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규모기업집단의 소득이전과 조세부담

        박종국(Jong-Kook Park),김혁(Hyuk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 중에서 대규모기업집단소속기업들이 집단전체의 조세부담완화를 위해 조세부담이 높은 계열사에서 낮은 계열사로 소득이전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특성상 1인소유경영자의 지배체제 하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소유경영자는 기업경영의 의사결정에 있어 개별기업의 이익 보다는 자신의 이익이나 집단전체의 이익 내지는 집단의 확장을 목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세부담 측면에서도 차별적 세금주체들 간의 서로 다른 조세부담을 그들의 동맹관계를 이용하여 평준화시키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조세부담에 따른 소득이전현상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득이전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Collins et al.(1998)의 다국적 기업모형과 Gramlich et al.(2004)의 게이레츠모형을 수정보완 한 수익률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소득이전유인이 있는 집단과 수익률간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 소득이전가설의 검증결과, 조세부담이 높더라도 이를 다른 경제주체를 통해 완화 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독립된 기업에 비해 대규모기업집단들은 조세부담이 높은 계열사에서 조세부담이 낮은 계열사로 소득이전을 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또한 이러한 조세부담에 따른 소득이전에는 소유경영자의 지분율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아울러 밝혔다. 즉, 대규모기업집단 중에서도 소유경영자의 통제권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소득이전현상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각기 독립된 세금주체로서의 기업들은 조세전문가의 활용이나 유리한 법개정을 위한 영향력 행사 등을 통해 조세부담을 완화하고 있음을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확인한 바 있다. 여기서 나아가 본 연구는 대규모기업집단들은 독립된 기업들의 조세부담완화를 위한 수단들 이외에도 계열사 간 소득이전을 통해서 집단전체의 조세부담을 완화하고 있음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대규모기업집단에 대한 경제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규제당국이나 정책결정자의 의사결정에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massive income of conglomerates which are listed in the Korean stock market are shifting from the high income subsidiary to the low income subsidiary in order to alleviate tax burden. Korean companies make decisions under the circumstance of a one owner domination structure, reflecting their unique management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y have a tendency to make decisions in accordance with not their own interest but the interest of owners and conglomerates or expansion of the collective group. Therefore they may equalize tax burden of the distinctive tax subjects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alliance. In order to verify the phenomena of income transfer concerning the tax burden, (a modified version of the) return yield model, which originates from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model of Collins et al.(1998) and the Gayrets model of Gramlich et al.(2004), is used.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a hypothesis of income shi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shifting-motivated company group and annual return shows the followings. It is positively verified that conglomerates are more likely to shift income from high tax burden companies to low tax burden companies than the independent company, which has no means to transfer income. Moreover it is confirmed that owner"s holdings affects the shift of income caused by tax burden. That is, the groups in which the owner"s power of domination is greater have shown a remarkable phenomena of income shifting compared to those in which the owner"s power of domination is weak. It is confirmed by precedent studies that companies, as respectively independent tax subjects, alleviate tax burden through use of tax experts or exercise influence for revision of corporate friendly laws. This study additionally verified that conglomerates alleviate collective tax burden through income transfer among their subsidiaries in addition to the measures for tax evasion used by independent compan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very useful for decision making of policy makers and regulatory authorities concerning the current activization of economic argument over conglomerates.

