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과 독일의 정치교육 비교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미경 ( Mi Kyun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1

        우리에게 모범적 사례로 인식되고 있는 독일 정치교육의 체계와 국내 시민사회단체의 정치교육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정치교육에서 필요한것은 무엇인지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독일은 정치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정치재단, 교회, 노조, 시민단체 등 각기 다양한 시민사회단체들이 정치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치교육은 공식적인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비공식적이며 자발적인 차원에서 국가기관, 시민사회단체, 언론사 등 다양한 주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독일의 경우 일찍부터 민주시민교육의 체계적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양한 학습주체들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공급하는 한편 학교안과 밖의 교육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모델 사업들을 발굴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정치교육의 그 자체의 자발성과 생명력을 훼손하지 않는 제도화를 위해 교육내용에 대해국가기관이 일체 간섭하지 않는다. 독일 정치교육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민간등록 단체, 정당, 노동조합 등도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정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정부의 교육정책이 미처 마련되지 못한 시기에도 순발력있게 강연회, 대화써클 등을 통해 정치교육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국내의 시민사회단체들도 같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정치교육은 지식습득을 넘어 생활속에서 체험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교육은 인생전반에 걸쳐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한 제도화는 다양한 시민교육을 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차원,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차원에서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교육과 시민사회단체의 교육이 유기적인 연계성을 확보하면서 정치교육을 보다 더 체계적으로 계획 및 운영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의 실시에 따라서 지역에서의 생활과 관련된 현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차원에서의 민주시민교육도 필요하다. 학교, 공공기관등 정치교육을 실시하는 주체들은 지금까지의 이론 중심의 고식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실제로 민주주의를 체득하고 실천할 수 있는 교육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시민사회단체들도 지금까지 전개해 온 활동의 성과와 한계를 다시 성찰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hows role model case in political education of Germany system and political education of korea civil society groups in current situation. Also this article want to know what is important matters of korea political education. Germany assists to promote political education of diverse civil society groups such as political foundation, church, labor union civil group. Korea is doing political education in formal educational process and informal and voluntary route such as national organization, civil society groups, mass media. Germany builds systematical assistance scheme early and supply various institutional organization for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 on the other hand, Germany creates and supplies to act diverse model busines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education. Also Germany does not interfere with education contents for systematization in political education itself spontaneity and vitality. Germany doing political education lean on several organization like civil group, political party, labor union through citizen voluntary participation. These organization are evaluated with contribute quick response of seminar, group discussion in period of non preparation of educational policy. Political education have to experience for life not in the knowledge acquirement. As a result, political education must be accomplished by various party through whole life experience. Systematization have to assist diverse citizen education of civil group and combine their system. School and civil group education have to prepared legal and institutional base for systematical plan and management. Also local citizenship education is needed through local current issue concern in the local self- government. School and public organization have to escape from theory-oriented education and make an effort to change real world for understanding of real democratic principles. Civil groups have to reflect their activity and result from their beginning again.

      • KCI등재

        결사체 활동, 종류, 그리고 결사체의 민주주의적 효과 : 정치적 자아 발달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김명숙 한국자치행정학회 201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결사체의 의미와 결사체 민주주의의 의미를 논의하고, 결사체가 그것에 가입한 시민들에게 민주주의적 학습 효과, 즉 민주적인 정치적 자아발달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가정하고 그에 대한 경험적 조사를 실시하고 검증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를 몇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적인 정치적 자아발달의 다섯 가지 차원(정치적 효능감, 정치적 정보획득, 정치적 기술, 비판·심의 기술, 시민덕성)의 실태를 살펴보면, 정치적 효능감, 정치적 정보획득, 정치적 기술, 비판·심의 기술 차원에 있어서 상당수의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고 부정적인 응답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민덕성에서는 그 보다 더 높은 정도의 빈도가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볼 때 민주적인 정치적 자아발달 정도는 중상인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결사체 활동에 해당하는 두 가지 변수 중 월 참여횟수는 그 어느 민주주의적 정치적 자아 차원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가입 결사체 수는 정치적 효능감, 정치적 정보획득, 정치적 기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연계성이 강한 결사체일수록 정치적 효능감, 정치적 정보획득, 정치적 기술, 비판적·심의적 기술, 시민덕성에서 더 높은 평균을 나타내 보였다. 아울러 동일한 연계성 내 집단에서도 하위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 보였는데 특히 연계성이 낮은 집단 내에서 그러한 현상이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이익집단 반복지정치(anti-welfare politics)의 경험적 분석

