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상 조세의 기본원칙과 세법상 실질과세

        황헌순(HWANG, Heon-sun) 유럽헌법학회 2021 유럽헌법연구 Vol.- No.36

        조세와 관련한 기본원칙으로서 헌법에는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가 규정되어 있다. 조세법률주의는 법률에 근거 없는 조세부담은 위법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 국가에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거래방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조세부담과 관련한 모든 상황을 사전에 예상하여 입법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이러한 점에서 조세법률주의를 과도하게 요구하게 되면, 담세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세를 부담하지 않게 되며, 이는 조세평등주의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지적이 있다. 납세자가 조세를 부담해야 하는지 여부는 거래형식에 구애받을 것이 아니라, 그 거래행위의 실질에 따라 판단해야 조세공평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며, 그러한 수단으로써 세법상 실질과세가 언급된다. 본고에서는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의 관계 및 실질과세에 대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법제도를 중심으로 비교법적 검토를 행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입법연혁에 있어 독일 세법이 관련되는 점에 대해서는 독일 제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결과, 세법상 실질과세에 있어서 실질의 의미에 관한 법적 실질설과 경제적 실질설에 대한 대립은 세법의 적용영역에 있어서 사법상 인정된 사실인정을 세법에서도 그대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에 따라 견해대립이 생기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실질과세가 관련되는 세법상 조세회피에 대해 우리나라는 이에 관한 일반적 부인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는 결국 세법상의 사실인정은 사법상의 사실인정과는 별도로 행해질 수 있다는 이해에 입각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규정의 적용은 납세자의 예측가능성과 법적안정성을 해한다는 비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은 조세회피에 관한 일반적 부인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며, 이는 세법에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사법상의 실질적인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세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납세자의 예측가능성과 법적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조세공평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례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납세자들이 알 수 있도록 법령에 규정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조세공평이라는 것은 세법의 입법원칙으로 작동하는 것이며, 조세법률주의에는 이러한 공평의 관념이 반영되어 입법이 행해져야 한다. 조세평등주의와 조세법률주의가 상충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고 하기 위해서는 조세평등주의가 조세법률주의의 내용으로 기능해야 하는 것이다. 양자가 이러한 관계로 이해되지 않고, 세법상 명문의 규정이 없는 경우에도 조세평등을 근거로 담세력만에 따른 과세를 인정하는 것은 결국 양자가 충돌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 양자가 상충되는 관계가 아니라고 하는 것은 논리상 모순된다. 과세관청이나 사법부의 자의적 과세로부터 납세자의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를 상충되지 않는 관계로 보아야 한다. 새로운 거래관계가 발생하는 경우 조세공평만을 근거로 한 과세는 법률에 따른 과세가 아니라 공평이라는 이념에 따른 과세라는 점을 항상 주의해야 하며, 새로운 법령을 입법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다. In relation to taxation,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principles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ax equalitarianism. the principles of no taxation without law is that tax burdens, which are not based on law, is illegal. However, in modern society, it is almost impossible to anticipate and legislate all the situations related to tax burden, as new transactions are constantly occurring. In this regard, it is pointed out that excessive demand for the principles of no taxation without law would result in not bearing tax burden despite having taxpaying ability, which would result in opposition to tax equalitarianism. When considering tax equalitarianism, a taxpayer should bear tax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a transaction, but it is judged by the substance of the transaction act. And in that case, substance over form is referred to in tax law. This thesis conducted a comparative legal review of the substance over form on the legal system of Korea and Japan. And it looks at the German system in relation to the German tax law in Japan s legislative history. As a result of this paper,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legal and economic substantive theories about the meaning of substance over form under the tax law arises depending on whether the tax law will accept the private law s recognition of facts in the application of the tax law. And there is a GAAR related to substance over form in Korea, it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recognition of tax law can be done separately from private law s one in the end. However, there is criticism that the application of these regulations harms taxpayers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and in this regard, Japan does not have a GAAR, which applies the tax law to private law s recognition unless otherwise provided. In order to achieve tax equalitarianism while ensuring th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of taxpayer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in the statute so that taxpayers can know when new cases arise. In other words, tax equalitarianism works as a legislative principle of the tax law, and this notion of fairness should be reflected in tax legalism and legisl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for tax equalitarianism and no taxation without law to b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a conflict, tax equalitarianism must function as a content of tax legalism. Despite not standing in this logic and having no regulation in tax law, admitting taxation while discussing tax equalitarianism is based on a conflict between the two principles, and in this case, it is logically contradictory to say that there is no conflict between the two principles.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ax equalitarianism can be viewed as non-conflicting relationships to ensure the property rights of taxpayers from arbitrary taxation by tax authorities or the judiciary. If a new trading relationship occurs, it should always be noted that taxation on the basis of fairness is not taxation under law, but taxation on ideology, and the work of legislating new law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후보

