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관한 장애학생과 부모, 교사 간 인식 차이 분석

        양호정 ( Yang Ho Jung ),황의태 ( Hwang Eui Ta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관한 장애학생과 부모 그리고 교사 간 인식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경남지역 6개 학교 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그들의 부모 및 담당교사를 대상(장애학생 122명, 부모 122명, 교사 84명)으로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에 대해 발달장애학생이 가장 높게, 부모가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발달장애학생과 부모 그리고 교사 모두가 장애학생의 ‘행동하기’ 수준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19세인 발달장애학생들은 17세와 18세의 발달장애학생에 비해 자신의 자기결정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장애학생과 그들의 부모 간, 장애학생과 교사 간 그리고 부모와 교사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두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해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자기결정 지도체계 수정·보완, 발달장애학생 내적요인 강화를 목적으로 한 교육전략 구축 그리고 부모의 지속적·상호적 의사소통 능력 함양 및 교사의 상담수행과 이를 위한 지원과 노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disabled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from six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Gyeongnam Province were surveyed (with 122 disabled students, 122 parents, and 84 teachers). According to the study; 1)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he highest and parents the lowest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Also, everyone was the least aware of the level of 'acting' of disabled students. 2)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19 were more positive about self-determination than younger disabled students. This showed the same result in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3)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teachers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recommended to supplement the self-determination education system, establish a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strategy, foster parental communication skills and conduct counseling for teachers.

      • KCI등재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홍일,이도영,김종식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와 문제 행동의 변화를 검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학생 20명을 각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발달장애학생의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가 향상 되었다. 둘째,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의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와 문제행동에 대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changes in PAPS-D and problem behavior after conducting a composite exercise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20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10 students ea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APS-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mproved after the composit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Second, the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reduced after the composite exercis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PAPS-D and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학생 SW교육 운영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과 요구: 희망학교 SW 교실을 중심으로

        김영걸,권기홍,우정한,선석근,김현선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sw education participants(instructors, operating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who teach and operate sw education(Hope School SW Class) for disabled students for effective sw education.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82 sw education participants’through an online method.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tests. [Results] First, the perception of sw education participants’about pre-recognition of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were generally high, the operation of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was properly conducted and the participation of disabled students was also high. In addition,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helped improve disabled students'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Second, regarding the needs for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Unplugged and Physical Computing are needed in educational contents and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are needed in educational method. [Conclusion] The perception of sw education participants’about recognition of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were high and effective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are needed. Based on sw education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need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목적] 본 연구는 장애학생 SW교육 프로그램인 ‘희망학교 SW교실’에 참여한 참여자(지도강사, 운영교사,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희망학교 SW교실’참여자 1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는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과 교차분석 및 기술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사전인식은 참여자 모두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장애학생 SW교육 운영은 적절하게 이루어졌으며 장애학생의 참여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 SW교육은 장애학생에게 유익하였고 창의력, 문제해결력 및 의사소통 능력 등의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참여자의 요구에서 교육내용으로는 언플러그드와 피지컬 컴퓨팅 등이 필요하고, 교육방법으로는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SW교육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장애학생 ‘희망학교 SW교실’참여자들의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고, 효율적인 장애학생 SW교육을 위해서는 장애학생의 특성과 교육적 요구를 고려한 SW교육 내용과 방법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수업 참여가 장애인식 변화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태중,문경민,이현수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on-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the changes in disability awareness and companionship.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83 non-disabled students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participating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SPSS 23.0 progra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n-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is a sub-variant of the disability-aware school life, personal life, and social life. Second, the non-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is the continuity of the association, which is a sub-variant of the friendship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sence and reliability of friends, co-life with friends, and adaptation between friends. Fifth,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non-disabled students participating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n effect on their relationship.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non-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influenced the change in disability awareness and friendship. In order to promote non-disabled students' changes in disability awareness and to promote friendship among students in the school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class participation is important in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수업 참여가 장애인식 변화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며 통합체육수업에 참여 중인 비장애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단순회귀분석으로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교육 참여도가 장애인식의 하위변인인 학교생활, 개인생활, 사회생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교육 참여도가 장애학생의 교우관계 하위변인인 교제의 지속성, 친구 유무와 신뢰도, 친구와의 공동생활, 친구간의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섯째,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변화는 교우관계 하위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는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수업 참여가 장애인식 변화 및 교우관계 간에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처럼 비장애학생의 장애인식 변화를 증진시키고 학교환경에서 학생들 간의 교우관계를 원활하게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통합체육수업 속에서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수업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및 장애인식에 대한 문헌 연구

