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체중 중학생의 체형인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주연(Lee, Juyeon),유조안(Yoo, Joan P.)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4

        신체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에 의하면, 청소년의 주관적인 체형인식은 사회문화적으로 이상화된 체형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체형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된다. 한편, 사회문화적으로 이상화된 체형 기준은 젠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체형인식, 체형만족도, 자아존중감 간의 영향 관계를 탐구함에 있어 성별 차이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정상체중 중학생의 주관적인 체형인식이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체형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별 차이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0 한국 청소년 건강 실태 조사’ 참여자 중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정상체중에 해당하는 남녀 중학생 2,40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체형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신을 저체중 또는 과체중이라고 인식하는 학생은 정상체중이라고 인식하는 학생에 비해 체형만족도가 낮았고, 체형만족도가 낮을수록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체형만족도는 저체중인식 및 과체중인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저체중인식은 남학생의 체형만족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여학생의 체형만족도에는 반대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과체중인식은 남녀 학생 모두의 체형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각 성별집단에서 체형만족도는 체형인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body shape satisfac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body shape perception on self-esteem among South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2010 Korea Survey of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was utiliz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2,403 adolescents in 7<SUP>th</SUP>~9<SUP>th</SUP> grade who were classified as normal-weight by BMI criteria.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s of being both underweight and overweigh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dy shape satisfaction, which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Body shape satisfaction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influences of perceptions of being underweight and overweight on self-esteem. Additionally,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showed that perception of being underweight was negatively related to boys’ body shape satisfaction and indirectly to their self-esteem. For girls, however, perception of being underweight was positively related to body shape satisfaction and indirectly to self-esteem.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erception of being overweight and body shape satisfaction was not different by gender. Based on these findings, bo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년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비교 -40~59세 여성을 중심으로-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body shape and the actual body shape of middle-aged women. It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make the body shape correc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recognition type, it was analyzed as a similar type. The actual body type ‘Y cylinder type’ and recognition body type ‘upper body obesity inverted triangle type’ showed the highest BMI index, and the lower body and leg related items had poor body shape. But the actual body type has a large shoulder-related item and the recognition body type was analyzed as upper body obesity with a big chest. Next, the ‘thin reverse ladder type’ was analyzed for both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recognition body type. It was classified as the smallest height type, the lower body was poor and the upper body was developed. Third, the ‘slim hourglass type’ of the actual body shape and the ‘flat rectangular type’ of the recognition body shape are the tallest and the thin body. The actual body shape was the thinnest at the waist, and the recognizable body shape was classified as a flat body shape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he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Finally, the ‘thick ladder body’ of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elastic loss ladder type’ of the recognition body showed a ladder shape with the largest hip circumference and the largest item of the leg related item. However, the recognizers showed the characteristic that the belly protruded and the chest and hips were hang down.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body shape and recognition body shape. They are aware of their body shape and they are well aware of their physical chan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lothing pattern and design development so that it can be seen as the ideal body shape considering the actual body shape and the recognition body shape of the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체형과 실제체형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의 체형에 대해 바른 인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사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체형의 ‘Y형 볼록원기둥체형’과 인식체형의 ‘상체비만 역삼각형 체형’은 가장 BMI지수가 높은 유형으로 하체와 다리 관련항목은 빈약한 체형을 나타냈다. 