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태곤,이수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A total of 501 Korean college students(Males: 191/Females: 310) from two colleges in Seoul and Chu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ctual and Ideal Selves Questionnair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s(CES-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Statistics 18.0 VERSION and SPSS Process macro version 2.16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was found, but not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pathway leading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was examined jointly, including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counseling and prevention education practice for SNS addiction. Also,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남 소재의 4년제 대학교 재학생 501명(남학생 191명, 여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척도, 우울척도, SNS중독경향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SNS중독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그 중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과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고,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SNS중독 상담에서 적용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심적 계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휘,설하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1
People who pursue long-term goal experience the depletion of self-regulatory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how to control oneself in the state of depletion. When someone experiences ego depletion, self-control becomes difficult. However, standards-setting and self-monitoring can help self-control even after the ego-depletion, by allowing us to use self- regulatory resources efficiently. Especially, mental accounting can make standards and accordingly monitors oneself, so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in an ego-depletion state. There are two levels of mental accounting; specific and general. We assume that in a state of no ego-depletion, specific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while in an ego-depletion state general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That is beca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riggers less anticipated self-control perception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which does not lead to too much pressure on self-control when the self-regulatory resources are already impaired(an ego-depletion stat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as 2(ego depletion existence / or not) x 2 (mental accounting: general / specific) and measured self-control intention of each group. We verified our hypothe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those who experience ego depletion and need self-controlling it is more effective to 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상황에서도 꾸준히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기조절자원이 소진되었을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기 통제를 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기준과 자기 감시가 자기 조절 자원의 소진 이후에도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자기조절자원 소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기 통제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가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자기 감시를 하도록 하는 심적 계정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적 계정은 계정을 엄격하고 세분화하여 나눈 ‘구체적 심적 계정’과 계정을 유연하고 모호하게 설정한 ‘포괄적 심적 계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때,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이 효과적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반면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이 ‘구체적 심적 계정’에 비해 이후 자기 통제를 더 해야 한다는 예측된 자기 통제 지각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이후에는 포괄적 심적계정이 자기 통제에 더 긍정적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자원소진 여부(유/무) x 심적계정 수준(포괄적/구체적)의 연구 디자인을 설계하였으며, 각 처치 이후 자기통제 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보다 없을 경우 자기통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을,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을 활용하는 것이 자기통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심적 계정이 포함하는 기준과 자기 감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명진(Lee,Myung-J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이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학 분야에서 다루어져야 할 자기조절 연구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기조절 연구들의 문제점으로는 자기조절의 정의와 용어의 불명확성, 자기조절 과정에 대한 직접 측정도구의 낮은 사용성, 그리고 탈맥락적이고 통합적인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희귀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연구자들 간에 자기조절의 개념과 용어의 통일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자기조절의 인지 및 행동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접근성이 높고 해석이 용이한 자기조절의 직접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자기조절 역량향상을 위하여 탈맥락적이고 범주 통합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학교장면 뿐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서 한 개인을 자기 조절적 인간으로 만들기 위한 실제적인 훈련 방안을 제공할 것이며,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스스로 학습하는 인간을 만들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on self-regulation,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usses future challenges for self-regulation in education studies. The main problems with self-regulation research are diverse interchangeable terms and fuzzy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absence of a direct measuring method of self-regulation, and absence of a self-regulation practice program and teaching guidelines. In order to solve three problems, firstly, researchers should consolidate the terms and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Secondly, researchers need to develop a direct measuring method that is accessible and easy to interpret the results of. Lastly, researchers should develop embodied teaching guidelines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This research will lead people to self-regulate in learning and everyday life, and will be the basis of people learning, which is the eventual goal of education.
이순덕(Soon Deok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0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0 No.-
이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전략 활동 수준을 그들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 출신고, 성적 수준과 관련하여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동기적 전략에 속하는 외재적 동기와 통제신념, 그리고 내재적 동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원관리 전략에 해당하는 또래학습과 노력조절, 그리고 인지적 전략인 비판적 사고를 가장 저조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 수준은 성별, 학년, 전공계열, 출신고교, 성적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저학년보다는 고학년들의 능력 및 전략 활용 수준이 높았다. 전공 계열에서는 예체능계열 학생들이 다른 전공계열 학생들에 비해 전략 활용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일반계 교등학교 출신자와 특수목적고, 검정고시 출신자들이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들보다 전략 활용 수준이 훨씬 정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과 학업 성적수준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전략들을 의미 있게 많이 사용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전략들 중에서 우리 학생들의 활용 정도가 낮은 전략들을 중심으로 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훈련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자기 효능감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나준희,이용기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학교급별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인 탐색
한정희(Han,Jeonghee),박용한(Park,Yonghan) 한국교육학회 2024 敎育學硏究 Vol.62 No.4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하고,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조절학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시간관리를 종속변인으로 사용하여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비교하였으며, 학교급 별 프로그램 운영 특성(적용영역, 수업처치)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세부 기준에 따라 38편의 국내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로부터 178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51(U3 = 70%)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은 시간관리(ES = 0.89), 학업적 자기효능감(ES = 0.73), 학습동기(ES = 0.62), 자기조절학습 능력(ES = 0.62) 등 모든 종속변인에서 효과적이었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에는 8주 이내 / 20회 초과 / 120분 이하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8주 이내 / 10회 이하 / 90분 이하에서, 대학생의 경우에는 8주 이내 / 20회 이하 / 60분 이하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효과크기가 컸다. 특히 적용영역과 관련하여 학습코칭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급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및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시해 준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RL) programs and explored the components of effective SRL programs. Specifically, we compared the effect sizes of SRL programs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as dependent variables. We also examined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implementation (e.g., subject area and type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by school level.