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식론적 자연주의와 항구적 오류가능성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40

        인식론적 자연주의와 관련하여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견해는 인식적 수반 논제이다. 그리고 이 논제를 비판하는 가장 대표적인 철학자는 레러이다. 그런데 그의 비판 논변들은 충분히 성공적이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인식적 수반 논제를 비판하는 새로운 논변을 제시하는 데 있다. 믿음의 인식적 위상은 자연적 또는 기술적 속성에 수반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우리의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는 적어도 많은 경우에 그 믿음이 기반하고 있는 인식적 근거들로부터 그 믿음이 추론되는지에 의존한다. 그런데 그와 같은 추론의 타당성 여부는 전제와 결론 사이의 논리적 관계이기 때문에 현실세계의 우연적 사실들에 의존하지 않는다. 둘째, 우리의 인식적 평가에는 항구적 오류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우리가 현재 승인하는 어떤 인식규범에 대해서 미래의 어떤 시점에 그것을 포기하고, 그 대신 보다 더 적절한 규범을 채택하게 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인식적 평가에 관한 이와 같은 항구적인 오류 가능성 때문에 현재 정당화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과 실제로 정당화되는 것 사이의 구분을 제거할 수 없다. 그리고 제거할 수 없는 그러한 구분 때문에 믿음의 인식적 위상은 자연적 또는 기술적 속성에 수반하지 않는다. The most influential view regarding epistemological naturalism is the thesis of epistemic supervenience. And the chief opponent of this thesis is Keith Lehrer. Unfortunately, however, his arguments against this thesis are not fully successful.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new arguments against this thesis. The epistemic status of being justified does not supervene on natural or descriptive properties in the world. There are two important reasons. First, whether a belief is justified or not, at least in many cases, depends on whether it can be inferred from the epistemic grounds on which it is based. But the validity of such an inference does not depend on contingent facts about the world. Second, there is the permanent possibility of mistakes with regard to our epistemic evaluations. At least for some epistemic norm which we currently accept,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at some time in the future we might have a compelling reason for rejecting the norm in favor of a more appropriate norm. Due to this kind of permanent possibility of mistakes, there always remains a distinction between what is in fact taken to be justified and what is really justified. Therefore, the epistemic status of being justified does not supervene on natural or descriptive properties in the world.

      • KCI등재

        포스트모던조직론에 있어서 탈영토화(脫領土化)와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22장(章)

        오열근 ( Youl Gun Oh ) 한국행정사학회 2015 韓國行政史學誌 Vol.36 No.-

        포스트모더니즘에 있어서의 모든 지식은 그 성격과 구조에 있어서 탈영토화된다. 이러한 상황은 다른 학문 분야에 못지않게 조직론에도 적용된다. 우리들이 이해하고 있는 가정들의 제 그리드와 코드는 제거된다. 탈영토화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상황이 갖는 제 함의가 사고와 연구를 위해 인정받을 때 실현될 것이다. 과학은 많은 담론들 중 하나의 담론이라고 여겨질 경우, 사고의 특성은 변화할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적 상황에서는 과학적 연구는 인식론적으로 특권적인 우월적 정보를 제공하는 者라는 지위를 잃게 될 것이다. 이 점은 조직이론, 자연주의적(혹은 구성주의적) 연구, Deleuze의 탈영토화, 그리고 老子의 曲則全의 입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부 탈실증주의자의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예증되는 것이다. All knowledge in postmodernism is deterritorialized in terms of character and structure. This situation applies no less to organization theory than to other disciplines. The grids or codes of assumptions that are imposed on our understanding are removed. Deterritorializetion will be realized when the implications of postmodern circumstances are recognized for thinking and for inquiries. The character of thinking will change when science is regarded as one discourse among many discourses. In the postmodern situation, scientific inquiry will lose its status as a provider of epistemologically privileged information. This point is illustrated by examining some postpositivist work now being undertaken in terms of organization theory, naturalistic(or constructivist) inquiry, Deleuze’s deterritorialization, and Lao-tzu’s 「Bent over then preserved whole」.

