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은행기업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자아인식이 긍정적 감정, 선호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재원,옥경영,류주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은행기업이미지가 소비자의 자아인식, 긍정적 감정형성, 그리고 선호도 및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전조사에서 “S”은행을 대상으로 Aaker(1997)가 제시하고 있는 42개 의 항목을 사용하여 Park & John(2010)이 제시한 추출방법에 의해 ‘실질적인’, ‘안정적인’, ‘젊은’이미지 등 3개 의 속성을 은행기업이미지로 추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이렇게 추출된 3개의 은행기업이미지가 소비자의 자아인식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3개의 이미지 속성 중에서 감성적인 속성의 이미지인 ‘젊은’이 소비자 자아인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 형성은 Fredrickson (2008)이 제시한 조작된 차이감정척도(Modified Differential Emotions Scale)들 중에서 17항목을 사용하여 자아인식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은행기업이미지에 의해 향상된 소비자의 자아인식은 개인의 긍정적 감정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인식은 선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성별이 만족도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감정이 선호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감정은 선호도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하고 있으면 선호도와 만족 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에서는 성별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은행기업이미지를 경험함으로써 자아인식이 향상되는 사전 경험을 하게 되고 소비자의 향상된 자아인식은 긍정적 감정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은행에 대한 선호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 이다. 또한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은 기업에 대한 선호도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self-perception by bank corporate’s image influence on consumer’s positive emoti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1) What is the important property of bank corporate’s image that affects consumer’s self-perception? (2) How will the consumer’s self-perception affect consumer’s positive emotion, bank preference, or satisfaction? (3) How will the consumer’s positive emotion influence on bank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n pilot test, “S”bank images were extracted from 98 research subjects and “S”bank image can be defined as “secure”, “downto earth”, and “young.” In main survey, 160 subjects’s data were collected for research questions. Self-perceptio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exposing “S”bank image, and 3 factors about consumers’ emotion were pleasure, angry, and hat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umer’s self-perception is increasing after exposing bank image, “young”, and the higher consumer’s self-perception, the higher positive emotion and bank preference.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higher consumer’s positive emotion, the higher bank preference and satisfaction.

      • KCI등재

        아동의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영향

        남미(Nam mi),박희진(Park Heeji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올바른 자아개념을 통해 반편견 인식을 제고하는 교육적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과 반편견 인식은 둘 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반편견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아개념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인성적, 학업적자아개념은 반편견의 하위변인인 성, 능력(장애), 문화(인종), 계층 편견에 모두 의미있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개념은 반편견 인식을 약 22.1% 설명하였다. 특히, 학업적 자아개념은 반편견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반편견 인식이 높아질 수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 향상교육을 위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긍정적인 학업적 자아개념을 활용한 반편견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적 실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conception on anti-bias recognition and to provide educational methods encouraging the anti-bias recognition with positive self-concep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such studies, a survey for third and fourth grade of total 17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self-conception and anti-bias recognition of children were shown higher in the case of girls than boys. The result of anti-bias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mong the sub variables of self-conception, in parts of social, affective and academic of it bot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on a bias towards gender, ability(disability), different culture(human race) and social class. Third, the result of the effect of self-conception on anti-bias cognition of children has proved almost 22.1% of correlation. Through the study one of the important confirmations was that we found positive influence of academic self-conception on anti-bias recognition. In conclusion, self-conception might be a significant factor to anti-bias recognition, which means we need to have passion for anti-bias education at the same time with positive academic self-conception.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변주영(Jooyoung Byun),조은혜(Eunhy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을 유형화하고, 자아인식 유형별 교육포부와 직업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6차년도 자료(2015)를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중1 코호트의 6차년도 시기의 자아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교육포부와 직업결정수준에 각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SPSS 25.0과 Mplus 8.0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에 활용된 표본 수는 1,366명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은 4가지로 나뉘며 선행연구 및 유형별 프로파일 특성에 따라 자아혼미형, 진로집중형, 탐색진행형, 진로탄력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별 교육포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자아혼미형의 교육포부 수준이 탐색진행형, 진로집중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별 직업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진로탄력형, 진로집중형, 탐색진행형, 자아혼미형 순으로 직업결정수준이 높았으며 진로탄력형과 진로집중형의 차이를 제외한 모든 유형 간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학술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실천적 차원에서 부처는 교육과정 내 자아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내용을 강화하고, 학교는 자아인식 유형별 맞춤 지원을 활성화하며, 학생은 자아인식을 높이고 자기주도적 진로개척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술적 차원에서 연구 대상의 다양화, 교육포부 영향요인에 대한 다차원적 탐색, 진로 및 직업결정 수준 향상을 위한 자아인식 확립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self-awareness of Korean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ducational aspiration and job decision level by type of self-aware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six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Mplus 8.0. The number of samples used for the analysis is 1,366. Results First, the self-awareness types of 3rd grade general high-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which are self-diffusion type, career identity laden type, search progressive type, and career-resilience laden type. Second, the educational aspiration of the self-diffusion typ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earch progressive type and of career identity laden type. Third, the level of job decision of each type of self-aware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pecifically, the job decision level of career-resilience laden type is the highest, then that of career identity laden type is next, and that of search progressive type, that of self-diffusion type is the lowest. Conclusions Practical and academic proposal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t the practical level, ministries need to emphasize self-identity and self-esteem in the curriculum, and schools need customized support for each type of self-awareness. Students need to raise self-awareness and make efforts to develop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At the academic level, it wa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multidimensional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aspiration, and illuminatation of self-awareness to improve career and job decision-making levels.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가 한부모가족 청소년 자녀의 자아인식 유형에 미치는 영향-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이의빈,김진원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자아인식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의 초1, 초4, 중1 패널의 7차년도(2016) 데이터를 병합한 뒤, 한부모가족의 자녀 총 229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한부모가족 자녀의 자아인식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아인식은 2개의 유형으로 이루어진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자아인식의 두 유형(프로파일)은 각 특성을 고려하여 ‘자아인식 저집단’과 ‘자아인식 고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한부모가족 자녀의 자아인식 유형에 미치는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자녀의 자아인식 유형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한부모가족 자녀가 높은 수준의 자아인식을 보이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큼을 가리킨다. 결론: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자녀 집단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아인식의 유형을 사람 중심적 접근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발견함으로써 관련 논의를 확장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한부모가족 자녀의 자아인식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전북 중등교사의 자아존중감, 학교조직문화, 다문화교육인식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특정간접효과 분석