        최종호(Choi, Jong Ho)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2

        복지국가의 변화에 있어서 정부와 이익집단 사이에서 일어나는 반복지정치(anti-welfare politics)는 중요한가? 또한 정치제도는 복지개혁을 유인하거나 제약하는가? 이 논문은 서구 선진민주주의 국가에서 우파정당과 반복지적 성격을 띠는 이익 집단들이 생성하는‘이익집단 반복지정치’를 측정하고, 이 요인이 복지국가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와 함께‘이익집단 반복지정치’가 국가 내에 존재하는 제도적 맥락과 어떻게 맞물리는지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interactive effect)도 함께 검증한다. 경험적 분석 결과, ‘이익집단 반복지정치’는 선진민주주의 국가의 사회지출 비율과 탈상품화의 수준을 낮추거나 좀 더 선별적(targeted)인 특성의 복지개혁으로 이끌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국가 내에 존재하는 비토포인트의 수가 많을수록‘이익집단 반복지정치’의 영향이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함께 검증되었다. Does ‘anti-welfare politics’between the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matter in changes of the welfare state? Also, do political institutions induce or constrain welfare reform? This article measures the‘ anti-welfare politics of interest groups’led by right-wing parties and anti-welfare interest groups in advanced democracies, and empirically examines how this factor affects changes of welfare state. Moreover,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anti-welfare politics of interest groups’and institutional veto points.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 find that the‘ antiwelfare politics of interest groups’either reduces the country’s welfare expenditure or leads to a tendency toward more targeted welfare provision.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influence of ‘antiwelfare politics of interest groups’can vary due to differences in veto points in advanced democracies.

      • KCI등재

        정치교육이 고등학생의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김명정(Myung-Jung K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7 OUGHTOPIA Vol.32 No.1

        정치교육과 시민성 간의 관계는 시민교육 영역의 주요 관심사이다. 본 연구는 부산 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치교육 이수 여부가 시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정치교육 이수 여부를 ‘법과 정치’ 과목의 이수, 정치 관련 서적의 독서, 정치 관련 프로그램 참여로 세분화하여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시민성을 정치 관심도, 정치 효능감, 정치적 관용, 투표참여 성향으로 세분화하여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조사 결과 정치교육을 이수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시민성의 모든 세부 지표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회귀 분석 결과 정치교육과 시민성 간의 정(+)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학교의 정치교육이 시민성의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정치교육에서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활동들을 장려한다면 시민성 함양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최근 정치 과목의 이수율이 낮아지는 현실을 고려할 때, 더 많은 학생들이 정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education and citizenship is a major interest in the citizenship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 of the political education on the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political education into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completion of 「Law and Politics」, reading of political books, participation in political programs, and so on, and citizenship is divided into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efficacy, political tolerance and will of voting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that completed the political education was higher in all the indicators of citizenship than the group that did not. The regression analysis prov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education and citizenship. It can be seen that the political education of the school undertake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citizenship. In particular, if we utilize diverse resources in political education and encourage activities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 can enhance the effect of developing citizenship.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mpletion rate of recent political subjects is getting lower, much effort is needed to get more students into political education.

      • KCI등재

        선거와 정치마케팅 연구

        안종기(An, Chong-Ki)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선거정치의 경쟁양상과 결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정치마케팅의 관점을 통해 보강적인 이해를 시도하는 것이다. 선거경쟁을 일종의 시장현상으로 설정하여 정치마케팅의 관점을 동원함으로써 기존의 이론적 논의들에 더해 적실성이 제고되는 정교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선거정치 경쟁시장을 대상으로 삼아 정치마케팅 연구의 관점과 접근방식을 적용, 반영한 분석적 틀을 제시한다. 유권자 니즈에서 출발하는 시장지향적 역량 (market-oriented capability)을 핵심요소로 하여 선거시장의 진행을 5단계로 구분한다. 선거정치의 정치마케팅 연구 분석틀을 ‘정치소비자주의에 기반한 단계적 진행(Political Consumerism-based Stage-Gate Framework)’으로 지칭하며 각 단계별 정치마케팅 측면의 전략적 과제와 핵심 역량을 제안한다. 나아가 각 단계 별로 정치마케팅 연구를 위한 주요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이후의 연구 방향성에 대한 시각을 제공한다. 선거경쟁에 대한 정치마케팅 관점의 해석을 통해 정치시장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더욱 명확히 규명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의 이론적 정치마케팅 연구의 유용한 출발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aims to help understand, with political marketing perspective, competition context and result of electoral politics. This paper argues that mobilizing political marketing perspective for political analysis will provide more abundant and optimized explanation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es how political marketing perspective/approach can be applied and how political marketing perspective based analytical framework can be established. Placing market-oriented capability started from consumer needs at the core of theoretical approach, this paper suggests 5 stages in electoral market competition process. As a research analytical framework in terms of political marketing, this paper introduces ‘Political Consumerism-based Stage-Gate Framework’ and key specific research topics for each stage. This paper expects to contribute, with political marketing based interpretations, to more clear understanding of causal mechanism in electoral competition. This paper also expects to become a useful start of future political marketing research.