      • KCI등재

        과학적 철학의 꿈 ― Wittgenstein 오독의 유산

        황희숙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7 No.-

        현대 철학에서 과학주의 scientism의 미몽은 순전히 어떤 철학적 오류나 특정 조류의 유산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철학에만 국한된 태도라 보이지도 않기 때문이다. 과학의 신화화, 과학만능주의는 17세기 이후의 시대적 배경, 또 과학화되는 현대문화, 그리고 과학의 도구적인, 기술적 성공에 힘입은 바 크다. 오늘날 우리의 삶은 과학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고, 현대인들은 오직 과학만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궁극적 진리를 준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철학 내부에서 과학주의의 대두가 순전히 외적 영향 요소 즉 과학의 성공에 대한 최면 때문이었다고 할 수는 없다. 분석철학에서 과학주의적인 강력한 철학적 입장은 그 생명의 물줄기를 철학의 대가들에게서 공급받고 있었다. 그 중 하나가 비트겐슈타인 L. Witt- genstein, 아니 (해석된) ‘비트겐슈타인’으로부터 감화 받은 논리 실증주의였기에, 과학주의는 그로부터의 유산이라 말할 수 있다. 1930년대 시작된 분석철학의 역사는, 비트겐슈타인의 논고 Tractatus에 대한 한 가지 해석에서 시작했다.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특정한 해석이 빈 학단의 과학통합 운동을 낳았으며, 분석철학의 엔진이라 불리는 빈 학단의 신실증주의자들은 ‘과학으로서의 철학’을 꿈꿨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의 논고는 빈 학단을 대변하는 카르납 R. Carnap의 해석이나 주장과는 중대한 상이점들이 있다고 보인다. 검증가능성, 과학과 철학의 관계, ‘말할 수 있는 것’과 ‘보여질 수 있는 것’의 구분 등이 갖는 의의에 대해 오독이 있었다. 명백하게 과학주의를 내세운 빈 학단이 쇠퇴한 이후에도 ‘과학적 철학’으로의 항해는 계속되었다. 빈 학단의 거친 기본교리를 비판하는 대표적인 탈실증주의자인 콰인 W.O. Quine 역시 과학과 철학의 연속성을 주장함으로써 그들과 과학주의를 공유함이 드러난다. 다른 대안적 입장, 즉 역사주의자나 무정부주의자들 역시 정치학과 인류학에 편향된 모습을 보인다는 의미에서, 또 다른 계통의 과학주의에 발을 담그고 있다. 아마도 과학적 철학의 환상에서 벗어나 철학을 쇄신하기 위해서는, 과학주의라는 유산의 원천이었던 바 ‘비트겐슈타인’에 대해 재해석하는 것, 또는 가장 ‘비트겐슈타인적인 철학’으로의 귀환이 하나의 길이 되리라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케이벨 S. Cavell은 과학주의 편향을 보인 분석철학 내에서, 과학 아닌 철학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그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넓은 의미의 ‘회의론 물음’이라는 구도 상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인간의 유한성과 관련된 넓은 담론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철학을 인문학에서 빼어내서 과학의 속으로 넣으려 했던 라이헨바하 H. Reichenbach와 그 외의 많은 과학주의자들의 시도를 생각해본다면, 케이벨의 작업이야말로 비트겐슈타인의 맨 처음 그리고 일관된 정신에 부합된다. We must refrain from hastily assuming that the illusion of scientism is merely the consequence of a philosophical trend, mainly because it is hard to see scientism as influenced solely by philosophy. The mystification of science, or scientism, has emerged from the success of modern science started around the 17th century and from the more recent scientific/technological advancements. Today, our life depends greatly on science, and people in the modern era tend to believe that science is the only way to bring about meaningful changes/advancements in the world. Nevertheless, it should not be assumed that the admiration of scientific success is the sole contributor that has advanced the conception of scientism. In fact, the steadfast position of scientific philosophy has its roots in the great minds of early analytic philosophy. Among them were the logical positivists, who have falsely attributed their position to Wittgenstein. The origin of analytic philosophy lies in one of the interpretations of Wittgenstein’s Tractatus in 1930's. The interpretation gave birth to the movements of unifying sciences initiated by Vienna Circle, so called the engine of analytic philosophy, where its neo-positivists dreamed of philosophy becoming a sort of exact science. However, notable differences can be found between Wittgenstein’s Tractatus and the claims made by R. Carnap ― representing the Vienna Circle ― due to their conflicting views of the following conceptions: principle of verification,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philosophy, difference between 'saying' and 'showing'. Even after the fall of the Vienna Circle that embraced scientism, the voyage towards scientific philosophy continued. W.V. Quine, albeit being one of the leading post-positivists who harshly criticized the main tenets of the Vienna Circle, argued for the continuity of science and philosophy, sharing his beliefs of scientism with the logical positivists. Other recent philosophers, such as proponents of historicism and anarchism, were biased towards politics and anthropology, consequently revealing that they also advocated a sort of scientism. Perhaps, in order to renew philosophy and shatter the illusions of scientific philosophy, we need to either stop considering Wittgenstein as the initiator of scientism, or return to the Wittgensteinian philosophy. S. Cavell has demonstrated one way of doing so, even he is one of the figures of the analytical philosophy that geared towards scientism. Cavell has situated Wittgensteinian philosophy within the frame of the “question of skepticism” leading us to a new set of discourses on the mortality of men. In comparison to the misguided efforts of myriads proponents ― including Reichenbach ― of scientism, all of whom have attempted to pull philosophy out of humanities and into science, Cavell’s work seems to be a genuine reflection of the spirit of Wittgenste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