      • KCI등재

        대규모기업집단 특성에 따른 조세부담에 관한 연구 -총수 지분율과 상장 여부를 중심으로-

        정남철,이영한 한국세무학회 2015 세무학 연구 Vol.32 No.3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tax burden between large business groups according to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d general groups using financial data of companies required for statutory audit between 2009 and 2013.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tax burden in large business groups by characteristics. Especially, based on preceding research, we focused on the existence of the head of the company, whether public groups or not, and listed or not.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ax burden between companies of large business groups and general groups. Also, appointed large business groups had no effect on their tax burden. This means that the designation of large business groups is just an administrative and in artificial manner. In large business groups, tax burden of business groups with the head of the company is higher than that of business groups without the head of the company, but leader share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tax burden of companies. In other words, the companies with the head of the company seemed to bear tax as political expense and be conscious of external information users like investors. But, as their the head of the company shares grow larger, they seemed to seek profit for themselves internally through a tax minimization strategy. Also, the difference of tax burden between public groups and civil groups was not found, and whether public groups or not, i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tax burden of companies in large business groups. On the other hand, whether listed or not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ax burden of companies in large business groups. This means that groups with the head of the company pursued a complex tax strategy where they selected listed companie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positive external information regarding high tax burden and chose non-listed companies easy to handle for reducing the tax burden internally. This study figured out the different tax burden b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large business groups, in order to find out the tax planning of each group. Hereby, we think this study can guide significant implication to regulation authorities such as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Fair Trade Commission for effective achievement of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disclosing the status that groups with the head of the company pursue a complex tax strategy where they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effect through high tax burden of listed companies and select non listed companies easy to handle for reducing the tax burden internally.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3년의 외부감사 대상 기업 표본에 근거하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대규모기업집단 지정 계열회사의 조세부담이 비지정 일반기업의 조세부담과 상이한지 검토하였다. 또한, 대규모기업집단 지정 계열회사를 그 특성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에 따른 조세부담의 상이성이 존재하는지 검토하였다. 특히,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규모기업집단의 각종 특성 중총수의 존재 여부, 상장 여부에 따라 조세부담이 상이한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규모기업집단과비지정 일반집단 소속회사의 조세부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여부는 소속회사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대규모기업집단 지정이 단순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정책목적 달성을 위한 인위적, 행정적 수단에 불과하여 조세부담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음을 의미한다. 대규모기업집단내에서, 총수 있는 대규모기업집단 계열회사의 조세부담은 총수 없는 대규모기업집단 계열회사의 조세부담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각 집단의 총수 지분율은 소속 계열회사의 조세부담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즉, 총수 있는 집단의 경우 정부, 외부 투자자 등 정보이용자에대한 외적인 정보 효과를 의식하여 조세를 정치적 비용 등의 명목으로 부담하고 있으나, 내적으로는총수 지분율이 높은 집단일수록 총수의 사적 이익 추구를 위한 조세부담 감소 전략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기업집단내 상장 여부는 그 소속회사의 조세부담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총수 있는 집단이 조세부담 증가를 통한 외부 정보의 제공 수단으로 상장회사를 선택하고, 내적으로는 외부 간섭이 적고 통제가 용이한 비상장회사를 이용하여 조세부담 감소를 추구하는 복합적인세무전략을 추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대규모기업집단의 상이한 특성에 따른 그 소속 계열회사의 상이한 조세부담을 구분 파악하여, 각 대규모기업집단이 어떠한 조세전략을 추구하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규모기업집단의 특성과 행태를 이해하고, 국세청이나 공정거래위원회 등 규제당국에 실효성 있는 정책 목적 달성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총수 있는 집단이 상장회사의조세부담을 통한 외부 정보 효과 제공 동기와는 별개로 내적으로는 통제가 용이한 비상장회사를 통한 조세부담 감소를 추구하는 복합적인 세무전략을 수행함을 밝힌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조세부담과 기업집단

