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략식 자기서사와 정서반응형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상관관계 연구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2 No.-

        본 연구의 목표는 `정서반응형 자기서사진단검사`와 `간략식 자기서사진단 검사`의 비교를 통해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결과가 일관되고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 종류의 자기서사 영역별로 간략식 자기서사진단검사의 결과와 5점 리커트 척도인 정서반응형의 점수 간의 일치 및 불일치의 빈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서사영역의 네 가지 진단서사의 경우 두 도구 간 결과는 일치하는 빈도가 일치하지 않는 것보다 2배 이상 높았고, 남녀서사영역의 경우 세 가지 진단서사에서 일치 빈도는 5배 이상 되었다. 또 부부서사영역의 문항에서는 네 종류의 진단서사의 일치 정도는 2배 이상 되었다. 부모서사영역의 경우는 네 가지 진단서사의 일치 빈도는 2배 이상 높았다. 열여섯 가지 진단서사 가운데 열 가지 진단서사는 대체로 두 검사의 결과가 일치했지만, 나머지 여섯 가지 진단서사는 불일치 또는 간략형의 결과와 정서반응의 점수가 부정적인 방향으로 일치했다. 가장 높은 불일치 빈도를 보인 것은 자녀감싸기 진단서사였다. 이유는 두 종류의 검사 도구에서 사용한 작품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정서반응형에서는 <장모가 된 며느리>를 사용한 것과 다르게 간략식에서는 <거짓 장례로 개가시킨 딸>로 변경된 것이다. 이와 다르게 동일한 설화를 사용했음에도 피검자들이 자신의 자기서사와 유사한 진단서사에 대해 낮은 점수를 준 경우도 있었는데 <역적 누명과 회초리>가 그것이다. 양상이 다르긴 하지만 불일치에 관여하고 있는 변인은 문화적 요소라 추론했다. 또 감싸기라는 서사의 경우 그 서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진단서사의 교체보다는 진단서사의 문항을 추가함으로써 표층과 심층의 자기서사를 모두 포착해 낼 필요성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두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만 피검자의 자기서사와 다른 진단서사에 대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일치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내 복에 산다>, <고부곡어황천>, <호랑이 눈썹>, <지붕에 소 올리기>의 네 종류 진단서사가 해당된다. 이 네 가지 서사의 공통점은 진단서사에 대한 피검자들의 비호감이 높은 작품들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부정적인 평가만큼이나 호감의 일치 빈도도 높은 진단서사의 경우 서로 다른 방향의 자기서사를 지닌 내담자를 한꺼번에 포착해내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if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and the “Brief Epic of Self Test” are consist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son and daughter epic realms, the coincidence frequency of the two diagnostic tools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In the man and woman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five times higher. Additionally, in the husband and wife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In the father and mother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Ten out of 16 diagnostic epics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and the Brief Epic of Self Test matched with each other. The highest frequency of inconsistency was on 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The reason for the mismatch of the diagnostic results is that the two tests comprised different epics.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we used a Daughter-in-law Becomes a Mother-in-law epic, while in the Brief Epic of Self Test, we used the Fake Funeral for the Widow`s Daughter epic. The mismatch between the two tests in terms of epics of protecting children was attributed to cultural differences. Whip and Virgin also reported inconsistent diagnostic result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Cultural differences led the clients to misunderstand the relationships that appeared in the narrative. However, the epics of protecting must be able to transcend norms. Therefore, inconsistencies in diagnostic epics are suggested to be resolved by adding a diagnostic epic rather than replacing it. This would also enable us to diagnose both superficial and deep epic of the self. In the diagnostic epics My Own Good Fortune, Tears of My Husband`s Soul, Tiger`s Eyebrows, and Cow and Roof, the results of the two diagnostic tools matched, but the responses did not match for the 10 other types of diagnostic epics. The results were similar for the above-mentioned four diagnostic epics because the clients highly disliked the epics. However, most of the clients who showed a negative response to Cow and Roo>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selected 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in the Brief Epic of Self Test. The remaining three diagnostic epics were favorable only by non-favorable frequency. In other words, the three diagnostic epics may be useful for diagnosing clients with a different kind of epic of the self.