      • 西南亞地城에서의 軍部政治介入의 水準에 관한 硏究 : 政治文化的 變數의 量化

        高弘根 釜山外國語大學 1985 釜山外國語大學 文化硏究 Vol.1 No.-

        이 硏究에서 言及되는 軍部의 政治介入은 後者 卽, 狹義의 政治介入을 意味한다. 따라서 政治介入의 水準도 한 國家에서 政治的으로 영향이 큰 介入이 일어난 빈도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政治介入의 빈도가 크면 軍部의 政治介入의 水準이 높은 것이고 反對의 경우에는 水準이 낮은 것이다. 硏究의 方法에 있어서 第2章에서는 軍部의 政治介入의 背景을 變數別로 나누어 알아보고 그 變數들을 量化시켜 比較하겠다. 第3章에서도 2章과 같은 方法으로 論理를 展開하겠으나 3章이 끝날 때까지는 西南亞에서 實察로 일어났던 軍部의 政治介入은 전혀 고려에 넣지 않겠다. 第4章의 ㄱ)節에서는 西南亞에서 實際로 發生했던 軍部의 政治介入은 顯示的으로 考察하고 ㄴ)과 ㄷ)節에서는 2章과 3章의 結果을 가지고 水準差에 對한 分析을 시도한다. 結論에서는 앞으로의 西南亞地域의 軍部 政治介入의 展望을 各國別로 알아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이 論文에서의 硏究對象期間은 1947년에서 1977년 까지 임을 밝혀둔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대통령제와 연합정치

        박용수 ( Yong-soo Park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6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2 No.2

        정치의 기본 속성으로서 연합은 정치제도에 의해 성격이나 양상이 달라질 뿐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대통령의 권력이 강한 경우 연합정치에 대한 필요성은 대통령보다 야권정치세력이 강하게 느끼기 쉽다. 민주화 이후 한국의 정치제도는 대통령에게 연합정치를 배제할 만큼 강한 권력을 부여한 것으로 보기 힘들다. 이러한 관점이 민주화 이후 한국에서 나타난 연합정치를 설명하는 데에 유리하다. 이 글은 한국의 민주화 이후 연합정치 현상 중에서 대통령의 선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대통령의 연합정치에 대한 선택은 정치적 상황에 따른 여야간 세력균형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불리한 세력균형에 처했던 노태우,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은 연합정치를 시도했으며,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이었던 김영삼, 이명박, 박근혜 정부는 연합정치를 추구하지 않았다. 동일한 제도적 조건에서 연합정치에 대한 다른 선택은 대통령의 연합정치 선택이 제도적 요인보다 세력균형의 상황적 조건이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coalition as one of fundamental properties of politics cannot disappear in any political system. But the ways or timings of political coalitions depend on the institutional and situational conditions. The presidents with weak power have more needs of coalition for the stability of his government than it with stronger power or their opposition parties. I don`t think that Korean presidents have the strong powers without the needs of any coalition in the presidential system and majority system after 1987 transition to democracy. Until 2015 The three presidents chose the coalition government and the other three did not choose the coalition government in six presidents in the same political system. The difference could be explained with the each political situations which showed the level of balance of power as the parliamentary seats or the issue initiatives of presidents.