        임명희(Myoung hee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변인인 자아존중감, 학교조직문화, 다문화교육인식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특정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북 지역 소재 22개 중등학교 교사 526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학교조직문화, 다문화교육인식,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과 팬텀변수를 사용하여 구조모형과 특간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7.0과 AMOS 27.0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중등학교 교사의 자아존중감은 학교조직문화와 다문화교육인식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직접효과는 없었다. 둘째, 특정간접효과 결과 자아존중감 → 학교조직문화 →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간접효과값은 .111(p<.01)이며, 자아존중감 → 다문화교육인식 →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간접효과값은 .101(p<.01)로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자아존중감 → 학교조직문화 → 다문화교육인식→다문화교수효능감으로 분석결과 간접효과값은 .034(p<.01)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중등교사의 자아존중감은 다문화교수효능감의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학교조직문화와 다문화교육인식에 따른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중등교사가 근무하는 학교조직문화의 개선과 다문화교육인식을 위한 노력에 따라서 다문화교수효능감이 증진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In this study, self-esteem,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which are variables affecting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Jeonbuk-do, were selected and specific indirect effects among them were analyzed.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self-esteem,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argeting 526 teachers of 22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Jeonbuk region. SPSS 27.0 and AMOS 27.0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and special indirect effec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phantom variable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self-esteem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a direc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but there was no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econd, self-esteem was effective i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rough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and complete mediat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pecific indirect effects, the indirect effect value was .111 (p<.01) with self-esteem →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the indirect effect value was .101 (p<.01).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self-esteem →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indirect effect value was .034 (p<.01).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elf-esteem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u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Therefor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efforts to improve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secondary teachers work and recognize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기혼자의 자아존중감,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과의 관계: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박상화,하창순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arch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of married person and to verify a moderating effect of the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emotional difference according to sex was examined. For these purposes,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360 married couples in Daejeon and other areas were measured. The emotional awar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cluding sub-factors. Furthermore,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elf-esteem and conjugal communication. Second, at the emotional awar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men appreciated the emotion more clearly than women. Third, as the result of verifying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different influence of self-esteem and conjugal communication to marital satisfaction along with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ong with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when counseling intervention about marital satisfaction, it should differ the considered point about self-esteem which is personal characteristic and conjugal communication which is couple interaction behavior factor. Moreover, it has significances as the basis of intervention for emotional awareness in couple counseling or couple therapy and conjugal communic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 proposal of the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전 및 기타 지역의 기혼자 36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 수준을 측정하였고, 빈도분석을 통한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차이를 살펴보았고,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통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은 하위변인을 포함하여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은 결혼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의 차이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서인식 수준에 따라 결혼만족을 위해 상담적 개입에서 개인의 특성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간 의사소통에 대한 고려점을 달리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부부상담 혹은 부부치료 장면에서의 정서인식적 개입과 이를 바탕으로 부부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입의 근거로써의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지연,황혜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79명, 유치원 교사 75명, 총 15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탄력성 척도(심순애, 2007), 전문성인식 질문지(이경,2001), 직무스트레스 질문지(김남희, 199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첫째, 유아교사의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은 각 변수 간의 관련성이 높았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이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는유아교사직이 전문적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전문직이라는 인식이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고 인식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는 자아탄력성의 낙관적인 태도와 분노조절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변량은 23%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는 전문성 인식 중 전문적지식과 기술요구와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변량은 13%였다. 넷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낙관적인 태도(자아탄력성), 전문적지식과 기술요구(전문성인식), 사회경제적인 지위(전문성인식), 분노조절(자아탄력성)이 유의한 영향을미쳤으며, 설명변량은 28%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를 향상시킬수 있는 지원체계를 체계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소외된 현대인의 자아인식을 위한 오리엔탈 디지털 미러의 구현