      • KCI등재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안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8 No.-

        자기서사는 문학치료학을 고유의 방법론을 가진 학문으로 정립하게 하는 핵심적 개념이며, 이에 대한 자기이해, 즉 자기서사 알기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빠질 수 없는 과정이다. 그래서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 진단검사도구들을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개발해 왔다. 학계에 보고되고 상용된 대표적 진단도구들은 `연쇄전개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자유연결형 자기서 사진단검사도구`,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정서반응형 자기서사 진단검사도구`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사도구들이 개발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각검사도구들의 장단점을 논하며,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각 검사도구들의 문제점과 시행착오의 결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어진 서사적 상황, 즉 인물, 배경, 제재가 되는 사건 등을 한 세트의 문항에서 통일할 것, 둘째, 참여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도록 선택지를 간결하게 할 것, 셋째, 일관된 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서사능력보다는 자기서사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 넷째, 문학치료사의 개입이 최소화되어야 할 것 등이다. 이러한 개선 방향을 바탕으로, 기존의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지만 이를 간략히 변형한 `간략식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서사적 상황의 통일성을 갖추기 위해 하나의 진단서사에 대해 한 가지 선택을 하게 하였다. 이로써 선택 이후에 선택과 상관없이 다른 서사적 상황과 조우하게 되는 혼란을 줄이려하였다. 다음으로 직관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위해 한 번의 선택으로 하나의 서사가 완료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자기서사 형태 파악이라는 진단 목표에 정합적인 진단지 구성을 위해 네 가지 선택지를 마련하였다. 즉, 서사적 문제 상황과 그 해결 사이에 존재하며 서사의 성격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분기점에서, 가르기, 밀치기, 되찾기, 감싸기 방식으로 서사가 진행하는 네 가지 경로를 제시한 것이다. 이로써 참여자가 품은 자기서사 형태를 쉽게 분별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이로 인해 이 검사도구는 자기서사 진단의 결과도 거의 실시간적으로 보고될 수 있을 정도로 표준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Self-Epic” is a key concept that makes it possible to establish “Literary Therapy” as a unique theory. Almost all literary therapy programs included diagnosis as an essential aspect.. In this study, I examined various existing self-epic diagnostic tools and analyzed the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improving them. Cosequently, I proposed the “Brief Epic-Analyzing Self-Epic Diagnostic Tool” which is a transformed and simplified version of the existing “Epic-Analyzing Self-Epic Diagnostic Tool.” The newly developed tool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It is convenient for many target users such as students in a class; it facilitates selection with intuition; it is appropriately swift for testing, and the test results can be standardized.

