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통시장과 도심활성화: 공주 산성시장

        박재수 한국전통시장학회 2020 전통재래시장연구 Vol.7 No.-

        본 연구는 본 연구는 도시기능으로서 전통시장에 대한 접근이다. 적극적으로 보면 도시경제는 지역생산자 (주변농어촌 포함)와의 연계를 통한 상호이익차원에서 비용우위 및 차별화를 만들고 서민 및 여행자들에게 색다른 여가공간을 제공하는 입장에서 전통시장의 역할이 있었다. 하지만 서민경제거래활동 조건만을 가지고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도시 또는 도심’을 형성하는 전통시장의 역할을 주목해본다. 전통시장 이 도심기능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서민경제활동을 초월한 개념이며 도심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역할론에 대 한 것이다. 도심경제가 표방하는 미래의 가치를 질문할 때 전통시장의 성공도 기대된다. This study is an approach to traditional markets as an urban function. In positive terms, the urban economy creates mutual benefits of cost advantage and differentiation through the linkage of local producers (including the surrounding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role of the traditional market was to provide citizens and travelers with different leisure spaces. However, as the economy of life cannot find new values, the role of the traditional market that forms downtown is noteworthy. The position that traditional markets occupy in urban function is beyond living economy and vitalization of urban economy. In that context, what is the future value of the urban economy? In answering that question, the success of traditional markets is also expected.

      • KCI등재

        전통시장의 화재보험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박철호,윤창술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4

        전통시장은 과거 경제개발을 통해 시민들의 생활이 현대화되고 간편해지는 과정에서 정체되고 낙후된 장소로 변하였다. 그러나 전통시장에도 우리의 과거와 현재가 함께 공존하고 있고 시장상인들 또한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우리는 대형화되고 화려해져가는 현대적인 대형시장에서 느낄 수 없는 여러 가지 사회적 순기능에도 관심을 가져야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전통시장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시설이 오래되고, 안전시설이 부족하고, 시장의 관리가 부실하기 때문에 높은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지속되고 일순간에 대규모의 인적·물적 손해가 발생하는 상황이 나타나기도 한다. 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지원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의 화재사고가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가 전통시장의 시설현대화, 상인들에 대한 교육·홍보활동, 화재안전점검을 통한 사장안전관리의 유도를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장화재로 발생하는 피해를 신속하게 그리고 최대한 복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전통시장 화재는 여타의 경우와 다른 특징이 있고 화재 자체가 발생하면 그 피해가 순식간에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만 상인들의 화재보험의 가입현황은 미미한 편이며 화재보험의 보상도 신속하지도 못하고 완전하지도 못하다. 이에 전통시장의 화재보험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전통시장의 화재보험과 연관된 법률규정으로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의 규정 중 2016년에 추가된 임의보험인 화재공제가 유일하다. 이에 근거하여 실시된 화재공제 보험은 화재발생시 지급되는 보험금액이 과소할 뿐만 아니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이나 혜택이 미미한 점 등으로 인하여 시장상인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 외에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등도 전통시장 화재보험과 관련되어 있지만, 모두가 영세한 시장상인들의 화재보험 가입률을 활성화시키기에는 부족하거나 가입의 기회마저 부여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열악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상인들의 보험가입을 강화해야 하고 상인들이 선택할 수 있는 보험상품의 유형을 다양화해야 하며 보험요율을 할인해주거나 보험료에 대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 전통시장 상인들이 화재보험을 의무화하기 힘들다면 정책성보험 제도를 도입할 필요도 있다. 이러한 제도들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법률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제도를 도입하고 활성화시키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법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관련 법령의 제정하고 개정해야 한다. 그러나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고 시설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화재보험을 활성화시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동시에 오래된 시장의 열악한 건물구조나 시설을 개선하여 화재와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시설을 현대화해야 한다. 재난대비 홍보·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상인들의 안전의식을 높여야 하고 주기적인 화재안전점검으로 상인들 스스로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 Korea's traditional markets have many problems. Due to the old age, lack of safety facilities, and poor management of the markets, high risks of fires persist and are developing into large-scale damages. Despite the ongoing support and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market facilities, fire accidents are constantly being repeated. The country should continue to make efforts to modernize the facilities of the traditional markets and strengthen the education and promotion directed towards market merchants. And, by checking the fire safety of the markets, the country should encourage and support traders to manage the safety of the markets on their own. But most importantly, the country must also establish an institutional method to quickly recover from the damage caused by the traditional market fires.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civilian liv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the traditional markets have become stagnant and underdeveloped. However, it is certain that our past and present coexist together in traditional markets, and that market merchants are people that we must live this era together with. Furthermore, we need to be interested in the various proper social functions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the ever-expanding and colorful modern large-scale marketplaces. The status of fire insurance coverage and compensation of fire insurance has been reviewed,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occurrence of traditional market fires.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fire insurance to be activated. The status of legislation related to fire, one of the major disasters in traditional markets, has also been reviewed. The only legal provision for the activation of fire insurance in traditional markets is Fire Cooperative, which is a voluntary insurance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rkets and Shopping District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the rate of insurance registration of market merchants has been found to be very low due to the fact that the insured amount in case of fire was too small. The Act on the Indemnification for Fire-Caused Loss and the Purchase of Insurance Policies,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ly Used Establishments, Act on Fire Prevention and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Safety Control of Fire-Fighting Systems are also related to fire insurance in traditional markets, but they all have been proven insufficient in improving the rate of fire insurance registration of small-scale market merchants. In order to improve the unfavorable situ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markets, insurance obligations of merchants must to be strengthened, the selectable types of insurance products must be diversified, and insurance rates must be discounted or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must provide supports in regards to premiums. If it is difficult to make it obligatory for market merchants to purchase fire insuranc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Policy Insurance System. In order to introduce these systems,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have to enact and amend relevant laws to provide legal basis with a firm intention of doing so, as it is not possible under the current law. However, activating the fire insurance is not enough to strengthen the safety of traditional markets. At the same time, the poor market structures and facilities of the old market should be upgraded, providing safety facilities for preventing fires and disasters. There is a need to raise awareness of merchants by continually educating and letting them know about disasters. In addition, fire safety inspections should be carried out periodically in order to enable the merchants to conduct safety management on their own. To this end,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must take problem of modernizing our traditional markets very s...

