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관련 신문활용교육이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강영심,원경아 한국아동권리학회 2004 아동과 권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E on elementary nonhandicapped student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students.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in this study is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76 six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re sampl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hey are randomly classified and assigned to two groups :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 T-test i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SPSS 10.0.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NI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ing nonhandicapp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children. 2) NI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ing component of nonhandicapp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childre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the NI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attitud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NIE has a positive effect on changing nonhandicapp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children. 2) the NI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 change in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components of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IE has a positive effect on changing component of nonhandicapped children's attitude for handicapped children. In conclusion, NIE which offers realistic and concrete inform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special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hanging nonhandicapp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children. 본 연구는 장애관련 신문활용교육이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H 초등학교 6학년 아동 76명이었으며, 전후 검사 통제 집단 실험 설계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관련 신문활용교육을 받은 비장애아동들이 통제집단 비장애아동들보다 장애아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장애아동과 상호작용하려는 행동적 경향성이 높아져, 인지적 및 행동적 요소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주었고, 정서적 요소의 태도에 있어서는 부분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장애관련 신문활용교육은 통합교육이 주요한 실천과제가 된 현실에서, 비장애아동들에게 장에아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공동체적 의식을 심어줌으로써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나 편견을 없애는데 효과적인 중재전략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비교

        정대영 ( Dae Young Jung ),최정아 ( Jung A Choi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일반아동 부모와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을 비교하였다. 일반아동 부모 200명과 장애아동 부모 220명을 각각 표집하였으며, 각각 회수된 162부와 131부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는 p =.05수준에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 부모(어머니와 아버지)와 장애아동 부모(어머니와 아버지)는 각각 심리적 안녕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가지 하위요인 중에서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에서 일반아동 어머니가 장애아동 어머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어머니의 연령이 높은 경우와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경우 그리고 월 가구 소득이 낮은 경우, 일반아동 어머니가 장애아동 어머니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학력과 종교유무에 상관없이 일반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 요인 중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서 일반아동 아버지가 장애아동 아버지보다 높게 나왔다. 아버지의 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을 비교한 결과, 아버지의 연령이 높은 경우 일반아동 아버지가 장애아동 아버지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장애아동 부모는 일반아동 부모에 비해 안녕감이 낮은 경향이 뚜렷하나, 이러한 차이는 아버지 집단보다 어머니 집단에서 더욱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 어머니의 안녕감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책이 보다 구체적으로 마련되고 실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and that of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The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was Ryff(1989)`s Psychological Well-being Inventory, and t-test was employed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collective averages of the two groups of par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non-disabled and the others whose children were disabled. Among the six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non-disabled were ahead of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disabled in terms of four involving 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the goal of life. The two groups were similar in the other two regards, which were autonomy and personal growth.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 fathers with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fa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s well. Among the sub-factors, the former excelled the latter in environmental control. As for links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athers who had non-disabled children and were in their 40s and up surpassed the fathers who had disabled children and were in their 40s and up in that regard. But academic credential,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religion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two groups.