        공익수용관련 양도소득세제의 최근 입법동향과 주요 해석사례

        나성길 한국조세연구포럼 2010 조세연구 Vol.10 No.2

        본 논문에서는 조세특례제한법에 규정되어 있는 공익수용과 관련된 제도들을 살펴보고, 조세특례의 설정시 고려하여야 할 정책적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에서 나타나 있듯이, 최근 2~3년간에 걸쳐 공익수용(public expropriation)과 관련된 다양한 조세특례가 신설되었고, 공익사업의 원활한 시행지원을 위해 그 내용도 확대되는 경향에 있다. 본질적으로 조세의 역할은 재정수입확보에 있으나, 사회?경제?산업정책적 수단으로 조세특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세가 어떤 정책의 실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함에는 일정한 헌법적 한계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 이유는 헌법 재판소가 적절히 판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세특례의 남용은 납세자 간의 불평 등 문제를 야기하여 납세의식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세특례제한법이 조세특례를 신설하기 전과 신설된 이후에 행정적 관리절차를 두어 적정한 조세특례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취지를 반영한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조세특례를 신설하거나 확대하는 경우, 그 필요성이 존재하더라도 조세의 본질 내에서 그 한계를 엄수하는 가운데에서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다룬 공익사업에 따른 수용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공익사업에 따른 토지 등이 수용되는 경우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조세특례의 필요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 토지소유자가 장기간 재산권행사를 해 오지 못하면서 수령하는 보상금도 요구수준에 크게 미흡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른 조세특례와 조세정책상 달리 취급할 것인가이다. 둘째, 공익수용에 대해 헌법이 요구하는 정당보상의 실현을 위해 조세특례가 필요한가와, 필요하다면 그 수준을 어느 정도 설정할 것인가이다. 본 연구자는, 정당보상의 실현은 기본적으로 직접적 보상수단을 규율하는 공익사업법 등 개별 법률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직접적 보상수단이 헌법이 요구하는 정당보상을 충족하지 못하여 조세특례 외에 다른 수단이 없거나 공익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특별히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엄격한 요건 하에서 조세특례를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조세특례의 필요성을 인정하더라도 수령하는 보상금액의 수준, 타 감면제도와의 형평, 세율 등 세액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과의 형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수준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various systems which are related to public expropriation and are stipulated in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and focuses on political matte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of determining concrete content of special tax treat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various new actions for special tax treatment related to public expropriation has been stipulated in these two or three years, and range of application of actions related to special tax treatment tends to be widened for smooth execution of public service. In essence, the basic role of tax is to raise revenues of government, but special tax treatment has been widely used as social, economic and industrial or political instrument. However, there is a constitutional limit to use of tax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specific policy because abuse of special tax treatment may cause inequality among taxpayers, and degrade consciousness of tax payment. It was reflected in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stipulating administrative management procedure which should be taken before and after creating a certain special tax treatment for keeping the proper level of special tax treatment. In case of stipulation of new actions for special tax treatment or widening of range of application of actions related to special tax treatment, it should be implemented within the limit of essence of tax in spite of its necessity. This is also true in case of expropriation for public service. In case of expropriation of property, including land, due to implementation of plan for public service ,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special tax treatment from the following two viewpoints. First, we should examine whether to handle the expropriation of property due to implementation of plan for public service differently from the other actions for special tax treatment by considering that exercise of property rights of landowner is restricted and the landowner receives the compen sation money of which amount is not enough to compensate for the restriction on exercise of property rights. Second, we should examine whether special tax treatment on public expropriation is necessary for just compensation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if so, which level of special tax treatment is appropriate. In principle, just compensation should be paid in accordance with special law including the Act on Public Service stipulating directive compensation method. However, special tax treatment should be carried out under strict conditions only if there is no means without special tax treatment because direct compensation method doesn't satisfy the requirement of just compensation, or special tax treatment is specially needed to be carried out for smooth execution of public service. From this viewpoint, if special tax treatment needs to be carried out, amount of compensation received, equity between special tax treatment with other tax reduction system, factors influencing on assessment of tax including tax rate, equity between special tax treatment with other incomes such as earned income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when the level of special tax treatment is determined.

