적 시각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중국조선족 대중소설에 대한 문학적 가치 부여와 바람직한 기대지평을 모색해보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과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시대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일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으며, 이 연구의 의미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토인비(Toynbee)의 문화도전원리로 본 글로벌 시대 중국 조선족 문화

        우린훙(吳林鴻),인윈전(尹允鎭)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아시아문화연구 Vol.60 No.-

        중국 조선족이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해 온 조선인, 또는 그 후예들 가운데서 중국에서 국적을 취득한 사람을 가리키고, 중국 조선족 문화란 그들이 한반도에서 이주할 때, 가지고 온 문화와 그 후, 중국에서 생활하면서 새롭게 창조한 여러 가지 문화, 즉 중국의 실정에 맞게 형성된 물질문화, 제도문화, 행위문화와 정신문화를 말한다. 이를테면, 중국 조선족은 중국에 이주해 온 후, 주로 농업생산에 종사하면서 도작농경생활을 기반으로 한 여러 가지 제도와 행위규범 및 정신문화를 창출하였는데 이것을 중국조선족 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개혁・개방을 계기로, 중국 조선족 문화는 여러 가지 면에서 준엄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대에 들어 전례없는 거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에 일부 학자들이 지적하고 있는 “중국 조선족 문화 위기”란 바로 이것을 지적하는 것이다. 개혁・개방은 중국 조선족 문화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다주었고 이것을 통해 중국 조선족은 경제적인 풍요를 비롯하여 국제적인 안목, 시장 의식과 기타 여러 가지 새로운 관념과 의식들을 얻었다. 그러나 그것은 문제의 한 측면, 다른 한 측면에서 이 역사적인 “도전”에서 중국 조선족들은 많은 전통적인 우세를 상실하고 있는데 거기에는 전통적인 농업, 전통적인 인구우세, 전통적인 민족문화우세와 우리민족의 고유한 진취심 등이 망라되어 있다. 이것은 글로벌 시대 중국 조선족 문화가 시급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중국 조선족 문화는 이 도전에서 얻은 것을 잘 이용하여 중국 조선족 문화의 역사적인 도약을 이룩해야 한다. Korean-Chinese refers to Korean people who 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China or their descendants who acquired Chinese nationality in Chin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Chinese culture refers to the various cultures newly created in China on the basis of the culture they brought when they 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ir material culture, system culture, behavior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For example,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f the Korean-Chinese in China on this land and the various institutional forms, code of conduct and spiritual culture based on this agricultural production can be called Korean-Chinese culture.However,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t has been faced with severe challenges from various aspects, and the challenges from the age of globalization are unprecedented.Now some people refer to this “cultural crisis” as the crisis of Korean-Chinese culture.In this “crisis”, Korean-Chinese culture has lost many traditional things and traditional advantages, such as traditional agriculture, traditional population advantages, traditional national cultural advantages and various cultural enterprising spirit. However, in the face of this historic challenge, the Korean-Chinese culture has calmly responded. While losing some traditional advantages, it has gained economic wealth, international perspective, market awareness and new ideas. This is a cultural basis for the resurgence of Korean-Chinese culture in the new situation. It is on this basis that the Korean-Chinese culture calmly responds to various challenges, reappears the glorious style of the past, and achieves a historic leap forward.