        안숙찬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subsidiaries such as the number, location,and intra-transaction volume on the tax burden of consolidated entities. I use consolidated financial data of 1,318 firms-years collected from Korean stock market between 2005-2009. In this study, I find that tax burden of consolidated entity goes down significantly as the number of total subsidiaries, foreign subsidiaries, and subsidiaries in the low-tax countries increases. But the number of domestic subsidiaries or the number of subsidiaries in the high-tax countries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ms' tax burden. In addition, firms' tax burden decreases as the location of subsidiaries are diversified. As total intra-transaction volume among consolidated entity and the foreign intra-transaction volume increase, the tax burden alleviates significantly. However, the domestic intra-transaction volume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tax burden of consolidated entities. Also, the volume of intra-transaction with subsidiaries in the low-tax countries lightens firms' tax burden significantly, but the volume of intra-transaction with subsidiaries in the high-tax countries does not lower it.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of the number, the diversity of location, and the intratransaction volume,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diversity of location and the intra-transaction volum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nvestigates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subsidiaries on the tax burden of consolidated entities may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tax avoidance activities of consolidated entities through international operations. 본 연구는 지배회사와 종속회사들로 구성된 연결실체의 조세부담이 종속회사의 수나 소재지, 내부거래 규모 등 연결실체를 구성하는 종속회사와 관련된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연결재무제표 공시기업 1,318 기업-연의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연결재무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 전체 종속회사의 수가 증가할수록, 해외에 소재한 종속회사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저 세율 국가에 소재한 종속회사의 수가 증가할수록 연결실체의 조세부담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국내 소재 종속회사의 수나 고 세율 국가에 소재하는 종속회사의 수는 기업집단의 조세부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종속회사가 소재한 국가 또는 지역이 다양할수록 기업의 조세부담은 유의하게 낮았다. 기업집단의 내부거래가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내부거래 및 해외 내부거래는 그 규모가 클수록 연결실체의 조세부담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국내 내부거래는 기업집단의 조세부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해외 지역을 저 세율 국가와 고 세율 국가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저 세율 국가에 소재한 종속회사와의 내부거래는 그 규모가 증가할수록 연결실체의 조세부담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 세율 국가에 소재한 종속회사와의 내부거래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또한 종속회사의 수 및 소재지와 내부거래 규모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속 회사 소재지가 다양하고 내부거래 규모가 클수록 연결실체의 조세부담은 낮았다. 본 연구는 연결재무제표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외에 소재하는 종속회사 관련 특성이 연결실체의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엽의 국제적인 경영활동을 통한 조세회피 행위를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조세혜택 또는 조세부담, 재량적 발생액 및 발생액의 질

        선은정 ( Eun Jung Sun ),손언승 ( Un Seung Son ),백원선 ( Wonsun Paek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5