      • KCI등재

        조세에 관한 철학학문의 가능성과 그 연구방법에 관한 고찰

        김홍규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4

        Throughout history taxation has constantly changed as if it were living creatures. In other words, taxation is a creation of the law, and the revision of the tax law is made regularly every year and on demand by the intention of the legislative policy maker, which makes tax law changes a lot in shape. As a matter of tax principle, it is natural that taxes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should equally, predictably and rationally place as little burden on the people as possible. However, the reality does not reflect this categorical proposition. Taxation, which should aim for fairness as the best ideology, has recently turned into a policy tool under the grand purpose of raising the national budget. With efficiency being ahead of fairness and taxation often becoming a political tool, the limitation of the democratic system has been revealed along with taxation. Over time, there have been many revisions to the tax law due to its irrationality from court rulings or unconstitutionality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ment. But it is also true that tax scholars and practitioners criticize a lot over tax equality or righteous taxation or tax justice. Where is the science of questioning, asking, and finding the basis for how to make taxes? Where do we find the philosophical academic nature of tax science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existing tax science guaranteeing information and knowledge―which asks and criticizes the fundamental proposition on tax and gives rigor to this discussion process? Should tax science continue to remain in the blind spot of academics in future? Now, this is why the discussion of taxation should be born as a method of philosophical studies. Debates on tax-related legitimate issues, that is, valuable, logical and critical issues, can be subsumed into the field of philosophy studies. Fundamental discussions such as tax principles, objects and methods should be pursued in the areas of natural laws, moral laws, and human reason, as in philosophy studies. The methodological study for this can be found in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intrinsic intuition and in Heidegger’s question. This can provide a condition for calculating axioms for the rationality,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ax, along with what we may call ‘the philosophy of taxation’ or ‘philosophical tax discussion’. 조세역사가 보여 주듯이 조세는 살아 있는 생물같이 부단히 변화해 왔다. 자연사물이 아닌 법의 창조물로서 입법정책자의 의도에 따라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조세법 개정을 통해 그 형상을 달리해 온 것이다. 국민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조세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예측 가능하고, 합리적으로 조각화되어 국민들에게 가능한 한 최소의 부담을 지게 하는 것이 조세원칙에 정합하다. 그러나 이 정언적 명령에 현실이 따르지는 않는다. 국가예산 조달을 주된 목적으로 삼고, 공평성을 최고이념으로 지향하는 조세가 최근 정책적 도구로 변질되고 있다. 공평성보다는 효율성이 앞서고, 때로는 정치적 도구로 왜곡되기도 하면서, 조세와 함께 민주주의 제도상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때로는 헌법재판소의 위헌심판으로, 때로는 법원판결에서 조세현실의 불합리성이 밝혀지면서 조세법은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지만, 아직도 관련 학자와 실무자들은 조세평등 또는 바른 조세 내지 조세정의를 둘러싸고 많은 비판을 한다. 조세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 것인지, 이를 따지고 물으며 근거를 찾는 학문은 어디에 있는가? 앎과 지식을 담보하는 기존 조세학의 한계를 넘어, 조세에 대한 근본적 명제를 묻고 비판하고, 또 이러한 논의 과정에 엄밀성을 부여하는 조세의 철학적 학문성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조세학은 앞으로도 계속 학문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어야 할까. 이제 조세에 대한 논의가 철학학문의 방법으로써 태어나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조세 관련 당위적인 문제, 가치적인, 논리적인, 비판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는 철학학문의 영역으로 포섭될 수 있다. 조세원칙과 대상과 방법 등 근본적 숙고는 자연법칙, 도덕법칙 등의 근본적 논의가 인간이성과 철학학문에서 다루어진다. 이를 위한 방법론적 연구는 본질직관의 현상학적 방법과 하이데거적 물음 속에서, 이성사유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가능해지는 ‘조세적 철학하기’, 혹은 ‘철학적 조세논의’와 함께 조세의 합리성, 공평성, 객관성을 위한 공준이나 공리들을 산출할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

      • 실질과세원칙의 적용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대법원 2012.1.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신용주 한국조세법학회 2018 조세논총 Vol.3 No.2