      • KCI등재

        문학치료 사례 연구 현황을 통해 본 ‘자기서사 진단’ 방법과 발전 과제

        김혜미(Hye Mi Kim)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문학치료 임상 사례 연구를 통해 자기서사 진단의 현황을 살핀 것이 목적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분야의 자기서사진단 사례는 제외한 것이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다양한 방식의 자기서사진단 방법을 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자기서사 진단의 방법의 방향성을 타진할 수 있는 준비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임상사례 연구를 통해 미루어 확인한 바, 자기서사 진단은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자기서사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이다. 두 번째, 작품의 서사적 반응을 통한 자기서사 진단이다. 첫 번째인 자기서사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에도 두 가지의 진단 방법이 드러나고 있는데, 이는 기초서사영역 자기서사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진단과 MMSS 자기서사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진단이다. 두 번째, 작품의 서사적 반응을 통한 자기서사 진단에도 두 가지 방법이 드러나고 있다. 이는 바로 설화 각편을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과 문제 상황에 따른 문학치료 프로그램 설계와 자기서사 진단이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 현황을 전반적으로 확인하였을 때, 문학치료에서 내담자의 자기서사 진단에 대한 제안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자기서사 진단의 양적 연구의 부족 현상이다. 내담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작품들이 있지만,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작품이 적지 않다. 특히 ‘기초서사영역 자기서사진단검사지’ 혹은 MMSS에 수록된 작품들이 그렇다. 이러한 작품들에 대한 반응을 통합하여 양적 연구로 확대할 수 있다면 진단에 대한 객관성이 확보될 수 있다고 본다. 두 번째, 작품 제공의 기준 및 진단의 명확성 제고이다. 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진단이 아니라면 작품에 대한 선정 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작품 선정 자체가 내담자의 현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기준점이기 때문이다. 작품의 선정이 수련감독을 동반한 슈퍼비전을 통하여 선정되어야 함에도 임의적 선택으로 지고 있다. 진단 또한 작품의 선정과 연동되어 있기에 슈퍼비전을 통해 이루어진다면 더욱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epic of self diagnosis through literature therapy case studies. In this article, various methods of epic of self diagnosis are summarized and provided. The reason is to prepare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method of epic of self diagnosis. In this paper, a case study was identified. Epic of self diagnosis is largely divided into two directions. First, it is the epic of self diagnosis using a the epic of self test paper. Second, it is the epic of self diagnosis through the narrative reaction of the work.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uggestions for the diagnosis of the client's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y. First, there is a lack of quantitative research related to the epic of self diagnosis. There are various works that are provided to clients, but there are not many works that are used as the core.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ith works included in the 'the epic of self test' or MMSS. If responses to these works can be integrated and expanded to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ity in diagnosis can be secured. Second, it is to enhance the criteria for providing works and the clarity of diagnosis. Unless a diagnosis is made using a diagnostic test strip, the selection criteria for works should be clear. This is because the selection of works itself is a reference point for diagnosing the client's current condition. The selection of works should not be made arbitrarily by a literary psychoanalysis counselor, but through supervision. Diagnosis is also linked to the selection of works and if it is made through supervision, a more accurate diagnosis can be made.

      • KCI등재후보

        작문교육과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박기석 ( Park Ki Su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2 No.-

        본고에서는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활용한 작문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2장에서는 실험 대상자, 즉 피검자의 독후감과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검사결과에 나타난 자기서사의 모습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 둘에 나타난 피검자의 자기서사의 모습은 대체로 일치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자기서사를 진단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의 독후감 쓰기는 작문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3장에서는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작문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첫째,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사용해 피검자의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피검자가 단락과 단락을 연결하기 위해 삽입한 보충단락을 통해 피검자의 자기서사를 발견해 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피검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연상 작용을 이끌어내어 피검자의 문장구성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작문교육이 수행될 수 있다. 둘째, 피검자에게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검사결과를 알려주고 작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피검자는 다양한 해석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해석의 경험은 자기서사의 수정으로 이어지며, 독후감 재작성을 통해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처럼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는 피검자의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본래의 기능 외에 작문교육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position using `the epic of self test`. In chapter two, I compare a testee`s impressions of a book with a testee`s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self test`. Consequently, the testee`s epic of self from the testee`s impressions of a book matches with the testee`s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self test` in general. During the process, writing one`s impressions of a book is closely related to composition. In chapter three, I examine the ways of using `the epic of self test` for composition. First, during the process of diagnosing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self test`, the testee`s epic of self can be found through the supplementary paragraph which is inserted for linking a paragraph to a paragraph. While the testee goes through the process, the testee`s imagination can be stimulated and also the testee`s ability of composition can be extended. Secondly, while a tester informs the result of `the epic of self test` and has a conversation with the testee, the testee experiences a literary work deeply. As a consequence, the testee has an opportunity to modify the epic of self, and the change is confirmed through re-writing the impressions of a book. Thus, `the epic of self test` can be useful for composition beside it`s original function as a test for diagnosing the epic of self.

