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돕는 기독교 상담에 관한 연구
김춘이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가 일반 심리, 교육, 사회 복지학 분야에서는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지만 기독교 상담 분야에서의 연구는 아직까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장애인에 관한 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며, 설령 그 연구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발달 단계, 장애 유형별 등에 대한 고려 없이 장애인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만 연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기초를 놓기 위한 작업으로 장애 청소년들의 자기 효능감의 증진을 돕는 기독교 상담 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자기 효능감은 행동을 선택하거나 지속하 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심리적 요인 중의 하나로 그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자기 효능감은 어떤 일의 목표를 산출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며, 인간은 자신의 주위 환경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으면 그 환경 안에서 주어진 과제 를 잘 수행할 수 있지만, 자기 효능감이 낮으면 환경 부적응자가 될 수 있다. 장애 청 소년들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담은 일반 심리학의 관점과는 다른 관점 에서 그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심어 줘야 한다. 새로운 가치란 하나님이 나를 창조하 셨고 구원해 주셨으며 능력을 주셨기 때문에 장애를 갖고 있지만 자신은 사랑스럽고 유능하고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 님의 형상(Imago Dei)으로 지음 받고 성령으로 말미암아 회복되고 새로워진다는 확신 에 기반을 둔 자기 효능감을 말한다. 이는 불변하고, 견고한 가치이며, 세상의 예측 불허한 반응과는 다르다. 따라서, 장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 담은 하나님의 말씀과 관점에 근거를 둔 자기 효능감만이 진정한 자기 효능감이라는 것을 장애 청소년들에게 상기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 효능감에 대해 자신을 하나님의 소중하고 사랑스러운 존재, 용서와 구속의 은혜를 받을만한 피조물의 관점 에서 재해석하여 건강한 자기 효능감의 기준을 제시한 Carlson의 이론 중 자기부인 (self-denial), 겸손(humility)함, 자격이 없는 것(unworthy) 등의 입장에 근거하여 장 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담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장애 청소 년은 장애인이기 이전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그 자체이다. 장애인이기 이전에 비장애 청소년과 다름이 없는 청소년이다. 그 이유만으로도 그들은 존재의 목 적이 있다. 또한 자기 효능감은 현재를 해석하여 내가 미래를 만들어 가는 미래 지향 적이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장애 청소년을 상담함에 있어서 미래가 인간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담에 임해야 한다. 즉 장애 청소년들이 장 애로 인해 겪는 갈등과 스트레스 등 모든 상황에 대해 집착하고 고통 받고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 대해 정직하게 직면하게 한 다음 미래를 향해 다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기독교 상담자의 관점은 장애 청소년들에게 청소년 의 시기가 갈등과 방황의 시기가 아닌 미래에 대한 꿈과 동경, 도전 의식을 긍정적인 쪽으로 발전을 시켜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In-depth studies about self-efficacy are being conducted in general fields of psychology,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However, research is not being conducted deeply in the field of Christian counseling. In particular, there is a great insufficiency in the research about those dealing with disabilities, who are the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and even when research takes place, it is only executed within a wide category of subjects with disabilities without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stages or types of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is field of research by suggesting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that can assist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disabled adolescents. Self-efficacy is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caus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selection or sustenance of behaviors and its role is gradually becoming more emphasized. Self-efficacy is belief in one's own abilities to generate a certain objective, and human beings can well implement given tasks within an environment if they hold high self-efficacy about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they may end up as a misfit to their environment if they have low self-efficacy. Christian counseling, which enhances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must provide new values to them from a dimension which differs from general psychology. The subjects will be able to perceive the meaning of new value and recognize themselves as a loveable, capable, and valuable existence despite their disabilities since God created them, brought salvation, and provided competence. In other words, this refers to self-efficacy which bases on the foundation that subjects are created by the Imago Dei of God and recovered and renewed by the Holy Spirit. This is an unchangeable and solid value and is different from the unpredictable responses of the world. Accordingly, Christian counseling which aims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remind them about how self-efficacy that bases on the word of God as well as his perspective is a genuine form of self-efficacy. This study interpreted self-efficacy from the dimension of considering oneself as a valuable and loved being of God as well as a new creation who deserves to receive forgiveness and grace of redemption. Then, the theories Carlson suggested for the criterion for self-efficacy such as self-denial, humility, and worthiness were based on to suggest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re human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this identity is much more significant than their identity as an adolescent with disability. They are just like any other adolescent without disabilities if it isn't for their disabilities. This reason itself holds a purpose in their existence. Additionally, self-efficacy is future oriented by the fact that individuals analyze their present condition and shape their own future. As a result, the Christian counselor should recognize how the counseling sessions caus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upon providing counseling. In other words,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so that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ill not feel attached and fall into despair about all the situations related to the disabilities such as conflicts and stress but encounter those situations honestly and take the next steps towards their future. This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counselor will provide support for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o that they can make positive developments for their dreams, longing, and sense of challenge during their adolescent period instead of go through a period of conflicts and confusion.
