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 항목 간 상이하거나 동일한 세부특징에 대한 저장 요구가 시각작업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대규,현주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4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Visual Working Memroy (VWM) storage efficiency when items with different features are displayed across different positions. In separate-memory condition of Experiment 1, either colored boxes or orientation bars were displayed respectively on either side of the visual fields as memory items whereas the items were all colored boxes or orientations bar in a control condition. Subjects were asked to remember the features of the memory items followed by a brief memory delay. After the delay, test items were displayed and subjects reported presence or absence of a change in either color or orientation across the memory and test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change detection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parate memory condition than the control condition. Also, the difference became more apparent if the set size became larger. In Experiment 2, the items in separate-memory condition were replaced with colored orientation bars (i.e., conjunction items). The change in the test items could occur in either color or orientation dimension, but the side of visual fields for its occurrence was designated exclusively for each features (e.g., left for color vs. right for orientation). In the control condition (i.e., integrate-memory condition), no such constraint was present and either color or orientation change could occur randomly across the sides of visual fiel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change detection performance between separate-memory and the control conditions was greatly reduced, and no differential effect of the setsize manipulation was observed across each condit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weak-object hypothesis where items in VWM are represented flexibly either as a form of well-bound features or of independently-stored discrete features. rather than the strict models according to integrated-object or parallel-independent storage hypothesis. 본 연구는 공간적 위치를 달리하는 둘 이상의 항목에 분산된 서로 다른 시각적 세부특징에 대한 저장 요구가 시각작업기억의 저장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의 분할기억 조건에서는 좌우 시야 중 한 쪽에 특정 세부특징(예: 색상)을 보유한 기억항목이 그리고 반대편 시야에는 다른 세부특징(예: 방위)을 보유한 기억항목들이 제시되었다. 반면, 단일기억 조건에서는 색상 혹은 방위 차원 중 하나로만 구성된 기억항목들이 제시되었다. 두 조건에서 참가자는 개별 기억항목들의 색상과 방위를 기억한 뒤 1초 뒤에 제시되는 검사자극과 비교해 색상 혹은 방위 차원의 변화 유무를 보고하였다. 실험 1의 변화탐지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분할기억 조건의 변화탐지가 전반적으로 더 정확하되, 요구되는 기억항목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이러한 차이는 더욱 커졌다. 실험 2의 분할기억 조건에서는 기억항목을 둘 이상의 세부특징으로 구성하되(예: 색상+방위 막대), 검사항목 출현 시 변화 가능한 세부특징을 좌우 시야에 각각 색상 혹은 방위 차원 중 하나로 지정하였다. 통합기억 조건에서는 좌우 시야 구분 없이 전체 항목 중 무선 선택된 한 항목의 색상 혹은 방위 차원에서 변화가 발생하도록 처치하였다. 그 결과 분할기억 조건에서 평균적으로 정확한 변화탐지 정확도를 관찰했으나 항목개수의 증가에 따른 두 조건 간 현격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통합된 객체 모형이나 병렬-독립 저장 모형보다는 약한 객체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묵지(默識)와 ‘이 문화’(사문(斯文))에 관(關)한 연구(硏究)