      • KCI등재

        중국조선족 항일가요의 혼종성과 과도기적 정체성

        임항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8

        중국조선족은 중국항일전쟁시기 가장 일찍 항일전쟁에 참가한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서 그들은 중국의 기타 여러 민족들과 함께 싸워 중국항일전쟁의 승리를 위해 거대한 공헌을 하였다. 조선족 음악은 중국음악을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음악으로, 특히 항일전쟁 시기 조선족 이주민들은 끈질긴 혁명의지와 깊은 민족의식으로 많은 음악을 작곡했다. 항일전쟁시기의 조선족 가요는 인민들의 사기를 진작하고 항일 전쟁 정신을 선전하는 음악으로 조선족 이주민대중에게 널리 전파되었다. 이들 가요는 항일전쟁 당시 조선족 이주민들의 생활상을 잘 표현한 것으로 조선족 이주민들의 혁명정신과 항일전쟁 승리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반영하고 있다. 항일전쟁 기간 중 중국 사회는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상태였으며, 조선족 이주민들은 이러한 중국 사회 환경의 영향 속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문화가 혼합된 상태를 형성하였다. 본문은 7곡의 조선족 항일가요의 음악 출처, 창작, 배경, 가사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조선족 항일가요가 여러 지역의 문화를 흡수하였음을 논증하고 이러한 혼종적 음악이 조선족 이주민의 정체성이 중국으로 옮겨가고 있는 변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조선족 항일가요는 조선족 음악사뿐만 아니라 중국 음악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족 항일가요에 대한 연구는 조선족 음악의 형성과 발전의 맥락을 이해하고 중국조선족 음악사 연구에 가치 있는 사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국조선족의 정체성이 변화하는 과정을 파악하는 데에도 유의미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백년간 중국조선족들의 국적을 논함

        엄해옥 ( Hai Yu Ya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一鑑法學 Vol.0 No.17

        중국 조선족의 전신은 그 다수가 조선이주민들이다. 조선이주민들은 동북의 많은 토지를 개간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국 국적법의 제정과 반포 에도 영향을 주었다. 20세기 초 조선이주민들의 월경(越境)과 간도(間島)의 출현은 ``체발이복(剃髮易服)`` 과 ``귀화입적(歸化入籍)``을 내용으로 하는 중국의 첫 부성문국적법(不成文國籍法)의 형성과 실시를 추진하였고, 조선이주민들의 국적문제와 일본이 만들어 낸 간도문제는 중국의 첫 성문국적법(成文國籍法)의 제정과 반포에 영향을 주었다. 한 세기 넘는 동안 중국조선족들은 국적문제에서 여러 가지 대우를 받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 된 후 중국정부는 국적 정책을 실시하여 조선이주민들을 중국국적에 가입시켰고 그들을 중국의 조선족으로 또 는 중국의 공민으로 인정해 주었다. 중국공민으로 된 중국조선족들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정치·경제·문화 등 여러 면에서 특히 국적문제에서 도 기타 민족과 같은 평등한 대우를 받아 왔다. 국적은 한 사람이 한 국가와 법률관계를 맺는 중요한 표징으로서 국 가의 권력과 이익에 관계될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법률지위와도 관계된 다. 1949년 l0월 l일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아울러 조선이주민들은 이중신분을 가졌다. 하나는 중국공민이었고 다른 하나는 중국조선족이었다. 중국공산당은 동북조선이주민들이 당시 갖고 있는 이중 조국관(祖國觀). 즉 이중국적문제에 대해 중시를 돌리고 객관적으로 대해 주었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더불어 국내외의 문화, 특히 한국의 문화가 중국 조선족사회에 준 영향은 매우 크다. 20세기말 중국조선족 앞에는 정치·경제실력이 완전히 부동한 두 개의 모국이 나타났다. 하나는 자본주의 모국 대한민국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주의 모국 조선만주주의인민공화 국이었다. 현재 괴분하게 한국에 의뢰하고 있는 중국조선족사회는 조국(祖國) 과 고국(故國) 조선족(朝鮮族)선과 한민족(韓民族)에 대한 인식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이 모호한 인식은 중국조선족사회의 위기열(危機說) 과 해체열(解體說)을 만들어 가고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때부터 시선을 한국의 경제사회에 돌린 중국조선 족들은 한국국적을 신청하기 시작하였다. 중국과 한국은 이중국적을 승인하지 않는다. 국적선택은 중국공민의 자유이며 권리이다. 그러나 중국의 조선족들은 부동한 사회제도가 만들어낸 부동한 가치관과 사유 방식의 차이가 가져다주는 편견과 불신임을 외면한 채 눈앞의 경제이익 만 보고 토지를 포기하면서 한국국적을 신청하고 있다. 그들의 단순한 행위는 장래 조선족사회의 해체뿐만 아니라 자신들에게도 막대한 손실을 가져다 줄 가능성이 보인다. 중국조선족들은 응당 지난 반세기동안 중국의 민족정책과 법률 그리고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 모습과 조선반도 의 국세에 주의를 돌릴 필요가 있으며 더욱이는 중국의 토지관리제도와 정책들을 다시 정시하고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 KCI등재