        고영환,김경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장애인식 및 변인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분 석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2000년 이후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 논문들을 국내 학술정보데이터서비스인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및 한국학술지정보(KISS)를 사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연구 참 여자 2인과 특수체육 전문가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학술지 논문 7편(중복주제 포함) 및 학위 논문 10편 총 17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체육수업에 참가한 비장애학생들이 참가하지 않았던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통합체육수업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체육수업을 경험한 비장애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했던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장애인식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통합체육 수업의 참여 여부, 태도, 장애관련 봉사활동 참여 여부 및 주변지인의 장애 여부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perceptions abou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ttitude and variables toward disability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analyse the literatures, articl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since 2000 were searched using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fter the search, the expert meeting was conducted, consisting of researchers and two specialist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a total of 17 papers were collected, including seven papers (including duplicate topics) and ten papers.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an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experienc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than students who did not. Third, variables affecting stud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sports and attitude toward disability were participation in inclusive sports, attitude toward disability, volunteer activities, and neighbor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학생 상담교과 이수를 통한 예비상담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역할 수행역량 변화분석

        서유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2

        통합교육 속 장애학생들의 심리적,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시키고자 학교상담의 중요성이 대 두되고 있는 가운데 상담교사들에게 특수교육의 기본 개념과 장애유형별 장애학생의 특징을 이해하며 장애학생을 위해 실질적으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역할 수행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담교사양성기관에서는 예비상담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역할 수행역량 강화를 위해 장애학생 상담교과를 필수 또는 선택 이수교과로 지정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애학생 상담교과 이수를 통해 예비상담교사들의 특수교육과 장애에 대한 이해정도, 장애학생 상담교사로서 역할수행 가능성,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과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교육대학원에서 상담교육을 전공하는 총 107명의 예비상담교사들이 특수아상담 수업 이수 전, 후에 설문지 조사에 참여 하였다. 설문지 조사 결과, 장애학생 상담교과 이수를 통해 예비상담교사들의 특수교육과 장 애에 대한 이해정도, 장애학생 상담교사로서 역할수행 가능성,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장애학생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장애학생 상 담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있는 상담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장애학생 상담 관련 교과의 내용 과 활동을 어떻게 구성하고 이를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 참여를 위한 봉사학습 적용

        김라경,Michelle Bonati,강종구 한국통합교육학회 2013 통합교육연구 Vol.8 No.2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receive inclusive education has increased. However,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meaningful inclusive education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o have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still limited. This program description presents the application and potential positive outcomes of service-learning by introducing an inclusive high school service-learning program (i.e., the Ben's Bells Project) in the USA. Four art classes at three different high schools were involved over a period of 6 weeks. Fift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collaborated with 20-25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provide a service to the community. The case of “Ben’s Bells” suggests that it was an effective t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All of the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skills within the art curriculum and provide a meaningful service to the community. This manuscript demonstrates tha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ble to have greater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though service-learning.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the meaningfu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in South Korea,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service learning that reflects Korean contexts. 국내에서는 통합학급에 있는 많은 장애학생들이 비장애학생 중심의 학교 운영으로 인해 의미 있는 교육 참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학생들이 통합학급에서 적절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봉사학습에 대한 문헌들과 실제 사례를 소개하였다. 봉사학습에 관한 문헌들은 봉사학습이 자기결정력을 강화시키고 학업적·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일반교육과정 접근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통합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 적용된 봉사학습에 관한 사례(벤의 종)는 6주 동안 미국 고등학교 3곳의 미술 수업 시간동안 이루어졌으며, 총 15명의 장애학생들과 같은 수업들에 참여한 20-25명의 비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프로젝트 실시를 통해 장애학생들과 비장애학생들은 수업에 협력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장애학생들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술 수업 시간에 실행된 봉사학습의 사례는 봉사학습에서 진행된 “벤의 종” 제작 프로그램이 장애학생들의 일반수업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봉사학습이 통합교육에 학업적, 사회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따라서 국내에서도 장애학생들과 비장애학생들 간의 통합교육을 촉진시키고 장애학생들의 일반학급 수업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는 봉사학습과 관련된 실제적인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 수업참여와 장애수용태도 및 수업참여도의 관계

