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孫子의 전쟁관에 대한 철학적 고찰

        이권(Lee Kw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6 No.-

        현대중국의 정치학자들은 한 나라의 힘을 ‘종합국력’으로 평가하곤 한다. 종합국력이란 국력을 포괄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으로서 군사-안보 분야에만 국한하지 않고 과학기술과 경제력을 포함하는 국가적 힘을 의미한다. 종합국력의 지표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2위의 국력을 자랑한다. 중국이 무력을 사용하는 패턴이 우리에게 문제가 되는 까닭은 21세기로 들어서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한 중국경제 및 중국공산당에 대한 자국민의 신뢰와 더불어 북한정권의 불안정성 때문이다. 중국은 이미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대규모의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어 언제든지 무력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다. 중국이 군사행동에 돌입하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는 직접적인 소재는 북한문제이고, 북한영토에 개입한다면 우리나라와의 충돌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이 무력분쟁이 일어날 때 중국이 어떤 논리에 따라 힘을 행사하는지를 우리가 알아야 하는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이다. 孫子의 병법에는 중국인들이 갈등과 무력분쟁 상황에 대처할 때 항상 작동하였고, 지금도 작동하고 있는 메커니즘이 오롯이 들어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철학의 전통적 세계관에 비추어 전쟁을 해석한 결과물이 담겨있다. 孫子의 전쟁관은 老子의 無爲政治 사상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孫子의 전쟁관을 老子의 무위정치론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아울러 孫子의 전쟁관이 갖는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과의 비교를 병행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老子의 無爲政治論은 自然이라는 자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즉 ‘無爲而無不爲’의 명제에서 ‘無爲’로부터 ‘無不爲’에로의 이행은 ‘自然’의 원리에 따라 자동적이고 기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孫子의 병법에 나타나는 不戰勝의 이념과 구체적인 전쟁술 사이의 내적 연관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孫子의 勢 관념을 이해해야 한다. 셋째, 전쟁 상황에서 勢는 彼我의 기울기를 말하는 용어로서, 자동적이고 필연적인 승리(不戰勝)를 산출하는 자동장치이다. 넷째, 不戰勝을 이끌어내는 구체적인 조건들인 기만술과 정보전, 지휘관의 합리적인 계산능력, 공격 대상의 우선순위, 수적 우세의 확립 등으로부터 전쟁 사태를 전면적이고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읽어낼 수 있다. 孫子의 시각은 유기체적 전쟁관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유기체적 전쟁관에서는 相反相成과 對立轉化에 기초하기 때문에 전쟁을 끊임없이 변화하며 살아있는 것으로 보는 동시에, 이성능력을 통해 전면적?전체적인 파악이 가능한 것이라고 말한다. 여섯째, 孫子가 말하는 勢와 ?老子?에 나타나는 自然은 동일한 메커니즘을 지닌 자동장치이기 때문에 ?孫子?에서는 ?老子?의 명제들을 쉽게 원용할 수 있었다. 勢가 개체 외적 맥락에서 작동하는 것이라면 自然은 개체 내적 맥락에서 작동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따름이다. This article is to make an academic preparation for the potenti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near future. Sun Tzu’s strategy contains not only a full array of war mechanisms that always operated (and are still operating) when Chinese coped with disputes and armed conflicts, but also an interpretation of war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world held by Chinese philosophy. His view of war is directly connected to Lao Tzu’s doctrine of the politics of “pursuing no end.” This article examines Sun Tzu’s view of war in conjunction with LaoTzu’s doctrine. The conclusion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Lao Tzu’s pursuing-no-end politics operates through the automaton of “self-so.” In the thesis of “pursuing no end leaves nothing not done,” the transition from “pursuing no end” to “nothing not done” is achieved in automatic and mechanical ways by the principle of “self-so.” Second, to find connections between Sun Tzu’s idea of victory without fighting and the concrete art of war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his concept of “Shi.” Third, shi refers to the relative military strength between two warring sides and is an automaton that produces an automatic and inevitable victory (victory without fighting). Fourth, we can acquire a perspective of grasping war situations generally and totally from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conditions for victory with fighting - trickery, intelligence, commanders’ rational calculation, attack target priorities, the establishment of numerical superiority, and so on. Sun Tzu’s perspective is based on an organic view of war. Fifth, his organic view of war, based on the doctrines of “the opposites form each other” and “the opposites turns into each other,” understands war not only as alive and constantly changing but also as something that can be grasped generally and totally by rational faculty. Sixth, Sun Tzu was able to make easy use of Lao Tzu’s doctrines because Sun Tzu’s Shi and Lao Tzu’s self-so are the same automaton that has the same mechanism.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Shi is something operating outside individuals, while self-so is something operating inside them.