      • KCI등재

        MMSS-ON을 활용한 초등 고학년 자기서사 진단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이승민 ( Lee Seung-m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신동흔이 개발한 온라인 자기서사 진단 도구인 MMSS-ON을 활용하여,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기서사 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연구다. MMSS-ON이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입증하고 나아가 MMSS-ON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초등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MMSS-ON을 활용하여 8회기에 해당하는 초등 고학년 아동 대상 자기서사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서울 시내 2개 초등학교에서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는 자발적 참여를 원칙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한다, 자기서사 진단 회기와 자기서사 탐색 회기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이야기 탐색 과정이 자기서사의 성장 과정이 되도록 한다, 필요하다면 집단 상담과 별도로 개인상담을 진행한다 등의 원칙을 세웠다. 자기서사 진단 회기는 6회기로 한 회기에 2~3개 이야기를 구연하고, 생각 나누기를 하고 진단지를 작성하는 순으로 구성하였다. 자기서사 탐색 회기는 2회기로 이야기 만들기와 책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이야기 탐색 과정이 자기서사의 성장 과정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열린 질문을 통해 생각 나누기를 하였다. 자기서사 진단 회기에 나타난 초등 고학년의 자기서사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현실적이고, 공격적이며, 욕심 많은 캐릭터에 대한 호감이다. 두 번째 특징은 주먹이처럼 집을 떠나는 캐릭터에 대한 부정 반응이다. 세 번째 특징은 참여자들의 성향에 따라 그래프의 모양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참여자들의 그래프를 보면 외향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자의 경우 좌우로 긴 모양의 그래프가 나타났고, 내향적이고 소극적인 참여자의 경우는 중앙에 밀집된 모양의 그래프가 나타났다. 자기서사 탐색 회기는 문학치료적 글쓰기 방법의 하나인 다시쓰기 과정이다. MMSS-ON 진단 결과 나온 자신의 캐릭터나 주변 인물을 주인공으로 이야기를 만든 참여자들은 이야기를 끝까지 완성할 수 있었다. 이는 그 캐릭터의 서사가 참여자의 내면에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마음에 드는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하여 이야기를 만든 참여자들은 이야기를 결말까지 완성하지 못했다. 이는 그 캐릭터의 서사가 참여자의 내면에 없거나 제대로 자리 잡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MMSS-ON이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기서사 진단에 유용한 도구임과 더불어 이를 활용한 초등 고학년 자기서사 진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 과정, 진단 결과 집단의 특성을 다루었을 뿐 참여자 개인의 자기서사를 심도 있게 다루지는 못하였다. 이는 후속 논문을 통해 이어가고자 한다. 본 연구가 초등 고학년 대상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sing MMSS-ON, an online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tool developed by Shin Dong-Hun,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program for the diagnosis of story-in-depth of self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MMSS-ON is a useful tool for diagnosing story-in-depth of self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use of literary therapy programs using MMSS-ON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veloped a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program for 8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MMSS-ON and implemented it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downtown Seoul.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group counseling is conducted in principle with voluntary participation, the program is organized into a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session and a story-in-depth of self search session, the story search process becomes the growth process of sstory-in-depth of self, and if necessary, personal counseling is conducted separately from group counseling. The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session was organized in the order of composing two to three stories in one session, sharing thoughts, and preparing a diagnosis sheet. The story-in-depth of self search session was held in the second session, with story making and book making. In order to make the story search process a growth process of story-in-depth of self, thoughts were shared through open ques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tory-in-depth of self in the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session of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a liking for realistic, aggressive, and greedy character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a negative reaction to a character who leaves home like a Jumukyi.