        재중 조선족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실증연구-네트워크 형성 중심으로-

        문철주,백권호 한중사회과학학회 2013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1 No.4

        止從一九七八年中國改革開放以后,許多世界多國企業在中國投資創業,韓國也是從一九九二年和中國建立友好關系后,才以大都市爲投資中心進入了中國市場。這促使中國朝鮮族的勞動力從農村走向大都市的移居,而且移居到了韓國,日本,美國等國家。這是因爲中國朝鮮族居住的地方比較若后爲了擺脫貧窮以及中國改革開放的政策許可的結果。령外,中國國有企業的改革造就了許許多多成功私人企業。由一九九一年中國東北三省三百四十五家私人朝鮮族企業,二0一二年發展到了一万七千多家。因此,本硏究是以中國朝鮮族企業家爲硏究對象,經過實證分析要조出影響中國朝鮮族企業成果因素。首先,要以中國朝鮮族企業活動對中國朝鮮族移居有什마樣的影響來조出影響中國朝鮮族企業成果因素,其次,要조出商業關系網的形成對中國朝鮮族企業成果影響因素。通過以上的分析結果可以引導中國朝鮮族企業在經營環境變化過程中,利用建立商業網才能和國際多國企業競爭中取勝。爲了實證分析我們從二0一三年四月起,到八月三十日,通過在中國的大韓貿易投資振興公社(KOTRA)和個別企業采訪收到有效問卷150분。通過利用有效問卷150분的統計系統(SPSS21.0)分析我們得出以下幾方面的結論。第一,中國朝鮮族企業能구取得成果是因爲他們不斷地創新和開發新的産業,以及不斷吸取實際經驗而積累的技朮知識。령外,他們通過韓國企業的商業關系網得到新的企業發展思路。韓國企業也應利用中國朝鮮族企業商業關系網戰居中國國內市場。第二,中國朝鮮族企業成果因素有兩個方面,其中一方面是創業成功核心力量的影響,령一方面是中國國內商業關系網建立的影響。第三,商業關系網對中國朝鮮族企業成果因素效果來看,和中國專家建立商業關系網,不斷吸取實際經驗而積累的技朮知識,以及能조住時机的洞察力,挑戰力,耐力等有關因素對中國朝鮮族企業成果因素有效果。最后,希望有關企業硏究專家,多參與中國朝鮮族企業硏究,提高中國朝鮮族企業經濟效果,同時可以提高對中國企業管理理論的認識。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문학과 중국어 창작 -리근전의 중국어 창작과 번역 발표를 중심으로-