      • 정치리더십과 평화

        양승함(YANG, Seung Ham)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본 논문은 정치리더십과 평화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로서 전쟁과 평화의 관점에서 정치리더십의 역할에 관한 연구다. 기존의 평화연구는 구조주의 시각에서 진행되어 정치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사실상 없으며 개별 리더십과 평화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자전적 서술적이어서 일반화가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구조주의와 개별주의를 절충하는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구조(제도)-정치리더십-평화의 연결축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정치제도이며 매개변수는 정치리더십이고 종속변수는 평화 또는 전쟁이다. 정치리더십은 정치체제의 제도적 제약을 일반적으로 받지만 리더십의 역량과 의지에 따라서 제도를 변화시키기도 하면서 그 성향에 따라 전쟁과 평화에 영향을 준다, 정치리더십의 성향이 평화 지향적인가 아니면 전쟁지향적인가에 따라서 전쟁과 평화의 결과가 결정된다는 것이 주요 가설이다. 이 가설은 기존의 민주평화론의 주요 가설인 민주주의가 비민주주의보다 본질적으로 더 평화적이라는 주장을 비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치제도를 권력 분배와 정책결정과정의 특성에 따라 전체주의, 권위주의, 민주주의로 분류하고 정치리더십도 이에 상응하는 범주로 분류한다. 전체주의 리더십은 팽창주의 요소 때문에 호전적이며 제도의 본질적 성향을 반영한다. 권위주의는 강제권력을 남용하나 자제하는 경향이 있고 국내 안정화에 집중하기 때문에 호전성이 낮은 편이다. 그러나 개혁적 정치리더십이 등장하면 민주주의보다 더 평화 지향적일 수 있다. 민주주의는 근본적으로 평화 지향적이나 정치리더십의 의지와 성향에 따라 호전적으로 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민주적 규범과 제도가 정치리더십의 책임성을 묻기 때문에 민주국가의 리더십은 합리적 다수 투표자의 평화적 의지를 반영할 수밖에 없다는 민주평화론의 주장을 반박한다. 호전적 리더십이 등장하면 민주적 정책결정과정을 왜곡하고 민주적 통제기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는 논리적 경험적 증거를 제시한다. 특히 민주주의 보호를 위한 선제공격은 민주주의의 호전성을 보여주며 도덕적으로도 평화와는 거리가 멀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orrelation of political leadership and peace from a viewpoint of war and peace. The existing peace studies which approach mostly from structural perspectives rarely deal with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some studies dealing with individual leader’s contribution to peace are primarily biographical and descriptive. This study compromises the two contending approaches of structuralism and individualism, in order to overcome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The study juxtaposes three variables of structure(institution), political leadership, and peace or war. The nexus of the three variables consists of political system as independent variable, political leadership as intermediate, and peace or war as dependent. Political leadership that is usually constrained by the institution of political system is occasionally able to alter the influence of institution as it wishes. Thu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s that depending on the leadership’s disposition, peaceful or bellicose, conflict resolution would result in either peace or war. This hypothesis criticizes one of the main arguments of the democratic peace theory that democracies are intrinsically more peaceful than non-democracies. For the argument, the study classifies political systems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power distribu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e.g. totalitarianism, authoritarianism, and democracy. Political leadership is also classified into accordingly. The totalitarian leadership is the most warlike among the three types, due to the expansionistic inclination. The authoritarian leadership is less belligerent than the former for its inward oriented and self-limiting power pursuit. In the case of reform leadership, however, it may be as peaceful as democratic one. The democratic leadership that normally follows democratic norm and institution often manipulates public opin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to enhance its own interest. In that case, the democratic leaders are as war-prone as autocratic leaders. It is particularly so when democracies launch preemptive attacks on autocracies, rationalizing them as just war.