      •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인식 및 태도

        이정희 ( Jeong-hee Lee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0 아동가족치료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비장애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및 수용태도를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일반아동의 장애아동과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일반아동의 친구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일반아동은 장애아동에 대해 관심없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싫다는 반응이 많았다.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은 통합반 경험 유무나 장애아동과 같은 반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과 이야기 하는 것에 대해, 장애아동과 쉬는 시간에 같이 노는 것에 대해, 장애아동과 같은 방향의 집에 함께 가는 것에 대해, 좋다기 보다는 싫다는 반응이 많았다. 이러한 태도는 통합반 경험 유무나 장애아동과 같은 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장애아동이 도와달라고 했을 때 장애아동과 같은 반 경험이 없는 아동이 같은 반 경험이 있는 아동보다 더 최선을 다해 돕고, 장애아동과 마주쳤을 때 장애아동과 같은 반 경험이 없는 아동이 같은 반 경험이 있는 아동보다 더 반갑게 대하였다. 셋째, 일반아동이 장애아동과 함께 수업하는 것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업에 방해된다는 생각이 더 많았으며, 통합반을 경험하거나 장애아동과 같은 반을 경험한 아동이 더욱 부정적인 생각을 하였다. 장애아동과의 통합수업에 대해서도 싫다는 생각이 더 많았다. 장애아동이 수업을 따라오지 못할 때 통합반을 경험하거나 장애아동과 같은 반을 경험한 아동이 더욱 도움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아동의 친구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에 대한 정서적 지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장애아동과 같은 반을 경험한 아동이 장애아동에 대한 정서적 지원을 더욱 적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동과 통합반 경험이나 같은 반 경험을 한 일반아동들이 경험하지 않은 일반아동들보다, 장애아동에 대해 오히려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acceptance attitudes among young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young children’s toward their perception of counterpart’s academic work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A total of 3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 5=157, Grade 6=197)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2013).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ranged from Cronbach α of .92 to .96. First, a majority of children reported being uninterested in children with disability, followed by the response dislike them. This negative results have been found for young children attending integrated classroom and for children with no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y. Second, young children reported more dislike than like in talking to children with disability, playing with them during recess, and walking home with them. This results have been found for children attending integrated classroom and for children with no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y. Young children with no experience interact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y are more likely to try to help them and be friendly to them when they meet them than their counterpart. Third, young children are more likely to perceive children with disability as hindering classroom learning, and children in integrated classroom and children who have interac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y are more likely to hold negative attitudes. They are more likely to dislike integrated classes. Young children in integrated classroom or who experienced interact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y are less likely to help them when they cannot follow classroom learning. Fourth, young children who experienced interact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y are less likely to provide them with emotional suppor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children in integrated classroom or who experienced interact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y are more likely to hold negative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y.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 극복과정

        오연수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nd looks for improvement points. It is interviewed 9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were experien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while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8 and one by on one in depth interview by using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done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result of CQR while it is a experiencing the proces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well as coping the raising disabled childre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nd 'overcoming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were derived. And the seven sub-regions, 28 categories, were finally constr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in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view of looking 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mparing to those of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seems that they want to treat the disabled child as the general child with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disabled child rather than looking at the disabled child with wrong perception, prejudice, stereotypes and rejection. Secondly,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the mother of the disabled child is strengthening the cohesion and cohesion within the family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coping with the disability family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even if they raise the child with disability and have difficulties such as recognition bias and discrimination of the general publ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mother's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and the disabled child's healthy life.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 극복과정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편견 및 차별경험을 겪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 9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현상을 기술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 방식인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CQR)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CQR 은 연구자들을 포함한 3명이상의 평정 자와 감사자로 구성된 합의 팀을 통해 연구의 전 과정에서 결과를 합의적으로 추론하게 되어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인 오류를 방지하여 객관성과 일반화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편견 및 차별경험과 극복과정을 CQR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편견 및 차별 경험’, ‘장애아동 어머니의 차별 경험의 극복’ 2개의 영역을 도출되었고, 그에 따른 7개의 하위영역, 28개 의 범주로 최종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장애아를 양육하면서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을 비교하고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이다. 잘못된 지각, 편견, 고정관념, 거부감으로 장애아동을 바라보기 보다는 장애아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로 장애아동으로 대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차별경험의 극복과정은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자신의 대한 인식의 심화 및 심리적 성장을 통해 타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문제 상황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 생기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내적 성장은 사회구성원의 편견 및 차별 등에 어려움을 겪더라도 가족 내의 결속력과 응집력이 강화되는 동기로 작동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장애아동 어머니 심리적 안녕 과 장애아동이 사회구성원으로서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원영미,전지혜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ir recognition and childcare practic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for disability awareness targeting class teachers in inclusive childcare sett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teache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 focus group (3 persons per group) and personal interviews in case of study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ldcare teachers appealed ignorance and fea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fore learning to improve their disability awareness, and have learned from the non-prejudiced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he need fo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y voluntari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Since participating in education, teachers have shown changes in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anges in the way they practice childcare for disabled children. As regards cognition, teacher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ve tried to treat them equally with non-disabled children. Regarding the practice of childcare, they practiced the integrated program together with the non-disabled child and the disabled child through cooperative partnership. They also provided th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o the non-disabled children and provided the partial integrated childcare program flexibly in one clas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and discussed about the general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improving disability recognition and caring at childcare setting. 본 연구는 변화하는 장애아동의 보육환경 속에서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일반 보육교사가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전후로 어떻게 장애인식 및 장애아 보육실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의 국공립 장애통합 어린이집 일반 보육교사 9명이었고, 3인씩 3그룹의 포커스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해 경험을 듣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보육교사들은 장애인식개선교육 전에 장애아동에 대한 무지함과 막막함, 두려움을 호소하였고, 오히려 비장애아동의 편견 없는 태도로부터 배우기도 하였다.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의 필요와 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이후 교사들은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변화 및 보육실천의 방식변화를 나타냈다. 인식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은 장애아동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비장애아동과 대등하게 대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보육실천과 관련해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와 협력적 파트너쉽을 통해서 함께 통합프로그램을 실천하였고, 비장애아동에게 장애이해 교육을 제공하기도 하였고, 상황에 따라서 부분적 통합보육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장애인식개선교육과 관련한 일반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하여 해석하고 논의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 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성폭력범죄에 대한 고찰