        안수운 ( Soowoon Ahn ),김경래 ( Kyeongl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2 No.2

        이 연구는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 수업참여와 장애수용태도 및 수업참여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접적인 통합체육수업참여에 따라서 건강하고 긍정적인 장애수용태도를 함양하도록 하여, 올바른 수업참여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C도와 D광역시에 거주하며 3월 ~ 7월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입시에 영향이 없는 비장애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해서 305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연구목적에 적합한 290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타당성 확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 수업참여는 장애수용태도와 수업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수업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통합체육 수업참여와 수업참여도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들은 수업 참여시 접촉이나 일탈행위에 대한 반응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스스로에게 수업 참여수준, 동기 및 흥미도를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s an approach to improving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expectation for their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group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living in C and D province was set up as a population in 2023 and 29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select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has direct effect 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Class participation. Second,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has direct effect on class participation. Third,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has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Combining these findings above, it was inferred tha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directly effects 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class participati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directly effects on class participation and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 장애학생의 대학교육에 대한 교수의 인식

        최민숙,김성애,박은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2 특수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대학교육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로 세부적인 내용은 장애학생에게 대학교육 기회제공,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평가기준, 장애학생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교수들이 느끼는 어려움 그리고 이를 위한 대학당국의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과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교수들은 장애학생의 대학교육의 기회제공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했으며, 또한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강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과반수 이상의 교수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성적평가는 상황에 따라서 달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장애학생을 가르칠 때 느끼는 교수들의 어려움(장애특성에 대한 이해, 장애학생의 학업수준파악등)의 정도는 그렇게 높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장애학생교육을 위한 학교당국의 지원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높은 욕구를 나타 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의 연령, 전공계열, 교직경력과 장애학생과의 접촉경험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how professors look at colle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fically, it's intended to find out their outlook on college education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ir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the type of difficulties they face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need for college backing for it. Besides, what affected their perceptions was examined.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professors investigated had a favorable opinion about colle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sidered it necessary to make positive efforts to give better education for them. More than half the professors understood academic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should depend on circumstances. They didn't find it quite difficult to teach physically different students(grasp the characteristics of handicap and their academic level, etc.), but expressed strong demands for college support for their education. Their opinions and need for suppor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major field of study, career and experience of contac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학교 전문상담교사의 비장애 중학생에 대한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권효진,이숙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8 청소년상담연구 Vol.16 No.2

        The recognition of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n important agenda has lead to efforts in identifying different methods to promote effective inclusion. One of such methods is aimed at improv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programs that facilitat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n line wit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develop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on changing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ogram was run by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o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from two classes in a middle school in Seoul.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differences in change of attitud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t-tests.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overall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encompassing the positive changes 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attitude. Such findings indicate that this program will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inclusion by improving the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regarding their roles in inducing positive changes in attitudes held by students towards those with special needs, and in collaborating with other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 in the school system. 장애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방법들을 모색하기 위해 많 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다양한 태도 개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비장애 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연구도 이러한 노력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 학생과 통합학급에서 함께 공부하는 비장애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 상담교사가 장애 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한 후, 이러한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이 비장애 중학생의 태도 변화 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중학교 2개 학급의 학생들이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참여하였으며, 장애 학생에 대한 비장애 중학생의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 간에 사전․사후 태도 검사 점수의 차의 차이를 t검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장애이해 교 육 프로그램은 장애 학생에 대한 비장애 중학생의 전반적인 태도 변화와 인지적․정서적․행동적 구성 요 소 별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태도 변화는 오늘날 학교 교육에 팽배 해 있는 장애 학생에 대한 따돌림과 거부와 같은 부적응적 현상을 학교와 학급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전에 방지하고, 비장애 학생의 상호 접근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통합교육의 성공적 정착 에 도움을 될 것으로 보여 진다. 비장애 중학생의 태도개선을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 하여 학교차원에서 학급 자치 활동이나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 등을 활용하여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장애이해 관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나아가 전문상 담교사의 역할과 관련 상담 인력 및 특수교사와의 협력의 필요성이 논의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