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 언어 사용의 특성과 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추광재(Chu, GuangJae),최민지(Choi, Mi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Given the fact that there is a lot of influx of returned oversea students and immigrant families, the number of bilingual dramatically goes up.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m and debating educational policy for them. Although many linguists have been having negative perspectives of bilinguals, this study not only refers to advantages of social and cognitive aspects to of bilingual but emphasizes the proper understanding of phenomenon for them. As code-switch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phenomena in bilingual, the code switching also is accepted without any prejudice. Code-switching even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of bilinguals. Plus, it could be educational by far the most important tool.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ed on Huaqiao in Korea. In addition, they are experiencing a lot of changes currently because of Korean Huaqiao’s diversifying(i.e. old Korean Huaqiao who still hold Taiwan passports; new Chinese from China mainland;, Korean returned students from China, and other various nationalities) There would be more increasing in international immigration in Korean society. For that, it should make the educational system for bilingual. For that is based on the interest in bilingual and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최근 이민가정과 국제 결혼 등으로 인한 국내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한 이중 언어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언어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언어 교육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2016년 3월부터 12월까 지 9개월의 기간동안 한국 화교 학생들을 심층면담한 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중 언어 사용자의 언어 사용에 있어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 또한, 이중 언어 사용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코드스위칭의 심층 탐색을 통해 다 문화시대 학습 효과성과 효과적인 언어습득 방법으로서의 코드스위칭의 가능성을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이중 언어 사용이 이중 언어 사용자뿐만 아니라 단일 언어 사용자에게도 사회적, 인지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언급 하면서 이중 언어 사용자의 언어 현상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이루어 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코드 스위칭이 언어 학습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교육적 도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이중 언어 사용에서의 학습 과정이 실제 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The Use of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as a Clinical Marker in Bilingual Children

        Dongsun Yim(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비언어정보 통계적 학습(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이 언어경험이 다양한 이중언어 사용아동의 언어장애를 판별해 내는데 정확한 검사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통계적 학습은 언어수행능력에 있어서 매우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기재이다. 그러므로 이론적으로 언어장애의 유무를 언어경험이 다르다는 이유로 정확히 구분해 내지 못하는 현재 표준화검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번째, 이중언어 사용 아동과 단일언어 사용 아동의 시각적 및 청각적 통계적 학습을 비교하였다. 두번째, 이중언어 사용 아동들 중, 표준화된 언어검사(영어, 스페인어 각각의 영역)에서 평균 이하의 낮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과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의 통계적 학습을 비교하였다. 방법: 정상 학령기 이중언어 사용 아동 37명과 단일언어 사용 아동 3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모든 아동은 정상 인지능력을 지녔고, 부모의 사례 설문지 검사결과, 모두 정상적으로 학교생활을 하고 있으며, 언어능력도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아동들이었다. 결과: 1) 이중언어 사용 아동과 단일언어 사용 아동은 시각적 및 청각적 통계적 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영어 표준화 검사에서 언어 수행력이 낮은 이중언어 사용 아동과 높은 아동들간에 통계적 학습능력(시각적 및 청각적)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스페인어 표준화 검사결과로 그룹을 나누었을 때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총괄적으로 정리해 보면, 표준화 검사에서 이중언어 사용 아동들은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보다 낮은, 언어장애 수준의 점수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아동들의 보다 근본적인 학습 체계를 측정해 보면, 아동의 언어장애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아동들은 단일언어 사용 아동과도 비슷한 수행능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 비언어정보의 통계적 학습은 이중언어 사용 아동들을 위한 현존하는 진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비언어정보의 통계적 학습은 근본적인 언어기재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며, 현실적으로는 이중언어 사용아동을 위한 진단도구로써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공헌을 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lue of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tasks that can be used to more accurately identify Language Impairment (LI) in children with diverse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investigating statistical learning is that it has been found to be a basic cognitive learning mechanism that is critical for language learning. First, performances in visual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were compared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bilingual and monolingual children. Second, based on Spanish and English standardized tests, bilingual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hildren who scored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ose who did not achieve the normal range. The performances of the two groups on visual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tasks were compared. Methods: Participants were 37 Spanish-English bilingual children and 33 native English speaking monolingual children. They all met the criteria for normal development based on nonverbal IQ and a parental questionnaire. All children completed visual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tasks in addition to standard language tests. Results: The bilingual children performance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monolingual children on visual and auditory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tasks. These findings illustrate that, if there is no internal error in processing, performance involving statistical learning should be normal even when the subjects were systematically exposed to two different languages. When the bilingual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standard English language scores (below average vs. above ave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visual or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These findings held constant when the group was divided based on the ability to speak Spanish. These results supported the current diagnostic issues of bilinguals in which certain normally developing bilingual children perform poorly on standardized language tests. In addi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statistical learning is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underlying cognitive-linguistic process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s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reduces the bias toward bilingual children. These research findings foster our ability to answer practical questions and identified a new way to accurately identify LI in bilingual children. This study performed the initial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fundamental learning aspects of nonlinguistic cognitive areas in children and explored a stronger theoretical basis for accurate assessment practices in bilingual children.