        金載京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論語』의 “默而識之”와 “斯文”에 담긴 의미를 문화기억의 틀로써 재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 默而識之의 識와 斯文의 文에 대한 해석은 일차적으로 朱熹와 王夫之의 견해를 따른다. 그들에 의하면 지識는 기억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默識의 지識zhi를 知識의 식識shi으로 보는 견해는 배제되고, 默而識之에서 默을 중시하는 입장과 佛敎의 기억 역시 왕부지에 의해 비판받는다. 이러한 고찰에 따라 聖人의 학문에서 말하는 기억(識)은 ‘事實’을 그 내용으로 담고 있음이 밝혀진다. 그리고 기억과 관련하여 강조되는 배움(學)은 ‘古’로 表象되는 텍스트인 ‘저장기억’을 잠에서 깨어나도록 하는 행위이다. 이런 맥락에서 孔子의 ‘好古’는 배움을 통한 저장기억의 활성화로 정리된다. ‘好古’는 ‘敏求’와 밀착되는데 이는 저장기억의 활성화에 목말라하는 공자의 열망을 반증한다. 또한 ‘損益’이라는 기억의 재구성은 비활성적인 저장기억을 활성화하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공자의 斯文이라는 단어가 文王의 문화가 공자 자신 및 공자와 함께 하는 집단, 즉 ‘우리의 이 문화’라는 의미로 질적 변화를 겪었음을 논증한다. 요컨대 默識와 斯文은 聖人으로 표상되는 道를 기억하여 회복하려는 열망의 현실화 노력이자 그 결실이다. 本論文對《論語》的“默而識之”和“斯文”所含有的意思,在文化記憶(Jan Assmann)和貯藏記憶以及技能記憶(Aleida Assmann)的框架下重新解釋。在本論文裏,對默而識之的“識”和斯文的“文”,首先用朱熹和王夫之的見解進行解釋。根據他們的註釋,“識”可被解釋爲記憶。由此不可接受有些人把默識的“識”解釋爲知識的“識”的見解。還有,在默而識之中重視“默”的見解和佛敎所說的記憶也都被王夫之批評。根据此硏究,圣人學問裏所說的記憶(識)可說是以“事實”作爲此內容。 此外,与記憶有關聯性而被强調的學是把以“古”爲表象的原文卽是“貯藏記憶”從夢中醒過來的行爲。基于此,孔子所說的好古可理解爲通過學習搞活貯藏記憶。好古和敏求緊密相連,這是孔子熱求貯藏記憶活性化的反證。還有,對所謂“損益”卽是記憶的再構成可解釋爲搞活非活性貯藏記憶的過程。最後,本論文還證明孔子的斯文這一詞語的意思經歷了質的變化,文王的文化變爲孔子自己以及拜孔子爲師的一群徒弟,卽是“我們的此文化”的意思。 簡而言之,默識和斯文是爲了讓關于記憶幷恢復以聖人爲表象的“道”的熱望現實化而付出的努力,也是從此取得的結果。

      • KCI등재

        문화기억과 기억융합으로서의 아리랑

        권오경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9 No.-

        Until now, I have researched the way of Arirang consilience with the memorial culture and memorial consilience. At first, I studied about the function and the essentials of Arirang in the point of individual memory, and then I insisted that Arirang be needed as individual culture at first because Arirang is not a local or national song but a personal folk song intuitively. There are four types of changes of Arirang. First, it has changed from individual memory to collective memory. Secondly, it was originally collective memory. Thirdly, it became collective memory artificially. Lastly, it was reconstituted from forgotten memory. And I have researched the successive changing process of Arirang as a song of loss, resistance & overcome, and as culture as of now. In this process, I found that Arirang has changed from individual memory to collective memory. Also the sympathy and change of medium significantly affected the process. On the other side, Arirang has changed from collective memory to individual memory by the contact of genre, interference, and brokenness of genre's frame by the group experience. Also I suggested that in order to create new Arirang culture as cultural consilience we need the memorial consilience. Also the preconditions for the memorial consilience include functional memory, individual memory, stratification of memory, motive of memory, reinforcement of medium, caution for selection of knowledge, consumption patterns, etc. For the memorial consilience, habit-memory(past as present) and imagination of memory(past as future) are needed. And there are three stages for cultural consilience-the stage of remembering, making the memory, and memorial consilience. Typical examples of remember stage is building a museum or recording documents. Arirang festival or contest is related with the second stage-making the memory, and the best example of the third stage-memorial consilience is art consilience. At present Arirang includes not only songs but also culture-poems, movies, plays, items for daily use. Arirang has become a global song that people around the world enjoy and should preserve and transmit. For this reason, fieldwork and study of the Arirang must be restarted basically. Self-activity is also required for creating new Arirang culture. Local governments should preserve and transmit their local Arirang respectively but should not argue that their own local Arirang should represent the whole Arirang. Otherwise, Arirang culture cannot be in harmony, losing the function of social unification. 향토민요는 전승되는 과정에서 적층성과 유동성을 동반한다. 이 과정에서 향유자와 전승자의 기억이 매개되며, 기억의 기능에 따라 소리의 변이가 발생하고, 시대와 매체에 따라 소리의 기능이 달라진다. 민요의 사회적 역할은 담당층의 기억이론으로 접근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민요의 문화융합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아리랑을 중심으로 먼저 살펴보았다. 아리랑은 시대마다, 그리고 소리의 주체에 따라 ‘기억하기’를 되풀이해오면서 개인기억이 집단기억화되기도 하고 집단기억으로서의 아리랑이 개인기억화되기도 하였다. 특히 집단기억으로서의 아리랑은 집단기억하기, 집단기억 만들기, 재구된 집단기억 등으로 다양하게 집단화된다. 한편, 기억의 융합은 곧 과거의 융합을 현재에서 행동하는 것이다. 행동은 깊은 과거의 의식 속에 거의 무의식적, 잠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순수기억을 선별적으로 불러내서 이것을 현실적으로 활동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기억 융합은 곧 문화융합으로 이어진다. 아리랑의 문화융합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습관적 기억화(과거의 현재화)와 기억의 심상화 과정을 설정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은 다시 기억 중심으로 보면, ‘기억하기단계’-‘기억만들기단계’-‘기억융합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문화융합방안을 살펴보았는데, ‘기억하기단계’에서는 박물관건립 혹은 기록화 사업을 대표적 사례로 살펴보았고, ‘기억만들기단계’에서는 아리랑축제나 경연대회를, ‘기억융합단계’에서는 예술융합을 대표적 사례로 삼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선추적을 활용한 청년층과 노년층의 작업기억의 저장 및 처리기능 연구

