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특성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병우 한국취업진로학회 2013 취업진로연구 Vol.3 No.2

        최근 경기불황에 따른 급격한 사회변화와 직업관의 변화는 전공과 직업선택의 변화를 가져왔다. 대 학에서는 전공과 직업선택의 변화에 따라 학과간의 희비가 교차되고, 직업선택이 힘든 전공들을 중심 으로 학과 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변화하고 복잡해진 노동시장의 환경하에서 청년층은 자신이 중요시 하는 직업선택요인에 기초하여 여러 직업대안 중 가장 적합한 직업을 찾으려 노력하고 취업하 고자 하지만 많은 심리적 갈등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취업재수생, 청년실업자, 고학력 실업자라는 실업자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대학생들로 하여금 올바른 직업선택과 청년실업률을 낮추 기 위해서 대학생들에 대한 입학 전 전공선택동기에 따른 직업선택요인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한 동기에 대해 조사하고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3. 10. 10-10. 21까지 2주간에 걸쳐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총 295부가 회 수되어 98%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누락된 응답이 많은 경우와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설문지 276 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가설은 3개의 큰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가설1.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입학 전 전공선택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직업선택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는 직업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에 따른 전공선택동기에서 성별, 학년에서는 기각되었고 전공계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전 공선택 평균값을 보면 예체능 계열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선택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인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전공계열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 적성 및 흥미, 전공일치성, 직업장래성, 직업경제성 등의 모든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선택요인 에는 차이가 있으며, 전공선택요인은 직업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With the recent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and depression, the youth unemployment is all time high and youths are in deep troubles and agony from difficulties of getting employed due to unstable employment environment. Also,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and a vocation is getting more complex from the specializing, diversifying, and segmenting vocation market. At this point,determining the academic major and the vocation path is the most important step of becoming a desirable member of society. Although determining the academic major and the vocation path is a significant step of one‘s planning of life, in reality, motivation for majors by students before the admission is based on their grades or by their admission to different universities because of the education system of the country. Actually,many university students of South Korea choose their majors based on their grades or influences of significant other. Such inappropriate choice of major continues on to create maladjustment of the major, and may continue to an unwise choice of vocation path that is not appropriate for oneself in the future. Thus, this study would like to analyze how personal or social motivation for major choice effect vocation path choice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helping individual student choose an appropriate vocation path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chosen major, understanding of one’s aptitude, and on his or her interests and abilities. This study targets total of 296 students of 4year university program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nd SPSSWIN12.0 program. as been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measure, independent samplet-test,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motivation for major choice depending on students’ individual traits, the motivation for major choice were divided into personal and social motives. From the result, the academic depart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motives, and a high mean value was observed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s. Differences caused by the academic year and gender were unobserved, and this has been recognized to stem from the fact that the significance of recognition of gender difference has been mostly dissolved with the start of the science and in formation age

      • KCI등재

        미용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최혜령(Hye Ryoung Choi),유민정(Mim Jeong R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미용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에 맞는 전공지도와 취업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직업선택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총 31일간 응답한 총 260부 중 훼손된 6부를 제외한 254부를 최종 표본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개인적 비전과 경제적 안정, 직업선택요인 하위요인 직업 장래성, 적성 및 흥미, 직업 경제성으로 구성하여 각 요인들의 타당성을 검정하였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전공학생의 직업선택요인 중 직업 장래성에 있어서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비전, 경제적 안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직업선택요인 중 적성 및 흥미에 있어서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비전, 경제적 안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직업선택요인 중 직업 경제성에 있어서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비전, 경제적 안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용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개인적 비전과 경제적 안정이 직업선택요인에 중요한 영향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major guidance and employment guid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motives for choosing a major on job selection factors for beauty majors, and to help students choose a job.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54 copies, excluding 6 damaged copies, were empirically analyzed as the final sample out of a total of 260 copies responded for a total of 31 days from March 1 to March 31, 2022. Sub-factors of motivation for choosing a beauty major were composed of sub-factors of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occupational selection factors, and sub-factors of job prospects, aptitude and interest, and job economics, and the validity of each factor was verified and correl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for each sub-factor of the motive for choosing a beauty major are important factors in career prospect among career selection factors. In terms of aptitude and interest, it can be seen that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for each sub-factor of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beauty major are important factors. When it comes to job economics,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for each sub-factor of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beauty major are important factors as wel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confirming that the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of the cosmetic major's motive for choosing a major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job selection factors.

