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시기 한국의 주작인(周作人) 비평과 인적(人的) 교류

        홍석표 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語文學誌 Vol.0 No.62

        現代韓國也曾有一些人與周作人有過一定的接觸和交流,幷對周作人的文學活動及其創作發表過評介文章。其中,引人?目的有中國現代文學硏究者丁來東、金台俊、李明善等人。丁來東曾兩次訪問周作人,之後以《周作人與中國新文學》爲題目發表文章,對周作人進行了非常系統、詳細的分析和評論。丁來東廣泛閱讀了周作人的著作,對其文藝理論産生?大共鳴,幷對其小品文給予?高的評價,他還從周作人的“白話文學論”入手,詳細評述了中國新文學的多種局面。同時還對周作人所具有的那種包容的文藝批評態度給予了?大關注。當時丁來東傾心於無政府主義文藝理論,這使他能勾在思想上與周作人産生共鳴,使他能勾積極介紹和評論周作人對於國民文學、無産階級文學所做的各種批判。正因爲深受周作人文藝理論和小品文創作成果之影響,丁來東於1949年完成了隨筆集《北京時代》,這與周作人的“言志”文學觀及其小品文之影響不無關系。金台俊也曾訪問周作人,當時他也先後發表一些文章對周作人進行了評介。他還依據社會主義文學理論對中國新文學和中國文壇進行了介紹和評價,幷在這一過程中對周作人在文學革命高潮剛剛過後所發表的隨筆作品和文學硏究成果給予了肯定,但當他見過周作人之後却非常苛刻且毫不猶豫地批評周作人是一個思想落後的“過渡期之名士”。而與金台俊在思想上同出一轍的李明善也通過《周作人論》等文章對周作人的“偉大貢獻”給予了肯定,但對周作人1920年中期以後轉向小品文創作,認爲這是逃避現實的消極態度,從思想層面上對周作人進行了犀利的批判。可見,當時韓國人對周作人的評價,根據評論者的思想傾向可分爲兩種。一是像丁來東那樣從個人主義或無政府主義角度高度評價周作人的文學理論和創作成果,幷充分肯定了周作人那種包容性的思想立場和文藝批評態度。?外一種是,像金台俊、李明善那樣從社會主義階級文學理論角度出發,雖對周作人在文學革命時期爲新文學所做的貢獻也給予了一定的肯定,但對周作人後來那種逃避現實的創作行爲及其思想態度却做出了犀利深刻的批判。而在這些評論中,丁來東所發表的《周作人與中國新文學》一文在韓國首次全面系統地對周作人進行了分析和評論,這不僅與當時中國的相關活動幾乎同步進行,而且比日本早點進行,這一點使其具有相當重要的學術價値。作爲中國現代文學硏究者,丁來東不僅與周作人有過直接的接觸和交流,還積極地對周作人進行了介紹和評論,這一點從韓中文化交流層面上看也具有一定的價値。遺憾的是,丁來東對周作人的各類評價,在當時反響不是?大。這是因爲當時韓國處在日本殖民統治之下,這樣一種特殊的社會現實和周作人的一些親日行爲,使得金台俊和李明善的觀點在當時韓國知識界獲得了更大的反響。作爲其旁證,我們看到對周作人的各類評價和介紹,之後在韓國沒有得到進一步的深化,他的著作和作品幾乎未被飜譯發表和出版。