      • KCI등재

        先秦儒家戰爭觀에 대한 小考 -孔子와 孟子의 戰爭觀을 中心으로 -

        윤지원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4

        논문은 선진시기 유가의 전쟁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쟁의 본질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선진 유가문헌인 『論語』와 『孟子』에 나타나는 공자와 맹자의 언명을 통해 그들의 전쟁관을 분석한다. 인류의 생존과 번영에 있어 전쟁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 전쟁의 원인은 사회적다원주의, 공격본능이론, 사회학습이론, 사회심리학이론 및 공산주의 이론 등으로 설명되어 질 수 있으나 클라우제비츠에 의하면 전쟁의 본질은 국가와 국가 사이 무력을 사용하여 정치적 목적을 관철시키는 수단이다. 전쟁이 만일 순수하게 정치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라면, 정치의 목적은 최종적으로 정치의 이상을 지향한다. 비록 정치의 현실 모습과 그 이상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정치와 전쟁이 지향하는 최종 목적이 정치이상의 실현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공자와 맹자는 민본주의에 기초한 인정과 왕도정치를 추구하였으며 공자의 전쟁관은 군주를 가장 중시여기는 군본위의 특징을, 맹자의 전쟁관은 민본위의 특징을 보인다. During the era of pre-Qin in China(771B.C.—221B.C.), the intellecutuals from Confucian school also studied the war and raised a lot of viewpoints which put a everlasting influnece on of Chinese traditional concepts of the war. This paper focus on outlining the principles and features of just war thinkings from Confucians in pre-Qin era on the bases of analysing the Confucian classics(『論語』,『孟子』). In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mankind, war is destiny. War is caused by various causes. According to Karl Clausewitz, the nature of war is a means for political purposes. If war is a means for achieving political purpose, the purpose of politics is the ideal of politics. Confucius and Mencius insist on a just war.

      • 북한의 ‘혁명전쟁이론’으로 본 북한 ‘핵 무력’ -군사사상의 기능을 중심으로-

        유판덕 ( Yoo Pan Deok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8 접경지역통일연구 Vol.2 No.1

        군사사상은 전쟁관, 양병사상, 용병사상이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가 논리상 위계적으로 이뤄져 있다. 군사사상의 시발점인 전쟁관의 성격에 따라 양병 및 용병사상이 공격 또는 방어적 성격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군사사상은 국가 안보정책이나 군사전략 수립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북한의 ‘주체군사사상’의 경우도 전쟁관에 해당하는 ‘혁명전쟁이론,’ 양병사상에 해당하는 ‘자위적방위력건설이론,’ 용병사상에 해당하는 ‘주체 군사전법 및 군사예술’로 구성되어 있다. 주체군사사상의 특이점은 ‘주체’라는 접두사가 의미하듯 주체사상의 제원리(칙), 특히 ‘국방에서 자위원칙’을 사상·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설계되고 발전·정립되었다. 주체군사사상의 시발점인 혁명전쟁이론은 전통적인 맑스-레닌주의 전쟁관을 따르면서도 “미제국주의”를 주적(主敵)으로 설정하고 북한 내부(주체)역량으로 ‘혁명의 장애물인 미제’를 제거한다는 전쟁관점이다. 이 전쟁관의 기능에 따라 핵무기를 보유한 ‘혁명의 장애물 미군’를 제거(견제와 억제)하기 위해 핵무기 보유를 추진한 것으로 논리적 추론이 가능하다. 즉, 북한의 핵무기 보유는 혁명전쟁이론-전쟁의 성격, 전쟁의 원인, 현대전의 특징, 전쟁승리의 결정적 요인-의 작동원리에 의해 탄생한 결과물인 것이다. Military thought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the views of warfare. the thought of military buildup and the thought of military art.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views of warfare - the starting point of military thought, military buildup and military art have an aggressive or defensive character. Such a military thought have a decisive impact on national security policy and military strategy. In the case of "Military Thought of Juche" in North Korea, it includes 'the theory of revolutionary war', 'the theory of self-defense capacity buildup', and 'the military tactics and art of Juche' corresponding to the thought of military art. The peculiarity of Juche military thought was designed, developed and establish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Juche ideology, especially the principle of self-defense in national defense, as the prefix implies. The revolutionary war theory, which is the beginning of the Juche military thought, is the views of warfare to get rid of the obstacle of America by North Korea's internal Juche capacity, setting up " American imperialism " as the main enemy while following the traditional Marxist war line. Depending on the revolutionary war theory, we could assume that North Korea has pursued the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in order to remove(check and suppress) the U.S. forces that has possessed nuclear weapons. In other words, North Korea's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is the result of the revolutionary war theory - the nature of the war, the cause of the war,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war, and the decisive factor in war victory.