      • KCI등재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어윤경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5

        In the present study, I verified if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is affected in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and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The objects of study were 2,833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erally,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level of inner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At the same time it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and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lso,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But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no longer showed any regulating effect between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and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The use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ation will enable the establishment of suggestions not only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but also on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can increase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ation effectively. 본 연구는 대학 입학후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청소년기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진로상담 활동과 입학과정에서 전공을 선택한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문제로 진로상담 만족도가 대학 진학시 전공선택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아울러 진로상담 만족도가 대학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 전공만족도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때 진로상담 만족도와 대학 전공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청소년 패널자료(KYPS)의 6차년도 대학생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전공선택 요인, 대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상담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진로상담 만족도가 진로선택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변인 간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전공선택 요인이 대학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만족스러운 진로상담을 많이 경험할수록 내적인 선택요인에 의해 전공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 입학후에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선택 과정에서도 외적인 선택요인보다 내적인 선택요인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청소년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내실있는 진로상담 활동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만족스러운 진로상담 경험은 결국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력과 전반적인 진로성숙 수준을 높여 졸업 후의 진로설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이명희,아영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청소년상담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s' satisfaction on the influence of majors of maj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career choice facto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Busan, and analyzed 196 cop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majors' motivation influenced majors' satisfaction, but motivation to select majors did not affect majors' satisfaction. Second,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selecting majors influenced the interest aptitude, job economics, and job prospects among the sub factors of career choice, and external motivation to select majors influenced all of the sub - factors of career choice: interest aptitude, major consensus, job economy, and career prospects. Third, majo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 - factors of career choice.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majors were found in relation to intrinsic majors selection motivation, interest aptitude, major consensus, and career prospects. However, it did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choice factors. In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the method of intervention in career choice was presented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majors and majors'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후 196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로는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직업선택의 하위요인 중 흥미적성, 직업경제성, 직업장래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직업선택의 모든 하위요인 즉, 흥미적성, 전공일치성, 직업경제성과 직업장래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전공만족도는 직업선택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흥미적성, 전공일치성, 직업장래성과의 관계에서 나타났으며,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 관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도를 통해 직업선택에서의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울지역 대학생 및 졸업생이 인식하는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전공변경 의도 및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관계

        최민아,김지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의 최초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이후 전공 변경 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추가로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시 거주 남녀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총 설문지 310부 중 응답 누락이 있거나 동일 응답을 반복하는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하고 299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은 전공 만족, 전공 몰입, 전공 변경 의도에 유의미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 선택 결정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이나 장래성 요인이 높아질수록 불필요하고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긍정적 심리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전공 만족과 전공 몰입은 전공 변경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과전공 변경 의도 사이에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궁극적으로 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효과와 연관됨을 추론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실제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공에 대한 만족 및 몰입 수준을 높이고 전공변경 의도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핵심 변수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전공 및 진로, 미래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학술적시사점이 있다. 둘째, 최근 대학입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우수 인재 유치 전략의 필요성과 대학 경쟁력 및 경제성 제고를 위해소속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실무적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찰학전공 선택에 관한 연구 : 정보취득 경로 및 선택 요인이 미치는 영향