자기효능감이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천국,최세영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efficacy of user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on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a total of 374 elderly people at elderly care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from October 2021 to April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life are as follows. First, self-acceptance (β=)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f physical satisfaction.363, p<.001) and social efficacy (β=.136, p<.05)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self-fulfillment (β=).247, p<.001), social efficacy (β=.203, p<.01), self-acceptance (β=.190, p<.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f social satisfaction, social efficacy (β=.376, p<.001) and self-acceptance (β=.233, p<.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self-acceptance (β=)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f indoor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159, p<.05) and self-fulfillment (β=.150, p<.05) and outdoor living environment and self-acceptance (β=.159, p<.05) and self-fulfillment (β=.150, p<.05)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effic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user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1년 10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기관에서 총 37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이 삶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만족의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수용감(β=.363, p<.001)과 사회적 효능감(β=.136, p<.05)이 신체적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만족의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자기성취감(β=.247, p<.001), 사회적 효능감(β=.203, p<.01), 자기수용감(β=.190, p<.01)이 심리적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만족의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사회적 효능감(β=.376, p<.001)과 자기수용감(β=.233, p<.001)이 사회적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실내 생활환경 만족의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자기수용감(β=.159, p<.05)과 자기성취감(β=.150, p<.05)과 실외 생활환경과 자기수용감(β=.159, p<.05)과 자기성취감(β=.150, p<.05)은 실내외 생활환경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나라(Han, Na-Ra),최애경(Choi, Ae-Ky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 직무 상황에서 직업적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비서직무 자기효능 감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세 가지 구인을 비서직무 자기효능감의 잠정적인 구성 요인으로 설정한 후 비서 직무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비서 직무 내용을 전화응대, 방문객응대, 경조사업무, 일정관리, 회의관리, 출장관리, 사무환경정비, 문서관리, 회계업무, 개인신상 보좌업무로 분류하였다. 세 개의 구성요소와 열 개의 직무 내용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60개의 문항으로 비서 직무 자기효능감 예비척도를 구성한 후, 이 척도를 사용하여 192명의 현직 비서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의 문항분석, 요인분석,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척도 24문항이 선별되었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최종 척도를 예비검사 때와는 다른 140명의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본검사를 시행한 후 다시 문항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성타당도 중 수렴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로 24문항을 확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증과정을 거쳐 본 척도를 보다 정교화한다면 비서학 분야의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Literature review and job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secretary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in 10 job-related areas. On the basis of these sub-components, 60 items were constructed. The preliminary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was administered to 207 secretaries. The responses of 192 secretaries were analyze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appropriate items and common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the sub components of the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s a result, 24 items were select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modified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145 secretaries and the responses of 140 secretar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4 final items were confirm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final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proved to be acceptabl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scores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conducted for construct valid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자기주도적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민현홍,김재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실과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적 진로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 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 집단의 전후․좌우 진로자기효능감 점수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 기도 부천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연구자가 구안한 자기주도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10주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통제 집단에 서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고 학교교육과정에 의한 일반적인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이 운영되었다. 실험설 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법을 이용하여 전용 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 진로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진로자기효능감 점수를 비교한 결과, 5% 수준에서 진로자기효능감 전체 및 3개의 하위영역에서 모두 유의차가 있었다. 둘째, 자기주도적 진로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전후 진로자기효능감 점수를 검증한 결과, 진로자 기효능감 및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수행효능감 영역 모두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진로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진로자기효능감 및 하위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direct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I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in the score of career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elf -direct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and tested the hypothesis using two 5th‐grade classes at S Elementary School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a Self-directed career education program designed by the researcher for around 10 weeks. Using the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score of career self‐efficacy was comp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elf-direct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overall career self‐efficacy and all of the three sub‐factors (p<0.05). Second, when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of career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Self-direc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ere compared,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overall career self‐ efficacy as well as in sub‐factors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performance efficacy(p<0.05). Therefore, the Self-direc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in career self‐efficacy.