        이해영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4 No.-

        조선족 문학은 중국의 소수민족 문학이면서도 정작 중국 학계에서는 철저히 외면당해왔으 며 조선족의 작가 중에는 만족, 티베트족, 회족, 몽고족 등 기타 중국 내 소수민족의 작가들처 럼 전국적인 문명을 획득한 작가가 배출되지 못했다. 그 가장 중요한 원인은 중국 조선족 문 학이 중국을 창작환경으로 하면서도 중국의 통용문자인 중국어가 아닌 한국어 내지 조선어로 씌어졌으며 극히 적은 몇 편의 작품만이 특별한 수요에 의해 중국어로 번역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선족 문학은 지금까지 중국 내 조선족을 그 독자 층으로 상정하고 있었으며 여태 까지 중국 조선족 문학에서 한국어(조선어) 창작의 문제는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고, 중국어 창작의 문제는 러시아 고려인 문학, 재일동포문학 등 기타 해외 한민족 문학에서 민족어 창작이냐 거주국 언어 창작이냐의 문제처럼 심각하게 표면화되거나 거론되지 않았다. 그러나 개혁개방과 시장경제의 충격으로 인한 조선족의 민족 집거지의 해체에 따른 생존환경 의 변화와 창작환경의 변화, 중국 문학 속에서 조선족 문학의 위상 정립의 요구 등으로 하여 중국 조선족 문학에서 중국어 창작의 문제는 더는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중국 조선족의 제1세대 작가이자 주로 중국어로 창작하였고 발표는 번역하여 한국어 (조선어)로 하였던 리근전의 중국어 창작과 번역 발표의 의미에 대해 상세히 살펴봄으로써 변 화된 환경에서 조선족 문학의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리근전은 중국 조선족의 제1세대로서 광복 후, 미귀환한 작가이다. 그러나 리근전은 조선 족의 기타 제1세대 작가들과는 달리 조선어보다는 한어에 익숙했으며 한어가 그의 습작기의 제1언어였다. 이는 리근전이 아버지를 따라 이주한 곳이 한족이 대다수 살던 지역이었고 그가 참군을 통해 부대에서 문자를 익혔던 것과 연관된다. 그러므로 리근전에게 있어서 문학창작의 제1언어, 자연스러운 언어는 조선어가 아닌 중국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근전은 자기가 조선어로 창작할 수 없다는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밝히는 것을 극히 꺼려했고 그의 대표작이자 중국 조선족 문학의 대표작이기도 한 두 편의 장편소설 범바위와 고난의 년대가 중 국어로 창작된 뒤 역자에 의해 조선어로 번역되어 출간된 것임을 끝까지 고백하고 있지 않다. 이는 리근전이 고향이었던 조선 자강도에서부터 몸에 배인 민족성과 또한 조선족 작가라면 당연히 조선어로 창작해야 한다는 리근전 식의 자의식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 근전에게 있어서 번역발표란 조선족의 삶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로서의 작품의 내용적 측면과, 창작에 앞서 미리 상정한 독자층으로서 조선족 독자대중을 염두에 둔 지극히 당연한 것이고 오히려 조선족 작가로서의 자의식 때문에 감추고 싶은 불편한 부분이었다. 적어도 리근전이 첫 장편소설을 발표하던 1960년대로부터 두번째 장편소설을 발표하던 1980년대, 그리고 지금 에 이르기까지 조선족 문학작품은 조선어로 쓰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중국어 창작은 전혀 고려되지 않던 부분이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위의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고 조선족 문학의 발전 을 모색해야 할 단계에 와 있으며 조선족 문학은 더는 중국어 창작을 외면할 수 없는 단계에 와있다. 그러나 조선족 문학에서 중국어 창작을 적극 추진하는 문제는 해외 한민족 문학의 범 주 설정이라는 대단히 근본적인 문제와 민족어 교육과의 양립이라는 대단히 민감한 문제를 넘어야 한다. 특히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으로 민족어의 습득만 이루어지지 않으면 조선족의 정체성을 기억할 수 없다는 문제는 조선족에게 조선어야말로 기타 민족과의 이질성을 인지시 키고 민족적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자 징표이다. 본고는 민족어 교육과 중국어 창작을 대립항 즉 대타적 차원에서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전 환시키기 위한 환충지대로 번역 발표의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Tibetan、Hui people and Mongolian people, there has ever been no well-known Korean-Chinese writer. The main reason is that although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takes China as the creative background, it doesn't take Chinese which is the most-accepted standard language to do writing. Except a very few work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for some special reason, other works are totally in Korean. Until now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still take Korean-Chinese as its reader, so writing in Korean seems to be normal. At the same time, writing in Chinese unlike other overseas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such as Korean literature in Russia and Korean literature in Japan faces the matter of choosing the national language or the language of the country of residence. However, as Reform and Open Door policy happened in China, also as the impact of market economy, Korean-Chinese national gathering area faces the disintegration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authoring environment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has been changed. In order to get a steady place in Chinese literature, Chinese writing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has risen to an important level which can not be ignored. For this reason, we studied on Li Genquan, one of the first generation Korean-Chinese writers, who did Chinese writing and then translated his works into Korean language. This thesis tried to analyze the meaning of his Chinese writing and translation in detail so as to seek the appropriate way for Korean-Chinese literature to deal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Li Genquan, as the first generation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belonged to “non-returned” writers after National Independence. Different from the other Korean-Chinese writers of the first generation, Li Genquan was more familiar about Chinese language than Korean language and also took Chinese as the first language in his writing. This is indissolubly linked with the fact that he settled down in Han people's gathering area with his father and studied Chinese characters in the troop after he joined the army. With all these reasons, for Li Genquan, the first language of literature creation and the natural language is not Kroean but Chinese. However, Li Genquan had conflict complex about the fact that he himself can not write in Korean language proficiently. As for his representative masterpieces, Tiger Cliff and Hard Age which are also two novels of the representative works in Korean-Chinese literature, he kept silence on the fact that professional translator translated his works into Korean after he wrote them in Chinese. This may be explained by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his self-awareness. He came from Jagang-do and in his blood did national consciousness exist. His self-awareness reminded him that as a Korean-Chinese writer, he should write in Korean language. Because of this, in the translated version of Li Genquan's works, did he try to cover the very natural things that the content of his works was based on the living status of Korean-Chinese and the potential readers were also Korean-Chinese. At least, Li Genquan's first novel in 1960s and his second novel which was published in 1980s and even today's literature works have never considered writing in Chinese but still take the Korean writing for granted. However, nowadays, we need to adapt to the changes surrounding us actively. Besides, we stand at the moment when we can not ignore Chinese writing if we intend to develop the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Inevitably, to promote Chinese writing of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some problems, such as the fundamental issue of setting Korean-Chinese literature category oversea and the hot issue which is opposed to national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because of China's ethnic minority policy, if one doesn't receiv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he or she will probably forget his nationality gradually. This big problem makes Korean-Chinese understand that Korean language is the only way for them to get to know their specificity and their nationality. This thesis aims at conver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writing from opposition into mutual complementarity. With regards to this, translated version is suggested to be a way of dealing with this problem.