        정승민(Jeong, Seung M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8 No.2

        광주 인화학교사건을 통해 장애아동 성폭력범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당사건의 수사과정 및 양형기준 등이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회적 관심이 적었고, 기존에 연구된 바가 적었던 장애아동 성폭력 범죄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즉 장애아동 성폭력범죄의 실태 및 원인을 살펴보고, 사건해결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대책방안 등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성인장애인과는 달리 장애아동 성폭력범죄의 원인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구조적 차별, 장애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적•의료적•심리적•사회적 서비스 등의 부족, 장애아동 성폭력범죄가 주로 면식자들에 의해 발생되어 신고조차 어렵다는점, 피해사실에 대한 신뢰성 여부, 유인에 의한 장애아동들의 피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장애아동 성폭력범죄는 사건해결과정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장애아동의 특징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수사 및 재판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재판과정상 장애아동의 진술에 대한 이해부분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둘째, 가장 심각한 문제로 가해자에 대한 처벌이 어렵고, 2차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피해 이후 지원체계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장애아동 성폭력 관련법상의 문제로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6조 ‘항거불능’요건의 해석문제, 가중처벌의 문제 등이 논란의 여지에 있다. 넷째, 장애아동 성폭력범죄의 가해자들에 대한 가벼운 처벌로 인해 양형상의 문제 또한 거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건처리과정에서 장애아동에 대한 특수성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며, 장애아동 성폭력범죄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강력한 처벌을 위한 제도적 마련, 장애인의 인권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등이 필요할 것이다. In 2011, a film about a sexual assault case invol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irred people's interest in sexual assaults inflicted up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ut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assessment criteria of the case in the middle of controversy. This study thus set out to reilluminate sexual assault cas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ch had received little social interest and were hardly studied.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auses of sexual assault crime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oblems with solving those cases and search for solutions. First, there are many different causes of sexual assault crime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those against adults with disabilities; there are social and structural discrimination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is lack of legal, med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service to protect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difficult even to report sexual assault crime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cause the offenders are usually their acquaintances; there is doubt about the reliability of damage reported;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ll victims to disguised affection and allurement. Sexual assault crime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those characteristics face a lot of problems in solving processes: first, investigations and trials go on even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ight. There are especially problems with understanding their statements during trials. Secondly, the issues of the greatest severity are that it is difficult to punish the offenders and that the victim children are often subject to secondary damage. To make things worse, there is no proper support system after damage. Thirdly, there is controversy about the interpretations of the "incapability of resistance" conditions in Article 6 of Exemption Law on Punishment of Sexual Assault Crimes and the matter of aggravated punishment. Finally, there are also problems with sentencing because the offenders of sexual assault crime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ually get a slap on the wrist. It is first required to understand the unique natu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vestigating and solving crimes against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institutions to guarantee thorough investigation and strong punishment in cases of sexual assault invol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ake constant effort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 KCI등재