      • KCI등재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전쟁관 고찰

        오준영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5 No.-

        이 논문은 나쓰메 소세키의 전쟁관에 대해 고찰한 것으로, 러일전쟁 당시에 발표된 신체시 『종군행』과 소설 『취미의 유전』 그리고 만년에 발표된 수필 『점두록』을 고찰대상으로 삼았다. 러일전쟁이 시작된 시점에서는 천황에 대한 신하의 도리를 내세워 전쟁을 선동하고 미화했던 소세키가 전쟁 승리 이후에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전쟁으로 인해 희생을 치러야 했던 국민의 입장에 서서 전쟁을 비판하는 상반된 태도를 보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세키는 메이지시대를 대표하는 지성답게 전쟁의 본질과 속성을 낱낱이 파악하고 있었지만, 그의 시야는 언제나 일본・일본인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했다. 자국의 침탈과 자국민의 희생에 대해서는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도 일본의 제국주의가 이웃나라 국민들의 자유와 평화를 유린하는 것에 대해서는 애써 외면하려 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Natsume Soseki’s view of war.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the poem ‘Jugunko’ and the novel ‘Syumino-Iden, ’ which were published in the days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essay ‘Tentoroku, ’ which was published late in Natsume Soseki’s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atsume Soseki, who incited and beautified the war claiming the duties of a retainer to the Japanese emperor in the early days of the Russo-Japanese War, presented a conflicting attitude criticizing the war after the victory for the people who made sacrifices against their will. Even though Soseki comprehende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war in detail such as the intellectual who represented the Meiji era, his point of view did not always divert from the domain of Japan and the Japanese people. Soseki tried to avoid the fact that Japan’s imperialism infringed upon the freedom and peace of the people of neighboring countries, while he showed a sensitive response to his own country’s encountering of pillage and the sacrifices of his fellow countrymen.