      • KCI등재

        종합편성채널 저널리즘의 비판적 재조명

        이영주(Youngjoo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7 No.3

        정치적 산물로서 출범한 지 5년을 넘어선 종합편성채널의 영향력과 방송 영역에서의 지위가 상승하고 있다. 종편의 안정화는 저널리즘의 물량 공세에 기초한다.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쏟아 내는 뉴스와 시사토론 프로그램들이 ‘종편 타임대’라 불리는 오후 시간대를 점유한다. 시사토크쇼는 종편이 만들어 낸 대표적인 프로그램 형식이자 상품으로 독특한 종편 스타일 저널리즘을 이끌고 있다. 시사토크쇼의 주인공은 평론과 토론을 위해 모인 출연자들이다. 이 연구는 이들을 정치 매개 엘리트라는 개념적 위치화와 함께 TV조선, 채널A, MBN, JTBC의 대표적인 시사토크쇼에서 이들이 벌이는 텔레비전 정치의 풍경들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종편의 시청률을 상승시키고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시사토크쇼에서 정치 매개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편향성과 감정을 과감하게 드러내고 독특한 규정과 서술적 발화들을 통해 특정 대상들을 형상화하는 텔레비전 정치의 효과들을 읽어 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출연자로 불리는 정치 매개 엘리트들은 주로 극우, 보수, 중도보수적 정치 성향들을 가지며, 특정한 정당이나 정치 집단과 밀착된 관계를 형성한다. 정치 매개 엘리트들은 종편 시사토크쇼에서 수행하는 텔레비전 정치를 통해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자산을 확보하면서 정치 집단과 정치적 교환 혹은 거래 관계를 형성한다. 이 같은 정치적 동원, 교환, 거래의 관계 속에 종편의 시사토크쇼가 위치하며, 시사토크쇼는 정치적 전장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 연구는 강조한다. Comprehensive Cable TV Channels(CCCs) has been established as a political product around 5 years ago, and it`s influence and position on the broadcasting field are keep increasing. CCC`s stabilization is based on flooding the market with journalism. The repeating news and current affairs programs are appearing constantly in the afternoon which is CCC`s primetime. The current affairs talk shows are a product of CCC`s representative program type and it leads unique CCC style journalism. The guests of the current affairs talk show leading the program with critiques(comments) and discussions about political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se guests of the current affairs talk shows conceptually positioned as political mediating elites and same time to explore the television political landscape through the representative current affairs talk shows from TV chosun, Channel A, MBN, JTBC which are present by these political elites. This study wants to find out about that television political effects from CCCs which exemplified into certain directions by these political mediating elites saying their political biases and expresses their feelings drastically that causes high ratings and brings people`s attention. The guests who called political mediating elites in this study are mostly considered to be extreme rightist, conservatives, conservative-centrist and they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certain political party or political group. The political mediating elites gain the popularities and have great influence on the public from performing the television politics through CCCs’ current affairs talk shows and use that to make political exchange connections with political groups. Therefore this study wants to point out that CCCs’ current affairs talk shows are situated in political rally, exchange connection, so current affairs talk shows are existing only for political battle field.

      • KCI등재

        전쟁, 스포츠 그리고 (국제)정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송병록(Byung-rok So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17 정치정보연구 Vol.20 No.1

        스포츠인들은 스포츠가 정치를 배제해야 하며 자율성과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에 있어 스포츠는 정치의 연장인 것이다. 특히 국가간의 스포츠는 ‘국가의 정치적 의지의 결과’이지, ‘정책결정의 선도적 기능’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국가가 스포츠라는 비정치적 방식을 외교적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정치적 의지와 필요가 앞서는 것이다. 그와 같은 국가의지 없이 스포츠 행사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은 현대 국가관계의 상식이며, 국제 스포츠 영역에서 나타난 다양한 사건들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스포츠는 행사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 정치이기도 하다. 흔히들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하는데, ‘정치의 가장 폭력적인 현상’ 혹은 ‘폭력의 가장 정치적인 현상’이 바로 전쟁이다. 그런데 인류 역사를 통하여 이 전쟁과 스포츠와 (국제)정치가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올림픽의 꽃이라 불리는 마라톤 경기가 전쟁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 스포츠 기구 중 하나인 국제축구협회(FIFA)의 회장 선거와 월드컵 개최지 선정을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 간의 갈등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몇 가지 상징적인 사례들을 통하여 전쟁과 스포츠 그리고 (국제)정치가 얼마만큼 상호 밀접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practice, sport is an extension of politics, although the sportsmen contend that sport should be operated in an independent logic of politics, that is, along the line of autonomy and neutrality. In particular, sport among nations is the resultant of the national political intention. In other words, so-called n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are the key concepts for the international sports activities. This line of logic is well represented in the cases of various affairs in sport. War, sport and international politics are closely related in the human history. The highlight of the Olympic Games, the marathon race has its origin in war. The recent conflict between USA and Russia for the election of FIFA president and World Cup host country is also well represented. Sport is an ideological phenomenon as well. With that being said, sport is the soil in which nationalism or racism thrives in modern society. Nowadays, it appears in the international sports games. According to the nation, the nationalism works as the ruling or resistant ideology. This represents sport-nationalism. Due to repeating character of human history, sport may develop into political affairs. Also politics can intervene in sport, the conflict and the discord can be caused by these in a certain region and situation. In addition, the deepening of dispropor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hich the world faces, involves violence, and sport can strengthen the violence. As the western proverb says when elephants (big power or politics) love or fight the grass (small power or sport) gets hurt, sport can be sacrificed by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