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현황 및 인식도 조사연구 I : 일반적 현황 및 전공선택 요인을 중심으로

        박혜연,조덕연,이주현,김한솔,김진수,박수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현황과 전공선택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일반적 현황에 따른 전공선택 요인,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관심 분야, 관심 취업영역, 국시불안 및 진로 확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4년제 대학 9개 학교, 3년제 대학 10개 학교의 총 4,500명의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329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학과 선택시 작업치료(학)과 이외의 학과에 진학을 희망했던 응답자가 831명(62.5%), 입학 후에 소속변경 등 전공 변경을 희망한 응답자는 588명(44.2%)이였다. 학과를 선택하게 된 계기는 추천에 의한 선택이 675명(50.8%), 스스로 선택이 654명(49.2%)였고, 추천에 의한 경우는 부모님, 학교 선생님이 가장 많았으며, 추천 이유는 취업, 전문직이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선택한 경우에 주로 정보를 얻은 방법은 인터넷이 419명(64.0%)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현재 관심 취업영역과 10년 후 의망 취업영은 의료기관 취업으로 동일하게 조사 되었다. 현재 작업치료(학)과 학부생들은 5점 만점에 평균 3.54점으로 보통 이상의 국시불안감을 느끼고 있었고, 이는 남자 학부생들에게서 더 높았다. 또한 진학확신은 입학 전보다 현재가 더 낮았으며, 1학년의 진학확신이 가장 낮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에 대한 확신과 진로 결정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추후 작업치료(학)과의 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choosing occupational therapy as their academic major in a nationwide sample of college students and (2) ifferences in major selection factors, interested area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references in career field across main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year in college, in addition to anxiety related to the national licensure examination and career confidence level. Methods : A survey was provided to 4,500 students from nine 4-year colleges and ten 3-year colleges. A total of 1,329 surveys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 A total of 831(62.5%)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d considered other majors before choosing occupational therapy, 588(44.2%) contemplated changing their major after entering college. 675(50.8%) chose occupational therapy major secondary to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654(49.2%) self-selected the major. Most of the recommendations were found to be made by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primary reasons for such recommendations were related to the high employment potential and the prospect of working as a professional specialist. Among students who picked their major on their own, 419(64.0%)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Respondents’current and 10-year post-graduation preferred area of employment to work in a medical setting as 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students’current level of anxiety pertaining to the licensure examination was found to be 3.5 on a 5-point scale, with male students showing a higher anxiety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current degree of confidence regarding their career had decreased since entering college. Freshmen undergraduates reported the lowest career confidence level, with their confidence increasing with year in college.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potential ways in which departments in occupational therapy may promote their academic majors, in addition to contributing to our knowledge regarding ways to provide better academic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to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선택 현황 및 진로확신에 대한 조사연구

        신가인,우예신,박혜연,김정란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3

        목적: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일반적 현황에 따른 진 로성숙도와 진로불안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4년제 대학 7개 학교, 3년제 대학 7개 학교의 총 2,1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1,590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전공 선택요인을 분석한 결과, 70.0%가 넘는 응답자가 입학 전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봉사경험이 있 었고 가족 중 보건직종사자가 있는 경우도 60.0%에 달했다. 학과선택계기는 추천보다는 스스로 선택한 경우가 조금 더 높았으며 정보는 인터넷으로 습득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관심치료 연령군은 소아가 913명이 응답하여 가장 높았고 관심 치료 분야는 감각통합치료 빈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들의 졸업 후 또는 십년 후 희망 취업지 모두 의료기관 취업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응답자 중에 종합병원의 선호도 가 61.1%로 가장 높았다. 국시불안은 5점 만점에 평균 4.29으로 높은 편이었고 진로확신은 입학 시 평 균 4.34(5점 만점)에서 현재는 평균 4.15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진학확신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확신 수준이 높은 경우 진로불안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 지막으로 진로성숙도와 진로불안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최근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진로선택 현황, 진로성숙 및 진로불안의 경향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 는 향후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환경 개선과 학생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selection status in occupational therapy(OT) students in Korea and to analyze their career maturity and career anx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situation.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2,180 samples from seven 4-year colleges and seven 3-year colleges. A total of 1,590 surveys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Most OT students had volunteer experiences at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had jobs related to health services. Cases of recommendation for selecting major were a little bit higher than self-selection, and most of them got information about OT through internet. The most of respondents were interested in the pediatric parts an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Respondents wanted to get a jot in medical institutions among various choices and 61.1% respondents were answered to want work to the university hospitals. The anxiety level about national examination was 4.29 out of 5 points. Confidence about OT when they entered the University was 4.34, but it decreases to 4.15 at this point. Career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 when career confidence was high. Also. career maturity and anxie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our knowledge regarding ways to provide better academic service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to OT students.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현황 및 인식도 조사연구 2 : 학과만족도 및 진로 확신을 중심으로