성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대처: 자기효능감 수준별 분석
박영신,손주연,송옥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3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behavior of adults based on their level of self-efficacy. A total of 899 adults (399 male; 500 female), each with a child attending eithe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ter-rater reliability for the open-ended questionnaire utilized in the study was 93.4%, with a Kappa coefficient of .92. The range of Cronbach α for the variables measured through a quantitative method was .87∼.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 about their most painful stress experiences were, financial difficulties, child rearing and duties of workplace. The Lower Efficacy group, compared to the Upper Efficacy group, responded much more with financial difficulties related respon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ress symptoms according to level of self-efficacy. The Lower Efficacy group expressed stronger levels of stress symptoms when compared to the Upper Efficacy group. Second,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received the most help from their family members, followed by none(self), and friends. When comparing the two efficacy groups, the Upper Efficacy group responded most frequently that they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their family members, whereas the Lower Efficacy group indicated non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lational conflict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Upper Efficacy group showed much less conflict in parent-child relations, spousal relations and relations with their boss, compared to the Lower Efficacy group. Third, for the type of social support participants received,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emotional support, followed by none, and advice. Relatively,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with each other, the Lower Efficacy group responded more frequently with none, whereas for the Upper Efficacy group responded more frequently with adv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emotional support received according to level of self-efficacy. The Upper Efficacy group received much more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spouses and their bosses compared to the Lower Efficacy group. Fourth, the most frequently adopted coping style to stress was self-regulation, followed by direct problem solving, and nothing(none). The most frequent response for the Upper Efficacy group was direct problem solving, whereas for the Lower Efficacy group was nothing(non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ping efficiency to stress according to level of self-efficacy. The Upper Efficacy group coped more efficiently with stress than the Lower Efficacy group. 이 연구는 자기효능감 수준별 성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대처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초, 중, 고등학생 자녀를 둔 성인 899명(남 399, 여: 500)이었다. 자유반응문항에 대한 채점자간 신뢰도는 93.4%, Kappa 계수는 .920이었으며, 양적 측정변인의 신뢰도는 α=.87∼.92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성인의 스트레스 생활사건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대표적이고 그 다음으로 자녀 양육, 직장 업무 등이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 하집단이 상집단보다 경제적 어려움을 많이 지적하였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스트레스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하집단이 상집단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강하였다. 둘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원 제공자는 가족이 가장 대표적이었고, 이외에 자기자신, 친구 등의 순서로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은 가족의 지원을 가장 많이 받는 반면에, 하집단은 사회적 지원 없이 자기자신이 해결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인간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부모자녀관계와 부부관계 및 직장상사관계에서 갈등이 적었다. 셋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원 유형으로는 정서적 지원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도움 없음, 조언 등이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 하집단은 상집단보다 도움없음이, 상집단은 하집단보다 조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정서적 지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배우자나 직장상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았다. 넷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방법으로 자기조절, 직접적 문제 해결, 없음 등이 부각되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은 직접적 문제 해결이, 하집단은 대처방법 없음이 가장 많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스트레스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스트레스 대처를 더 잘 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분석
류은수(Ryu, Eun Su),서민원(Seo, Min 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05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150개의 중학교 1학년 6,90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두변인 간의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을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연구모형-Ⅰ로 설정하여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변인 중각 시점에서 어떤 변인이 인과적인 선행변수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남․여학생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모형-Ⅰ(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각 변인의 초기치와 변화율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연구모형-Ⅱ(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종단적 연구방법의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첫째, 남․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수업이해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보다는 오히려 수업이해도가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종단적인 효과의 크기와 인과적 방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여학생 집단별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수업이해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관계는 남․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이전 학년의 수업이해도가 다음 학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의 요인이었다. 그리고 남․여학생 집단별로 각 조사시점에서의 수업이해도가 다음 학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며, 남․여학생 간의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간의 인과관계와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나 남․여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복 측정된 수업이해도와 자기효능감 변인 간의 학생 개인별 변화추이는 중학교 2학년 때 수업이해도가 높은 경우 자기효능감도 높았으며, 수업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자기효능감도 점차 향상된다는 개인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 according to causality of two variables, 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and difference according to sexuality targeting 6,908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nationwide 150 middle schools using the data of KELS(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hich has been being conducted since 2005 by KEDI(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this purpose, it was examined which variable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act as a causal antecedent annually at each point through sett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s a research model-Ⅰ. And, the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male group and female group.