        이주헌 영상예술학회 2012 영상예술연구 Vol.21 No.-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자아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소외되는 개인으로서의 현대인이 갖게 되는 각종 사회병리현상들은 또 하나의 사회불안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은 물질만능주의, 외모지상주의 등 현대사회가 불러온 각종 병폐와 미디어의 급속한 확산과 영향력의 급증에 따라, 개인이 존재의미를 잃고 타인의 시선과 욕망에 의해 삶과 행동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자아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았던 서양철학에서는 이처럼 타인에 의해 자신의 행동양식이 좌우되는 문제를 인간성의 자기상실이라 하였고, 자신이 만든 피조물 혹은 문명에 의해 무력해지는 인간상을 자기소외의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현대인에게 부조리한 현실을 인식하고 그 속에 매몰되어 왜곡된 자신을 돌아봄으로써, 참된 자아의 의미를 인식하여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며, 물질과 욕망에 의해 구속되는 자아를 극복하고 참된 자아를 찾는 하나의 해법으로서 동양에서 제시된 불교의 해탈과 도교의 무위자연의 의미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람객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 볼 수 있는 디지털 미러를 구현하였다. 디지털 미러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구현된 디지털 기술을 통해서 관람객의 내면을 표현하기 때문에, 작가에 의해 만들어진 관람객의 '인터랙티브 자화상'이다. 여기에서는 두 개의 벽이라는 공간 속에 현실과 이상을 상징하는 T-셔츠와 도자기 스크린이라는 오브제를 달아놓고, 배경은 그대로 비춰지면서도 관람객의 모습은 투명하게 지워지는 디지털 미러를 구현하고, 외형보다는 내면을 중시하는 동양적 가치관을 더욱 강조한 ‘오리엔탈 미러’라고 이름지었다. 이는 소외감을 극복하고 개인의 한계를 초월하여 해탈과 무위자연의 경지에 이르기를 주장한 불교와 도교의 동양사상을 바탕으로 한 자아관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물질적 욕망과 외모에 대한 과도한 관심, 타인의 시선에 대한 지나친 의식 등의 부조리한 현실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상적 자아관을 인터랙티브 미디어 작업을 통해 구현한 것이다. 공간적 배치를 위한 두 개의 벽, 시각적 효과를 위한 디지털 미러, 그리고 물질만능주의의 현대와 느림의 미학과 사람의 정성이 드러나는 이상적 사회를 극명하게 대비하기 위해 사용된 대량생산된 공산품인 T-셔츠와 수작업으로 제작된 도자기 묶음 등은 물질만능주의, 외모지상주의, 미디어의 범람 등으로 인해 소외된 현대인들이 왜곡된 자아를 인식하고 자기소외를 극복하여 참된 자아를 찾아가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즉, 물질과 외형지상주의에 의해 왜곡된 현실에서 벗어나서 헛된 욕망과 타인의 시선에 의해 좌우되어 소외된 자신을 극복하고 이상적 자아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게 하고, 이를 통해 동양적 사상에서 말하는 해탈한 자아, 무위자연의 경지에 이른 참된 자아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작품은 효과적인 공간구성과 소재들의 배치를 통해서, 왜곡된 현실에 의해 소외된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실을 인식하고 참된 자아로 나아가야만 하는 관람객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동양사상에 근거한 디지털 미러로서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In the rapid change of modern society, the individuals are suffering from a loss of self-identification and a sense of alienation and this kinds of social pathology cause various social unrest. As one of major causes, mammonism and lookism(appearance-oriented view) are rampant in the modern society. Also, rapid and wide spread of media makes modern people lose their sense of presence and be under the control of others' viewpoints and desire. For this kinds of modern people, it is very meaningful and important that they aware the irrationalities of the society and the distorted self-identification so to recover their true self-awareness. In the middle of this process, orientalism such as Buddhism and Taoism can be an effective way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modern social pathology. Especially, the concept of nirvana and the thought of letting nature as it is are the bases of those oriental solutions. To realize those idea, the digital mirror based on orientalism, called 'Oriental Mirror' is implemented. This mirror reflects the viewer's image which is digitally transformed by computer programming and shows the profound meaning intended by author to reveal his artistic presentation through the viewer's reflection as an interactive self-portrait. To emphasize the meaning of a work, two big walls are set on both sides of viewer to face each other and the viewer stands on the space between those two walls. On the front wall, 16 pieces of ceramic plates are attached to consist one big screen reflecting the viewer's projected image which is captured by a live-camera. And the real wall, 2 T-shirts are hang on the white wall to represent the materialism of modern life. This implementation shows the dilemma of modern life which stands between the irrationalities of society and the ideal utopia. Also, it shows the difficulties of modern people who are wandering about the modern society which is affected by social pathology such as mammonism, materialism and lookism. To overcome those irrationalities, this work suggests that people get over the desire such as money, materialism, appearance-oriented view and too severe awareness of others' view. Also, it suggests that they must reach high level of spirit such as nirvana or the sense of letting nature as it is. Those suggestions are based on orientalism such as Buddhism and Taoism. This is why the work is named as "Oriental mirror". Thorough this work, viewers are awaken to realize their identifications and to aware their senses of presence. Also, they are motivated to get over the sense of alienation and to recover their true meaning of presence. Moreover, the work implemented in this study shows the effective space allocation of each materials such as two white walls, the ceramic plates of screen and T-shirts, They play an important and meaningful roles to realize the concept of oriental mirror which gives a motivation to a reviewer based on Orientalism.