그러나 실제체형은 어깨관련 항목이 가장 크고, 인식체형은 가슴이 큰 상체 비만체형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모두 ‘마른 역사다리체형’이 분석되었다. 키가 가장 작은 체형으로 하체가 빈약하고 상체가 발달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세 번째로, 실제체형의 ‘긴 모래시계체형’과 인식체형의 ‘납작 직사각형 체형’은 가장 키가 크고 몸통의 두께가 얇은 체형으로 실제체형은 허리가 가장 가늘고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가 비슷하여 허리가 잘록한 체형으로 분석되었으나 인식체형은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밋밋한 체형으로 분류되어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실제체형의 ‘굵은 사다리체형’과 인식체형의 ‘탄력상실 사다리체형’은 엉덩이둘레가 크고 다리관련항목이 가장 큰 체형으로 사다리형태를 나타냈다. 그러나 인식체형은 윗배보다 아랫배가 돌출되고 가슴과 엉덩이가 처진 특징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자신이 인식하는 체형과 실제 체형 사이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체형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으며, 자신의 신체적 변화를 잘 받아들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년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을 고려하여 이상적인 체형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의복패턴 및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중학생의 체형인식 일치여부에 따른 체형만족도, 체중조절 행태 및 식이장애 수준 비교

        이지은(Ji-Eun,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0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 No.24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와 식이장애 실태 등을 조사 한 후 체형인식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체형인식 일치 여부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와 식이장애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학생 726명(남 387, 여 339)을 대상으로 실제 신장 및 체중, 체형인식(주관적 체형인식도, 체형만족도), 체중조절 행태, 식이장애 정도(Eating Attitude Test-26)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대상 남학생의 7.5%, 여학생의 4.1%가 비만이었다. 주관적 자기 체형 인식을 조사해본 결과, 남․녀 모두 실제 체형에 비해 자신이 뚱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높았으며, 남․녀 모두 살찐체형으로 인식하고 있을수록 만족도가 낮았다.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 및 체중조절 경험은 남․녀  모두 살찐체형으로 인식하고 있을수록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 및 경험이 많았다. EAT-26점수로 식이장애 정도를 조사해 본 결과, 식이장애의 기준이 되는 20이상의 점수를 보인 대상자는 남학생이 5.2%, 여학생이 9.4%였으며, 여자에서 체형을 왜곡하여 인식하고 있는 경우 식이장애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 많은 청소년들이 신체상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자기체형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과도한 체중조절을 시도하고 있으며, 식이장애의 발생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와 가정에서는 청소년들이 표준체중을 유지하고 올바른 신체상을 형성 할 수 있도록 식생활교육 및 지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elf-body image and differences of weight control behavior, eating disorder by degree of self-body image distortion in adolescents. A total of 726 (male n=387, female n=339)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e in Gyeong-gi area were interviewed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weight and height), perception on self-body image, satisfaction of self-body image, weight control behavior, and eating attitude test-26(EAT-26) and grouped into perceived as thin than BMI (PT), agreement between BMI and self-recognized body image (PA), and perceived as fat than BMI (PF) for the differences of self-body image distortion. Percent of over weight were 7.5% and 4.1%, in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The subjects were recognized fatter than their actual physique and the rates of body dissatisfaction were high in body image distortion group. And the  PF group also has higher concerns with weight control and experiences of weight control. In female, eating disorder rate was higher in PT and PF group than PA group. In this results, we know that a great part of the adolescents have negative body image and dissatisfaction of their own body image which have an effect on the weight control behavior and eating disorder.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matter of the normal body weight and body image should be included in nutrition education.

      • KCI등재

        고령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비교-70-85세 여성을 중심으로-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body shapeand the actual body shape of old-old age women. It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make thebody shape correc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recognition type,it was analyzed as two similar types and three different types. Both the actual body type 'applehip obesity type' and recognition body type 'swollen cylinder type' appeared to be obese. Next,the actual body shape of 'wide shoulder thin leg body shape' and the recognition body shape'backward bent body with slender legs' had a common feature that the legs are thin body shape. Among the opposite types, the 'shoulder-slender body shape' of the actual body shape and the'bent body with protruding abdomen' of the recognizable body shape are all of theshoulder-sagittal body shape, but the actual body shape is thin and thin body and theabdominal part is protruded. The actual body type 'short-body sag-hip' and the recognizablebody type 'triangle' were similar in that the hips and lower body were developed and the backwas bent. However, the actual body type had the hips and the normal body, whereas therecognition body type had the abdomen The protruded features were shown. The body shape ofthe long body and the 'inverted triangular body' of the