      • KCI등재

        20세기 초반 재중유학생(在中留學生) 정래동(丁來東)의 신문학 인식과 전파

        이재령 ( Lee Jaeryou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2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 북경유학 출신으로 중국 현대문학 1세대 연구자로 활동한 정래동을 중심으로 근대 학문·사상의 인식과 전파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민국대학 유학중 영문학을 전공하고 아나키즘을 수용한 정래동은 과외로 중국 현대문학을 학습, 전파하였다. 동시대 한국 문단은 일본에서 중역된 서양 문학만 중시하고 중국 문학을 경시하는 경향이 팽배하였다. 이에 대해 정래동은 북경 유학 중 직접 학습한 근대 학문·사상과 인적 교류를 토대로 신문학을 광범위하게 소개, 전파하였다. 그는 중국 문학혁명의 제창자로 후스와 천두슈를 지목하였고, 실행자로 루쉰을 꼽았다. 그는 신문학을 논평하면서 마르크스주의문학에 반대하고 자유의지를 강조한 아나키즘문학을 지지하였으며, 중국의 사회현상을 폭로하고 해부해서 정당한 사회를 건설하는데 희극의 역할이 크다고 보았다. 특히 그는 서양 문학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번역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 그는 절대 권력과 특정 정치이데올로기에 치우치지 않고 인간 본연의 자유의지를 중시한 아나키즘과 민중의 언어로 민중의 삶을 이야기한 민중문학을 지향하였다. 그 지름길은 중국에 유입되어 변용된 서양의 근대 사상과 문학이었다. 정래동은 중국 문단 내부의 관찰에만 만족하지 않고, 문단과 관련된 모든 장면을 낱낱이 기록하여, 전체 윤곽을 파악하려고 애썼다. 따라서 그는 학업 이외에 사상적으로 아나키즘활동을 병행하였고, 중국 문학계의 동향과 작품을 소개하는데 집중하였다. 그 결과 정래동에 의한 중국 현대문학의 수용은 시간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졌고, 장르와 내용면에서 체계적이며 전면적이었다. 그는 능수능란한 어학 실력과 치열한 현장경험을 토대로 근대 학문·사상을 습득하였고, 계급·권력에 좌우된 문학을 거부하며 자유·해방을 위한 민중문학을 전파시켰다. 이렇게 1930년대 전후 조선 문단과 지식사회는 중국이란 또 하나의 루트를 통해 새로운 학문·사조가 유입되어 근대 지식장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This essay is to grasp the understandings and spreads of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focusing on Jeong Raedong(丁來東) who studied in Beijing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Occupation and was a 1st generation scholar of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Jeong Raedong, who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nd accepted anarchism while being enrolled in Minguo University(民國大學), studied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besides his class works and circulated it. At that time, Korean literary world emphasized only the western literature re-translated from Japanese and subordinated Chinese literature. Regarding such trends, Jeong Raedong, based on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that he personally studied during his studying in Beijing and on his personal exchanges, widely introduced and spreaded ‘New Literature.’ He pointed out Hu Shi(胡適) and Chen Duxiu(陳獨秀) as the proponents of Chinese literary revolution, and Lu Xun(魯迅) as its activist. In his criticism on New Literature, He opposed Marxist literature, but supported anarchist literature propagating ‘free will’; and thought that the rolls of comic plays were important to dissect and expose social phenomena in China in order to build just society. Especiall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anslated literature to rapidly and effectively accept western literature. Ultimately, he pursued anarchism, which doesn’t depend on any specific political ideology and emphasizes a human-being’s natural free will, and the People’s Literature(民衆文學), which describes people’s lives in people’s languages. He thought that the shortcut to it was the modern western thoughts and literature, which were imported to China and transformed there. Jeong Raedong was not satisfied with mere observation into the Chinese literary world, but enthusiastically grasped the whole figure of it by recording each and every scene related to the Chinese literary world. Thus, besides his class works, he ideologically combined anarchist activities and focused on introducing trends and literary pieces of the Chinese literary world. For the result, the acceptance of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by Jeong Raedong was simultaneous, and was systematic and full-scale in genres and contents. Based on his fluent linguistic abilities and intense field experiences, he attained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refused literature influenced by social classes and political powers, and spread the people’s literature for freedom and liberation. In this way, Joseon’s literary world and intellectual society around 1930’s could build the foundation for modern knowledge by importing new sciences and literary trends through another route, which was China.

