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저장강박행동의 재개념화와 이에 따른 반응에 관한 연구

        이은경 ( Lee Eun Kyoung ),전중옥 ( Jeon Jung Ok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저장강박행동의 본질적 특성에 기초하여 저장강박행동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보유 및 획득측면을 모두 고려한 저장강박행동의 측정항목을 실증적으로 개발하는 한편, 재개념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장강박행동이 관련되는 후속적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정성조사를 수행하여 저장강박행동의 주요 개념을 도출하였다. 질적 검증의 결과, 저장강박행동 성향을 설명할 수 있는 20개의 항목을 도출하고 이들 항목을 처분 부조화, 감정적 애착, 그리고 획득추구의 3개 요인으로 체계화하였다. 또한 도출된 저장강박행동 측정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결과, 저장강박행동은 3개 요인과 11개의 항목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저장강박행동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를 확인하고, 저장강박행동의 완화적 수단으로 보상유형의 역할과 행태적 측면에서 보유행태에 따른 상대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설 1의 검증 결과, 저장강박행동의 정도가 높은 소비자는 낮은 소비자에 비해 이타적 처분이 낮게 나타났으며 강박구매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가설 2의 검증 결과, 저장강박행동의 정도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 소유물 처분을 통해 사회적 보상을 얻는 것이 개인적 보상을 얻는 것에 비해 이타적 처분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강박구매는 더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저장강박행동의 정도가 낮은 소비자의 경우 보상유형에 따른 반응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설 3의 검증 결과, 저장강박행동의 정도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 선별적 저장강박 행태를 보일수록 이타적 처분이 더 낮게 나타났으며 강박구매는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반면 저장강박행동의 정도가 낮은 소비자의 경우 보유행태에 따른 반응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reestablishing compulsive hoarding behavior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lsive hoarding behavior and consumer responses and defining roles of reward type and hoarding patter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phas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derive the main concepts of compulsive hoarding behavior. Through qualitative validation, it was confirmed that compulsive hoarding behavior consisted of 3 factors, namely, disposal dissonance, emotional attachment, and pursuit of acquisition, and 20 items. By valid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we confirmed that compulsive hoarding behavior consists of 3 factors and 11 items. In the second phase, we observed the influence of compulsive hoarding behavior on consumer responses and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ward type as a mitigation method of compulsive hoarding behavior and hoarding pattern in the behavioral dimension. As a result,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1 confirmed that consumers with high compulsive hoarding showed lower altruistic disposal and higher compulsive buying compared to consumers with low compulsive hoarding.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2 showed that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high compulsive hoarding, gaining social reward from disposing possessions led to higher altruistic disposal and lower compulsive buying compared to when personal reward was to be gained.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low compulsive hoard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s according to the reward type.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3 showed that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high compulsive hoarding, higher selective hoarding behavior resulted in lower altruistic disposal and higher compulsive buying.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low compulsive hoard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s according to the hoarding patter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valuabl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지하 열저장 공동의 종횡비와 저장용량에 따른 열성층화 및 열손실

        박도현(Dohyun Park),류동우(Dong-Woo Ryu),최병희(Byung-Hee Choi),선우춘(Choon Sunwoo),한공창(Kong-Chang Han) 한국암반공학회 2013 터널과지하공간 Vol.23 No.4