        최서경(Seokyung Choi),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시선추적을 활용한 복합 작업기억 과제를 통해 노화에 따른 작업기억의 저장 및 처리기능의 손상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청년층 22명(평균연령 21.45세)과 노년층 17명(평균연령 66.94세), 총 39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복합 작업기억 과제의 하위 과제로 저장 과제(단어기억폭 과제)와 처리 과제(문장이해 과제)를 시선추적 패러다임에 맞게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정반응률과 시선고정비율을 사용하였다 결과: 두 과제 모두 노년층의 정반응률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문장복잡성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여 피동문의 정반응률이 능동문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처리 과제의 정반응률에서 집단과 문장복잡성의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여, 피동문에서 연령에 다른 감소폭 차이가 능동문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과제의 시선고정비 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반면, 처리 과제의 시선고정비율에서 노년층의 시선고정비율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고, 피동문의 시선고정비율이 능동문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의 정반응률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이유는 노년층이 감소된 작업기억용량으로 인해 비효율적인 처리를 했기 때문이라고 예상해 볼 수 있다. 작업기억의 처리기능이 저장기능에 비해 노화에 따른 작업기억 용량의 감소를 더욱 민감하게 증명하였으며, 이는 실시간 측정치인 시선고정비율에서도 드러났다. 처리 과제와 저장 과제의 시선고정비율 양상이 다른 것은 작업기억의 저장기능과 처리기능은 개별적인 자원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ge-related decline in the storage and processing components of working memory in dual-tasks (storage trials and processing trials) using eye-tracking. Methods: A total of 39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nty-two participants were in the younger group (age, 21.45± 3.14 years) and 17 were in the elderly group (age, 66.94 ± 3.58 years). Storage items were based on a word span task. Processing items were based on a sentence comprehension task. These two trials were performed concurrently. Participants completed storage and processing trials while their eye movements were recorded using an eye-tracking device. Performance on this task was indexed (%) by scoring correct items, and proportion of fixation duration (PFD) by recording eye movement dat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ess accuracy than the younger group on dual-task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PFD on processing tria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PFD on storage tria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greater age-related decline in processing components in comparison to the storage components of working memor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lderly adults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eye movement working memory tasks, due to a reduction in resources such as working memory capacity. The sentence complexity of processing trials did not affect the storage trials, and this suggests that the storage and processing functions of working memory have individual resources.