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the shape of the graph changes according to the tendencies of the participants. When looking at the graphs of the participants, in the case of extroverted and active participants, a long graph appeared in the left and right, and in the case of introverted and passive participants, a dense graph appeared in the center. The story-in-depth of self search session is a rewriting process, one of the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methods. Participants who made the story based on their own characters or surrounding characters as the main characters from the MMSS-ON diagnosis were able to complete the story by the end.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s narrative is inside the participant. Conversely, the participants who made the story with their favorite characters as the main characters did not complete the story until the end.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s narrative is not within the participant or is not properly positioned. It was found that MMSS-ON is a useful tool for diagnosing story-in-depth of self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a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program using MMSS-ON. This study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development, progress, and diagnosis result group, but did not deal with the individual participants' story-in-depth of self in depth. This will be continued through subsequent pap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cornerstone in the development of literary therapy programs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설정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이 논문에서는 부모가르기서사로부터 자녀감싸기서사에 이르는 열여섯개 서사영역에서 각각 어느 수준의 어떠한 자기서사가 작동하고 있는지 알아낼 수 있는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들을 설정하였다. 문항설정은 피검자가 진단서사를 얼마나 저항 없이 잘 따라가는지를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나의 진단서사에 대하여 세 지점에서 문항설정을 하였는데, 설정된 문항들은 대체로 네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하였다. 첫째는 진단서사의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는 방향의 문항, 둘째는 진단서사의 흐름과 반대로 가는 방향의 문항, 셋째는 대립하는 앞의 두 방향을 무화시키거나 또는 무관심한 방향의 문항, 넷째는 제시된 세 개의 방향 모두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문항 등이 그것이다. 이번 논의의 가장 중요한 성과는 자기서사의 열여섯 개 서사영역 각각을 진단할 수 있는 문항들이 구체적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이다.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진단이론이 아무리 정교해도 실제로 진단검사를 실행하여 자기서사를 진단할 수 있는 문항들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그 진단이론은 그림의 떡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다음으로 중요한 성과는 진단서사의 세 지점에서 문항을 설정하여 서사의 갈림길을 열어 놓음으로써 진단서사가 안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의식을 다각도로 드러내었다는 것이다. 서사는 갈림길에서 당면한 문제를 논쟁적으로 성찰하고 선택을 결단한다는 당연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실현한 셈이다. 또 하나 중요한 성과는 문항설정을 네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서사 전개의 논리를 개발하였다는 것이다. 서사는 서사 자체의 논리에 입각하여 전개되며, 논리의 방향을 바꾸면 다른 서사로 넘어가게 된다는 점을 분명하게 하면서, 장차 서사지도(敍事地圖)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발판 하나를 마련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problem items for the epic of self tes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establishing problem items for the epic of self test in sixteen epic realms in order to know how easily testee follow the diagnostic epics. The diagnostic epics are wholesome epics. < The Liver of Son and Stepmother >(the epic of dividing parents), < Sun and Moon, Brother and Sister >(the epic of pushing parents), < My Own Good Fortune >(the epic of recovering parents), < Bridge and Mother >(the epic of protecting parents), < Whip and Virgin >(the epic of dividing the opposite sex), < Fox Jewel >(the epic of pushing the opposite sex), < Woman's Beauty and King's Counselling >(the epic of recovering the opposite sex), < Bathing with Beautiful Woman >(the epic of protecting the opposite sex), < Tears of Husband' Soul >(the epic of dividing mate), < Tiger's Eyebrows >(the epic of pushing mate), < A Centipede Woman >(the epic of recovering mate), < Generous Husband >(the epic of protecting mate), < Cow and Roof >(the epic of dividing children), < Young Son and Old Father >(the epic of pushing children), < A Firewood Seller and Borrowing a Good Fortune >(the epic of recovering children), < A Daughter-in-law Becomes a Mother-in-law >(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are those. Second, another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opening the forked road of epic by establishing problem items at three points of diagnostic epic and revealing the central issues of the diagnostic epic. Third, another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developing the logic of epic and preparing foothold for epic map.