recognition body were the opposite typesof body shape. The actual body shape had a slender body while the recognition body type hadthe highest BMI index and was obese. The actual body sha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actual body dimensions based on the sagging of the buttocks, the development of the upperbody and lower body, the length of the limbs, the anterior center length, and the angle of theshoulde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cognition type, the body shape was classified accordingto the visually recognizabl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bdomen protrusion, the chest flexion andsize, the hip size, and the waist bend. In the case of elderly women, there is a differencebetween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recognition body typ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clothing pattern and design development that will cover the disadvantages of the older femalebody shape an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old-old age women. 본 연구는 고령여성 스스로가 인식하고 있는 체형과 실제 신체치수를 분석한 체형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령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에서 발생하는 실제와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고령여성이체형에 대해 바른 인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고령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사한 2유형과 상반된 3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체형의 ‘애플엉덩이 비만 체형’과 인식체형의 ‘볼록한 원기둥 체형’은 모두 뚱뚱한 체형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제체형의 ‘넓은 어깨 날씬 다리 체형’과 인식체형의 ‘새다리 젖힌 체형’은 다리가 가는 체형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반된 유형 중 실제체형의 ‘처진 어깨 마른 체형’과 인식체형의 ‘복부 돌출 숙인 체형’은 모두 어깨가 처진 체형이지만 실제체형은 몸통이 날씬하고 마른 체형이고 인식체형은 복부가 돌출되어 있었다. 실제체형의 ‘짧은 몸통 처진 엉덩이 체형’과 인식체형의 ‘삼각형 체형’은 엉덩이와 하체가 발달되어 있고 등이 굽어 있다는 점에서 유사해보였으나 실제체형은 엉덩이가 처지고 보통 정도의 몸통을 가진 반면, 인식체형은 복부가 돌출된 특징을 나타냈다. 실제체형의 ‘긴 팔다리 날씬 체형’과 인식체형의 ‘역삼각형 체형’은 서로 상반된 특징을 나타내는 체형으로 실제체형은 날씬한 몸통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인식체형은 BMI지수가 가장 높아 비만하였다. 실제체형의 경우 실제 신체치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엉덩이의 처짐, 상체 및 하체의 발달, 팔다리길이,앞중심길이, 어깨의 각도 등에 의해 체형이 분류되었으나 인식체형의 경우에는 복부의 돌출, 가슴의 처짐 및 크기, 엉덩이의 크기, 등과 허리의 굽음 등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특징에 따라 체형이 분류되어 차이를 나타냈다. 고령여성의 경우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사이에서 차이가 발생하였으므로 고령여성 체형의 단점을 커버하고 고령여성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령여성용 의복패턴 및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노년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비교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actual body shape among old aged males. Through this, I tried to help the elderly men form a right perception of body shape.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ilver clothing products through information about actual body shape and body shape recognized by old aged males. The actual body shape was analyzed by SPSS 24.0 program using Size Korea 2014 elderly person 3D shape measurement survey data. And recognition body types were analyzed by QUANL pc program using Q methodology. The actual body shape and recognition body shape of old aged males were analyzed with two similar body shapes and two opposing body shape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body shape of the actual body size analyzed and the body shape of the old aged males whom their perceived. The similar body shape were 'short inverted triangle body shape' of the actual body shape and the 'turtle neck abdomen protruding obesity body' of the recognition body shape appeared to have thin legs. This was a body shape common to women and men in old age. As age increases, arms and legs become thinner. The 'long inverted triangle figure' of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thick necked upper body development type' of the recognition body were classified into the upper body developed form than the lower body. In the case of actual body type, body ty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tual body dimensions by the sagging of the hips, shoulder deflection, body horizontal, body vertical, body vertical length, shoulder length, and shoulder ang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perception body shape, the body sha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visu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ack, the degree of abdomen protrusion, the chest circumference, the waist circumference, the hip circumference, the thickness of the leg. In the case of old aged mal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match the actual body shape with the recognition body shape by developing clothing patterns and designs that cover the disadvantages of the older man's body shape and can be seen more ideal. 본 연구는 노년남성이 스스로 인식하는 체형과 실제 노년남성의 신체치수를 분석한 체형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알아보고자 하였다. 노년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에서 발생하는 실제와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노년남성이 체형에 대해 바른 인식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노년남성이 인식하는 체형에 대한 이미지와 실제 체형에 대한 정보를 통해 실버의류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제체형은 Size Korea 2014년 고령자 3차원 인체형상측정조사 데이터를 SPSS 24.