      • KCI등재

        지속가능한 전통시장을 생각해보다 : 인터뷰기법을 활용하여

        이도희,이은서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2

        전통시장은 오랜 전통과 우리 고유문화 및 생활을 담고 지역경제발전의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또한, 적지 않은 소비자들은 여전히 전통시장을 찾고 있고 그들 나름대로의 욕구가 전통시장에서 충족되고 있다. 더욱이 인간성 상실이 더해가는 현대 생활 속에서, 전통을 고수하며 우리 고유의 향수를 충족시켜주는 전통시장은 또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형마트 및 편의점과 같은 유통업의 등장으로, 전통시장을 유지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의 현실은 여전히 열악하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퇴색되고 있는 전통시장의 존재의 이유와 더불어, 활성화 방안모색을 목적으로 두었다. 분석을 위하여, 전통시장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일상에서 전통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통시장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저변확대를 위한 제도적인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전통시장 고유의 특징을 살리면서 고객에게는 생활의 활력소가 될 수 있는 “생활시장”, 나눌 수 있는 “소통시장”으로서의 기능이 가능할 수 있는 지속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raditional markets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maintaining tradition and unique lifestyle in local economic development. Many customers are willing to visit traditional markets to fulfill their personal needs and wants. In addition, traditional market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eeling nostalgia in dehumanized modern days. However, such roles of traditional markets have declined as large big supermarkets and convenient stores have appeared, providing convenient services in new town center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asons of existence of traditional markets and how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s. For analysis of this study, we conduct literature reviews related to traditional markets and interview participants who currently visit traditional markets in their daily basis. As results,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 are needed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s. In addition, to make “livelihood markets” and “accessible markets”, unique and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emphasized in traditional markets.