        본 연구는 조세혜택 또는 조세부담이 존재할 때 경영자의 회계선택이 이익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조세혜택은 주로 세액감면 및 세액공제로 발생하고 조세부담은 대부분 영구적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영구적 차이 및 세액공제 또는 세액감면은 그 비중이나 규모가 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구적차이 및 세액공제 또는 세액감면 등에 따른 조세혜택 또는 조세부담이 존재할 때 경영자의 회계선택의 결과로 이익품질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조세혜택은 조세정책에 따른 세액감면 또는 세액공제로 인하여 발생하고 조세부담은 손금불산입이나 익금산입에 의해 발생한다. 조세혜택은 법인세 비용을 감소시키고 조세부담은 법인세 비용을 증가시켜 보고이익에 영향을 미친다. 조세혜택으로 보고이익에 여유를 갖게되는 경영자는 당기 이익의 일부를 미래로 이연할 이익하향조정유인을 갖는 반면에 조세부담으로 보고이익에 압박을 받게 되는 경영자는 미래 이익의 일부를 당기로 차용할 이익상향조정유인을 갖는다. 동시에 조세혜택 또는 조세부담으로 인한 이익조정은 이익지속성에차별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익조정으로 운전자본발생액과 영업현금흐름간의 대응이 왜곡됨에 따라 발생액의 질은 저하될 것이다. 2001년부터 2010년 사이에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한국거래소상장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Wilkie(1992)와 일관되게 한계세율과 유효세율의 차이를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곱한 금액으로 측정한 조세혜택(조세부담)이 커질수록, 경영자는 이익을 하향(상향)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혜택으로 인한 이익하향조정으로 이익지속성이 높아지고, 조세부담에 따른 이익상향조정으로 이익지속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조세혜택집단이나 조세부담집단 모두에서 발생액의 질은 낮아졌다. 이러한 발생액의 질 저하는 특히 시설투자로 인한 조세혜택이 큰 집단에서 더 두드러졌다. 본 연구는 조세당국의 조세정책과 같은 기업 외부적인 요인이 존재할 때 경영자의 회계선택의 결과로 이익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며, 세액감면, 세액공제 및 영구적 차이로 인한 조세혜택 또는 조세부담이 존재할 때 경영자의 회계선택이 회계정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세무정책을 수립하는 과세당국 뿐만 아니라 기업의 회계정보이용자들에게 기존의 회계이익-세무이익의 차이와 이익품질간 관계를 폭넓은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ax subsidy on managerial accounting choices that are incorporated in discretionary accruals and/or accruals quality.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the relation between temporary differences and earnings quality. Howev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permanent differences or tax exemption and credit on earnings quality, which is not extensively explored in the literature. Temporary differences result from timing differences in recognizing revenues and expenses between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and they are reversed in the future. However, permanent differences or tax exemption and credit have nothing to do with timing differences and they do not reverse in the future. Focusing on permanent differences or tax exemption and credit, we characterize the book-tax differences other than temporary differences as (i) tax subsidy related to tax exemption and credit or (ii) tax burden (or negative tax subsidy) related to permanent differences. Whether a firm faces tax subsidy or tax burden will affect differently managerial decisions and earnings quality. Thus,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the tax subsidy or tax burden on earnings quality enables u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ax policies on managerial decisions on earnings. Managers are allowed to exercise more discretion in determining book income than taxable income. When a manager faces large tax subsidy related to tax exemption and credit, he or she has more slack in reporting earnings to have incentive for managing earnings downward by deferring current-period earnings to future-period. However, when a manager experiences large tax burden related to permanent differences, he or she has more pressure in reporting earnings to have incentive for managing earnings upward by borrowing future-period earnings. Such a downward or upward earnings management is likely to affect earnings persistence and distort the mapping between working capital accruals and operating cash flows so that accruals quality is likely to be deteriorated. Thus, we hypothesize (i) that firms with larger tax subsidy (tax burden) will manage earnings downward (upward) than those with smaller tax subsidy (tax burden), (ii) that firms with larger tax subsidy (tax burden) will (not) report more persistent earnings than those with smaller tax subsidy (tax burden), and (iii) that firms with larger tax subsidy or tax burden will have lower accruals quality than those with smaller tax subsidy or tax burden. We measure tax subsidy as the residual of the cross-sectional regression model where book income multiplied by the difference between marginal tax rates and effective tax rates is regressed on total accruals, following Wilkie (1992) and Desai and Dharmapala (2006). When the residual is positive (negative), a firm is categorized as the tax subsidy (burden) group. Also, we measure (i) managerial discretion as the residual estimated from the cross-sectional Kothari et al.’s (2005) model and (ii) accruals quality as the absolute value of the residual estimated from the cross-sectional Dechow and Dichev’s (2002) model as modified by McNichols (2002). The sample consists of 4,003 non-banking firm-years that are traded over Korea Exchange for 2001-2010 with non-missing data collected from KIS-Value database. Empirical findings generally support our expectation. We first find that the tax subsidy (tax burden) is negative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scretionary accruals, suggesting that firms with the tax subsidy (tax burden) manage earnings downward (upward). Related to this, we find that the tax subsidy (tax burden) strengthens (weakens) earnings persistence because of downward (upward) earnings management. Also, we find that both the tax subsidy and tax burden deteriorate accruals quality because the mapping between working capital accruals and operating cash flows are distorted by the tax subsidy and tax burden. Such a deterioration of accruals quality is more prominent for firms with high intensity of capital expenditur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tax subsidy or tax burden on managerial decisions. In particular, the result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ax subsidy or tax burden has different effect on earnings quality. Also, in examining tax subsidy, tax authorities as well as information users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tax subsidy in managerial decisions.