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인식체형은 Q방법론을 사용하여 QUANL pc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노년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은 2개의 유사한 체형과 2개의 상반된 체형으로 분석되었으며, 실제 신체치수를 분석한 체형과 본인이 인식하고 있는 노년남성의 체형 간에는 차이를 나타냈다. 유사한 체형은 실제체형의‘짧은 역삼각형 체형’과 인식체형의 ‘거북목 복부돌출 비만 체형’은 모두 몸에 비해 다리가 가는 체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년기 여성과 남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체형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팔과 다리가 가늘어지는현상이 나타난다. 실제체형의 ‘긴 역삼각형 체형’과 인식체형의 ‘굵은 목 상체 발달 체형’은 하반신보다 상반신이 발달된 체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체형의 경우 실제 신체치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엉덩이처짐, 어깨처짐, 신체수평, 신체수직, 몸통수직길이, 어깨길이, 어깨각도 등에 의해 체형이 분류되었으나 인식체형의 경우에는 등의 굽은 정도, 복부의 돌출정도,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차이, 다리의 굵기, 몸의 납작하고 두꺼운 형태 등 시각적으로 보여 지는 특징들에 따라 체형이 분류되어 차이를 나타냈다. 노년남성의 경우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였으므로 노년남성 체형의 단점을 커버하고 좀 더 이상적으로 보일 수 있는 의복패턴 및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이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 소아청소년의 체형인식 불일치 추이와 특성 : 2009~2015년 학생 건강검사 자료 활용

        권은주,추지은,나은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7 대한보건연구 Vol.43 No.4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ecular trends of weight misperception and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weight misperception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We analyzed data from sample survey of school health examination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n which 145,893 children and adolescents 6-17 years examin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in 2009-2015. The Mantel-Haenszel trend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trend of weight misperception over time an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Welch test were appli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weight misperception. Results : The prevalence of accurate weight perception, underestimation and overestimation were 58.6%, 26.2%, and 15.2%. The weight perception rate increased in boys and girls over time. The overestimation rate decreased in boys and girls over time, whereas underestimation rate increased in boys over time(P<0.001). Weight misperception patterns distinguished by sex and school grad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under or overestimated that lived unhealthy lifestyle. Conclusions : Our finding suggest that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accurate weight perception should consider sex, school grade, and the patterns of weight perception.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체형인식 불일치 추이와 그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교육부에서 지정한 학생 건강검사 표본조사 대상 학교 학생 중, 2009년 1월~2015년 12월까지 한국건강관리협회 전국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사를 받은 만 6~17세 소아청소년 145,893명이다. 체형인식 불일치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Mantel-Haenszel trend test를 실시하였고, 체형인식 불일치에 따른 특성은 X2 검정, Fisher’s exact test, Welch test를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 소아청소년의 58.6%가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이 일치하였고, 체형을 과소평가한 경우는 26.2%, 과대평가하는 경우는 15.2% 이었다. 연도변화에 따른 체형인식 일치율은 증가하였으며, 체형 과대평가 비율은 남녀학생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남학생의 체형 과소평가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체형인식 불일치는 성별, 학교급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체형인식이 일치하지 않는 군의 건강생활실천 정도가 낮았다. 결론 : 소아청소년의 올바른 체형인식을 위해서는 성별과 학교급, 체형인식 불일치의 형태가 반영된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여대생들의 체형 만족도에 따른 체형인식 및 식생활조사연구

        최지연,왕수경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0 自然科學 Vol.21 No.-

        대전대학교 여학생 총 135 명을 대상으로 체형 만족도에 따른 체형인식, 체질량지수와 식습관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63.7%가 자신의 체형에 불만족하였으며36.3% 가 보통 또는 만족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9 세였다. 신장은 불만족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체중,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 체질량지수, 기초대사량은 자신의 체형에 대한 불만족군이 만족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O.001 , BMR:p<0.01) 자신의 체형인식을 옳게 한 대상자는 72.6% 이고, 잘못 인식하고 있는 대상자는 27 .4% 이었다. 체질량지수에 의한 저체중인 조사대상자는 자신의 체중이 정상체중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고, 체질량지수에 의한 정상체중인 조사대상자들 중 일부는 과체중 ·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불만족 군이 덜 활동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두 군 모두 학업 성적에 가장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두 군 모두 아침 결식 비율이 높았고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지 않는 학생이 많았으며,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빈도가 낮았다 이상과 같이 대상자들은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감이 낮고 체형인식이 잘못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을 간과하여 건강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건강한 식습관이 형성될 수있도록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otal number of 135 women in Daejeon University. to underst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body image. dietary habits and Body Mass Index(BMI) depending on their self-satisfaction . 