      • KCI등재

        언어의 다양성과 이중언어 사용 유아의 언어발달을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이해하기

        김창복(Kim, Chang-Bok),김혜원(Kim, Hwe-W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를 고찰하여 언어의 다양성과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에 있다. 이중언어자는 그들을 둘러싼 환경에 의해 결정된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유아를 이해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들을 둘러싼 요소들(가정, 교실, 학교, 교사, 친구, 가족 등)에 초점을 맞추는 사회문화적 관점을 사용한 연구물들을 고찰하였다. 특히 이중언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온 미국과 캐나다의 연구들을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으로 학습(learning)과 발달(development), 문해(literacy)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을 먼저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적 다양성(linguistic diversity)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 정의에 관해 연구내용을 고찰해 보았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언어적 다양성을 결손(deficits)과 자원(resource)의 관점, Moll, Amanti, Neff, Gonzalez의 지식의 자원(funds of knowledge), Freire의 넣기와 문제제기하기(banking and problem-posing)의 관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유아의 언어 발달과 성인의 지원 방안을 이해하기 위하여 두 언어 사이에서의 진전/발달, 성인의 역할과 실제, 제 3의 공간(third space)의 세 가지 방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도출해 내는 데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revious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where they have long a history related to multilingual children in order to understand literacy development of young bilingual children. This study developed a theoretically grounded definition of linguistic diversity among children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 as drawing on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e researchers brought deficit perspectives, Moll, Amanti, Neff, and Gonzalez’s funds of knowledge, Bourdieu’s capital, habitus, and field, and Freire’s banking and problem-posing to develop the definition of linguistic diversity. Linguistic diversity is a valuable resource and asset for multilingual students as well as English dominant students. Bilingual children, as active learners, accumulate and develop their funds of knowledge, that is their biliteracy knowledge and skills. Also bilingual or multilingual students actively accumulate a capital and develop a habitus as a writer or a reader. Lastly, we described the key findings related to literacy development of bilingual children. The language and literacy experiences are useful resources for communicating, making meaning, and constructing their identity as a bilingual person. Teachers should value the students’ languages, an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bilingual students can use two languages to communicate and express their thought.

      • 연변에서의 이중언어 사용 실태와 한국어 교육

        마금선(Jin Shan Ma)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이중언어 사용자란 아동 초기부터 두 개의 언어 환경에 노출되고 두 언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화자를 가리킨다. 중국과 같은 다민족 국가에서 소수민족의 이중언어 사용은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인 삶에 최대한 참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중국 정부는 언어정책을 헌법으로 명시하여 소수민족들에게 법적 보장을 주고 있다. 중국 길림성에 있는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국 최대의 조선족 집거지로서 중화 인민공화국 건립 초기부터 중국 정부의 언어정책 아래 이중언어 교육을 실행하였고 일상생활에서도 이중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오랜 시간동안 중국 문화 속에서 삶을 영위해 오면서 아직까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변의 한국어는 이주 당시의 언어를 보존함과 동시에 북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와는 음운, 억양, 어휘, 문법 등의 면에서 다소 이질성을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연변의 이중언어 사용 실태를 발화 환경과 대상, 연령, 지역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연변에서의 모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계속 유지하고 발전시키며 민족어를 정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함을 다시 한 번 되짚어 보았다. Korean Ethnic bilingual speakers has been naturally exposed to two languages and culture. The usage of two languages is a very natural phenomena and also necessary for the people who lives in China. Chinese government need minority races' active participation for Chinese society so they respect minority races' language and culture. Many ethnic Korean has been lived at YoeonByon area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y strongly maintain their language and culture in China. But there exist differences at phonology, intonation, vocabulary, grammar, etc compared to south Korean language. This paper will examine current analysis of language usage at YoeonByon and compares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and considers efficient educational system. This paper will suggest how to maintain ethnic Korean language but not to isolated from main society.