      • 중국조선족기업들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재한조선족사회에 미치는 영향

        백권호,문철주 동덕여자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2016 한중미래연구 Vol.6 No.-

        중국의 개방정책 및 한중수교 등 외부환경변화에 따라 많은 다국적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여 세계 공장에서 세계 시장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중국 시장경제 체제 변화에 따라 수 만개의 사기업들이 우후죽순처럼 탄생하였다. 이러한 중국 경제 환경 변화와 대외정책 변화에 따라 중국조선족기업들도 중국 동북3성에서 중국전역으로 확산 및 고도 성장하고 있다. 1991년 중국동북 3성에서 약 345개 의 조선족 사업체가 성장하였지만, 2012년도에는 중국조선족기업가협회에 등록 된 기업 수 기준으로 약 3,000 여개에 이르며, 흑룡강신문사의 자체조사에 의하 면 1만7천5백여 개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조선족기업들의 탄생 및 성장은 중 국조선족사회변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기업 및 기업가 현황에 대한 탐색적 실태조사를 통하여 조선족기업들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밝히고자 한다. 두 번째, 이러한 조선족기업들의 글 로벌 네트워크 형성이 조선족사회에 정체성 및 재한조선족사회 변화에 어떻게 영 향을 주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보면 조선족기업들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신 뢰관계와 거래를 유지할 수 있는 자원의 확보로 나타났고, 조선족사회에 공동체 구성원들의 생활 및 사적 경제교류 등에 영향을 미치지만 아직까지는 중국사회의 구성원으로써 한족 및 중국인과의 교류가 더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随着中国实行改革开放政策以及韩中两国建交等国际环境变化,世界国际跨国 公司进入中国市场后,中国由世界工厂变成了世界市场。另外随着中国实行市场经 济政策无数个私人企业雨后竹笋般地成长起来了。中国的朝鲜族企业也随着中国实 行市场经济政策变化, 由东北三省向全国各地扩散以及高速成长起来了。由一九九 一年中国东北三省三百四十五家私人企业,到二0一二年发展到了一万七千多家。 中国朝鲜族企业的快速成长对中国的朝鲜社会有一定的影响。因此本文经过实证分 析来探索中国朝鲜族企业的国际网落形成的因数以及中国的朝鲜族企业国际网落对 中国朝鲜族社会的影响。 研究结果表明中国朝鲜族企业的国际网落形成的因数是信赖关系和保持交流关 系的资源的取得。另外,中国朝鲜族企业的国际网落形成对中国朝鲜族社会共同体 成员的生活以及私人经济交往有一定的影响,但作为中国成员之一更重视与中国人 交流建立经济网落关系。