        열저장소 내 열성층화는 에너지저장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수요 발생시 더 많은 유효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저장소의 종횡비(폭에 대한 높이의 비)와 크기에 따라 열성층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열수 저장을 위한 암반공동의 종횡비와 저장용량이 저장공동 내 열성층화와 외부로의 열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산유체역학 코드인 FLUENT를 이용하여 암반공동의 종횡비와 저장용량에 따른 열전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성층도 정량화 지수를 이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열성층화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저장공동 외부로의 열손실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공동 내 열성층화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종횡비 3-4 이상부터는 이러한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장용량이 작은 암반공동에 비해 용량이 큰 암반공동에서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열성층화가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종횡비 증가에 따라 저장용량이 다른 공동들간의 성층화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암반공동의 종횡비가 커질수록 공동의 표면적이 늘어나 종횡비의 증가에 따라 주변 암반으로의 열손실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위 저장용량을 줄여 소규모 다중공동을 적용하는 경우, 총 저장용량이 동일한 단일공동에 비해 전체 열손실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rmal stratification in heat stores is essential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ergy storage systems and deliver more useful energy on demand. It is generally well known that the degree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heat stores varies depending on the aspect ratio (the height-to-width ratio) and size of the store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spect ratio and storage volume of rock caverns for storing hot water on thermal stratification in the caverns and heat loss to the surroundings. Heat transfer simulations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de, FLUENT were performed at different aspect ratios and storage volumes of rock caverns. The variation of thermal stratification with respect to time was examined using an index to quantify the degree of stratification, and the heat loss to the surroundings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simulations demonstrated that the thermal stratification in rock caverns was improved by increasing the aspect ratio, but this effect was not remarkable beyond an aspect ratio of 3-4. When the storage volume of rock caverns was large, a higher thermal stratification was maintained for a relatively longer time compared to caverns with a small storage volume, but the difference in thermal stratification between the two cases tended to decrease as the aspect ratio became larger. In addition,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heat loss to the surrounding rock tended to increase with an increase in aspect ratio because the surface area of rock caverns increased as the aspect ratio became larger. The total heat loss from multiple small caverns with a reduced storage volume per cavern was larger compared to a single cavern with the same total storage volume as that of the multiple caverns.

      • CA저장 컨테이너의 품질예측시스템 개발

        박석호 ( Seokho Park ),박천완 ( Cheonwan Park ),박종우 ( Jongwoo Park ),최동수 ( Dongsoo Choi ),김진세 ( Jinse Kim ),김용훈 ( Yonghun Kim ),최승렬 ( Seungryul Choi ),이수장 ( Suja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CA저장고에 저장 된 사과의 호흡률을 이용하여 저장기한, 경도 및 산도를 예측할수 있는 모델식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사과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사과의 수분감소율을 기준으로 사과의 품질을 판단하였으며, 사과의 수분감소율이 7% 되는 시점을 사과의 최대 저장가능일수로 결정하였다. CA저장고의 저장일수와 사과의 호흡률과의 관계식으로부터 호흡률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저장시점에서의 저장일수를 예측하였다. CA저장고에서 사과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기한은 최대 저장가능일수에서 저장일수를 뺀 값으로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저장기한은 줄어들게 된다. 경도와 산도는 각각의 저장시간과의 관계식으로부터 저장일수를 변수로 하여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예측한 사과의 수분감소율은 실제로 CA저장고에 저장한 사과의 수분감소율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사과의 저장기한은 실제로 CA저장고를 이용하여 후지 사과 5톤을 약 9개월간 저장했을 때 호흡률과 저장일수와의 관계식으로 예측한 값이기 때문에 상관계수가 0.9322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도와 산도 예측값은 9개월 동안 CA저장한 사과에서 경도와 산도의 변화가 매우 적게 나타났기 때문에 상관계수는 각각 0.3506 및 0.3144로 매우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경도와 산도는 CA저장고를 이용하는 수요자가 대략의 경도와 산도를 예측할 수가있고, 앞으로 CA저장고에 저장될 경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한다면 더욱 정밀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예측식은 전국에 보급되고 있는 CA저장고 품질예측시스템에 접목시켜 실시간으로 저장기한, 경도, 산도값을 예측하고, CA저장고 내부의 기체 환경이 적정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위험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CA저장고를 처음 이용하는 이용자의 불안감을 해소시켜 우리나라 CA저장고 보급을 촉진시키는데 이용할 계획이다.