      • KCI등재

        가정에서의 언어사용형태와 이중언어능력 -한일 국제결혼가정의 경우-

        朱晛淑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9

        국제결혼가정에서 소수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자녀의 주류언어 발달을 방해하지 않음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한일국제결혼가정의 일본출신 어머니 0명과 그 자녀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언어능력테스트를 실시하였다.가정에서의 언어사용 형태를 유형화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언어능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부부간 언어 선택에서는 주로 주류언어인 한국어를 사용하였지만, 부모→자녀간 언어선택에서는 일본어 사용이 많았다. 특히 한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가 자녀에게 각각 한국어와 일본어를 사용하는 ``인 ``언어 형태가 많았다. 둘째, 아버지나 어머니가 일본어를 사용하지 않는 데 자녀가 일본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전무하여 자녀의 언어사용은 주로 부모의 언어사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자녀에게 일본어만을 사용하거나 한국어와 일본어를 병용하는 것이 자녀의 한국어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한국어능력에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가정에서 일본어 사용이 많을 수록 일본어능력이 우세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가정에서 일본어를 사용하는 소수언어가정과 이중언어가정 간의 일본어 차이보다 이중언어가정 중 ``인``언어가정과 ``인;언어가정 사이에 일본어능력에 더 큰 차이가 있었다. 즉 이중언어가정인 경우에는``인``언어 사용이 소수언어능력의 향상에 더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제결혼가정의 외국출신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할 때 자신의 모어로 양육하는 것에 대한 염려와 불안은 기우에 지나지 않았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직접 언어능력을 테스트하여 한일 국제결혼가정의 언어사용 형태와 언어능력의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다만 이번 조사에서는 회화테스트의 양적평가의 결과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질적분석을 추가하고 언어사용 이외의 타 요인을 고려하여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언어능력을 보다 총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國際結婚家庭で兩親が少數言語を使用することが子供の社會言語發達を妨げないことを檢證する目的で、韓國の韓日國際結婚家庭の日本出身の母親0名とその子供名を對象に質問紙調査と言語能力テストを行った. 家庭での言語使用形態を類型化し、その特徵を明らかにした後、言語能力との關連性を分析した結果、以下のような點が明らかになった. 一つは、夫婦間の言語選擇では主に韓國語を使用する主要言語家庭が多かったが、親→子間の言語選擇では日本語使用または韓國語·日本語倂用という少數言語家庭と二重言語家庭が多かった. 倂用する場合は兩親が各-別の言語を使用する``人``言語形態が多かった. 二つは、日本語を使用しない兩親に子供が日本語を使用するケ-スは一件もなく、子供は親の使用言語に合わせた言語使用を行っており、子供の言語使用は主に兩親の言語使用形態に影響されていた. 三つは、兩親が子供に日本語を使用する家庭と韓國語だけを使用する家庭の間に、子供の韓國語能力に差は見られなかった. その代わり、日本語使用が多い家庭ほど日本語能力が優勢であることが確認された. 四つは、家庭で日本語を使用する二重言語家庭は``人``言語家庭と``人;言語家庭があるが、この二つのグル-プの間に日本語力の差があり、``人``言語家庭の方が日本語力の向上にはより有利であった. 以上の結果から、國際結婚家庭の外國出身の母親が子供を養育する際、自分の母語を使うと韓國語に問題が生じ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心配や不安は杞憂にすぎないということが確認できたところに本硏究の意義があると思われる. また. 直接言語能力をテストして分析した硏究が少ない點においても意味ある資料になるであろう. 今後、調査家庭の數を增やして言語能力の質的分析、他要因との關連性をも分析し、國際結婚家庭の子供の言語能力をより總體的に眺望する必要がある.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부모의 이중언어사용과 가정문해환경이 만 3세 유아의 이중언어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곽미언,최나야,캉리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bilingual language use of parents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on simultaneous bilingual preschoolers’ Korean-Chinese expressive vocabulary proficiency. A total of 126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were Korean ethnics living in Tumen City and Meihekou City of Chin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ilingual expressive vocabulary task was conducted to children and parents were requir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bout their bilingual language use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o compute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to conduct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were found to score higher in Chinese than in Korean. Though the equivalent ag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actual age on both languages, Korean and Chinese vocabularies we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Second, Korean-Chinese parents used more Chinese than Korean at home. Additionally, this unbalanced bilingual language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ildren’s bilingual expressive vocabulary proficiency. Third,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such as the amount of books, frequency of literacy activities, and parent-child literacy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children’s bilingual expressive vocabulary proficiency. Considering there was rare study targeting at Korean-Chinese simultaneous bilingual young children, this study focused on these subjects and examined the effect of family factors on bilingual vocabulary development, through which clarifying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xposure via 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이중언어사용과 가정문해환경이 동시적 이중언어 유아의 한국어-중국어 표현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만 3세 유아 126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에게 두 언어의 표현어휘력 검사를 일대일로 실시하였고, 부모를 대상으로 가정 내 언어사용과 문해환경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동시적 이중언어 유아들은 한국어보다 중국어 표현어휘력이 더 높은 수준이고, 두 언어에 대해 모두 실제 월령보다 등가연령이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한국어-중국어 어휘력이 상호보완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국 조선족 부모들은 가정에서 한국어에 비해 중국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이러한 부모의 이중언어사용은 자녀의 이중언어 표현어휘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해자료 구비정도, 문해활동 빈도, 부모-자녀 간 문해활동이 포함된 가정문해환경은 유아의 이중언어 표현어휘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한 한국어-중국어 동시적 이중언어 습득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이중언어 어휘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적 변인에 주목함으로써 부모를 통한 두 언어 노출의 의미를 규명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언어 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 척도 조사