63.7% of subject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and 36.3%answered average and satisfied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1.9 year-old . Height of the people in dissatisfied group tend to be smaller than that of satisfied .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 BMI. and BMR in dissatisfi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atisfied . 72 .6% of the subjects had proper self-recognition of their body but 27.4% didn't. Most of the low- weight subjects according to BMI considered themselves normal-weight as normal-weight subjects according to BMI thought of themselves as over-weight or obese . The dissatisfied group tended to be less active and both groups had stress about academical studies. Also both groups commonly shared absence of breakfast. timely meals. and intake of dairy products. As discussed above. subjects have low satisfaction towards their body image. false recognition of their body. which leads to overlook of proper dietary habits and consequently. ill health . Thus nutritional education that teaches proper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healthy dietary habits is necessary.

      • KCI등재

        청소년들의 체형인식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 및 정신건강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신성희,신우경,김유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to the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by the residual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5th and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of the 2,961 total subjects(male 1,548, female 1,413, aged 12 to 19 years). The nutrient intake was collected by using the 24 hr recall method and mental health and BMI were collected by the health interview survey and physical examination researc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perception and BMI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ose with a distorted perception of their body type was the highest among adolescents with normal weight(p for trend, <.001). Especially, regarding the subjective body type, the proportion of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s as compared to that among males (p for trend, <.001). An analysis of nutrient intake status against the subjective perception showed that the group of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had the lowest scores on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nutritional adequacy ratio (NAR) and mean adequacy ratio (MAR) (p for trend, <.001). With respect to the daily intake of major nutrients,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consumed the lowest amounts of total energy (p for trend, <.01) and carbohydrate (p for trend,<.001). An analysis of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adolescents showed that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had the highest levels of stress recognition and depression (p<0.01). In conclusion, the adolescentsʼ subjective perception is associated with their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ome educational programs are desirable to help the adolescents to have their desirable subjective perception an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yp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체형 인식에 따른 영양소 섭취 문제 및 정신건강 문제를 분석하였다. 제 5기, 6기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되었으며, 만 12~18세의 청소년 3,834명을 추출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총 2,961명(남자 1,548명, 여자 1,41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영양조사 자료는 24시간 회상법을 통한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정신건강과 BMI는 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주관적 체형인식과 BMI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정상체중인 경우 체형을 왜곡되게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자신을 과체중 체형이라 인식하는 대상자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둘째, 대상자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영양소섭취상태를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과체중인식군이 영양질적지수, 영양소 적정비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셋째, 대상자의 주요 영양소에 대한 1일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과체중인식군이 전체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넷째, 대상자들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정신건강상태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모두 과체중인식군에서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감 정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 인식이 영양 섭취와 정신건강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바람직한 신체 이미지상를 갖고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며 동시에 올바른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정학교사회에서의 올바른 체형 인식과 관련된 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노인의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불일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용채은 ( Chae Eun Yong ),유지영 ( Jiyoung Lyu ) 대한보건협회 2020 대한보건연구 Vol.4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불일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와 성별을 구분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7,293명을 대상으로 한다.