      • 정유·저장시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과세타당성 검토: 전남 여수시를 중심으로

        이준기,신미정 한국지방세연구원 2019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2019 No.25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불경제의 사회적 비용 보전 및 해결을 위해 지역자원시설 세 과세대상을 정유ㆍ저장시설로의 확대를 논의하는 것임. - 지역 내 정유ㆍ저장시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살펴보고자 함. □ 주요내용 ○ 정유ㆍ저장시설은 환경오염과 교통혼잡 등의 외부불경제를 유발하고 있음. - 정유ㆍ저장시설은 지역주민에게 환경오염, 혼잡, 소음 등의 직간접적인 형태의 부정적 외 부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잠재적인 사고위험의 가능성도 가지고 있음. ○ 외부불경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정확한 추산은 한계가 있음. - 이민정 외(2017)의 연구에서 정유ㆍ저장시설 및 석유화학단지에서 유발하는 대기오염, 온실가스 및 교통혼잡의 사회적 비용은 연간 약 1조 2,544억원으로 추정되었음. ○ 미국의 연방정부와 개별 주(State)에서는 정유ㆍ저장시설 등에서 기름 유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한 대응과 환경복구를 위하여 정유ㆍ저장시설 운영자 또는 석유제품 수입업자 등에게 세금 또는 수수료 등을 부과하고 있음. - 미국 연방정부,캘리포니아 주, 워싱턴 주, 뉴저지 주 등에서 주로 정유저장시설 운영자와 석유제품 수입업자 등에게 세금 또는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음. - 징수된 세금 및 수수료는 기름 유출 방지 및 기름 유출 사고시 신속한 대응과 환경복구를 위한 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특정 기금의 재원으로 사용되고 있음. ○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기름 유출 등의 환경오염과 교통혼잡 등의 외부불경제를 유발하는 정유ㆍ저장시설에 사회적 비용의 보전을 위한 지역자원시설세 부과는 타 당한 것으로 판단됨. - 지역자원시설세는 외부불경제를 유발하는 원인자에게 비용의 일부를 부담시키는 원인자부담원칙을 충족시킴. - 현재 석유류에 부과되는 조세와 부담금 등은 지역자원시설세의 부과목적 및 대상과 상이 하며, 이중과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음. ㆍ 여수시의 경우, 송유관 및 화재위험시설에 대한 특정부동산분 지역자원시설세가 부과되어 징수되고 있으나, 정유ㆍ저장시설에서 생산되는 유류에는 지역자원시설세가 부과되고 있지 않으며, 이중과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음. - 정유ㆍ저장시설의 납세협력비용 부담은 낮을 것으로 판단됨. - 정유ㆍ저장시설에 지역자원시설세가 부과되더라도 각 정유사의 조세부담은 크지 않아 조세저항이 유발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되나, 조세부담은 제품원가에 반영되어 소비자에게 부담될 가능성이 높음. □ 정책제언 ○ 특정자원분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대상의 정유ㆍ저장시설로의 확대는 타당한 것으로 판단됨. -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는 지역의 환경보호 및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운용에도 도움이 될 것임. - 지역자원시설세의 도입으로 여수시는 약 472억원의 추가세수(2016년 기준)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됨. ○ 해외의 경우, 환경보호를 위한 과세는 점점 증가 및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 KCI등재

        암반공동 열에너지저장과 지상식 열에너지저장의 열손실 비교 분석

        박정욱(Jung-Wook Park),류동우(Dongwoo Ryu),박도현(Dohyun Park),최병희(Byung-Hee Choi),신중호(Joong-Ho Synn),선우춘(Choon Sunwoo) 한국암반공학회 2013 터널과지하공간 Vol.23 No.5