        이주현,김한솔,박혜연,조덕연,김진수,박수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과만족도, 진로불안감 및 진로성숙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현황 및 인식도 조사연구 I : 일반적 현황 및 전공 선택의 연구 틀과 절차가 동일하다. 결과 : 학과만족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17~22세 범위의 연령대의 학생들이 26~28세 범위의 연령대의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3년제 대학이 4년제 대학보다 학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재학생이 복학생, 편입생보다 학과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진로확신에 속하는 진로불안감과 진로성숙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연령이 높은 학생이 연령이 낮은 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진로불안감은 낮았다. 그리고 4년제 대학이 3년제 대학보다 진로불안감과 진로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국시 불안감이 클수록 진로 불안감은 더 높았다. 결론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국 작업치료(학)과에서는 학생들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및 관심을 제공해야 하며, 작업치료(학)과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은 상호보완 관계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학)과 재학생 대상으로 정신건강작업치료사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도의 상관관계 및 인식도가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이승섭(Seung-Sup Lee),김도연(Do-Yeon Kim),윤소윤(So-Yoon Yoon),정수인(Su-in Jung),김희(Hee Kim)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 전공 재학생들의 인식도와 요구도를 조사하고 상관관계 및 인식도가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1년 8월 31일부터 9월 15일까지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8명의 작업치료(학)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개발하였으며 내적 일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고 인식도와 요구도의 상관성 및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인식도와 요구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인식도와 요구도의 관련성은 직업인식도와 실습요구도의 관계, 직업인식도와 취업요구도의 관계를 제외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양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단순선형 회귀분석 결과, 인식도는 β=0.342(p<.001)으로 나타나 요구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33.1%의 설명력을 가졌다. 또한 β가 양적(+)이므로 정신건강작업치료사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학생들의 요구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정신건강 작업치료사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도가 증가하는 요구도에 맞춰서 학생 교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향후 정신건강 분야의 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nd effect of awareness on the demands. Method: 208 students majoring occupational therapy in college or universit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swered a survey through online from August 31 to September 15, 2021.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fter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awareness and demand. Resu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demand, al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wareness and dem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d a positive (+) correlation. Ye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wareness and practice demand, and between job awareness and job demand were not correlated. As a result of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awareness level was β=0.342 (p<.001), which could be said to have an effect on the demand. The effect had an explanatory power of 33.1%. Also, since β is positive (+), it was found that as the student’s awareness of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ists increase, the students' demands also increase. Conclusion: The student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e growing need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for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ractical training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김다혜(Da-Hye Kim),백현희(Hyun-Hee Pae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 및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고, 부적응 요인에 대한 다양한 진로지도 방법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014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전라도 소재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46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스트레스는 성별, 학년, 종교,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성별, 학년, 경제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영역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과도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생활스트레스의 하위영역 또한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가지는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nsur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uccessful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s and on the right directions and various methods of career guidance geared toward maladjusted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5 occupational therapy majors in a college located in Jeolla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31, 2014.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life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year, religion and living standard, and their college adjustment varied with gender, academic year and living standard.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llege adjustment, and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that were the subfactors of college adjustment. The subfactors of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ose of college adjustment as well. In conclusion,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intervention programs geared toward relieving life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hich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campus life, and the effects of programs developed should be investigated as well.

      • 전라지역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다혜(Da-Hye Kim),백현희(Hyun-Hee Pae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05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 및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고, 부적응 요인에 대한 다양한 진로지도 방법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014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전라도 소재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46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스트레스는 성별, 학년, 종교,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성별, 학년, 경제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영역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과도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생활스트레스의 하위영역 또한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가지는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nsur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uccessful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s and on the right directions and various methods of career guidance geared toward maladjusted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5 occupational therapy majors in a college located in Jeolla Province. A self- 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31, 2014.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life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year, religion and living standard, and their college adjustment varied with gender, academic year and living standard.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llege adjustment, and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that were the subfactors of college adjustment. The subfactors of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ose of college adjustment as well. In conclusion,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intervention programs geared toward relieving life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hich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campus life, and the effects of programs developed should be investigated as well.

      • KCI등재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과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혜림 ( Lee Hye Rim ),홍은경 ( Hong Eun Kyoung ),김경미 ( Kim Kyoeng M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이 임상실습 동안 경험한 것을 알아보고, 임상실습이 개인의 가치관과 행동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임상실습기간 동안 경험한 것을 알아보기 위해 4명의 대상자들과 심층 면담을 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녹음하였고, 반복 청취하여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절차에 따라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4개의 중심의미와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제는 심리적 경험, 환경적 경험, 전문적 경험, 가치관 변화, 행동적 변화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료현장에서 작업치료사들이 적절한 방향으로 임상실습 지도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students during clinical fieldwork.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4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clinical fieldwork of occupational therapy.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theory approaches. Results were 14 concepts and 5 themas. The themas were psychology that experienced in clinical fieldwork, environmental experience, professional experience, change of value and behavioral change. This study will provide good information about clinical fieldwork education for therapis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