        유민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nguage proficienc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language environment offered by their mothers.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surveys, interviews, and standardized language development tests among 20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their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70%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 the normal category of language development while 30% of them experienced some delay in language development. The following scenarios of mothers’ language use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dentified: 1) the mother mainly speaks her native language, 2) the mother speaks Korean, and 3) the mother speaks a balance of her native language and Korean. In the second scenario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tended to be slightly retarded due to the mother's poor Korean proficiency. In the third scenario as well, there was a slight lag in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due to the linguistic confusion caused by a bilingual environment. These results show that mothers' language 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greatly influence their children, and that mothers’ continuous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support and help from family members are necessary for normal language development among children.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내에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 환경에 따라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능력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인터뷰, 표준화된 언어 발달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가정 내에서의 언어 사용 환경을 분석하였고, 그들의 자녀를 대상으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언어 발달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 발달은 70%가 정상 범주에 속하였고, 30%는 약간의 발달 지체 현상을 보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사용 환경에 따라, 1)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 2) 어머니가 한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 3)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한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는 경우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2)의 경우 어머니의 서툰 한국어로 인해 아동의 언어 발달이 약간 지체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3)의 경우 이중언어 발달 과정에서 겪는 언어적 혼란으로 약간 지체 현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내에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언어 사용 환경이 그들의 자녀에게 많은 영향을 주며, 그들 자녀의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과 가족 구성원의 지지와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이중언어 사용자의 음운처리에 나타나는 두 언어의 병행 활성화