        본 연구에서는 FLAC3D를 이용해 대용량 고온 열에너지저장소가 암반공동과 지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각각 모델링하고 운영기간 5년 동안의 비정상상태해석을 수행하여 저장소 외벽을 통한 열손실을 비교 · 분석하였다. 두 저장모델의 운영 조건 및 입력물성은 모두 동일하나, 암반공동 열에너지저장소는 주변 암반의 전도 열전달에 의해서만 열손실이 발생하고, 지상 저장소는 대기의 대류 열전달에 의해서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열에너지의 반복적인 주입과 토출에 따른 저장온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수치해석모델을 작성하였으며, 단열재 두께에 따른 열손실 특성을 함께 검토하였다. 해석 결과, 지상식 저장시설은 운영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일정한 열손실률을 보이는 반면 암반공동 저장시설의 열손실률은 운영 초기 단계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열손실의 감소는 시간 경과에 따라 주변 암반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저장소외벽에서의 열유속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운영 후 5년 경과 시 암반공동 열에너지저장소의 누적열 손실량은 지상저장소에 비해 약 72.7%로 나타났으며, 암반공동 저장시설의 열손실 특성은 주변 암반의 히팅 효과로 인해 지상식 저장시설에 비해 단열재 두께에 대한 민감도 및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 large-scale high-temperature thermal energy storage(TES) was numerically modeled and the heat loss through storage tank walls was analyzed using a commercial code, FLAC3D. The operations of rock cavern type and above-ground type thermal energy storages with identical operating condition were simulated for a period of five consecutive years, in which it was assumed that the dominant heat transfer mechanism would be conduction in massive rock for the former and convection in the atmosphere for the latter. The variation of storage temperature resulting from periodic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rmal energy was considered in each simulation, and the effect of insulation thickness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t loss was also examined. A comparison of the simulation results of different storage models presented that the heat loss rate of above-ground type TES was maintained constant over the operation period, while that of rock cavern type TES decreased rapidly in the early operation stage and tended to converge towards a certain value. The decrease in heat loss rate of rock cavern type TES can be attributed to the reduction in heat flux through storage tank walls followed by increase in surrounding rock mass temperature. The amount of cumulative heat loss from rock cavern type TES over a period of five-year operation was 72.7% of that from above-ground type TES. The heat loss rate of rock cavern type obtained in long-period operation showed less sensitive variations to insulation thickness than that of above-ground type TES.

      • KCI등재

        계란의 저장기간, 저장온도 및 암닭의 수정이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석윤오,권정택,Suk Y. O.,Kwon J. T.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312일령 Hy-line Brown 산란종계와 319일령 Hy-line Brown 산란실용계로부터 같은 날에 생산한 계란을 각각 600개씩 수거하여 계란의 저장기간, 저장온도 및 암탉의 수정 유무가 농후난백의 높이, 하우 유니트, 난백의 pH, 난각강도 및 난황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계란을 $3^{\circ}C$ 혹은 $10^{\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고, 계란 생산 하루가 지난 다음부터 24시간 간격으로 계란 형질들을 측정하였다. 농후난백의 높이와 HU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에, 난백의 pH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3^{\circ}C$에서 저장되었던 계란들은 $10^{\circ}C$에서 저장된 계란들보다 HU는 더 높게 나타났던 반면에, 난백의 pH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비수정란은 수정란에 비해서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농후난백의 높이 및 HU는 유의하게(P<0.0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circ}C$에서 저장된 계란들의 난백의 pH는 비수정란이 수정란보다 더 높았으나 (P<0.05), $10^{\circ}C$에서 저장된 계란들의 경우는 수정란과 비수정란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난각의 강도는 수정란이 비수정란보다 두 온도역 모두 유의하게(P<0.05)더 컸었다. 그리고 농후난백의 높이와 난중 상호간에 수정란과 비수정란 모두 고도의 유의한$(P<0.01\~0.001)$ 정(+) 상관관계가 있었고, 농후난백의 높이와 난백의 pH는 부(-)의 상관관계$(P<0.01\~0.001)$가 있었으나, 농후난백의 높이와 난각강도 상호간에는 두 그룹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수정란의 경우 난백의 pH와 난각강도 상호간에 높은 부(-)의 상관관계(P<0.001)가 있었으나, 비수정란의 경우는 이들 형질 상호간에 상관관계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농후난백의 높이 혹은 HU와 같은 계란의 신선도 변화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암탉의 수정 유무보다는 저장기간과 저장온도가 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사료되며, 일반적으로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HU는 증가되는 반면에, 난백의 pH는 반대로 감소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A total of 1,200 eggs obtained from 312-day-old Hy-line Brown laying breeder hens and 319-day-old Hy-line Brown commercial laying hens (600 eggs obtained from each one) at same da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g storage, storage temperature, and insemination of hens on the change of albumen height, Haugh unit(HU), albumen pH, shell strength, and yolk color. Eggs were stored up to 14 days after lay at $3^{\circ}C$ or $10^{\circ}C$ and sampled one day after stored and then 24 hours interval. Longer periods of storage resulted in lower albumen height and HU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but in higher albumen pH. The eggs stored at $3^{\circ}C$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HU and lower in albumen pH than the ones stored at $10^{\circ}C$. The eggs obtained from the non-inseminated-hen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albumen height, HU, and albumen pH than the eggs obtained from the inseminated-hens. Whereas, the eggs obtained from the non-inseminated-hens in the mean albumen pH of eggs stored at $3^{\circ}C$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e ones obtained from the inseminated-hens, but the mean albumen pH of eggs stored at 10^{\circ}C did not differ each other. The mean shell strength of the eggs obtained from the inseminated-hens was significantly (P<0.05) stronger than that of the eggs obtained from the non-inseminated-hens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Albumen height and albumen pH were negatively correlated $(P<0.01\~0.001)$ in both inseminated and non-inseminated-hen's egg groups. The degree of yolk color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overall of the experimental periods in both storage temperature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hange of egg freshness such as albumen height and HU is relatively more associated with storage period and storage temperature than insemination or non-insemination of hens.