        실질과세의 원칙은 조세법률주의에 의하여 의회를 통과한 조세법이 규정한 내용에 의하여 조세를 부과할 때에 과세대상이 되는 소득 · 수익 · 재산행위 또는 거래의 귀속이 사실상 귀속 되는 자가 따로 있을 때에는 사실상 귀속되는 자를 납세의무자로 하여 세법을 적용하는 귀속자에 대한 실질과세의 내용과 부과의 대상이 되는 소득 · 수익· 재산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이나 형식에 관계없이 그 실질에 따라 과세한다는 과세대상의 실질적 과세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실질과세의 원칙은 조세법률이 규정하고 있는 부과요건을 충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래의 명칭이나 형식을 달리함으로써 과세되지 않는 불공평을 제거하여 과세대상으로 파악하여 과세하는 적극적인 역할과 조세법이 규정하고 있는 과세요건의 내용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세하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소극적인 역할이 있는 바 실질과세의 원칙을 해석적용 함에 있어서 적극적인 면에 치중하면 그 과세대상 범위를 확대하여 조세법률주의에 의하여 법적 안정성과 예칙가능성을 보장하려는 기능을 전혀 무시하는 이른 바 조세법률주의의 형해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법원 2012.1.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은 모 회사인 (甲)이 100% 출자한 자회사인 (乙) 및 (丙)이 투자한 손자회사인(丁) (戊)회사의 주식을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아니하고 (乙)과 (丙)이 법인격이 부인되는 법인이 아님에도 불과하고 모회사인 甲이 자회사인 (乙), (丙)을 통하여 손자회사인 (丁) 및 (戊)의 경제적 효과를 누린다 하여 모회사인 (甲)에게 (丁), (戊) 회사의 부동산을 간주 취득한 것으로 보아 간주취득세를 부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판결은 조세법률주의와 실질과세원칙이 상호보완적이고 불가분적인 관계에 있다하여 실질과세의 원칙에 대하여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법률에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세형평을 위하여 예칙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목적적이고 탄력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조세법률주의의 형해화를 막고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하는 입장에 있는 것이라고 변명하나 거꾸로 모 회사가 자회사에 100% 투자하였으나 자회사가 다시 투자한 손자회사의 주식은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모 법인을 과점주주로 보아 손자회사 소유 부동산을 과점주주가 취득한 것으로 보아 간주 취득세를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고 있어 조세법률주의를 전형적으로 형해화하는 판결로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조세법률주의는 형법에 있어서 죄형법정주의와 더불어 납세자의 기본권인 인권과 재산권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조세법에서 과세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를 해석적용 하는 것이고 의회를 통과한 조세법률의 실질적인 내용이 무엇이냐를 파악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조세법률에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조세평등을 위하여 과세할 수 없는 것처럼 조세법에서 과세요건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질이 동일하다고 보아 과세하여야 한다고 하는 것은 실질적 법치국가의 실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결국 조세법률주의하에서 실질과세의 원칙은 납세자의 재산권 보장을 위한 조세정의의 실 ...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s classified by the substantial tax of following taxable subjects: income, profit, or property that could be a subject when the tax is imposed by the tax law, which has passed the congres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or if there is a separate person who will be vested in income, profit, or property from a transaction will be selected as a taxpayer and must pay for related tax irrespective of the title or the form.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divides to either an aggressive role that would impose people who try to avoid tax by changing the title of transaction or the format, or a passive role that needs to solve the issue of taxing people who actually do not qualify under the tax requisition. If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focuses on an aggressive role, it may completely ignore the role of legal stability and not guarantee the possibilities of orders under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this may cause the problem that would lead to the titular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En banc judgment of the case number 2008 Do 8499 in January 19, 2012 from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Company A, a parent company, has reasonable responsibility to levy deemed acquisition tax, because although Company A doesn’t have any stock of Company B- a subsidiary company that Company A invested completely - and Company D and E, - affiliated company of Company C - Company A deemed property acquisition of Company D and E, stating that Company D and E has made economical effect through Company B and C even though Company B and C are not qualified as an incorporation company. But the judgment authorized assertively towards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because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and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are in complementary and inseparable relationship. Thus, the judgment can be justified that it will prevent to become a titular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even there isn’t any related regulation in the law, and secure effectiveness with teleological and flexible interpretation for the equity in taxation, within the range of not defaming legal stability and possibility of order. On the other hand, the judgment stated that it’s reasonable to levy deemed acquisition tax to a parent company, which was counted as an oligopolistic stockholder in this case, because it deemed property acquisition of an affiliated company, even if a parent company invested 100% to a subsidiary company, but doesn't have any stock of affiliated company that a subsidiary company invested. This judgment causes a serious problem of turning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neffective.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n criminal law protects civil rights of taxpayer and property rights, along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it verifies what the tax law requires for tax requisition, and applies to substantive contents of the tax law that passed the congress, after understanding the contents. As tax can’t be imposed for tax equality even there isn’t any regulation in tax law, it is unacceptable to impose the tax because substances count as same and even the tax law doesn’t regulate as tax requisition; this inhibits realization of law-abiding country. Thus,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under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s a realization of tax justice to guarantee property rights of taxpayer.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s the general principle of foundation of law; it’s obviously inhered value concept in the law itself. Formally, the principle is regarded as appropriate as an effective method to work as passive role, in order to solve the contrast between the justice and application analysis of the law. Therefore, this judgment from the supreme court shows five problems. First, it’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is case and applying economical substance from economical obser...