        이수연(Su-Yeon Lee),홀리 스토켈(Holly L. Storkel)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음소배열확률이 이중언어 사용자의 음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두 언어의 활성화와 상호작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첫 번째 연구에 참여한 집단은 세 집단 (한국어 사용 아동, 영어 사용 아동,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 아동)으로, 각 집단마다 24명의 아동이 각 언어의 음소배열확률이 서로 비슷한 무의미 단어들로 구성된 변별과제에 참여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24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 아동이 변별과제에 참여하였다. 과제에 포함된 무의미 단어들은 각 언어의 음소배열확률이 서로 상반되는 단어들로 구성되었다. 결과: 첫 번째 연구 결과, 세 집단 모두 음소배열확률이 높은 단어를 더 빠르게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결과, 영어 음성 환경에서는 영어 음소배열확률이 낮은 단어가 더 빠르고 정확히 인지되었다. 한국어 음성 환경에서는 한국어 음소배열확률이 낮은 단어가 더 빠르고 정확히 인지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두 언어의 음소배열확률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반응의 차이는, 두 언어의 음소배열확률이 병행적으로 활성화되어 상호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언어의 음소배열확률이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보여주며, 언어의 상태 (모국어나 제2언어)에 따른 병행 활성화 강도의 차이로 해석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ce of phonotactic probability on phonological processing when phonotactic probability was matched (Experiment 1) or mismatched (Experiment 2) between the bilingual speakers’ two languages. Methods: In Experiment 1, three groups of children participated: English monolinguals, Korean monolinguals, and Korean-English bilinguals. A same-different task with non-word stimuli was used. The non-words were matched in phonotactic probability across the two languages (i.e., English-low/Korean-low versus English-high/Korean-high). In Experiment 2, only bilingual children participated in a same-different task with non-word stimuli mismatched in phonotactic probability. Specifically, phonological processing of English-low/Korean-high versus English-high/Koreanlow non-words was examined across two phonetic contexts (i.e., English-phonetic and Koreanphonetic). Results: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all three groups responded more rapidly to English-high/Korean-high than to English-low/Korean-low non-words. This result replicates past findings of the facilitative effects of phonotactic probability for English monolinguals and extends to Korean monolinguals and Korean-English bilinguals.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honotactic probability and phonetic context. In the English-phonetic context, English-low/Korean-high non-words were responded to more accurately and quickly than English-high/Korean-low non-words. In contrast, in the Koreanphonetic context, English-high/Korean-low non-words tended to be responded to more accurately and quickly than English-low/Korean-high non-word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how that bilinguals encounter competition effects of phonotactic probability on phonological processing when the probability is mismatched across two languages. This competition effect from mismatched probability suggests the presence of parallel activation of both languages in phonological processing.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Experiment 1, the magnitude of parallel activation was found to vary across the native and non-native languages. Specifically, both facilitation and competi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non-native (English) language processing, while th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n native (Korean) language processing. Such an asymmetry in the magnitude of parallel activation between the native and non-native language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of parallel activation in bilingual lexical processing. Taken together,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of the two languages are activated simultaneously, and language status may be a factor that mediates the magnitude of parallel activation.

      • KCI등재

        이중언어 사용자의 언어권별 과대비성 지각 비교

        김선희(Sun-Hee Kim),심현섭(Hyun-Sub Sim),송윤경(Yun-Kyung Song),최진영(Jin-Young Choi),양지형(Jee-Hyung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2