      • KCI등재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이용객 의식 비교: 대구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장흥섭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4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on the basis of the comparison in user awareness between the traditional markets and the large supermarkets. [Methodology]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related to the major traditional markets and large supermarkets located in Daegu by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including the studies on the traditional markets and large supermarket. [Findings]This study found that the traditional markets had various advantages, including a lot of eateries and goods. But, they were still found to suffer from the perennial problems such as limited parking space and unavailability of card payment service. In the satisfaction survey for each property, the satisfaction score of the traditional markets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the large supermarkets with the exception of price. However,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user awareness on the future of the traditional markets has gradually improved. [Implications]This study aimed to seek for measures to 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s through the survey on user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approach to this matter by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traditional markets as a local community rather than a mere part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이용객 의식 비교를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전통시장에 관한 연구, 대형마트 규제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유통업태에 대한 연구 등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이용객 의식 조사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대구시에 소재한 주요 전통시장 및 대형마트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유통업태별 이용 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간에 뚜렷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아 전통시장이 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유통업태별 인식에서는 전통시장은 많은 먹거리와 다양한 상품이 장점이나, 주차 문제나 카드사용 불가 등 여전히 고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성별 만족도 조사에서는 가격을 제외하고는 전통시장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대형마트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통시장의 미래에 대해서는 이용객들의 인식이 점차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에서는 이용객 의식 조사를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단순히 유통업의 한 부분이 아니라, 지역커뮤니티로서의 전통시장 기능에 주목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보편적 정책보다는 지역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서울시 전통시장 유형화와 분포특성 연구-점포수와 생존율을 중심으로-

        이현정,안영수,여관현 한국지방자치학회 2021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3 No.4

        This study aims to classified the types of traditional markets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by applying a potential profile analysis focusing on the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For 181 traditional markets located throughout Seoul, the changes in traditional markets were divided by the number of stores and the survival rat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by reg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entire city of Seoul into five regions: southeast, northeast, southwest, northwest, and downtow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trong trend of decreasing the number of stores in the traditional markets in the downtown area and the southwest area. The policy implications of Seoul’s traditional market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policies for win-win cooperation between traditional markets and large retailers are requir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policy to strengthen the specialized businesses in each commercial district of traditional markets. 본 연구는 서울시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하여 전통시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전통시장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전역에 위치하는 181곳의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전통시장의 변화를 점포수와 생존율로 구분하였으며, 서울시 전역을 동남권, 동북권, 서남권, 서북권, 도심권 등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전통시장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권 및 서남권 권역의 전통시장은 점포수의 감소 흐름이 강하였다. 특히, 서북권의 경우 그 차이가 상대적으로 커서 점포수 안정세의 흐름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전통시장 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과 대형 유통업체의 상생 협력을 위한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전통시장 상권별 특성화 사업의 강화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권역별 점포수 증감율과 생존율의 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정부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시 전통시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며, 지역사회 공동체를 중심으로 성공적인 전통시장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전통시장의 물리적 환경과 접근편의성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 대도시 전통시장 중심으로

        최인혁,김훈구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6

        In overseas, the traditional market are considered as places to represent the history, and are regarded as a part of the local community's livelihood and the distribution of one part of the local economy. Against this backdrop, the traditional market has a strong reputation as a lagging region where the reputation of being a backwater is strong and deteriorating. However, the traditional market is a very important subject for revitalizing the economy and ordinary people, and the government continues to exert effort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The Government's traditional market support projects can be broadly identified as a commercial infrastructure modernization project and a business modernization project. In this study, we will explore the effects of traditional markets and access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s on sales of traditional markets.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se this.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utilized a fact-finding survey for traditional markets and Shopping districts in 2015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events in the traditional market facilities, whether the site of a traditional market facility, the introduction of market guidance, LED ad boards, and the number of commercial products are affecting the sale of traditional market, and the number of TV commercials and TV commercials does not affect sales figures. This can be seen as an effective means of provid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promoting convenience facilities. Next, the number of available cars in accessibility convenience faci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le of traditional markets. The number of bicycle persecutions has not been affected by the sales of traditional markets. Variables that appear to have no impact on sales of traditional markets are likely to require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as the number of samples pales in comparison to those of other variables. Last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need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for commercial infrastructure modernization projects in the traditional market, as well as the effective support measures for future efficient support. 해외에서 전통시장은 역사를 나타내는 지역 명물로써 자리 잡고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삶의 한 부분이자 지역 경제 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유통분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국내에서 전통시장은 낙후된 지역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며 쇠퇴해가는 유통분야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전통시장은 지역경제 및 서민경제 활성화의 매우 중요한 주체 로서 정부에서도 이러한 취지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 사업은 크게 상업기반시설 현대화사업과 경영현대화 사업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 사업 중의 하나인 상업기반시설 현대화사업 중에서 전통시장의 물리적 환경과 연관성이 높은 이벤트 광장, 테마거리, TV광고판, LED광고판, 시장안내도, 아치·조형물 등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과 전통시장 의 접근 편의성과 연관성이 높은 주차시설, 자전거 보관소 등이 전통시장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2015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실태조사의 데이 터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시장 시설의 물리적 환경 중 이벤트 광장 조성 여부, 시장안내도 설치 여부, LED 광고판 대수, 이치·조형물 수는 전통시장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테마거리 조성여부 와 TV광고판 대수는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전통시장 사업기반시설 현대화사업 중 홍보편의시설 지원이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접근 편의시설인 주차가능대수와 자전거 보관함 수 중 주차가능대수만이 매출액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전거보관함 수는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테마거리 조성 여부, TV광고판 대수, 자전거보관함 수의 경우는 해당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전통시장의 표본 수가 다른 변수들에 비하여 적 어 향후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통시장 사용자의 경험을 고려한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 디자인