      • KCI등재

        MMSS 자기서사 진단 사례 연구

        권도영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2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diagnosis using the MMSS self-narrative diagnostic test tool. In November 2021, the manual was officially distributed through the workshop, “MMSS Magic Mirror for the Story-in-depth of Self V.1.1 for the general public to spread the story of life in a healthy and happy way.” The results of self-narrative diagnosis and diagnostic counseling were analyzed for three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The effects tha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MMSS self-narrative diagnosis can be stated through clarification, dimensionalization, and self therapy. First, clarification is that the diagnosis results are express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s in the story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narrative can be understood contextually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ence and relationship. Second, dimensionalization was able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elf-narrativ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work and each item.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 therapy has the effect of objective reflection on the participant itself through diagnostic counseling. Based on the theory of literary therapy, MMSS self-narrative diagnosis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diagnosing and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elf-narrative by identifying the narratives that the participant accesses well and those that are not,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본 논문은 MMSS 자기서사 진단 검사도구를 활용한 진단 사례 연구이다. 2021년 11월에 워크숍을 통해 공식적으로 매뉴얼이 배포된 「인생이라는 스토리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펼쳐가기 위한 MMSS 자기서사 진단지(Magic Mirror for the Story-in-depth of Self) 일반인용 V.1.1」을 활용하여 50, 60대 중년 여성 3명을 대상으로 자기서사 진단과 진단상담을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MMSS 자기서사 진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효과는 명료화, 입체화, 자가치료로 나타낼 수 있다. 첫째, 명료화는 진단 결과를 이야기 속의 캐릭터에 주목하여 진술함으로써 자기서사의 특성을 존재성과 관계성의 틀 속에서 맥락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입체화는 각 작품들 간, 각 문항 간 연관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기서사의 특징적인 모습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자가치료는 진단상담을 통해 참여자 스스로도 객관적인 성찰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MMSS 자기서사 진단은 문학치료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참여자가 잘 접속하는 서사와 그렇지 못한 서사를 확인하고 그 서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참여자의 자기서사의 특성을 진단하고 서술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구비설화 <내 복에 산다> 각편을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서사 진단 사례 연구 -설화에 대한 반응과 동화창작을 중심으로-

        김혜미 ( Kim Hye-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7 No.-

        문학치료 활동에서 기초서사영역의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일은 시검자가 인간관계를 맺는 경향성을 탐색하는 일이다. 문제 상황에 대한 구체적 진단보다는 나의 인간관계 맺기 경향성을 돌아보는 것을 통해 ‘나’를 좀 더 알아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일은 어떤 심리학적 증상을 진단하는 일은 아닐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서사영역의 자기서사진단의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설화 각편을 활용하였다. 설화의 각편들은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데에 유용한 방법이 된다. 설화마다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채록된 설화 각편들이 생성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같은 이야기이지만, 다양한 형태로 드러난 각편을 통해 내담자가 조응할 수 있는 각편을 탐색하고, 그 각편을 선택하는 내담자는 해당 각편의 유형의 자기서사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서사영역의 자녀서사 중 <내 복에 산다>의 각편을 통해 자기서사를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자녀서사진단 내용 즉, 부모가르기, 부모밀치기, 부모되찾기, 부모감싸기라는 진단 방식에서 더 나아가 관계적 맥락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도록 진단의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내 복에 산다>의 네 개의 각편을 모두 제시하여 ①정서반응형을 통해 설화에 대한 반응을 살피고, ②창작할 각편을 선택하고, ③재창작한 작품을 전반적으로 살피는 과정을 통해 피검자의 특징을 수렴하여 종합적 진단을 진행하였다. 이 때 중요한 것은 각 피검자의 관계적 특성과 존재적 특성을 종합하여 자기서사를 진단하였다는 점이다. 피검자를 통한 자기서사의 진단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내 복에 산다>의 축출재회형을 감동적이라고 반응하고 이를 통해 재창작을 진행한 청소년㉮는 “독립의 지향과 불합리한 세상에 대한 포용 가능성”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 가능하다. 축출발복인정형을 감동적이라고 반응하고 이를 통해 재창작을 진행한 청소년㉯는 “독립의 지향과 세상의 인정욕망”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 가능하다. 축출발복형을 가장 마음에 든다고 반응하고 이를 통해 재창작을 진행한 청소년㉰는 “독립의 지향과 불합리한 세상에 대한 저항”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비축출지속형을 흥미롭다고 반응하고 이를 통해 재창작을 진행한 청소년㉱는 “세계 내 자아정체성 확보와 세계에 대한 의존”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 가능하다. 본 연구는 적은 수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결과를 평준화하기는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이야기의 설화 각편을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의 연구를 시작으로 하여 기초서사영역의 진단과 해석의 기준을 세울 수 있다면 추후 문학심리분석상담사가 더욱 능동적으로 문학치료활동을 진행할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Diagnosing the epic of self involves exploring the propensity of individuals to form relationships. It is also the process of getting to know oneself. However, it is not a psychological diagnosis as it is more akin to finding a way to establish a relationship through the reaction to literature, that is, a form of literary therapy. This study uses the transmission of folktales to diagnose the epic of self. This takes into account how clients react to narration, similar to the folktale generation principle. The study’s premise is that because folktales are transmitted in different forms, clients react to them differently. This study also assesses the possibility of the diagnosis of an epic of self through the folktale My Own Good Fortune by establishing criteria for diagnosis and interpretation. In this study, expect more active literary therapy using folktales.