      • KCI등재

        조선시대 각 도별 인구 및 전답과 조세부담액 분석

        오기수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학 연구 Vol.27 No.3

        정도전이 쓴 「조선경국전」 부전(賦典) 총서(總序)조에는 「주군(州郡)·판적(版籍:호적(戶籍))이란부의 소출이요, 경리(經理)란 부의 통제이며, 농상(農桑)이란 부의 근본이요」란 규정이 있다. 여기서부(賦)란 부세(賦稅)를 의미하며, 부세는 세금을 매겨서 부과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주군(州郡)조․판적(版籍)조 및 경리(經理)조와 농상(農桑)조에 각각 그 의미와 중요성을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따른 조세제도는 조선시대 500년 동안 그 골격을 유지하였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500년 동안 국가재정과 조세제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인구와 전답을도(道)별로 살펴보고, 도별 조세부담액 등을 살펴봄으로서 조세부담의 지역별 특징과 인구와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1769년 한해의 징수세액을 도(道)별로 쌀로 환산한 결과를 분석하면 총징수세액의 28%를 전라도로부터 징수하였으며, 경상도의 경우 25%를 징수하여 타 도보다 절대적으로 많은 조세를 징수하였다. 강원도에서는 단 1%, 함경도에서는 2%를 징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朝廷)에 상납한 세액은전라도가 무려 41%를 부담하여 거의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조세를 상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상도는 오히려 충청도나 황해도보다 낮은 15%를 상납하였다. 상납하는 경우에는 징수세액에 따른운송비와 하역비 및 창고비를 납세자인 백성이 부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라도의 경우 실질적인조세부담률은 더 높을 수 밖에 없었다. 호당인구와 1인당 조세부담액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산악지역으로 논밭이 적은 평안도 및 함경도와 강원도의 1인당 조세부담액은 낮고, 평야지대가 많은 전라도와 황해도의 경우에는 1인당 조세부담액이 높게 나타났다. 조세부담이 적은 함경도나 평안도 같은 산간지역의 호당인구가 많으며, 조세부담이 큰 전라도나 경상도는 호당인구가 적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호당인구와 호당조세부담액 분석한 결과 역시 호당 조세부담이 적은 함경도나 평안도 같은 산간지역은 호당인구가 많으며, 조세부담이 큰 전라도와 경상도는 호당인구가 타 도보다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provincial population and farmland that are important elements in the national finance and tax system for 600 years in the Joseon Dynasty and tries to analyze the regional weight of tax burden in relation to the population. This study has tried to verify the tax burden per capita and per househol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Looking at the result that has converted the annual amount of tax burden in 1769 into the unit of rice, 28% of the total tax was collected in Jeollado and 25% in Gyeongsangdo, collecting much more taxes in these provinces than others. The data shows only 1% of the tax was collected in Gangwondo and 2% in the Hamgyeongdo. As for the tax amount paid to the government, Jeollado paid 41% of the tax that is a little less than half of the whole tax amount and Gyeongsangdo paid only 15% of the amount that is less than those of Chungcheongdo and Hwanghaedo. Since the transportation cost, loading cost and warehousing expenses for the tax amount had to be assumed by the taxpayers, the actual tax burden had to be higher.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has analyzed the population per household and tax burden per capital, the tax burden per capital was relatively low in Pyeongando, Hamgyeongdo and Gangwondo where the farmland is relatively less due to the mountainous area but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provinces such as Jeollado and Hwanghaedo with wide plains. The population per household of the mountainous area like Hamgyeongdo and Pyeongando where the tax burden is less tends to have more population per household and Jeollado and Gyeongsangdo larger in the tax burden tend to have less population per household. From the result that has analyzed the population and tax burden per household, the population per household of the mountainous area like Hamgyeongdo and Pyeongando with less tax burden tends to have more population and Jeollado and Gyeongsangdo larger in the tax burden tend to have less population per household than other provinces. The number of people per household from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ends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ax burden. The provinces larger in tax burden have shown less population per household than those with less tax burden.

      • KCI등재

        복지확대와 추가 조세부담 결정요인

        신영효 한국조세연구포럼 2020 조세연구 Vol.20 No.3

        [Purpose]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Korea's welfare expansion and additional tax burden perceived by taxpay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reviewed in detail to seek ways to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of additional tax burdens when expanding welfare. [Methodology]Variables related to welfare level and tax burden are constructed from the financial panel data of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and analyzed using an ordered logit model. [Findings]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responding that welfare symptoms are also necessary as the welfare level needs to be expanded. The more negative responses to health status and the longer the expected lifespa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responding that the welfare expansion is necessary but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pay additional taxes. There wa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axpayer's welfare benefits and the additional tax burden. Respondents who valued the fairness of the government's use of taxes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tax reporting and payment were more likely to respond positively to the additional tax burden when expanding welfare. [Implications]As a way to alleviate the tax resistance against the additional tax burden when welfare is expanded, it is possible to review the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s fairness in tax enforcement and the efficient delivery of related policy information such as welfare polic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납세자가 인식하는 우리나라의 복지확대와 추가 조세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결과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복지확대 시 추가 조세부담에 대한 인식수준을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방법]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 자료에서 복지수준과 조세부담 관련 변수를 구성하고, 순서화된 로짓 모형(Ordered Logit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분석결과 복지수준 확대가 필요할수록 복지증세도 필요하다고 응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강상태에 대한 부정적 응답과 예상수명이 길수록 복지확대는 필요하나 추가 조세부담 의향은 없다고 답할 확률이 높았다. 납세자의 복지에 대한 혜택여부와 추가 조세부담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세금사용의 공정성, 세금 신고·납부 관련 정보 제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응답자일수록 복지확대 시 추가 조세부담에 긍정적으로 응답할 확률이 높았다.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이거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적을수록 복지확대와 추가 조세부담에 부정적인 경향이 높았으며, 소득격차 해결 주체로 정부정책이 중요하다고 응답할수록 복지확대와 추가 조세부담에 긍정적일 확률이 높았다. [연구의 시사점]복지확대 시 추가 조세부담에 대한 조세저항을 완화시키는 방안으로 정부의 조세 집행의 공정성 제고, 복지정책 등 관련 정책 정보의 효율적 전달, 성실신고 납세자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를 통한 납세의식 제고, 정치와 정부정책에 대한 관심 증대, 증세 시 간접세나 역진세보다 직접세와 누진세 고려 등을 검토할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진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2