      • KCI등재

        현행 압수·수색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보저장매체의 특성을 중심으로

        최용성,곽대훈 한국공안행정학회 201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8 No.3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various information storage media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current search and seizure systems and to propose various ways to improve efficiency of current search and seizure systems regarding information storage media, protect fundamental rights of a person who is executed and the like(owner and the like), and secure legal procedur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earch·seizure regarding various information storage media due to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authority and limit of search·seizure, protect fundamental rights of a person who is executed and the like(owner and the like) and improve efficiency of search·seizure concerning information storage media in「Criminal Procedure Act」 . Accordingly, on July 18, 2011 in「Criminal Procedure Act」 , provisions about scope and method of seizure concerning information storage media and the like (§106➂), and a notification of relevant facts to data subject (§106➃) were newly established. However, despite such efforts, current search and seizure procedures concerning information storage media are executed according to existing provisions about search·seizure except some procedures that newly established provisions are applied such as scope and method of seizure(§106➂), notification to data subject(§106➃) and matters to be written in warrant(§114① proviso) and existing provisions concerning search·seizure do not reflect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torage media such as massiveness, invisibility and unreadableness. This paper presented ways to improve ⑴ search·seizure concerning ‘linking information’ ⑵ search·seizure concerning ‘information order’ ⑶ search·seizure concerning ‘information cooperation’ (4) guarantee of rights to participate in ‘information reproduction’ and (5) return and destruction procedures for ‘reproduction information’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torage media(massiveness, invisibility· unreadableness, expertise) and legislation cases in Japan(seizure after remote access and reproduction: §99②·218②➤⑴, seizure of record order copy: §99-2➤⑵, execution in lieu of seizure of record media concerning electronic record: §110-2➤⑵, request for cooperation: §111-2➤⑶) that can improve ‘efficiency’ of current search·seizure and protect ‘fundamental rights’ of a person who is executed and the like(owner and the like). 본고는, 각종 정보저장매체의 특성과 이에 기한 압수·수색제도의 문제점을살펴보고, 실제로 현행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압수·수색제도의 효율성 제고 및피처분자 등(소유자 등)의 기본권 보호 그리고 적법한 절차를 확보할 수 있는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각종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압수·수색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형사소송법」상에서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압수·수색의 효율성을 제고하면서도 피처분자 등(소유자등)의 기본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그에 관한 압수·수색의 권한과 한계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2011.7.18.「형사소송법」 상에, 정보저장매체 등에 관한 압수의 범위와 방법을 명시하고(§106➂), 그 정보주체에게 해당사실을 알리도록 하는 내용(§106➃)의 정보저장매체 등의 압수에 관한 규정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입법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현행 압수·수색절차는 압수의 범위와 방법(§106➂), 정보주체에 대한 통지(§106➃) 및 영장기재 사항(§114①단서) 등 신설된 규정이 적용되는 몇몇 절차를 제외한 다른 절차는 기존의 압수·수색에 관한 규정에 따라집행되고 있고, 그 압수·수색에 관한 기존의 규정들은 대량성, 비가시성·비가독성 등 정보저장매체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고는, 각종 정보저장매체의 특성(대량성, 비가시성·비가독성, 전문성등)과 일본의입법례(원격접속 및 복사 후 압수: §99②·218②➤⑴, 기록명령부 압수: §99조 의2➤⑵, 전자적 기록과 관련한 기록매체 압수에 갈음하는 처분: §110조의2➤ ⑵, 협력요청: §111조의2➤⑶ 등)를 반영하여, 현행 압수·수색제도의 효율성을제고하면서도 피처분자 등(소유자 등)의 기본권을 보호할 수 있는 ⑴ 연결정보에 대한 압수·수색, ⑵ 정보명령에 대한 압수·수색, ⑶ 정보협력에 대한 압수·수색, ⑷ 정보복제에 대한 참여권 보장, ⑸ 복제정보에 대한 반환 및 폐기절차의 합리적 입법보완을 위한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기억(digital memory)과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

        배대헌(Bae, Daeheon) 한국재산법학회 2012 재산법연구 Vol.29 No.2

        정보사회에서 중요한 사회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개인정보보호다. 최근 들어 소셜 네크워크 서비스(SNS)에 오래전 공개된 개인정보가 블로그나 웹에 그대로 남아 있어 그 당사자를 괴롭히는 일이 적잖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자료가 디지털 매체에 오래 저장되어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이다. 디지털 자료가 지워지지 않고 오랜 동안 저장되는 것은, 인간의 망각(기억) 체계와 관련하여 비교할 때, 인류에게 친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빚어지는 또 다른 사회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의 기억에서 지워진 것들이 디지털 창고에 저장(기억)되어 있어서 관련 당사자를 괴롭히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유럽에서는 소위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를 제안하고 있고, 이는 세계 여러 나라에 소개되어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문제 해결을 위하여 이처럼 과거의 사실을 지우는 것으로 만족할 수 있는가. 이 글은 디지털 기억(저장)으로 개인정보 또는 개인과 관련된 정보가 어떤 개인의 사회적 평판을 나쁘게 만들거나 사회생활을 곤란하게 하는 정보사회의 어두운 면을 조명하고, 그에 대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 개인정보보호라는 관점 외에 나쁜 디지털 평판으로 어려움을 겪는 또 다른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데에 필요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관련내용을 살펴보았다. 이에 관한 국내의 논의는, 외국의 경우와 비교할 때, 아주 부족한 사정에 있다. 이 연구에서 이러한 새로운 분야에 대한 소개와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지만, 후속연구를 통하여 관련 내용의 구체적 논의와 문제해결의 실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ternet cyberspace has become a virtual reservoir where vast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are being continuously stored. Inside this storage, most of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PI) are preserved intact upon being up-loaded by the internet user. Even though most people would have forgotten a certain affair around him/her, Web page(s) never does it. It means that if not to forget is nothing to forgive in digital world. Like that the stupid neither forget nor forgive. At present Facebook has 850 million subscribers. We don't know exactly whether it means permanent evolution or unstable phenomenon. The future expans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such as Facebook is unforeseeable. The repercussion of his/her posting pictures and writings links the PI which revealed in youth ages to the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Occasionally this PI makes him/her entrap undesirable business. The cause of the problem is that Web pages have kept PI being used, irrespective of new or old information. The old posting on Web containing PI could bring some negative impacts into one's life. We can see and confirm the loss of privacy for the PI subject. There are some solutions for this problem; newly European Commission proposed right to be forgotten', valid period system of information, reputation bankruptcy, reputation defender, and educational methods. However it is hard to find the study on digital memory and PI in Korea. This article shows that digital memory and PI have legal issues to be solved by interpretative and legislative approaches. I anticipate that new researches will take a step forward on specific areas related PI.