        박상진,이재영 치안정책연구소 2011 치안정책연구 Vol.25 No.1

        This study examined that what kind of routes students used to acquire informations about their major on choice of their major, what kind of major choice factors was the most affected, and how these choice factors also influenced to the major satisfaction, learning preference. To implement a positive analysis, from September 5 to 30, 2010, 800 students majoring in Police Science in 15 universities/colleges that had established Police Science, were surveyed. Five principal findings were emerged from this study. First, the main route that student acquired information on their major was the media like a TV or internet. However, relatively,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the guide book and orientation of university is more less than the media. Second, aptitude and capacity recorded high score as a major choice factor. A opportunity of job acquisition is the next. Third, Male's mean is more higher than female's on considering aptitude and capacity, opportunity of job acquisition, job of parents or relatives, awareness of university/college, fame of professor, when they choose majoring in Police Science, and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Forth, students who considered aptitude and capacity opportunity of job acquisition were likely to be high in major satisfaction. In the contrast, students who considered awareness of university had lower major satisfaction than the former Lastly, students considered the aptitude, capacity and opportunity of job acquisition, when they choose their major, the learning preference is higher than the others. It was also presented that students considered an awareness of professor or a construction of major program, when they choose their major, had more a learning preference. 이 연구는 경찰학전공 관련학과의 홍보 및 차별화된 교육서비스를 개발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를제공하기 위하여 전공관련 정보취득 경로 및 전공선택 요인을 분석하고 또한 전공선택 요인이 전공만족과 학습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증적인분석을 위하여 2010년 9월 5일부터 30일까지 전국의 대학교 중 경찰학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15개교의 경찰학전공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경찰학전공 관련정보의취득경로는 TV나 인터넷 같은 매스컴을 통하여 취득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의 안내책자나 학과설명회는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찰학전공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가장 높은점수를 나타낸 것은 개인의 적성과 능력이며 졸업 후직업획득 기회가 그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경찰학전공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남학생은적성과 능력, 졸업 후 직업획득 기회의 고려, 부모및 친척의 직업, 대학의 지명도, 대학교수의 명성,대학의 우수한 교육시설 및 원하는 전공프로그램을여학생보다 더욱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선택요인 가운데 적성과 능력, 직업획득의 기회를 고려한 학생일수록 전공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전공선택시에 대학의 지명도를고려하거나 대학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한 학생일수록전공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선택시에 적성과 능력 및 졸업 후직업획득의 기회를 고려한 학생일수록 학습에 대한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선택시에 대학교수의 명성이나 원하는 전공프로그램의 구성을 고려한 학생일수록 학습에 대한 선호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선택 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전공계열별 차이 연구 - 지방 전문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은경 ( Eun-kyung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대학의 소그룹 단위 고객 특성을 고려한 홍보전략 방안수립을 위하여 2015년 지방소재의 C전문대학에 입학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개인 배경, 대학정보 지각매체, 대학특성 변인, 대학생활만족 변인이 대학선택의 확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전공계열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계획되었다. 연구 결과 전공계열에 관계없이 대학생활 만족변인의 교육요인이 대학선택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경우 자신이 선택한 대학의 대외평판과 부모의 지지가 대학선택확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연보건계열의 경우 수시전형지원자와 진학 후 대학생활 만족 변인에서 관계요인이 대학선택확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계열과 예체능 계열 신입생의 경우에도 대학 진학후 대학의 지원요인과 관계요인 등 대학생활 만족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대학 선택 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각 계열전공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대학은 신입생은 물론 재학생들에게 대학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인지시켜 신뢰감을 높이고 대학선택과정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요인과 대학입학 후 등록유지를 결정하는 행위(대학선택)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각 전공계열별 신입생들이 대학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인식한 대학의 선택요소와 진학 후 대학생활을 통한 대학선택확신요인에 차이를 분석하여 소그룹 단위 고객의 특성을 고려한 대학홍보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establish public relations strategies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small group of customers, we take the factor analysis on how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media perception of college information, the factors of college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have influence on the college choice of confidence by major fields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college selection for the freshmen of a C local college in 2015. We find that the education factor of college life satisfaction``s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choice of confidence for all majors. For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tudents, college reputation and parents`` support gi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choice of confidence.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natural and health studies regard the relationship factors in college life as a main factor. In case of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tudents also appear to be affected by college support and relationship factors in college life. Therefore, we recognize that there are the differences on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choice of confidence by majority fields.