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model-I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initial values and change rates between each variable were analyzed and the longitudinal changing aspects between two variables were reviewed through setting a research model-Ⅱ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uch analysis results of longitudinal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e could understand the longitudinal effect size and casuality direction that learning understanding decisively affects on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learners rather than self-efficacy decisively affects on improvement of learning understanding through the result that the learning understanding highly affects on self-efficacy in both groups of male and female. Second, the casuality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as the grade goes up by groups of male and female emphasized that the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in the previous grade was a cause of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the next grade in both groups of male and female. And, the affections of learning understanding on self-efficacy in the next year were not changed at the time of survey for each male and female group, and furthermor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affections on casualit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were not changed with the lapse of time,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ird, the trend of change by students individuals betwee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which were repeatedly measured as the time passed reveal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that high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in the 2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results in high self-efficacy, and as learning understanding becomes high, self-efficacy is improved gradually.
박순호,김시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언어치료연구 Vol.3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courses related to the training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A total of 324 students major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examined for their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self-efficacy scores of the subjects averaged 3.10 out of 5. The self-regulation efficacy sco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scores. In terms of self-regulation 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actors. In terms of multidimensional attitude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elf-efficacy ‘high’ group scored 3.81, and the self-efficacy ‘low’ group scored 3.65.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 self-efficacy had a more positive multidimensional attitude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the group with low self-efficacy.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dimensional attitude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r=.19), and among the sub-factor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ffective attitude (r=.20) and behavioral attitude (r=.15). Conclusions: In order to positively change the attitudes of preliminar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pre-early childhood teacher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training courses of each grade is raise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curriculum centered on various experiences to enhance self-efficacy of preliminar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pre-early childhood teachers. 목적: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 상관을 파악하여 언어재활사 및 유아교사 양성과 관련한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방법: 언어치료 및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 총 32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의 태도를 알아보았다. 설문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 표본 t-검정, one-way 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예비언어재활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10점으로 나타났다. 자기 조절 효능감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 점수 순이었다. 자기 조절 효능감에서는 연령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에 따른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점수에서는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3.81점, 자기효능감 ‘하’집단이 3.65점이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r=.19)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위요인 중 정의적 태도(r=.20), 행동적 태도(r=.15)와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간에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결론: 예비언어재활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양성과정 교육에서는 학년별, 교과 및 비교과활동에서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언어재활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제고를 위한 다양한 경험중심의 양성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자기효능감의 영향
박영신,박영균,김의철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3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llowing questions: Do generational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reduce quality of life and what role does self-efficacy play?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generation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on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 total of 3,114 respondents, consisting of 1,038 adolescents and their father (n=1,038) and mother (n=1,038)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the perception of generation gap,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quality of life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and self-efficacy (Bandura, 1995). Hierarchical analysis indicate that inclusion of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ercentage of variance explained for quality of life, far and above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LISREL analysis indicate that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ha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ich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which in turn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Those respondents with less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with higher self-efficacy had higher quality of life. However, self-efficacy had a more powerful effect on quality of life than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effect size of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on quality of life. The effect size of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was 3 to 9 times greater than that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on quality of life. A similar pattern of results were obtained for adolescent, father and mothers samples. In summary,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increases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ich in turn reduces quality of life. However, self-efficacy reduces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significantly increases quality of life.