        신진수(Shin, Jin Soo),윤재영(Yun, Jae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IT 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여파로 언택트(Untact) 문화가 확산되는 가운데, 식료품의 장보기 또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지고 있다. 이에 맞춰 기존의 온라인 유통업체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중심의 대형 유통업체들도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매장으로 시장을 넓히고 있지만, 노령화와 개개인의 소상공인들로 구성된 전통시장은 하나의 통합된 서비스를 구축하기 쉽지 않다. 이에 정부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전통시장의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전통시장 환경에 맞춘 사용자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유통기업에 맞춰진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가 아닌, 전통시장의 환경과 사용자 경험을 반영하여 전통시장의 장점과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식료품 채널에 대한 조사와 기존의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상용중인 전통시장의 장보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관찰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후 도출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뒤,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1)다양한 연령대를 고려한 단순한 디자인 구조, 2)‘상품의 신선도’와 ‘배달의 신속성’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 구조, 3)사용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한 ‘현재 지역’ 및 ‘지정 지역’의 시장정보와 배달 가능 지역 시간 등을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구조, 4)다양한 환경의 전통시장과 입점 가게의 정보와 및 홍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 5)주문의 편의성을 위한 간편 결제, 지역 화폐, 전화주문 등과 같은 결제시스템의 다양화, 6)소비자와 시장 상인들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전통시장과 상인들의 홍보가 가능한 서비스 제공, 7)상인들이 직접 운영하기 쉬운 관리자 페이지, 8)전통시장과 시장 상인들에게 각각의 독립적인 온라인 스토어로서의 서비스 제공 등이 서비스 개선을 위한 인사이트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프로토타입 검증조사 결과, 기존 전통시장 장보기 서비스에 비해 배송지 설정, 시장 선택, 주문 및 배송의 사용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시장의 장보기 서비스 디자인뿐만 아니라 전통시장의 환경에 맞춘 온라인 사용자경험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Due largely to the development of IT and the spread of COVID-19, there is a growing movement of Untact, and the grocery shopping is moving from offline to online. In step with this movement, not only online distributors but major offline distributors are joining the movement, trying to expand their sphere of influence into the online market. For all the trials, however, it is hard for the traditional market characterized by aging and individual sellers to establish a united service. To do about this issue, the government is providing the online shopping service via the conventional market in cooperation with corporations, but is still unable to provide a customer-oriented service that is tailored to the environment of traditional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an online service which reflects the user experience, highlighting the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not on the one that adjust to major distributors.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on grocery channels and the existing online shopping service of traditional market has been conducted. Based on what is studied, the interview for people understanding of online shopping service has been made, and the observation of users has been made, using the commercialized shopping service of traditional market. Then, with the insight from the studies, we made a prototype and evaluated usability. The result indicates as follows; 1)a simple design structure considering a wide range of age, 2)a structure where the faith in the freshness of products and quick delivery could be elevated, 3)a structure which can clearly provide information on delivery availability and market information via location based services, 4)a structure which can effectively offer the information over and promote shops in those markets, 5)diversification of payment system, including simple payment, local currency, and phone order, 6)services to foster direct communications between customers and merchants, and the promoting the markets and merchants, 7)pages that merchants can easily manage, 8)providing service as an online store independent from the conventional markets and merchants are some of the insight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As a result of the protype test based on those insights, it is shown that the usability of setting shipping destination, choice of market, order and delivery has improved, compared to the physical market shopping. It is relevant that this study offers insights on not only shopping service design of traditional market, but only user experience tailored to conventional market.