      • KCI등재

        $\gamma$-ray 조사에 의한 제주산 양파의 발아 및 성분변화

        박용봉,김재하,김기택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9 No.4

        제주지방에서 양파 저장에 관한 ${\gamma}$-ray 처리와 저장장소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발아율은 저온저장, 상온저장, 동굴저장에 관계없이 무처리 양파는 약 5개월 째부터 발아와 발근이 시작되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으나 8월 상순경에는 0krad에서 동굴에 저장한 것은 50%, 상온에 저장한 것은 2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3krad, 6krad 처리한 것은 6개월까지는 거의 발아하지 않았다. 중량 감소는 발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발아가 시작하기 전 40일 까지는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발아가 시작되면서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저온저장한 것은 부패율이 약 5~10% 내외로 7개월 후에도 식용이 가능하였으나 상온에 저장한 것은 0krad에서 50%정도 부패한 반면 3krad 및 6krad를 조사한 것은 저온저장인 경우 5%, 동굴저장인 경우 30~35%, 상온에 저장한 것은 30% 정도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방사선조사의 다당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는데 동굴저장과 상온저장에서는 저장초기에는 3krad 및 6krad 조사한 것이 0krad 보다 다소 증가했으나 후기로 갈수록 역시 처리한 것이 양은 적으나 0krad보다는 증가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llum속 채소류에 많이 들어있는 유황은 저장장소에 관계없이 0krad에서는 저장후반기로 갈수록 적어졌고 냉장저장한 것은 3krad 및 6krad의 선량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저장초기에는 유황함량이 증가하다가 12월 말경 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For extension of storability, onion bulbs produced in Cheju Island were exposed to ${\gamma}$-ray irradiation at a dosage of 0, 3, or 6Krad and stored in a natural cavern, or in low (2$^{\circ}C$) or ambient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 Sprouting began from approximately five months in storage, regardless of storage condition, and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From early August, sprouting as high as 50% occurred in the natural storage cavern, and 20% in ambient temperature storage when bulbs were treated with 0 krad ${\gamma}$-ray. However, bulbs treated with 3 or 6krad ${\gamma}$-ray did not any sprouting until six months in storage. No significant weight loss was observed in all treatments until sprouting occurred from 40 days after the initiation of storage. Weight loss, however, increased remarkably after 40 days in storage, indicating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sprouting during storage. Bulbs stored at 2$^{\circ}C$ showed 5~10% rot, but were still edible. Percent rot reached to as high as 50% in bulbs unirradiated and stored at ambient temperatures after seven months, while it in irradiated bulbs reached to 5, 33, and 30% at 2$^{\circ}C$, in a natural cavern, and ambient temperatures, respectively. Sugar contents slightly increased in irradiated bulbs in the later storage period under ambient temperatures, while sugar contents in irradiated bulbs in the later storage period under ambient temperatures, while sugar contents in Allium vegetables generally decrease in later storage if unirradiated. Sulfur content slightly increased in irradiated bulbs in the early storage period and decreased gradually in all treatments in the later storage stage.