      • KCI등재

        춘추시대의 전쟁수행방식과 전쟁관

        기세찬 ( Ki Secha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본고는 춘추시대의 전쟁수행방식과 군사사상의 변화과정의 분석을 통해 고대중국의 전쟁양상과 전쟁관을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했다. 주왕실의 세력이 급격히 쇠퇴한 춘추시대에는 서주적 세계관을 전제로 한 전쟁관이 전쟁형태의 변용에 수반하여 서서히 변화되어갔다. 그러나 춘추시대에는 서주시대와 달리 전쟁형태와 전술 면에서 여러 가지 변화가 엿보인다. 우선 보병의 대두로 여러 전투에서 전차와 보병의 합동작전이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여러 형태의 전투 대형도 등장했다. 이러한 보병의 대두는 당시의 신분질서를 동요시킬지도 모르는 군대 구성원의 변용을 촉진했다. 대규모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서는 전차전을 담당했던 귀족 전투원이 아닌 `농민`을 대량으로 동원해야 했는데, 이러한 변화는 전시 동원 행정, 막대한 군사비를 비롯해 국가의 종합적인 역량이 문제시되는 부국강병 사상을 출현시켰다. 전쟁이 전차전을 기본으로 한 귀족끼리의 단기결전에서 국력을 경주한 대규모 침략전쟁으로 변용되어 가자, 뒤이어 그러한 거대한 사업을 수행할 때 그 정당성, 부국강병책과 대규모 병력의 통솔 문제가 등장했다. 『손자』는 춘추시대의 전쟁양상과 전쟁관의 변화를 명확히 인식하고, 그에 따른 `모공(謀攻)`, `궤도(詭道)` 등의 전략적 사고와 `용중(用衆)`,`용병(用兵)` 등의 문제들을 충실히 다루었다. 그러나 전쟁 자체의 정당성의 문제, `천하통일`에 대한 인식 문제와 부국강병책에 관한 문제는 구체적으로 이론화되지는 않았다. 이것은 『손자』 이후 전국시대에 등장하는 오기(吳起), 손빈(孫?), 울료자(尉?子)를 비롯한 병가(兵家)에 남겨진 과제였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view and way of warfare in Spring and Autumn Annals (770-403 B.C.). As the Zhou dynasty power was declined, the view warfare in China changed radically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ars became more intensive, organized, and severe, fought by bigger states with more sophisticate technique and larger forces. After war was protracted, states needed a mass mobilization. Accordingly, the ideas of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began to emerge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On the side of tactics, I analyzed a famous battle of Cheng-pu(城?) in 632 B.C. The mousetrap paly at Cheng-pu, to feign a rout on one wing while the center holds, and so to induce the foe to rush in and be destroyed by the other wing from the flank, is surely a classic. But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expensive war chariot has declined in importance, and infantry became the main arm. As the Sun-tzu makes plain, violence is only one part of warfare and not even the preferred part. The aim of war induce his compliance. The most economical means is the best. This stress on gaining victory without fighting is not a utopian fancy but part of the larger view that seeks maintain the established order without the use of violence. Although Sun-tzu presents the thoughts of `mougong(謀攻)`, `guidao(詭道)`, and `yongzhong(用衆)`, but it is still lack of explanations of justification for the war, attitude toward unification, and a measure to enrich and strengthen a count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노사카 아키유키 문학에 있어서의 `오키나와편 전쟁동화` 연구 : 『바다거북이와 소년』 및 『돌라디오』를 중심으로

        김명주 ( Kim Myung-ju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翰林日本學 Vol.0 No.29

        최근 들어 노사카 아키유키의 전쟁서사에 대해 논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전쟁관의 애매함을 비판하는 것이다. 본고는 그 논의의 맥락 속에서, 2000년 이후, 오키나와전을 소재로 창작된 전쟁동화 『바다거북이와 소년』(2001), 『돌라디오』(2010) 2편을 대상으로 노년의 노사카의 전쟁관이 어떻게 수정되어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바다거북이와 소년』에서는 바다거북이의 관점을 획득하여 오키나와의 자연성, 영속성을 그리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 대해 `귀축(鬼畜)`을 반복적으로 구사함으로써 반미 감정을 극대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 오키나와에서 개최된 G7 정상회담을 계기로 오키나와 미군기지 문제 등을 염두에 두고 창작된 것으로 보인다. 『돌라디오』에서는 오키나와 방언이나 모티프를 다용함으로써 류큐왕국으로서의 전통성을 부각시키고, 특히 게르마늄라디오를 라이트 모티프로 일본과 오키나와간의 언어적 격절성을 그리고 있다. 일본을 `대일본제국` `야마토`로 반복하여 구사함으로써 일본과 오키나와의 근원적인 거리를 획정하고 배반성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이다. 이는 당시 이슈가 되었던 미일 간의 핵반입 사건을 염두에 두고 창작된 것으로 분석된다. 노사카의 전쟁서사는 대부분 미일간의 정치적 현안이 배경이 되고 있지만, 2010년 전후로 일본인의 내부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차츰 외부적 관점으로 수정되면서 객관적인 시각을 획득하고 있다. Recently, discussions on Akiyuki Nosaka`s war epics have continued, most of those criticize his obscure view of war.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examines how Nosaka revised his view of war in the years after 2000, focusing on two war fairy tales based on the battle of Okinawa―The Sea Turtle and the Boy (2001) and The Stone Radio (2010). The Sea Turtle and the Boy depicts the naturality and perpetuality of Okinawa, through the sea turtle`s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novel repeatedly refers to America as `savage`, thereby resulting in maximization of anti-American sentiment. Analysis reveals that Nosaka, motivated by the G7 summit held in Okinawa in 2000, wrote this story in consideration of the US military base issues in Okinawa. The Stone Radio takes the Okinawan vernacular language or motives in order to bring the traditionality of the Rhykyu Kingdom into focus. For example, the leitmotif of a germanium radio represents the linguistic severance between Japan and Okinawa. Repeated reference to Japan as `The Great Japanese Empire` and `The Yamato` demarcates the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Japan and Okinawa focusing on its treachery. It is analyzed that the novel was written based on the Okinawa Reversion Agreement which brought attention at the time. In conclusion, Nosaka`s war epics have always been set around the political issues between Japan and the U.S. It is found that his works have gained an objective perspective around 2010 after gradually deviating from the Japanese insider`s point of view to the outsid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창조계로의 참여”모티브에 근거한 헤르만 바빙크의 전쟁관