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그러한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라는 질문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대 차이와 갈등을 청소년과 부모의 세대차에 대한 지각과 이로 인한 세대갈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세대갈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3,114명으로서, 청소년 1,038명, 아버지 1,038명, 어머니 1,038명이었다. 세대차 지각, 세대갈등, 삶의 질 질문지는 연구자가 제작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Bandura(1995)의 도구를 번역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세대차 지각과 세대갈등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추가되었을 때, 삶의 질에 대한 설명변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LISREL분석 결과, 세대차 지각은 세대갈등에 대해 정적인 경로계수를, 세대갈등은 삶의 질에 대해 부적인 경로계수를 나타내었다. 세대차 지각은 자기효능감에 대해 부적인 경로계수를, 자기효능감은 세대갈등에 대해 부적인 경로계수를, 삶의 질에 대해서는 정적인 경로계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대갈등이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지만,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는 세대갈등보다 자기효능감이 현저하게 높았다. 효과분석 결과, 세대차 지각이나 세대갈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전체효과는 부적인 효과계수를 보이는데 비해,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전체효과는 매우 높은 정적인 효과계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대차 지각이나 세대갈등이 클수록 삶의 질이 감소되지만, 자기효능감은 높을수록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세대차 지각이나 세대갈등에 비해 자기효능감은 삶의 질에 대해 3∼9배의 강력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반응 패턴은 청소년, 아버지, 어머니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대차 지각과 이로 인한 세대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지만, 높은 자기효능감은 세대갈등을 감소시킬 뿐만아니라, 삶의 질을 크게 증진시키는 매우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신(Youngshin Park),이임순(Yimsoon Lee),이상희(Sanghee Lee),김태우(Taiou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이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관계는 부모 희생, 부모 존경, 부모에 대한 죄송함을 하위변인으로 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부모관계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을 하위변인으로 포함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학교 1학년 298명(남 169, 여 129)이었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α=.78∼.90이었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희생, 존경, 죄송함)는 자기효능감에 대해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자기효능감(부모관계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효도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부모관계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부모에게 효도하였다. 넷째, 부모자녀관계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업성취와 효도에 대해 간접효과가 있었는데, 특히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높은 청소년이 부모관계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가 증진되고 부모에 대한 효도를 많이 하였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on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This is end, various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while rotat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variables (conceptualized as parental sacrifice, respect towards parents and indebtedness towards parents), and self-efficacy variables (conceptualized as adolescent``s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siliency of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8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169 males, 129 females). The questionnaires displayed Cronbach alpha coefficients ranging from 0.78 to 0.90.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acrifice, respect, and indebtedness) on self-efficacy,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respect for parents on adolescent self-efficacy,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parents the greater the adolescent self-efficacy. Seco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self-efficacy (relational efficacy,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siliency of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elf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self-efficacy on filial piety,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on filial piety, that is the higher level of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resulted in greater displays of filial piety. Fourth, indirect effects were seen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upo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with the effects stronger for respect for parents and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their parents the higher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resulting in greater academic achievements and display of filial piety. Fifth,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초등학생의 자기 위로 능력 및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S시 D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채한솔,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학연구 Vol.31 No.2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 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 위로 능력 및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고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S시 D초등학교 6학년 학생 44명이며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기 위로 능력 과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였고 학업성취 정도를 측정하기위해 11월에 평가한 국어, 수 학 시험지를 활용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의 독립 변인인 자기 위로 능력과 자기 효능감은 유 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성취 수준이 높은 집단으로 갈수록 이는 두 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 위로 능력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자기 효능감의 변인이 국어 성취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수학 성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초등학생의 자기위로 능력 및 자기효능감을 통합적으로 증진시켜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soothing ability and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plore variables tha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to enhance policy implica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6 from D Elementary School in S City,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self-soothing ability and self-efficacy, and the Korean language and math test papers evaluated in November were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soothing ability and self-efficacy,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and this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higher achievement level group. Second, self-soothing abil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the variable of self-efficacy did not affect Korean language achievement, bu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th achieve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sooth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should be integrated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