      • KCI등재후보

        저장 공간과 검색 효율을 위한 XML 문서의 RDB 스키마 모델

        권훈,곽호영,김정희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4

        XML instances for purpose of information exchange are normally stored in the legacy relational database. Therefore, integrations with relational database are required for effective XML applications. To support these requirements, virtual decomposition storage or decomposition storage methods which save separates structures of instances to relational database have researched. However, these storage methods contain different information of schema structure and layers which has caused difficulties to process query during search operation as well as increased overheads due to duplicate savings for separate storag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additional field of "Eltype" has introduced to previous database schema structure to instance and schema structure, provide consistent level information and propose storage structure to map each field to schema field of relational database. As results, XML instance and structures can be stored together to minimize overheads and required storage-space. Also, synchronized storage layer structure provides easier processing of search query. 정보 교환을 위한 XML 인스턴스는 일반적으로 legacy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XML 응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이 요구 되었으며, 이러한 요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인스턴스와 스키마 구조를 분리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가상 분할 저장 또는 분할 저장 방식의 인스턴스 저장 모델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장 방식은 인스턴스 구조와 인스턴스간의 계층 정보가 불일치하여 검색 시 질의 처리를 어렵게 하고 있고, 또한 분리 저장에 따른 중복 데이터들의 존재로 저장 시 오버헤드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저장할 때, 기존 연구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에 Eltype이라는 필드를 추가하여 인스턴스와 스키마의 상이한 계층 정보를 동일화하고, 저장 구조 각각의 필드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필드와 일치되는 저장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XML 인스턴스와 스키마 구조간의 저장이 가능하게 되어 중복 저장에 따른 오버헤드 및 저장 공간 감소, 그리고 동일화된 저장 계층 구조로 인해 검색 질의 처리가 쉬워졌다.

      • 자동창고 시스템의 저장정책별 저장소요공간산정에 관한 연구

        강낙중 경원전문대학 1998 論文集 Vol.20 No.-

        본 논문에서는 저장정책과 저장공간과의 관계를 다루고자 한다. 그런데 기존의 논문들은 저장정책에 무관하게 동일한 창고 용량(rack size)을 가정하고 있으나, 지정위치 저장정책(FULL)의 경우에는 기대이동시간이 과소 평가되고, 임의위치 저장정책(RAN)의 경우에는 기대이동시간이 과대 평가되는 오류가 발생한다. 고창성은 정방형의 랙에 대하여 RAN, C2, FULL 저장정책별로 저장공간을 고려하여 기대이동시간을 산출하였으며, 이산적인 저장공간소요를 연속적 근사에 의해 산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비 정방형의 랙에 대하여, 그리고 C3 저장정책까지를 포함하는 저장공간을 결정함으로써 자동창고의 설계시 저장정책별 저장소요공간을 산출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계란 농후난백의 높이 측정부위에 따른 Albumen Index와 Haugh Unit의 변화