      • KCI등재

        음악과 경영학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요인 및 교과과정의 진로 적합도 비교분석

        정환호,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ived factors that the influenced career choice and curriculum applicability toward the actual filed after graduation between music and business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n=178). The music majors indicated that they chose music as the college major because of their affection for music while job achievement and income were perceived as the least influential factors impacting their career choices. On the other hand, the business majors pointed out that job achievement and incom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mpacting the their career choices. Regarding their occupational expectation for the future career, there was a gap between music and business majors in that music majors rated curriculum applicability relatively low compared to business majors. This result indicated that colleges of music need to revise current curriculum for music major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career.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music majors and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음악전공 재학생과 경영전공 재학생을 대상(n=178)으로 이들의 전공 선택 요인과 현재 공부하고 있는 대학의 교과과정에 따른 진로와의 적합성을 비교 조사하여, 음악대학과 음악전공자들에게 교과과정 개발 및 졸업 후 진로지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음악이 좋아서(흥미), 타고난 음악적 재능 등의 내적요인들에 의해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과 진로의 보장, 수입의 보장 등 현실적 직업요인들은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학 전공자들은 취업과 진로의 보장이 가장 큰 선택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실제 전공 선택에 있어서는 음악전공자들이 보다 큰 진로 장벽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진로의 문제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과정 진로 적합도는 경영학 전공이 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규직 가능성 역시 경영학 전공자가 높게 나타났으나, 음악전공생들에게도 연주가 아닌 다른 분야의 직업적 수요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들에 대한 이해와 진로교육의 실천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교육의 새로운 지평 탐색: 변혁의 시대 속에서 관광 분야의 전공선택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대한 통찰

        한진석,김규미 (재) 인천연구원 2024 도시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향후 국내 관광산업의 성장을 위한 기초가 될 잠재 인력들(관광관련 전공자)이 전공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본인의 의지 및 특성 등 어떤 요소가 반영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전공선택요인이 전공만족, 전공몰입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년제와 4년제 대학에서 관광 관련 전공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10월 10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되었고, 유효한 설문지 32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22와 AMOS v.22를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산출,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공선택요인은 전공만족, 전공몰입,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전공만족은 전공몰입과 진로결정효능감에, 전공몰입은 진로결정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관광 관련 전공 실무진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관련 연구의 확장및 이론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such as will and characteristics that are reflected when selecting a tourism major for tourism-related students, who will become the basis for the future growth of the domestic tourism industry, and to understand how major selection factors affect major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at two- and four-year universities from October 10, 2023, to October 20, 2023, and 328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2 and AMOS v.22.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calculation,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Consequently, major selection factors were found to be antecedent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Additionally, majo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jor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while major immer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ourism-related majors and discuss the expansion of related research and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성격5요인, 대학전공선택요인 및 대학생활적응의 종단적 관계 연구

        권은진(Kwon Eun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하여 중요한 개인특성 변인인 성 격5요인 및 전공선택요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패널(KEEP) 5차(2008년), 7차(2010년), 9차(2012년) 자료를 이용 하여 선형혼합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의 높고 낮 은 집단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신경증과 개방성은 높 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시간이 지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대학생활적응과 전공선택요인의 관계를 자율적 전공선택유형집단(자신의 적성, 직업과의 관련성)과 의존적 전공선택유형 집단(성적, 가정형편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의존적 전공선택유형집단의 대학생활적응은 자율적 전공선택유형 집 단에 비해 초기값은 유의미하게 낮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교육적이고 실제적인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Big 5 personalty which is important individual characteristic construct in college adjustment, major choice factors such as individuals’ interest, aptitude and school achievement and colleg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we used 5th, 7th, and 9th KEEP data and conducted Linear Mixed Effects Regression(LME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Neuroticism and Openness are related with college adjustment. The intercept of high neuroticism group is higher than low neuroticism group and slope of high neuroticism group are lower than low neuroticism group. In openness, the slop of high openness group is lower than high openness group. Then we tested the relationship of major choice factor and college adjustment To clarify the effect of major choice factor on college adjustment, we divided the responses into two groups. We consider the individual’s aptitude,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the relatedness with job they want as automatic major choice type group, and social reputation of major, school achievement, University‘s advertisement, family circumstance as dependent major choice type group. As a result, college adjustment of dependent major choice type group i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ntercept and is significantly higher in slope than automatic major choice type group.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