        A Study of Vocabulary Knowledg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Verbal Concept Development in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 Seong Woo Ahn ),( Ja Kyoung Kim ),( Mi Kyung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1

        읽기 장애 아동들의 읽기 장애의 원인으로서 다양한 가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읽기 장애의 원인으로서 읽기 장애 아동들의 언어 능력, 특히 구어 능력 결손이 가설로 제안되었다. 따라서 읽기 장애 아동들의 언어 능력 중 읽기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의 특정 능력이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져왔고, 주로 음운 인식 능력 결손과 명명 속도 결손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오다가, 최근에는 읽기 장애 아동들의 어휘 지식, 언어 개념 발달, 그리고 듣기 이해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읽기 장애 아동들의 음운 인식과 명명 속도, 그리고 작업 기억 능력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몇몇 이루어지고 있지만 읽기 장애 아동들의 언어 능력, 즉 구어 능력, 좀 더 상세하게 논하자면 어휘 지식, 듣기 이해력 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읽기 장애 아동들과 일반 아동들 간의 어휘 지식, 언어 개념 발달, 듣기 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결과는 읽기 장애 아동들의 어휘 지식, 언어 개념 발달, 듣기 이해력, 그리고 전반적인 언어 능력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읽기 장애 아동들의 언어 능력이 일반 아동들과 차이가 더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읽기 장애 아동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재뿐만 아니라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cabulary knowledge, verbal concept development,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Seventeen students of 8 years old normally achieving, thirteen students of 8 years old with reading disabilities, twelve students of 10 years old normally achieving, ten students of 10 years old with read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Since standardized tests to measure school children` language ability had not been available by the time when this study begun, the Vocabulary subtest from K-WISC-III was used to examine participants` ability to define words to measure subject`s vocabulary knowledge. The Comprehension subtest and Similarities subtest from K-WISC-III was used as a measure of participants` verbal concept development ability. The Sentence Comprehension subtest from K-ABC was also used to measure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design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two factor between group design with learner classification(RD and NA) and grades difference(2nd grade vs 4th grade) serving as the one between group factor. Several separate two-way analyses of variances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groups. The principal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although the mean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regarding the language measures are average range, they are around 1SD below the means of the matched comparison group in Vocabulary, Similarities, Comprehension subtests of K-WISC-III, Listening Sentence Comprehension subtest of K-ABC, and Verbal Scale scores of WISC-III.

      • KCI등재

        친부모에 의한 장애아동학대 유형 및 영향요인의 확인

        신진호,홍백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7 No.47

        Under the child protection system centered on non-disabled children, the first step to suggesting the differential prote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ll be to show the difference in child ab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abuse by parents is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 child has a disability and whether the child is physically or mentally disable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cases of 11944 non-disabled children and 503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administrative data from the child protection agency received in 2017,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We found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exposed to sexual abuse involving high-risk, redundant abuse. Abuse types for physically and mentally disabled children are also classif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lack of upbringing knowledge and stress rather than personal factors such as past abuse experiences or alcohol have been discriminatory factors in the abuse of children with disability. Discovered differences in the sex, marital conflict and stress of abusers according to type of abuse, empirically identified the elaborat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abus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The neglect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social isolation of abusers, which was maintained in the outcome of mentally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he suggested the need to support disabled families to prevent abu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비장애아동 중심의 아동보호체계 하에서 장애아동의 차별적 보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첫 단계는 장애아동학대와 비장애아동학대의 다름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아동에게 장애가 있는지 여부 및 신체적, 정신적 장애여부에 따른 친부모의 학대 유형을 확인하고 그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2017년 접수된 아동보호전문기관의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장애아동 11,944명, 장애아동 503명의 사례를 유형화한 결과, 장애·비장애아동 모두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장애아동은 고위험의 중복학대가 수반된 성학대에 노출되어 있는 양상을 발견했다. 장애아동의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체계이론, 즉 개인체계, 가족체계 및 외적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특히 사회적 고립 변수를 고려하여 외적체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과거 학대경험이나 알코올과 같은 개인적 요인 외에도, 양육지식부족 및 스트레스가 장애아동학대의 영향요인이었다. 학대행위자의 성별, 부부갈등 및 스트레스가 학대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학대 유형과 영향요인 간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또한 외적체계인 사회적 고립은 장애아동 방임의 가능성을 높이며, 정신적 장애아동의 결과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가족지원 및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아동 가정보호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입양과 가정위탁을 중심으로