        하정기,김태호,나재천,강보석,하광수,김동혁,이상진 한국가금학회 2002 韓國家禽學會誌 Vol.29 No.3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egg qualify by the height of thick albumen of egg,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The albumen index and Haugh unit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five different storage periods(0, 2, 4, 6, and 10 days), four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TXT>$15^{\circ}C$</TXT> , <TXT>$20^{\circ}C$</TXT> , <TXT>$25^{\circ}C$</TXT> and <TXT>$30^{\circ}C$</TXT> ), and five different Parts(0, 3, 6, 9, and 12 mm) aparted from egg yolk. The albumen index and Haugh unit were as follows: the albumen index of eggs was significantly(P<0.01) different by the storage temperature and by the measuring position of thick albumen of eggs. It means that the albumen index can be differed by the measuring position of thick albumen even if eggs have a same qualify. For measuring egg qualify in this country, it should be announced that which Parts in thick albumen of eggs are measured. The albumen index of fresh eggs was 0.16. However, the index when measured at 3 hour after oviposition was lower than 0.16. Therefore, it indicates that the criterion of 0.06 lower than 0.16 is required to set for considering practical point during the marketing periods of eggs. When the criterion of albumen index puts 0.06, it is as 100%. Therefore, eggs can be kept the same quality for 6, 4 and 2 days when eggs were stored at <TXT>$15^{\circ}C$</TXT> , <TXT>$20^{\circ}C$</TXT> and 25 ~<TXT>$30^{\circ}C$</TXT> , respectively. When the criterion of Haugh unit score puts 79 as 100%, the eggs can be maintained the quality for 6, 4, and 2 days when eggs are stored at <TXT>$15^{\circ}C$</TXT> , <TXT>$20^{\circ}C$</TXT> and 25~<TXT>$30^{\circ}C$</TXT> , respectively. When the criterion of Haugh unit 55 as 100%, the eggs can be maintained the same quality for 10, 8 and 2 days when eggs are stored at <TXT>$15^{\circ}C$</TXT> , <TXT>$20^{\circ}C$</TXT> and 25~<TXT>$30^{\circ}C$</TXT> , respectively.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considered that calculathing egg quality by the height of thick albumin of eggs which was measured at the attachment Parts of thick albumin layer and yolk of eggs was most reasonable and suitable when considering the marketing periods of eggs. 공시란을 15, 20, 25 및 <TXT>$30^{\circ}C$</TXT> 에서 산란 당일(0일), 2, 4, 6, 8 및 10일간의 6단계로 각각 저장하면서 5단계의 농후난백 의 높이 측정 부위별 난황과 난백의 부착부분(0 mm), 난황으로부터 3, 6, 9 및 12 mm 떨어진 부분에서 측정에 따른 난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난질은 각각의 측정부위에서 구한 농후난백의 높이로서 구한 Albumen index와 Haugh unit는 다음과 같다. 공시란의 저장온도별 난백계수는 농후난백층의 측정부위에 따라 상이하였으며(P<0.01), 이것은 난백계수 측정시 동일한 난질이라도 측정 부위에 따라 계수 자체가 아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난질 측정시 필수적인 농후난백의 높이 측정부위를 확정하여 통일되게 고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산란 3시간 후에 측정한 공시란에도 Albumen index의 신선란 기준인 0.16인 난질은 없었다. 이 사실은 우리나라 계란 유통과정 시 현실적인 점을 고려하여 0.16보다 낮은 0.06의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암시한 결과로 사료되었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난백계수의 기준을 0.06로 정하고 이것을 100%으로 기준했을 때, <TXT>$15^{\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6일까지 100%이상, <TXT>$2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4일까지 100% 이상, 25~<TXT>$3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전까지 100% 이상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Haugh unit 의 신선란 기준인 79를 100%으로 기준했을 때, 15$^{\circ}C$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4일까지 100%이상, <TXT>$2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까지 100%이상, 25~<TXT>$3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전까지 100% 이상의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Hauah unit의 신선란 기준을 55를 100%로 정했을 때, <TXT>$15^{\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10일까지 100%, <TXT>$2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8일까지 100%, 25~<TXT>$3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까지 100% 이상의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난황과 농후난백의 부착부분에서 측정한 농후난백의 높이로 난질을 계산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계란 유통과정을 고려했을 때 가장 합리적이고도 적합하다고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