      • KCI등재

        1920, 30년대 한국 지식인의 중국 신문화운동 수용 -양건식, 정래동, 김태준의 경우-

        송인재 ( In Jae S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3 No.-

        1915년에 시작되어 중국 사상과 언어의 개혁을 이끈 신문화운동은 중국 문제에 관심을 가진 1920,30년대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문학 영역에서 새로운 문학 형식의 탄생, 문학을 통한 현실 자각, 계몽 등은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문화 그리고 사상혁명을 고민하는 지식인들의 참조점이 되었다. 양건식은 1920년대 초 중국 신문화운동에 깊이 공감하며 중국의 신문학작품을 열성적으로 번역했다. 이를 통해 조선문학의 성장과 사상혁명에 기여하기를 희망했다. 정래동은 신문화운동이 퇴조된 1923년 중국 유학길에 올라 중국전문가로 성장했다. 따라서 1920, 30년대에 걸쳐 중국신문화운동의 의미를 인정하는 한 편사후적으로 거리를 두고 평가함으로써 신문화운동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 김태준은 1930년의 짧은 중국 체류를 통해 문예운동이 사상운동의 기반임을 목도하면서 신문화운동의 의미에 공감했다. 그러나 프로문학이 성행하던 당시 한-중 프로문학의 관점에 공감하면서 신문화운동을 극복해야 할 과거로 간주했다. 중국신문화운동은 수용자의 환경과 사상에 따라 각자 다른 편차를 띠고 인식되고 소개되었다. 1920,30년대 한국의 중국 신문화운동 수용은 당시 한국의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였다. 특히 이 네트워크 안에서 중국의 문학 담론과 창작물이 근대 한국의 시대적 과제에 대처하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었다. 동시에 이 시기 한국의 중국신문화운동 담론은 당시 존재하던 한중 지식네트워크 안에서 형성된것이다. 더 나아가 단절이나 무기력으로 인식되던 한일합병 이후 한중 지식네트워크의 존재양상을 탐색할 수 있는 유력한 실마리가 된다. The New Culture Movement, which started in China at 1915, leaded the reform of idea, language and literature. Yang, Geon-sik, Jung, Nae-dong and Kim, Tae-jun, who can be called as 1st generation sinologist in modern Korea, had interest in it during 1920s~30s. Especially, the birth of new writing style, perceptions of realitythrough literature, enlightenment in thoughts became the main references for them to seek the way the Korean revolution of literature, culture and thoughts. Yang, Geon-sik expressed sympathy with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deeply therefore translated several volumes of novels and plays of modern China and hoped Chinese literature can be helpful to the growth of literature and the revolution of ideas in modern Korea. Jung, Nae-dong went to China to study after New Culture Movement declined, it made him evaluate New Culture Movement more objectively, although he also hoped to learn from Chinese literature. Kim, Tae-jun on the one hand witnessed literature movement played the role of useful means in social and ideological movement, but on the other hand regarded New Culture Movement as the past of current proletarian literature, all his views is bases on socialist idea. These three types of view constructs the multi images of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in 1920s~30s Korea. All of these views are relevant to the effort of Korean intellectuals to accomplish the reconstruction of Korean literature. It can be important historica resources for describing the knowledge communication and network of Korea and China between 1910s and 1930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에 진단한 한국 한문학의 실태 –일제강점기 기고 글을 중심으로