      • KCI등재

        문학치료를 위한 자기서사 진단과 해석 연구 -MMSS 진단지의 성격과 구성, 해석과 활용-

        신동흔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4 No.-

        This study develops a diagnostic tool for literary therapy, and discusses its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ation methods. Literary therapy focuses on the diagnosis and coordination of story-in-depth of self (SIDS) as the literature that drives life. Accurate diagnosis of SIDS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literary therapy consult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Magic Mirror for the Story-in-depth of Self (MMSS) diagnostic paper as a new diagnostic tool that can comprehensively diagnose the existenti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SIDS. MMSS is different from existing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diagnostic tools. It aims for the prosecution of narrative through narrative. The object of diagnosis is SIDS and the medium is story-in-depth of text (SIDT). MMSS diagnosis is literary, structural, and contextual. It pursues qualitative diagnosis through aesthetic projection and promotes a test that anyone can participate in, in comfort. MMSS diagnosis will serve as a guide to discover the cues and entrances of literary therapy counseling activities. Since submitting the first draft in 2018, MMSS has been revised in form and composition through a multifaceted verification process. Over 60 kinds of tales were used as SIDT and more than 400 questions were tested. As a result of the revision, MMSS evolved into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with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narrative questions. The full MMSS diagnosis sheet has 171 questions linked to 26 stories, and 7 free narrative questions. In addition to Korean tales, folk tales from Europe and Asia were included for diagnosis. It is expected that MMSS will be used worldwide in the future because it includes stories with high universal circularity. Eventually, the MMSS for children will be verified and released. Analyzing MMSS diagnostic results is a difficult and complex task that requires expertise. Only experts with narrative analysis ability can make valid interpretations. The basic principle is to find the narrative reac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IDS’ motif and structure, and point out the logical and narrative connection. It is prohibited to evaluate or judge the client's SIDS with MMSS diagnosis only. Valid diagnostic evalu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a follow-up consultation process. In this paper, the basic principle and direc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MMSS diagnostic results are explained. Producing relevant manuals in the near future will enable literary therapists to conduct tests, interpretations, and counseling activities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이 연구는 문학치료 현장 상담활동을 위한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그 성격과 구성, 해석 체계 등을 논의한 것이다. 문학치료학은 인생을 움직이는 문학으로서 자기서사의 진단과 조정을 주요 과제로 삼거니와, 내담자 자기서사의 정확한 진단은 문학치료 활동의 기본 바탕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자기서사의 존재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을 종합적이면서도 다각적으로 짚어낼 수 있는 진단도구로 새롭게 개발한 MMSS 진단지에 대하여 그 개발 경과와 특징, 해석 방법을 논하였다. MMSS 진단은 기존의 심리검사나 성격검사와 기본 성격을 달리한다. 그것은 ‘서사를 통해 서사를 짚어내는 검사’를 표방한다. 진단의 대상은 자기서사이고, 매개체는 작품서사이다. 작품서사에 대한 반응과 공명을 다각적으로 확인 점검하여 사람들의 이면에 깃들어 있는 자기서사의 특성과 맥락을 짚어내는 방식을 취한다. 그것은 미적 투사를 통한 질적 진단을 추구하며, 누구나 편안히 참여할 수 있는 즐거운 검사를 표방한다. MMSS 진단은 문학치료 상담활동의 유효한 단서와 입구를 찾아주는 한편으로 문학치료 과정이 의미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길잡이 구실을 할 것이다. MMSS 진단지는 2018년 3월에 1차 시안을 제출한 뒤로 1년 이상의 기간에 걸친 실행적 검증 과정을 거치면서 형태와 구성을 지속적으로 수정해 왔다. 60종 이상의 설화를 작품서사로 삼는 가운데 400개 내외 문항에 대해 유효성을 검증했다. 300건 이상의 검사를 행하고 60명 이상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진단상담을 거치면서 수정을 거듭한 결과 객관식 선택형과 간단서술형, 자유서술형이 어우러진 입체적인 서사반응 검사지로 완성할 수 있었다. 정식판 MMSS 진단지는 총 26개 설화에 결부된 171개 문항과 7개의 자유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돼 있다. 적용된 설화는 한국 민담 외에 독일 민담을 비롯한 외국 설화들을 포함한다. 해외에서의 활용까지 염두에 두는 가운데 서사적 원형성이 두드러지고 진단 효과가 높은 이야기들을 진단용 서사로 선정했다. 총 15종의 설화를 적용한 아동용 MMSS 진단지 시안도 함께 개발했으며, 검증을 거쳐 정식판을 완성할 예정이다. MMSS 진단 결과의 분석은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미묘하고 복잡한 작업이다. 서사분석 능력을 갖춘 전문가들만 유효한 해석을 행할 수 있다. 그 기본 원리는 자기서사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유의미한 서사반응을 화소 및 구조, 그리고 작품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찾아내고 그 반응 간의 논리적이고 서사적인 연관을 짚어낸다고 하는 것이다. 다만 MMSS 진단지 작성결과만 가지고서 내담자의 자기서사를 섣부르게 판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위험한 일로서 금지 대상이 된다. MMSS는 후속 진단상담 및 치료상담 과정을 위한 단서와 입구, 통로로서 활용하는 것이 합당하다. 논문에서 MMSS 검사결과 해석과 상담 프로세스의 연계 방안에 대해 기본 체계를 설명했거니와, 향후 상세 매뉴얼 개발을 통해 문학치료사들이 진단과 해석, 상담치료 활동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KCI등재