        This study had analyzed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ir tax burden. The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out how much more tax burden the enterprises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re shouldering than others which are not faithful to it since enterprises trying to evade tax payment will have less tax burden than those not try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the following : First, the total score of KEJI which is the Prox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enterprises’ tax burden. Second, the soundness index of enterprise, the degree of contribution community service and employees’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it. Third,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mpared to executives’ satisfaction with consumer protection were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 on it. Fourth, though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environment protection and that of contribution to economic development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it, their significance is not consistent. Fifth, the index of enterprise’s fairness was found to have not much significant effect on it.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since executives regard social responsibility as being important, they try to improve the image of their companies and increase their reputation by trying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n spite of shouldering more tax burden rather than suffering from such risks as tax investigation and penalty tax resulting from tax evasion. However, relating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onsumer protection(KEJI 4) which is a social responsibility accompanied by R&D cost and facility investment, the tax burden is shown to be low due to the regulation of the system of tax amount deduction and inclusion in deductible expenses, which indicates that the enterprises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re taking advantage of the current tax system sufficiently.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조세부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기업이 조세회피를 할 경우 조세부담이 낮아질 것이고 조세회피를 하지 않을 경우 조세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조세부담이 높은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대용치(Proxy)인 경제정의지수(KEJI) 총점은 기업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건정성 지표, 사회봉사 기여도, 종업원 만족도는 조세부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자의 소비자보호 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환경보호 만족도와 경제발전 기여도는 기업의 조세부담에 각각 음(-)과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유의성이 일관적이지 않았다. 다섯째, 기업의 공정성 지표는 기업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영자는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조세를 회피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과세당국의 세무조사, 추징 등과 같은 기업의 악재보다 조세를 상대적으로 더 부담하더라도 사회적 책임 활동에 노력함으로써 기업의 명성을 높이고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경영자의 조세부담이 세법상의 세액공제, 손금산입 등의 규정을 이용하고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경영자는 세법상의 혜택은 충분히 수혜받으면서 적정 조세를 부담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산업특성에 따른 ESG와 조세부담

        문진주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지역산업연구 Vol.45 No.1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effect of ESG on corporate tax burden differs according to industry characteristics through empirical analysi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contradictory results, such as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f ESG on corporate tax burden. These contradictory results are because a company's tax burden can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ESG.T (integr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ax burden, and ESG.E (environmental)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has been shown to affect In the retail industry, ESG.T (integr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tax burden, and ESG.E (environmen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nly ESG.E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tax burden, and in the service industry, ESG.T (integration) and ESG.S (soci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Influence and ESG.E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in how ESG affects the tax burden, and it is judged that these differences are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Therefore, in setting ESG index standards,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dust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in ESG indicator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rporate tax burden depending on industry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ESG가 기업의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ESG가 기업의 조세부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등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기업의 조세부담은 산업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증분석 결과 제조업은 ESG.T(통합)은 조세부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SG.E(환경)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은 ESG·T(통합)가 조세부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SG·E(환경)는 부(-)의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ESG·E(환경)만 조세부담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업은 ESG. T(통합), ESG·S(사회)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과 ESG·E(환경)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ESG가 조세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산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각 산업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ESG 지표기준을 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실증 분석하여 ESG 지표에 대한 산업간 차이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세부담의 대용치(proxy)가 가지는 한계점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구분한 산업분류 이외에 좀 더 다양한 산업특성을 고려한 분류를 통해 산업에 대한 차이를좀 더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제하 조선 지방세입의 구조와 추이, 1910~1936 - 대만과의 비교를 겸하여 -