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a total of 178 effect sizes from 38 domestic studies selected using specific criteri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SRL programs was 0.51 (U3 = 70%). Second, SRL programs were effective for all dependent variables: time management (ES = 0.89), academic self-efficacy (ES = 0.73), learning motivation (ES = 0.62),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ES = 0.62). Third,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when the programs lasted 8 weeks or less with 20 or more sessions and 120 minutes or less per sess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effective programs lasted 8 weeks or less with 10 sessions or less and 90 minutes orb less per session. For college students, the effective programs laste 8 weeks or less with 20 sessions or less and 60 minutes or less per session. Notably, those SRL programs as learning coaching showed greate r effect sizes for higher school levels. These results provide a practical guideline for the critical components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effective SRL programs by school level to enhance students’ SRL abilities.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Park, Seong Yong),나준희(Na, June-Hee),이용기(Lee, Yong-K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박미정(Park, Mi Jung),엄정애(Ohm, Jung A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곳의 만 3, 4, 5세 9학급 유아 12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유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친사회적 조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경우, 만 3세 유아들보다 만 5세 유아들의 친사회적 조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비놀이 행동보다 놀이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중 기능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규칙 있는 게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놀이행동 유형에서는 병행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집단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비놀이 행동 중 쳐다보기와 돌아다님 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증진과 연관이 있는 놀이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general tendency and difference by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children an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lay behavi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26 children aged 3, 4 and 5 in 9 classes at 3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or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gnitive regulation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motivational, prosocial regulations in order.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age and sex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regulation. Secondly, children did more play behaviors than non-play behaviors as they ha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nd more non-play behaviors than play behaviors as they ha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cognitive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showed more functiona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rule games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social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did more paralle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group play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On the other hand, children did more watching behavior of non-play type as they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이 의대생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에 미친 효과
시지현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1
The study of designing learning contexts where learners can train and develop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on self-regulated learning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in one medical school. In this learning context, the students worked in a mixed group composed of the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igh, medium and low). It also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co-regulation that occurred during collaboration, their pre and pos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s well.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relationship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p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s well. For this, 50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scientific thinking and medical research’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 mixed groups were composed, each group with 5 students, one from the high level, two from the medium level, and two from the low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implem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In the class, the students in a mixed group conducted authentic research for ten weeks. After finishing their research, they filled out the same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and co-regulation questionnaire online.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is effective to develop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the learner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a similar level of co-regulated activities to the learners with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is co-regulated activities had the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uch connection was particularly strong for the students with the medium level of p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for development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최근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을 훈련할 수 있는 학습맥락설계에 관한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 의과대학에서 실제적인 의학연구를 진행하는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에서 소그룹 구성을 자기조절학습능력 상중하 수준의 학습자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그룹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학습맥락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상이한 학습자로 구성된 소그룹에서 발생하는 협력조절이 학습자의 사전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전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별 자기조절 학습능력 개발 및 협력조절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한 의과대학에서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으로 설계된 ‘과학적 사고와 의학연구’과목을 수강한 의예과 2학년 학생 50명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학기 초에 실시된 사전 자기조절학습검사 점수에 따라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져 상위집단에서 한명, 나머지 중 하위 집단에서 각각 두 명씩 5명씩 한조를 이루어 10주 동안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프로젝트를 끝낸 후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협력조절에 관한 데이터는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상이한 학습자로 구성된 소그룹에서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 협력학습맥락은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개발에 효과적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와 함께 협력조절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보다 낮은 학습자들도 조절활동에 비슷한 수준으로 참여하게 하며 이러한 협력조절은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중간 수준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가진 집단에서 이러한 관계가 가장 크게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는 여러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수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김갑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1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에 컴퓨터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컴퓨터 교육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는 교수 학습 모델이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자기조절 학습을 할 수 있는 자기 조절 학습 모형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조절 학습 요소, 자기 조절 학습 단계와 자기 조절 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자기조절 학습 요소는 과제 수준, 일반화, 효율화이다. 자기조절 학습 단계는 문제이해, 설계, 코딩, 시험, 유지보수이다. 자기조절 학습 모델은 복사하기, 변형하기, 창조하기, 도전하기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 요소들과 성취도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효율화와 일반화가 과제 수준보다 더 높았다. 학습 단계에는 문제 이해와 설계 단계가 다른 단계보다 더 높았다. 학습 모형에서는 변형하기, 창조하기, 도전하기가 구현하기보다 상관관계가 더 높았다.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comput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in comput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re are very few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In this paper, we develop a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for students to be self-regulated learning. In this study, we propose self-regulated learning elements, a self-regulated learning steps and self-regulated learning modele. Self-regulated learning elements are task level, generalized level, and efficiency level. Self-regulated learning phases are problem understanding, design, and coding, testing, and maintenanc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s are to copy, to modify, create, and to challe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generalized level, and efficiency level are higher than the task level. At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and achievement, Understanding and design stages are higher than the other stages. At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model and achievement, to transform, to create, and to challenge are higher than to 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