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은 단일문항(1=예, 0=아니오)으로 측정,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불일치는 총 7개 그룹(1=저체중-마른인식, 2=저체중-보통/비만인식, 3=정상체중-마른인식, 4=정상체중-보통인식(Reference), 5=정상체중-비만인식, 6=비만체중-마른/보통인식, 7=비만체중-비만인식)으로 분류 후,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결과, 정상체중-보통인식 군 보다 정상체중-비만인식 군의 자살생각이 더 높았다. 둘째, 여성 노인은 정상체중-마른인식 군과 정상체중-비만인식 군에서 정상체중-보통인식 군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드러난 반면, 남성 노인에게서는 체형 불일치와 자살생각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불일치는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이 드러났으며 노인 자살예방 대책 마련 시 성별에 따른 효과적인 개입방안 구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shape discordanc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whether it is different by gender. Method: Using a national data from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37,293 participants aged 65 and old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as having a suicidal ideation or not. With body mass index (BMI) and subjective body image perception measures, the body shape discordance was categorized into seven groups.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IBM SPSS Statistics v21’ package. Result: Distribution of body shape discordance differed by gender. Even Korean older women were in normal weight category, discordance in their subjective body image perception made them have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older men,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body shape discordance and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Body shape discorda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uicide prevention interventions for older Koreans. Also individualized suicide prevention plans should be implemented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중년 남성의 신체 계측치를 분석한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유형에 대한 비교 연구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ysical and cognitive types of middle-aged 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59 to find out the difference.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over shortcomings in the development of middle-aged men's clothing, which is expanding due to the increase in importance of appearance, and to present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atterns and designs that can be seen as ideal body shapes. The real body shape study of middle-aged men was conducted using Size Korea’s 7th Korean human body size survey data. The perceived figure type was conducted by sampling the P sample of Q methodolog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for the actual figure and the QUANL program for the perceived figure. As a result of comparing real and cognitive types of middle-aged men, both real and cognitive types were analyzed as similar types. ‘Skinny and Lean Body with Bird Legs’ in actual body shape and ‘Lean Body with bird legs’ in recognitive body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such as slender legs and bowed body. ‘Normal Folded Body with Thick Legs’ in actual body type and ‘Developed upper Body with thick legs’ in recognitive body were characterized by thicker legs than body. Finally, the actual figure type ‘Obese and Standard Body with Standard Legs’ and the perceived figure type ‘Abdominal protrusion and obesity Body’ were similar in that they were obese. While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perceived body types may increase dissatisfaction with the body, this study shows that middle-aged men are accurately aware of their body types and are well accommodating physical change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clothes by developing patterns that can cover problems in middle-aged men's body shapes and adding design elements to develop clothes that can be seen as ideal body shapes. 본 연구에서는 40-59세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중년 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외모에 대한 중요성 증가로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중년 남성용 의복개발에 있어서 단점을 커버하고 이상적인 체형으로 보일 수 있는 패턴 및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중년 남성의 실체체형 연구는 Size Korea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인식체형은 Q방법론으로 P표본을 표집하여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실제체형의 경우 SPSS 24.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인식체형의 경우에는 QUANL program을 사용하였다. 중년 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을 비교한 결과,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의 유형이 유사한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체형의 ‘마르고 숙인 새다리 체형’과 인식체형의 ‘숙여진 새다리 체형’은 몸에 비해 다리가 가늘고 앞으로 숙여진 체형이라는 유사한 특징을 나타냈다. 실제체형의‘보통 젖혀진 굵은 다리 체형’과 인식체형의 ‘상체 발달 굵은 다리 체형’은 몸에 비해 다리가 굵은 체형이라는 특징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실제체형의 ‘비만한 바른 표준 다리 체형’과 인식체형의 ‘복부가 돌출된 비만 체형’은 비만체형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남성의 경우 자신의 체형에 대해서 실제로 분석된 체형과 인식체형 유형 사이에 유사한 특징으로 분류되었다.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년 남성은 자신의 체형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고 신체적 변화를 잘 수용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중년 남성 체형상의 문제점을 커버해줄 수 있는 패턴 개발과 디자인적 요소를 첨가하여 이상적인 체형으로 보일 수 있는 의복을 개발함으로써 의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