        문명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논총 Vol.54 No.-

        This paper has three goals. first I would like to show overall local governments’ revenue of colonial Korea from 1910 to 1936; second I would like to observe the relaionships between local governments’ revenue and that of the government-general. And third on the basis of my own estimation, I would like to calculate tax burden of Korean people under Japanese rule. First I was able to the whole scale of local governments’ revenue of colonial Korea from 1910 to 1936. And I found that colonial Korea’s local pubic finance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that of colonial Taiwan, for example, the superiority of national tax to local taxes, the superiority of upper local government to lower local government, and so forth. Also I found that colonial Korea had unique revenue system like school-financing(학교비) or school union(학교조합), which had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f the paths of colonization. Moreover I found that contrary to general belie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more aggressive than government-general of Taiwan in utilizing local governments’ revenue in order to realize its policies taking a detour to avoid interference from central government or national diet in Tokyo. And finally, on the basis of my own estimation, I tried to compare tax burden of Korean people under Japanese rule with that of Taiwan people under Japanese. As a result, I found that Taiwan people’s tax burden was 2.6 times of Taiwan people’s tax burden, but Taiwan people could afford to be capable of paying heavier taxes because Taiwanese economy grew enough to cover the heavy taxes unlike colonial Korea. In sum, Korean people probably got the feel of more tax load with the skin than Taiwan people. 본고는 1) 1910년부터 1936년에 걸쳐 도·부·읍면·학교비·학교조합 등 지방단체별 세입(결산 기준)을 제시한 후 이를 합산하여 조선 지방세입의 전체 규모를제시하고, 2) 지방세입과 총독부 세입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아울러 3) 기존의 연구와는 다소 다르게 재구성된 조선 지방세입과 총독부 세입 통계에 기초하여 일제하 조선 주민의 조세부담 정도를 새롭게 산출해보고자 했다. 본문의 서술을 통하여, 우선 1910~36년에 걸쳐 총 5개의 지방단체별 세입을결산 통계에 근거하여 제시하고, 이를 합산하여 조선 지방세입의 전체 규모를제시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식민지 대만 지방세입과 비교할 때, 국세의 지방세에대한 우위, 상급 지방단체의 하급 지방단체에 대한 우위 등의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대만에는 없는) 학교비와 학교조합의 존재라는, 식민지화 과정의 차이에서 비롯된 세입 체계상의 두드러진 차이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방세입과 총독부 세입의 관계에 관한 관찰을 통하여, 일본 중앙정부(大藏省)의 査定이나 제국의회의 協贊이라는 제도적 제약을 우회하여 총독부의 정책 의지를 실현하는 수단이 된 지방재정의 운영 면에서 예상외로 조선총독부가 대만총독부보다 적극적이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방 순세입과 총독부 세입 중 조세적 성격을 가지는 항목들의 합계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기록인 朝鮮地方財政要覽이나 기존의 연구보다 좀 더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1인당 조세부담을 산출할 수 있었다. 나아가새롭게 산출된 조선 주민의 1인당 조세부담을 대만 주민의 1인당 조세부담과비교함으로써, 1인당 조세부담의 절대 액수에서는 대만 쪽이 2.6배 정도 컸다는점, 그리고 1인당 조세부담 지수와 (생산력 발전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1인당국내총지출 지수를 대조해 본 결과, 대만 주민의 조세부담이 생산력 발전에 조응하는 궤적을 보인 것과 달리 조선 주민의 조세부담은 생산력 발전과 꽤 큰 괴리를 보이면서 下回하고 있었다는 점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1920 년 이전에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1920년 이후 점점 커지는 경향도 있었다. 요컨대 일제하 조선 주민은 증대하는 조세부담을 뒷받침해야 할 터인 생산력의 발전이라는 보완수단을 상대적으로 가지지 못했고, 그 결과 조선 주민이 피부로느끼는 조세부담은 숫자에 나타난 것 이상으로 컸다고 추정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