      • KCI등재

        중국에서 조선족의 정착과 그 문학 연구의 현황 일고찰

        남춘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3 No.-

        The Study on Chinese Korean literature begins with the study of Jin Xuetie's literature study, but its research line is interrupted by the movements in modern China, especially the unstable factors caused 10 years’ Cultural Revolution. Not until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does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begin to rise. This paper titled “Chinese Korean and Its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makes a thorough review on Korean literature. In order to give a clear pictur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introduces the formation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nation, The second part is divided into six stages, introducing the origin of Chinese Korean ethnic group, and The third part analyzes the origin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literature before and after liberation respectively. Then the thesis introduces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Chinese Korean literature. It is believed that Chinese Korean ethnic group maintains a perfect national language and integrateswith the majority well in China. In China, the history of Korean ethnic literature has been more than 100 years and has made its du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minority literature. In the number of minority population, there is no big gap between the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Chinese Korean, but their ethnic language and ethnic literature has been stranded and assimilated to a far more serious degree than Chinese Korean. And Russian Korean is even worse in this aspect. Korean literature is the witness of Korean life since it is loaded with the Korean national history, sorrows and joys of life and. As a member of Korean ethnic group, it is lucky for me to study Korean literature. 중국 조선족 문학에 대한 연구는 최초로는 김학철 문학에 대한 연구로부터 서막이 열린다. 그러나 운동과 동란기 속에서 연구의 맥은 거의 끊어지다시피 하다가 1980대말 90년대 초반 사회적 안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새롭게 활기를 띄기 시작한다. 현재 조선족 문학에 대한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의 한 갈래로서의 조선족 문학이라 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데, 중국의 조선족학자뿐만 아니라 중국인 학자들에 의해서도 연구가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의 시원으로부터 입각하여 55개 중국 소주민족중 천입민족으로서의 조선족의 우래를 간단히 밝히면서 이민의 시말과, 이민이 이루질 수 밖에 없었던 그 역사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짚어보았다. 현재 중국에 살고 있는 200만 조선족의 뿌리, 말하자면 조선족은 뿌리를 갖고 있는 민족임을 먼저 살펴보았다. 다음은 조선족의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단계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 중국의 일원으로 되기까지는 조선족이 겪은 고난과 중국 항일에 대한 공헌, 당당한 일원으로서 개국 직전인 9월에 조선족이란 이름을 갖게 된 것에 대해 논술했다. 이어서 조선족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족문학의 기점에 대해서는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특히 해방 후의 기점은 1949년 중국의 개국이 아닌 1945년, 말하자면 조선족은 8.15 해방을 받은 그때부터 자기의 문학을 갖고 있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조선족이 중국 이주는 백년에 이르고 조선족이 중국땅에서 소수민족으로 살기 시작한 지는 64년이 된다. 그러나 조선족은 대중국이라는 거대환경하에서도 한인의 문화와 혈통을 가장 잘 이어가고 있고 또 민족의 언어를 굳건히 지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영역에서도 자기의 민족을 지켜가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족문학 연구는 역사시기를 막론하고 필요이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족문학연구에 대한 현황을 간단히 짚어보기에 주력했고 향후로의 조선족 문학 연구에서 해야 할 일들에 대해서도 간단히 살펴보았다. 상술했다시피 조선족은 자기적인 문학을 보유하고 발전시켜 온지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유랑이민으로 살아야 했던 민족의 과거를 고스란히 담고 있고 해방 후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는 조선족의 희비극이 교감하는 생존의 현장이 바로 조선족 소설에 투영되어 있다. 조선족으로서 학자로서 조선족 문학의 맥을 짚어보는 일은 조선족 연구의 맥을 이어감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