        복합서사를 활용한 자기서사진단 가능성

        권도영 ( Kwon Do-young ) 겨레어문학회 2017 겨레어문학 Vol.58 No.-

        본고는 복합서사의 양상을 확인하고 그로부터 결합의 원리를 파악한후, 이를 활용하여 자기서사를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복합서사가 형성되는 양상에는 연쇄연결형, 부분결합형, 내포형 등의 유형을 확인하였다. 이는 표면적으로 확인되는 결합 양상이다. 그러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 원리로는 전완성 및 정향성의 원리와 서사도식의 원리가 개입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복합서사를 활용한 자기서사진단을 시도하였다. 먼저 기존의 단일서사를 기반으로 한 자기서사진단검사를 통해 참여자의 현재 자기서사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참여자 스스로 문제가 된다고 느끼는 부분에 새로운 서사를 결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어떤 서사를 끌어오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 결합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의 자기서사가 지향하는 방향과 여기에 작동하는 서사도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가 지향하는 서사를 확인하는 일은 참여자의 자기서사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을지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진단과 예측을 정밀하게 함으로써 대처 또한 정밀한 과학적 방법론을 구축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복합서사에 대한 연구 성과는 여기에 풍부하고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examine the aspects of composite-epics and to grasp the principles of combina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pic of self test` by using them. The types of composite-epics were identified as the type of chain connection, partial bonding, and inclusion type. There are aspects which is confirmed on the surface. The principle that made such a combination was analyzed as the principle of wholeness and orientation and the principle of narrative schema.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epic of self test` using composite-epics was tried. First, the position of the current `epic of self` of the participants was confirmed through `epic of self test`. This test is based on an existing single-epic.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reate a new story that would solve the problem by combining the new epics with the part where they felt it was a problem themselves. In this process, i analyze what participants bring up and how to combine them. This was confirmed by the `epic of self` of the participants orientation and narrative schemes that work here to be more specific. Identifying the epics that the participant is aiming for can help to predict what direction the participant`s epic will change in the future. By accurately diagnosing and predicting coping also expected to establish a precise scientific methodology. Research on composite-epics will be able to provide rich and detaile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