        배경 및 목적: 과대비성에 대한 청지각적 반응 정도는 과대비성의 중증도와 언어적 배경 즉, 모국어의 음운론적 속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과대비성 지각에 대한 교차 언어적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점차로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대상자들을 대하는 언어치료사들에게 임상적으로도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에 청자의 과대비성의 지각 정도가 언어권에 따라서 그리고 화자의 과대비성의 중증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방법: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중 언어 사용자 중 일본어와 한국어, 중국어와 한국어, 베트남어와 한국어, 필리핀어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는 집단 그리고 한국어만을 사용하고 있는 단일 언어 사용자 집단 등 5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자인 대상자들이 한국어로 산출된 과대비성의 녹음된 목소리를 듣고, 들은 목소리에 대해 과대비성 지각 정도를 5점 Likert scale로 평가하게 하였다. 과대비성 지각에 있어 중증도 및 언어권에 관한 주 효과 검증 및 이차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분석 하였다. 과대비성의 중증도에 따른 언어권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요인 분산분석을 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중도의 과대비성의 경우에 Bonferroni 사후검정을 살펴보았다. 결과: 과대비성 지각에 있어 주 효과가 중증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언어권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중증도와 언어권에 관한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중도 과대비성의 경우에만 언어권별 과대비성지각에 차이를 보였고, 경도의 과대비성일 경우에는 언어권별 과대비성 지각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 과대비성을 들을 때,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베트남의 5집단 중에서 베트남이 한국과 일본에 비해 유의하게 콧소리가 나지 않는 것으로 지각하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 중도 과대비성에 대해 언어권에 따라 다르게 지각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공명 장애를 가진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언어 치료 중재 시에 고려되어야 할 언어적 문화적 배경의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 되어질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Hypernasal perception is affected by the severity of hypernasality of the speaker and the linguistic background of listener, including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language. Diversity of the linguistic background is gaining interest with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regarding perception of hypernasality according to listener linguistic background and speaker hypernasality severit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monolingual Korean and bilingual Korean-Japanese, Cantonese, Filipino, and Vietnamese listeners. A total of 49 female listeners from the five language groups rated voices with mild or severe hypernasal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nguistic background and hypernasality severity. A five-item Likert scale was used to rate the degree of hypernasality. Results: In repeated measures ANOVA, a main effect of speaker hypernasality severity was observed, while a one-way ANOVA indicated the effect of the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listener. Results also indicate that bilingual Vietnamesese, Filipino, e phonetic chaseverity of hypernasality as more mild than did the other language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hypernasality perception was differently rated according to the listener linguistic background.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clinicians not only about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background, but also about priority intervention in speech therapy.

      • KCI등재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사용과 교육 서비스 제공에서 통역사 협력에 관한 연구

        황상심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1

        Purpose : 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ual language use in children with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s (CLD), as well as communication problems and cooperation with interpreters during service delivery. Methods :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nineteen questions about demographic information, bilingual use, and interpreting, and was distributed to 300 LDI; 209 completed surveys were return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d inference statistics. Open-ended questions were analyzed by theme analysis and themes and sub-themes were derived. Results : 72.7% of LDI provided services to bilingual children for about a year and most of them were immigrant children and children bor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When communication problems occurred, they were solved through interpreters, parents, and grandparents. 76.1% of LDI requested interpreters during service delivery. The purpose of cooperating with the interpreters was highest in interviews and consultation, and also for language assessment. Interpreter cooperation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for the following reasons: ease of communication, ease of information delivery, and availability of language assessment available. In contrast, however, they also reported difficulty in interpreting due to the following: limitation of information delivery, reliability problems in language assessment, and lack of interpreters' professionalism. Conclusions : A large number of bilingual children were referred to language facilitation services with interpreters cooperating throughout the service process to solve communication problems with children, parents, and other people. 목적 :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의 교육 지원 서비스와 관련하여 현장에 의뢰되는 이중언어사용 아동, 언어차이로 발생한 의사소통 문제 해결, 소통을 위한 통역사 협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해서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예비실험을 거쳐 최종 문항을 완성하였다. 구글독스를 통해300명의 언어발달지도사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209개를 수거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폐쇄형 문항은기술통계와 추론통계를 이용하였으며, 개방형 문항은 주제분석으로 중심주제와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언어발달지도사의 72.7%가 최근 약 1년 동안 이중언어사용 대상자에게 교육서비스를제공하였으며, 중도입국아동과 우리나라에서 출생한 다문화가족 자녀가 대다수였다. 의사소통의 문제가발생하였을 때 통번역사, 대상자의 부모, 조부모 등을 통하여 해결하고 있었다. 76.1%의언어발달지도사가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통역을 요청하였으며. 통역사를 요청한 목적은 면담 및 상담이가장 많았으며, 언어평가, 부모교육, 언어촉진 교육 과정에서도 협력하고 있었다. 통역사 협력에 대하여만족도가 높았으며, 그 이유가 수월한 의사소통, 정보전달 용이, 의사소통능력 평가 가능 등때문이었다. 통역과정에서 느낀 어려움은 정보전달의 한계, 언어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도 문제, 통역서비스 접근성, 통역사 전문성의 문제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다문화현장에 상당수의이중언어아동이 의뢰되고 있었으며, 아동, 부모 등과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비스 전반에서통역사와 협력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