      • KCI등재

        실시간 검색을 위한 다중 사용자용 주기억장치 자료저장 시스템 개발

        권오수,홍동권,Kwon, Oh-Su,Hong, Dong-Kw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2

        Main Memory storage system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assigning enough slack time to real-time transactions. Due to its high response time of main memory devices, main memory resident data management systems have been used for location management of personal mobile clients to cope with urgent location related operation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multi-threaded main memory storage system as a core component of real-time retrieval system to handle a huge amount of readers and writers of main memory resident data. The storage system is implemented as an embedded component which is working with the help of a disk resident database system. It uses multi-threaded executions and utilizes latches for its concurrency control rather than complex locking method. It only saves most recent data on main memory and data synchronization is done only when disk resident database asks for update transactions. The system controls the number of read threads and update threads to guarantee the minimum requirements of real-time retrievals. 주기억장치 자료저장 시스템은 실시간 트랜젝션에 충분한 여유 시간을 부여하여 실시간 트랜잭션의 성능을 높혀준다. 이런 특성으로 인하여 주기억장치를 이용한 데이터관리 시스템들이 이동 통신 관리 시스템의 가입자 위치 관리와 같은 여유시간의 급박한 실시간 트랜잭션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용 멀티쓰레드 방식의 실시간 검색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대량의 실시간 검색 트랜잭션과 자료 변경 트랜잭션이 주기억장치 자료저장 시스템의 자료를 검색, 변경하는 환경에서 주기억장치 자료저장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기존의 디스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상호 보완적인 형태로 사용되는 내장형 방식으로 다중 쓰레드 방식으로 동작되며, 동시성 제어는 주기억장치의 특성을 살려 복잡한 잠금방식이 아닌 래치를 사용한다. 주기억장치 자료저장 시스템에는 가장 최근의 데이터만을 저장하며, 동기화 기법으로는 디스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변경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경우에 구현 시스템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시스템은 검색 및 변경 쓰레드의 비율을 제한하여 실시간 검색의 최소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하였다.