        박현정(Park, Hyun Joung),김순규(Kim, Soon Gy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4

        아동복지에서는 아동의 장애유무와 관계없이 가족과 생활하는 것을 제1의 원칙으로 하며, 이러한 상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최대한 가정과 유사한 보호형태인 위탁과 입양과 같은 가정보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아동은 가정보호서비스보다 시설보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아동복지 원칙에서 제외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 보호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와 관련 법률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정보호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장애아동 가정보호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아동배치를 담당하는 공무원과 입양 및 위탁기관에서의 장애아동 상담 및 사례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애아동 가정보호서비스에 대한 법체계 및 구체적 지침이 필요하고, 둘째, 장애아동 가정보호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국가의 충분한 물질적·비물질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가정보호서비스를 담당하는 인력을 충원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장애아동 전문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네 번째로 장애아동 가정보호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장애아동 및 입양·위탁가정 발굴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child welfare, the first principle is that children, even those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live with the family, or at least be provided with other alternatives similar to home care such as foster care or adoption. However, this principle is often not applied in cases with disabled children, who end up staying at residential service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home care service in Korea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ose in the field, it includes interviews with child care practitioners and adoptive parents. The problems uncovered by this study show that the legal guidelines and policies regarding foster care and adop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absent; that the human resources to take on the placement of such children are insufficient; and that the professional training for those who work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not enough. The also suggests that analysis the government support for home care services for disabl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insubstantial. Also, It is rare to do Public relations about home care service for disabled children. In light of this, this article suggests developmental plans to improve these conditions and to stimulate change with in the home care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김혜리,박재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1

        This study is aiming at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by reflective considering the case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major concept and by discussion. In order to accomplish above purposes, first, according to the model or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area and the precedence research, they are premised on the rational-intellectual ability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and based on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viewpoint. Secon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about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there is no concept for self-determin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every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equally. Moreover, we found that the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should be understood and applied based on the experience and existence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other people, and the relation between others and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In other wor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one should know the experience and existence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first, which means that self-determin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relation between others and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relation itself indicates the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A body is a medium which makes the mutual subjective relation between others and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Likewise, one should recognize that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 through the body is the inherent and subjective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본 연구는 현상학의 주요개념 즉, 판단중지, 생활세계, 상호주관성, 상호신체성 등에 근거하여 실제적 사례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행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아동에 있어서 자기결정의 개념 및 기본원리를 현상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특수교육분야에서 사용된 기존의 자기결정권의 개념과 모델 그리고 선행연구의 동향을 검토한 결과, 이들은 장애아동의 이성적-인지적 능력을 전제로 하고 있고 장애를 가지지 않은 아동의 기준과 잣대에 근거하고 있으며 자연과학의 객관적-합리적 세계관의 이념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한 결과, 중도·중복장애아동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의 개념은 존재할 수 없으며 각 아동의 경험양식 및 실존에 따라, 그 아동과 관계하는 타자에 따라, 그리고 중도·중복장애아동과 타자 간의 관계방식에 따라 자기결정권의 개념은 달리 이해되고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도·중복장애아동에게 있어 자기결정권이 무엇인지 해명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경험양식 및 실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중도·중복장애아동 그리고 그들과 관계하는 타자 간의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쌍방 간의 상호주체적 관계 자체가 바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을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때 신체는 중도·중복장애아동과 타자의 상호주체적 관계를 성립시키는 매개이자 대화를 위한 도구이며, 이와 같이 신체를 통한 관계형성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고유하고 주관적인 자기결정권 그 자체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