        박재은 ( Jae Eun Park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29 No.-

        바빙크는 많은 부분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논지를 공유하고, 적어도 도덕성과 정의를 말하는 지점에서만큼은 부분적으로 그로티우스와 비슷한 논조 가운데서 자신의 전쟁관을 전개해나간다. 다시 말하면, 전통적인 인물들과 같이 바빙크도 만약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만족된다면 전쟁은 수행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첫째, 보다 높은 원리들을 수호하기 위해서는 전쟁의 가능성을 열어두었고 (to defend “higher principles”), 둘째, 전쟁은 반드시 정의가 유지되기 위해서만 필요하며 (to maintain “justice”), 마지막으로, 전쟁은 최후의 수단과 방법이 되어야 한다 (as a “last resort”). 이러한 정당한 전쟁의 조건들은 어거스틴이나 아퀴나스의 논지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바빙크의 궁극적인 관심은 전통적인 정당 전쟁론을 단순히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만의 독특한 시각과 모티브를 가지고 전쟁을 바라봄에 있다. 바빙크가 살았던 그 당시의 역사적인 문맥 속에서 제대로 이해되어질 수 있는“창조계로의 참여”라는 모티브가 바로 그것이다. 이 모티브를 통해서, 바빙크는 1차 세계대전이라는 정당치 못한 전쟁에 기독교인들이 참여해야 하는가 아닌가라는 질문에 대한 바른 대답을 주기를 원했다. 즉, 1차 세계대전의 포화 속에서“창조계로의 참여”라는 모티브를 통해서 바빙크는 전쟁에 대한 사변적인 관점을 배제하고 보다 더 실천적이고 실제적인 관점을 주고자 노력했다. 바빙크의 이러한 모티브는 전통적인 전쟁에 대한 관점을 특유의 신칼빈주의적 맥락 하에서 실천적으로 독특하게 풀어나가는 열쇠이다. Herman Bavinck deals with war in the Christian tradition in a similar vein of Augustine, Aquinas, and Grotius. In other words, as they do, Bavinck also holds that war may be waged (1) to defend “higher principles;” it must serve (2) “to maintain justice;” and one may only turn to it (3) “as a last resort.” This continuity with church tradition plays a core role in building the basic structure of Bavinck`s perspective on war. However, Bavinck`s ultimate concern is not merely to follow this traditional line that emphasizes on exploring what is a “just” or “unjust” war, but also, more importantly, to expound fully on his own principle-participating in creation-specifically reflected on the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of his days. Through the theme of “participation in creation,” Bavinck tries to give a right answer for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Christians should participate in the specific “unjust” war which is filled with injustice and immorality, namely, the First World War. In this sense, through this theme, a somewhat speculative perspective on war presented in the traditional line which Bavinck also shares can be crystalized into a much more practical attitude toward war. In this regard, Bavinck`s theme of “participation in creation” recreates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war as the unique practical way along with his neo-Calvinistic back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