      • KCI등재후보

        내재적 조세를 이용한 벤처기업 조세지원정책의 효과분석

        이형수(Lee Hyung-Soo),김갑순(Kim Kap-Soon) 한국조세연구포럼 2010 조세연구 Vol.10 No.3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창업벤처기업은 조세특례제한법 등에 의해 많은 조세혜택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내재적 존재 가설과 연구모형을 이용하여 실제로 이들 기업이 코스닥에 상장된 다른 기업군에 비하여 보다 많은 조세혜택을 받고 있는가 하는 것과 그렇다면 그러한 조세혜택을 받고 있는 창업벤처기업의 세전순이익이 내재적 조세의 존재로 인하여 여타 기업에 비하여 더 적은가 하는 것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실증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벤처기업의 조세혜택이 코스닥 상장 일반벤처에 비하여 1999~2001년까지는 별로 유의하게 혜택이 크지 않았으나 2002년에 들어와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창업벤처 이전의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에 대한 종전의 조세혜택의 시한이 2001년경에 대부분 끝난 결과로 추측된다. 2002년의 경우 세전이익률을 비교해 본바 조세혜택비율과 대체적으로 음(-)의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내재적 조세가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별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둘째, 창업벤처기업의 조세혜택이 코스닥 상장 비벤처중소기업에 비하여 2002년의 경우는 물론 2001~2002 및 1999~2002년간 분석에 있어서도 유의하게 큰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조세의 발생은 자기자본세전이익률에 있어서만 나타났고 유의성은 미미하였다. 이것은 수도권 외 창업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창업벤처기업과 똑같은 조세혜택을 주는 부분이 일부 중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창업벤처기업이 비벤처?비중소기업에 비하여 2002년에 조세혜택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조세의 발생 여부는 대체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Wilkie(1992)의 순자산 대비 조세혜택비율은 우리나라 법인세등명세서에 근거한 각종 조세혜택 비율들과는 일관성이 없어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Wilkie(1992)의 TSE로 측정된 조세혜택이 실질적인 조세혜택의 합(소득공제 ?? 세율 + 세액공제 + 세액감면)이 아니라 법인세차감전 순이익을 과세표준으로 가정하고 이에 최고세율을 곱하여 산출한 것에서 당기 법인세 부담액이라고 추정되는 손익 계산서상의 법인세비용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간접 계산한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를 종합해 보면 창업벤처기업이 여타 기업에 비하여 조세혜택을 더 많이 받고는 있으나 내재적 조세의 존재 여부가 대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따라서 조세혜택을 주어 신규 벤처기업의 창업을 유도하고자 하는 조세 정책 목표의 달성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벤처기업으로 확인받기 위한 자격요건의 어려움이 시장진입의 장벽을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에 대한 정책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government aims to promote the growth and efficiency of the national economy. It wants to induce individual and corporate companies’ investment, production, and financing decisions towards an equilibrium that it deems to yield great social welfare. For that purpose, the government grants tax preferences to the companies investing in the business area designated by itself. Until the implicit tax concept was established, the tax preferences, which mean the reduction of tax burden, had been considered to be retained within the company.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effective tax management under the micro-economic approach introduced by Scholes and Wolfson(1992), as a market structure approaches to a perfect competition, the excessive profit caused by the tax preferences disappears and, accordingly, the pre-tax return decreases. From an enterprise's point of view the decrease of the pre-tax return or the implicit tax is not paid in cash but is still a tax burden essentially not different from the explicit tax.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ax preferences lead to a decline in pretax returns of venture companies traded on the KOSDAQ.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implicit taxes was examined for newly established venture companies separately from other companies. This study differs from former studies in that, while former studies sampled and analyzed companies enlisted with the Security Exchange Commission, this study compares newly established venture companies traded on the KOSDAQ with existing venture companies and nonventure companies traded on the same KOSDAQ. Once a company is registered as a newly established venture company, it enjoys tax benefits over other companies in terms of corporate income tax, property tax and so on. To be registered, the company must be a new technology enterprise through R & D investments. This study perform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ross-firm and through time relations between pre-tax return and tax preferences for 1303 firms(KOSDAQ;754 firms, SEC;549 firms as of 2002) during the 1999~2002 period.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implicit tax hypothesis, an inverse relation between pre-tax return and tax preferences. However, the inverse relation is weaker than predicted and is not so much significant as expected. This result suggests barriers (market frictions and restrictions) to entry into the new venture market. It enhances the possibility that the tax benefits to the newly established venture company are not converted into an implicit tax and, instead, are retained within the venture company itsel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s tax policy to induce new investors into the venture business.