      • KCI등재

        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 및 자아인식과의 관계

        박성주,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 자아인식의 전반적인 양상을 알아보고, 혼자놀이와 외로움 및 혼자놀이와 자아인식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2개의 사립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80명이었으며, 혼자놀이는 관찰을 통해, 외로움과 자아인식은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혼자놀이는 유형별로 혼자정적놀이, 억제된 행동, 혼자동적놀이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외로움과 자아인식은 유아들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혼자놀이 전체는 외로움과 관계가 있었으며, 혼자놀이를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억제된 행동과 혼자동적놀이가 외로움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혼자놀이 전체는 자아인식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인지능력과 어머니수용에 대한 유아의 자아인식은 혼자동적놀이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체능력에 대한 자아인식은 억제된 행동 및 혼자동적놀이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혼자정적놀이는 자아인식 전체 뿐 아니라 하위 유형별로도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verall aspects of children’s solitary play, loneliness and self-percept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s of children’s solitary play, loneliness and self-percept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80 5-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highest frequency of solitary play’s forms was solitary-passive play, followed by reticent behavior and solitary-active play. Young children did have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loneliness an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self-perception. (2) Reticent behavior and solitary-active pla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neliness. (3) Solitary-active pla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perception of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 acceptance. Finally, reticent behavior and solitary-active play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perception of physical abiliti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이윤선 한국생애학회 2023 생애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질 높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위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303명의 보육교사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를 산출하였고,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문성 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아탄력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도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즉 보육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았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ego-resilience, and child interaction in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how the former two affect the latter. A total of 303 childcare teachers from nurse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 of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ego-resili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Results showed that both expertise awareness and ego-resili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Furthermor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ego-resilience positively affecte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hild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