      • KCI등재

        재난, 아카이브, 이미지: 재난 기억의 문화적 실천

        박현선 한국극예술학회 202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8

        Beyond the apocalyptic events that mostly take place in the distant future, disasters are now in the midst of present life. Disaster is no longer a narrative, but a reality.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political and aesthetic issues of how to record and remember disasters, as well as critical awareness of the disaster reality. This question leads to the following issues: Whose and for whom does the archive of social disasters and disasters contain memories? How can we imagine the political aesthetics of disasters so that the record of disasters can be an open image in the future's imagination beyond the current state of events centered on the identification and action?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ultural practice of disaster memory by juxtaposing the instances of a disaster archive that actively utilizes various archiving practices and the works of a 21st century archive documentary that newly approaches social tragedy and disaster trauma. Considering archive fever embeded in the archive's modern history, the artistic work of archiving disaster memories has a special meaning of mnemonic practices. The paper argu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archive include the community of collective memory, the archiving practice of mourning, the place-specificity of the disaster archive, and the aesthetic experiment of affective memory.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looks at the filmic work of contemporary cultural artists who actively use disaster memories and archives to create new images and to remember the problems or disasters of our society from a new perspective. In particular, contemporary Korean documentary films dealing with the 2019 Yongsan Tragedy are remarkable in that they are approaching disaster memories by actively utilizing media footage and experimental devices. 먼 미래에 일어날 묵시록적 시간을 뚫고 오늘날 재난은 현재적 삶 한 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재난은 더 이상 서사가 아니라 현실이다. 본 논문은 재난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더불어 어떻게 재난을 기록하고 재현할 것인가라는 정치적·미학적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문제는 다음의 큰 질문들로 이어진다. 사회적 참사와 재난에 대한 아카이브는 누구의, 그리고 누구를 위한 기억을 담고 있는가? 재난의 기록이 진상규명과 대처를 중심으로 한 사건들의 현재태를 넘어 미래의 기억에 열린 이미지가 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아카이빙의 정치적 미학을 상상할 것인가? 본 논문은 다양한 아카이빙 실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재난 아카이브의 사례와 사회적 참사와 재난 트라우마에 새롭게 접근하는 21세기 아카이브 다큐멘터리의 사례를 가로지르며 재난 기억의 문화적 실천을 논의하고자 한다. 아카이브의 근대 역사에 깃든 아카이브 열병을 고려할 때, 재난 기억의 아카이빙 작업은 맹목적 기록을 향한 아카이브 열병과는 달리 기억행위의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재난 아카이브의 특이성은 그 속에 깃든 집단 기억의 공동체성, 애도의 작업으로서의 아카이빙 실천, 재난 아카이브의 장소 특정성, 그리고 정서적 기억의 미학적 실험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본 논문은 재난 기억과 아카이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고 당대 사회의 문제나 재난을 새로운 관점에서 기억하려는 현대 문화예술가들의 작업을 살펴본다. 특히, 용산 참사를 다룬 최근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은 미디어 푸티지와 실험적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재난 기억에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KCI등재

        정동의 기록화 ‘4.16 기억저장소’를 중심으로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22 기록학연구 Vol.- No.74

        1.1.1.1.1.1.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ffective value’ of records. Traditionally, records have been evaluated as having evidence value, information value, and artificial value. However, the ‘affective tur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hich began in the 1990s, calls for discussion on the affective value of records. The overseas archive academia is in full swing discussing the emotional value of records after the ‘affective turn’. However, there is no emotional discussion on records in the domestic archive academia. This study first conducts theoretical discussions to overcome these domestic limitations and explore the emotional value of archives in earnest. Follow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 a specific case will be dealt with next. As a representative storage of affect, which records the pain, sadness, and condolences of the domestic disaster er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cord management case of the 4.16 Memory Storage. The Ferry Sewol disaster, which provided a dramatic opportunity to witness the unexpected ripple effect of affect in Korea, and the 4.16 Memory Storage as a recording activity,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ffective recording of the pain and sadness of survivors of the trauma incident. It will capture the differentiation of affet record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cord management practice, and demonstrate empirically how this differentiation is implemented from collection to evaluation and service through the ‘4.16 Memory Storage’. 본 연구는 기록의 ‘정동적 가치’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기록은 증거 가치, 정보 가치, 그리고 실물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어왔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시작된 서구 인문사회학 전반에서의 ‘정동적 전환(affective turn)’은 기록이 가지는 권위 밖 이질적인 것으로 간주되던 ‘정동 가치’에 대한 논의를 촉구했다. 불행히도 서구에서 기록의 정동적 가치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했던 반면 국내 기록학계 내 기록에 대한 정동적 논의는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록의 정동적 가치를 본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먼저 정동의 이론적 논의를 살핀다. 이어서 정동의 기록화를 보여줄 국내 사례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재난 시대의 고통과 슬픔, 애도를 기록하는 대표적인 정동의 저장소로서 4.16 기억저장소의 기록관리 사례를 살펴본다. 이 연구는 사회적 정동의 예상치 못한 파급 효과를 드러냄과 동시에 극적 계기를 제공한 세월호 참사, 그리고 이의 기록활동으로서 ‘4.16 기억저장소’를 동시대 트라우마적 사건의 생존자들과 유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기록한 정동 기록의 대표 사례로 보고 집중적으로 관찰한다. 본 연구는 ‘4.16 기억저장소’의 사례를 통해 기존의 기록관리 관행과는 다른 정동 기록화의 차별성이 수집에서부터 평가 및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