      • KCI등재

        조세회피와 기업가치

        이광숙,기은선,윤성수 한국세무학회 2017 세무와 회계저널 Vol.18 No.3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stock market investors consider the tax and non-tax costs of tax avoidance strategies in the valuation of after-tax operating cash flow. We also examine whether investors take into account potential agency costs in their assessment of tax avoidance strategies. Analysis using 3,124 firm-year data of the firms listed on Korea Stock Exchange for the years 2002-2010 reveals that capital market participants discount firms with the cash savings from tax avoidance. We posit that an increase in tax audit possibility, uncertain sustainability of tax savings from tax avoidance, and non-tax costs of tax avoidance activities contribute to such discounts. Second, we find that corporate governance does not influence these relations. In Korea, tax shelters are not allowed and taxable income is calculated based on accounting income. These institutional features constrain the use of tax avoidance for managerial opportunism, consequently resulting in restrictive associ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agency cost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investors’ assessment of cash savings due to tax avoidance by considering the links among valuation process, tax avoidance, and after-tax cash flows. Prior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firm value suggest that an increase in after-tax cash flows can increase firm value, but they do not examine the valuation of after-tax cash flows. This study fills the gap. 본 연구는 기업의 조세회피 성향이 그 기업의 세후영업현금흐름에 대한 자본시장 참가자의 평가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세회피에 대한 전통적 관점을 기본으로 하여 투자자들이 조세전략과 관련된 추가적인 조세비용(또는 비조세비용)을 고려하여 세후영업현금흐름을 차별적으로 평가하는지, 그리고 투자자들이 조세전략을 평가함에 있어 잠재적 대리인 비용을 고려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주식시장 참여자들은 조세회피기업의 세후영업현금흐름을 평가절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기업지배구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기업의 투자자들이 조세회피의 불확실한 지속성 및 기대세무조사 비용 등 잠재적인 조세및 비조세비용을 고려하여 조세회피 기업의 세후영업현금흐름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해석된다. 또한 조세회피행위를 대리인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보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국내기업의 경우 조세피난처 창설이 불가능하고 회계이익을 기반으로 세무이익을 산출하는 조세환경으로 인하여 경영자의 사적이익 추구수단으로 조세절감이 활용될 가능성이 낮은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투자자들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을 조세회피 수행여부와 세후영업현금흐름을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투자자들이 조세회피 및 조세회피로 인해 증가된 현금흐름을 기업가치에 어떻게 반영하는지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조세회피와 기업가치에 대한 선행연구가 세후현금흐름의 증가로 인한 기업가치 상승을 보고하였으나 조세회피에 의한 세후현금흐름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하지 않고 있다는 제한점을 보완한다.