      • KCI우수등재

        전통시장의 관광목적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통시장 주체자가 경험한 인식을 중심으로

        정영라,이재섭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various strategie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experienced by the owners of traditional markets, and to derive the meaning of strategic approaches as tourism destinations for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were grouped with the number of 197 semantic units, 24 modified semantic units, nine sub-themes, and four major themes. The major themes include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s of traditional market owners on the tourism destination',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mong traditional market owners on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he dilemma of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market and becoming a tourist destin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Youth Mall', 'Making the traditional market a tourist destination through linkage with various tourism resources'. Most of the owners in the traditional market agree on making the traditional market a tourist destination. However, there is no concrete action plan that has been proposed.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look into the feasibility and provide assistance. The findings of our study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in regards to tourist destinations. The practical implication includes verifying that the traditional market can be developed as a tourism resource. 이 연구는 전통시장 주체자가 경험한 다양한 전통시장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관광목적지로서의 전략적인 접근방법에 대하여 그 의미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첫째 전통시장 주체자는 다양한 전통시장 활성화방안에 대한 경험에 있어 어떻게 평가하였는가?, 둘째 전통시장 주체자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관광목적지로서의 전략적인 접근방법에 대해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전통시장 주체자는 관광목적지로서의 전통시장에 대하여 어떠한 기대를 지니는가?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197개의 의미단위, 24개의 변형된 의미단위, 9개의 하위주제,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주제는 ‘관광목적지화에 대한 전통시장 주체자들 간의 시각차이’, ‘정부지원정책에 대한 전통시장 주체자들 간의 시각차이’, ‘청년몰 창업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및 관광목적지화에 대한 딜레마’, ‘다양한 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한 전통시장의 관광목적지화’로 나타났으며, 연구문제를 통하여 전통시장 주체자들은 전통시장을 관광목적지화 하는데 있어 대의적인 차원에서 대부분 동의하고 있었으나, 아직까지 그에 대한 확고하고 치밀한 방향성, 구체적 계획 및 실행안 등의 부분에 있어서는 다소 미흡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는 전통시장 주체자들이 전통시장을 관광목적지화 하는데 있어 필요한 지원이 어떠한 부분인지 세심하게 체크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론적 시사점은 전통시장이라는 상업적 공간의 개념을 관광학에 접목시킴으로써 학문적 다양화에 기여하였으며, 관광목적지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전통시장이 관광목적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충분함을 검증하였고, 관광상품자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전통시장 유형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준(Lee, Sang-Jun),송지현(Song, Ji-Hyun),이정수(Lee, Jeong-S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 No.3

        전통시장은 지역의 경제와 생활 중심지로, 입지·상업·기능·시설 측면에서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현재 이러한 전통시장의 재생을 위하여 공공행정 주도의 활성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화사업은 모든 전통시장에서 동일한 접근방식을 보이고 있어, 전통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실질적 활성화에 미흡한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특성을 추출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 차별적 활성화 전략의 수립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충청남도 전통시장은 그 특성에 따라 3개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둘째, 주민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전통시장 유형별 차별화된 활성화전략의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주민참여 중심의 사업추진을 통해 전통시장 유형별로 차별적인 활성화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raditional market has diversity in the aspect of location, commerce, function and facility as the center of economy and life in a region. To revive the traditional market, a regeneration project is initiated by the public administr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criticism that the characterisitics of the markets were ignored because the projects adopted the same approach regardless of the market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raditional marke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strategy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traditional markets in Chung-Nam Provinc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through analyzing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residen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rategy for each classification is proved. Third, this study proposes that each project needs to establish a different strategy through a residentsoriented methodology to implement the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