        김보성 우리한문학회 2024 漢文學報 Vol.50 No.-

        인문학의 위기는 꾸준히 거론되었다. 21세기를 처음으로 맞이할 무렵, 인문학자들은 과학과 공학의 위상이 높아진 상황에서 사이버문화에 필요한 인문학 연구를 모색하거나, 새로운 문학서비스 패러다임을 구축할 것을 권고했다. 20여 년이 흐른 현재에는 인공지능(AI) 시대에 걸맞은 인문학으로 거듭나기 위해 인문학과 과학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디지털인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개척된 것이다. 한문학은 한문으로 된 문학을 다루는 분야이자 한문으로 된 문헌을 이야기하는 학문이다. 즉, 한문학은 문학이라는 하나의 정체성을 넘어 여러 분야를 포괄하는 인문학의 성격도 지닌다. 따라서 한국 한문학의 과거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한국 인문학의 미래를 읽어내는 길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과거’는 한국 한문학의 위기를 처음 공개적으로 선언한 20세기 초반과 해방 전후 나라의 기틀이 신설되기 시작한 20세기 중반을 가리킨다. 20세기 초반에는 ‘한문학’과 ‘신문학’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1914년 6월 매일신보 에 실린 윤상현의 「한문학의 쇠퇴」는 한국 한문학의 가치와 효용을 설파했다. 그는 신문학을 제대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한문학에 정통해야 하며, 언론·사회·학계 등이 힘을 합쳐 청소년이 한문을 배우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해 7월 매일신보 에 실린 청엄의 「한문학 쇠티론을 읽고」는 윤상현의 글을 전면으로 반박했다. 인신공격에 가까운 비방이나 그중 서양인이 동양 서적을 수입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냉철히 분석하여 참조할 만하다. 20세기 중반에는 ‘한자’와 ‘한글’을 두고 의견 대립이 팽팽했다. 정래동의 「고전연구의 제문제」와 「한문교육에 관한 관견」은 ‘조선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연구’와 ‘조선의 사실을 정리하는 연구’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절충할 것, 중학교 한자교육의 체계를 정비할 것 등 한국 한문학 연구·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상의 20세기 초중반 글에는 현재에도 생각해볼 만한 화두와 적용해볼 만한 방안이 없지 않다. 한 세기 전에 이루어진 한국 한문학 담론을 거울삼아 21세기 한국 한문학이 나아갈 길을 꼼꼼하게 살피는 작업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The crisis of humanities has been consistently discussed. As the world entered the 21st century, scholars in the humanities recommended exploring humanities research necessary for cyberculture or establishing new literary service paradigms amid the increased promine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Now, over 20 years later, efforts are actively made to transform humanities into a discipline suited for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by actively attempting to integrate humanities and science.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a new field called ‘digital humaniti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韓國漢文學) refers to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the study of document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u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ncompasses various fields beyond the realm of literature, embodying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humanities. Therefore,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ay offer insights into the future of Korean humanities. Here, 'the past' refers to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crisi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as first publicly declared and the mid-20th century when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began to be establishe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as a debate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new literature.’ Yoon Sang-hyun’s “The Declin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aeil Shinbo in June 1914, criticized the value and utili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e argued that to properly accept new literature, one must be proficient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at the media, society, and academia should join force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youth to lear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 the same year, Cheong Eom’s “Reading the Theory of the Declin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Maeil Shinbo in July refuted Yoon Sang-hyun’s article entirely. It provided a thorough analysis of the reasons why Westerners import Eastern books, which could be considered a near-personal attack or defamation. In the mid-20th century, there was a fierce debate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Hangul.’ Jung Rae-dong’s “The Core Issues of Classical Studies” and “Observations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the direc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and education, acknowledg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udies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Korea and those organizing Korea’s facts. The discussions in the early to mid-20th century still present topics worth considering and avenues worth exploring today. It is essential not to overlook the task of meticulously examining the pa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ll take in the 21st century by using the discours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rom a century ago as a mirror.

      • KCI등재

        근대 한국의 루쉰 수용과 번역 1 -지식생산의 장소성과 중국발(發) 루쉰-

        최창륵 ( CHOE Changruk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0 No.-

        Lu Xun was formally introduced to Korean literature as a writer in 1930 through Yang Backwha’s translation of The True Story of Ah Q. Subsequently, Jeong Naedong, who was then studying in Beijing, pointed out the errors in Yang’s translation, and got a response from the filmmaker Lee Kyungson and student Kim Guangjoo in Shanghai. They formed a specialized group to research the reception and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is was not only an opposition to the reviewer Yang Backwha of an older generation who translated Lu Xun’s works from Japan; it was also a rejection of knowledge production that was almost monopolized by the colonizer. Moreover, Jeong Naedong revealed a sense of competition with reviewer Kim Taejun, who was from the Chinese department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in Korea. As a result, Jeong Naedong obtained dominance in the reception and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while Kim Taejun moved into the field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consolidated his academic position. In addition, Jeong Naedong and Kim Guangjoo, who attempted to conduct knowledge production independently based on the constructed placeness, China, took literariness as the only criterion and considered Lu Xun’s works to be outdated, leading to the negligence of his social critical spirit, anti-feudal introspection, and self-subversive spiri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reception and translation of Lu Xun’s works in Korea in the early 1930s to understand its genealogical characteristics as a medium, and it also intends to elucidate the dynamics, gains and losses within the East Asia centered around knowledge production.

      • KCI등재

        译介与阐述:韩国学者丁来东的‘鲁迅论’

        손제 한중인문학회 2023 한중인문학연구 Vol.79 No.-

        지난 20세기 초부터 루쉰의 문학 작품들은 이미 한국에 번역되어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루쉰 문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루쉰학파’도 형성되어, 루쉰 문학은 한국의 학자와 지식인들이 중국을 상상하고 동아시아 문명을 이해하는 상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국에서의 ‘루쉰학’에 대한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은 초기 루쉰 문학의 번역과 연구에 힘썼던 한국 학자인 정래동을 사례로 삼고, 수용의 측면에서 그가 주도했던 루쉰 문학 번역 활동들을 정리하고 재해석하고자 한다. 또한 관련 사료와 문헌들을 통해 정래동과 루쉰 문학 간의 공명을 재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래동의 ‘루쉰논(魯迅論)’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