      • KCI등재

        세무조사의 민영화 또는 민간위탁에 대한 법적 검토

        김웅희 한국세법학회 2010 조세법연구 Vol.16 No.3

        우리 헌법은 국민주권주의와 기본권 보장의 핵심적인 원칙에 따라 조세의 부과징수에는 반드시 법률적 근거를 갖도록 하고 있으며, 국민에 대한 조세부담은 형평 내지 평등의 원칙에 따라 공평하게 배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조세법의 이상’은 국가의 조세 수입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조세구조가 경제자원의 최적배분에 합당하고 징세비는 적게 소요되며 납세자에게 최대한의 편의가 보장되어 국민의 조세정의 내지 조세감정에 부합되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국가는 “국가의 과세권이 국민의 대표기관인 의회의 조세동의권에 근거한다.” 는 민주적 정당성에 안주하여서는 아니 된다. 국가는 먼저 국민과 수직적(권위주의적) 관계로 형성되어 있는 조세행정을 수평적(협력적) 관계로 전환하여 국민이 스스로 시민 사회 내에서 자율적으로 납세의무를 다할 수 있는 조세제도를 구축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대상은 세무조사제도가 된다. 본 논문은 세무조사제도가 가지는 본질적 문제점이 수직적(권위주의적) 조세행정관계라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수평적 관계로 전환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세무조사에 대한 ‘민간위탁’ 또는 ‘민영화’에 따른 법적 제 문제를 검토하였다. 더불어 세무조사는 그 법적 성격에 따라 사인(私人)에게 공무를 수탁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점에 따라 기존의 세무조사제도를 유지하면서 납세자가 자율적으로 납세 의무 이행의 성실성을 조세전문가에게 검증받도록 함으로써 세무간섭을 배제받도록 하는 민영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The Constitution enshrining the principles of people's sovereignty and protecting fundamental rights from interference of state power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legal basis for taxation and ensures that under the principles tax burdens are equally and fairly assigned to each taxpayer. Further, the prospects for attaining the ideal goal of tax law lies in setting up effective management structures where sufficient revenues can be raised while optimal allocation of economic resources can be achieved with minimum collecting costs as well as maximum taxpayer convenience in such a way to realize taxation justice and promote positive public attitudes to taxation. Along the same line, the state power should not only strictly follow the democratic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congressional representation, Steuerbewilligungsrecht, but also establish a more democratic tax administration regime that ensures that citizens fulfill their obligations voluntarily, independent of the tax administration's performance in such a way to change the current tax administration system based on a rather vertical, or authoritative, relationship between taxpayers and the government into one based on a more horizontal, cooperative relationship. In this context, the controversial tax investigation procedures currently practiced need to be addressed as the first priority through statutory chang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possible legal issues in relation to the tax investigation procedures currently practiced when the public service is replaced by contracting-out or privatization, after taking notice of the reality that the deeper issue lies in the way the tax administration is often being operated in a vertical, or authoritative, manner. Along with this, given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approach of handing over a part of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to the private competition in view of the legal status involved, this study sets forth an eclectic proposal for a form of privatization asserting that allowing the mission of safeguarding the diligent fulfillment of taxpayer obligations to be performed by tax experts outside the public sector, while leaving intact the current framework of tax investigation, thus limiting opportunities for unnecessary interference in tax matters would be a safe and efficient solution.

      • KCI등재

        미국의 조세우발사항에 대한 세무보고제도와 도입방안

        김상기 한국법제연구원 2012 법제연구 Vol.- No.43

        The US IRS adopted new approach that would dramatically improve transparency in corporate tax return a few years ago. When a corporation took uncertain tax positions in the tax return that will not be sustained upon examination by a taxing authority, it is required to disclose uncertain tax positions on Schedule UTP attached to the tax return. As the corporate tax system of Korea is self-assessment tax system fundamentally similar to the US, it is clear that the policy to improve transparency in corporate tax return is very important. This paper summarized the US disclosure of uncertain tax positions and searched introduction approach in the Korea. This paper suggested detail introduction approach as follows. First. like the US, only the large corporation should be required to report uncertain tax positions. Second, like the US, when the corporation has taken a tax position on its tax return, the one condition that the corporation should report uncertain tax positions is satisfied. Third, unlike the US the Korea does not adopt the meditation, so another condition of the corporation reporting about uncertain tax positions should be the cases that the probability of winning a suit is less than 50%, and the probability of winning a suit is more than 50% but it is expected to go litigation. Forth, like the US Schedule UTP, the tax report about uncertain tax positions should contain corporate tax law sections relating to the tax position, classification of tax position between permanent difference and temporary difference, concise descriptions about uncertain tax positions. 미국의 세무당국은 최근에 기업의 법인세 세무신고의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제고시킬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기업이 법인세 과세표준과 세액을 산정함에 있어 추후에 세무당국에 의해 이의가 제기될 수 있는 조세우발사항을 채택한 경우 그에 대한 내용을 Schedule UTP라는 서식에 기재하여 세무신고서와 함께 제출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의 법인세 과세체계는 미국의 법인세 과세체계와 근본적으로 유사한 신고납세체계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납세자인 기업의 신고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인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조세우발사항에 대한 세무보고 제도를 소개하고 우리나라에 도입하는 경우 그 방안과 고려사항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세우발사항에 대한 세무보고의 도입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적용 대상의 경우 미국의 경우와 같이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둘째, 기업들이 조세우발사항에 대한 세무보고를 하여야 하는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로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기업이 세무신고서의 내용인 과세표준과 세액의 계산에 있어 조세우발사항을 채택한 경우로 한다. 셋째, 기업들이 조세우발사항에 대한 세무보고를 하여야 하는 또 다른 조건으로는 미국과 달리 조정제도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조세우발사항별 세금혜택이 소송에서 법원에 의하여 인정될 확률이 50% 이하인 경우와 50%를 초과하는 조세우발사항과 관련하여 조세소송이 예상되는 경우로 한다. 넷째, 조세우발사항에 대한 세무보고에 포함시킬 내용은 미국의 Schedule UTP의 기재사항과 같이 해당 조세우발사항과 관련된 법인세법 등 관련 조항, 조세우발사항이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의 영구적 차이 또는 일시적 차이 중 어느 것을 발생시키는지에 대한 구분, 조세우발사항에 대한 간결한 설명 등으로 한다.

      • KCI등재

        중국의 2000년대 이래 조세개혁에 관한 정치학적 연구

        최은경 중국학연구회 2015 중국학연구 Vol.- No.74

        The current tax system in China was built in the 1994 tax reforms. Since 2000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conducted gradual tax reforms. What are the reasons that the CCP launched tax reforms since 2000s? Which goals did the CCP set up for tax reforms since 2000s? How successful was the CCP in achieving these goals? These are the questions that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Since China adopted the tax assignment system in 1994, tax revenues as a percentage of GDP increased rapidly. But there remained some limitations in tax structure. First, the proportion of tax revenues from indirect taxes out of total tax revenues was very high, while that from direct taxes was very low. Therefore, redistributive function of taxation in China was severely constrained. Second, when China adopted the value-added tax (VAT) in 1994, it did not adopt an ideal type of modern VAT. Third, separate corporate income taxes were applied to domestic and foreign firms. The CCP tried to address these problems since the 2000s. While China has achieved the goal of adopting the modern VAT and integrating the corporate income taxes, it failed to achieve the goal of enhancing redistributive function of taxation. For this, the CCP has to increase tax burden of middle class. The reason that the CCP postpones tax reforms that aim to increase redistributive function of taxation is probably because the CCP needs to cater to the interests of middle class for regime survival. 현재 중국의 조세제도는 1994년에 실시된 포괄적인 조세개혁인 분세제에 기반하고 있다. 이 때 마련된 조세제도의 전반적인 틀 속에서 중국공산당은 2000년대 이래 점진적인 조세개혁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공당이 2000년대 이래로 조세개혁을 시도한 이유가 무엇이며, 어떤 조세개혁 목표를 세웠고, 이 같은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를 고찰한다. 1994년 분세제를 도입한 이후에 GDP 대비 조세수입은 크게 증가했지만, 조세구조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조세수입에서 간접세의 비중이 너무 높고 직접세의 비중이 낮아서 조세가 재분배 기능을 거의 하지 못했다. 둘째, 1994년 조세개혁 때 부가가치세인 증치세를 도입했는데 이 때 현대식 부가가치세의 장점을 온전히 갖고 있지 못한 형태로 도입되었다. 셋째, 내자기업과 외자기업 간에 상이한 기업소득세가 적용되어 조세형평성에서 문제가 있었다. 중공당은 2000년대에 조세개혁을 통해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는데, 현대식 부가가치세로의 전환, 기업소득세의 통합이라는 목표는 이루었지만, 조세의 재분배 기능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표는 이루지 못했다. 조세의 재분배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산층과 부유층에 대한 증세가 필요한데, 중공당이 이들에게 증세하는 개혁을 미루는 것은 이들로부터 정치적 지지를 계속해서 확보해야 할 필요성 때문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