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사회과 의사결정 학습 연구의 변천과 의사결정모형의 비교

        배진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essence of decision-making in social studies through the decision-making significance, a change in decision-making research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he comparison by type in decision-making models. Given seeing that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is to promote citizenship, the decision-making ability as the quality of citizenship has been thought to be most importantly. Decision-making implies an option among alternative plans, which have diverse properties. And, the emphasis on fostering decision-making ability as the goal of social studies has a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can connect the social awareness and the citizenship most effectively. The decision-mak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has been changed little by little even a focus of research as the period is changed. Regarding the decision-making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1970s, as a role of social studies is changed, the decision-making in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came to possess the important portion. And, entering the 1980s, as the decision-making is one part of solution or a thought, the research materials on the detailed process, function and model in decision-making came to appear much. Entering the 1990s, the decision-making came to stress the decision-making as part of educating citizenship. And, in the 2000s, it is being emphasized the process of deliberation, which passed through enough discussion and debate in the decision-making, and students' direct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Next, the researcher allowed the decision-making model in social studies to be types in problem-centered decision-making model, balanced decision-making model, and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and then tried to compare these things. It tried to examine Harvard model by Oliver & Shaver(1966) who stands for the problem-centered decision-making model, the decision-making model by Banks(1973) who stands for the balanced decision-making model, and the decision-making model by Engle & Ochoa(1988) who stands for the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When the whole examination is performed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decision-making model in social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understanding may be helped about the essence of decision-making in social studies and about appl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learning to th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의 의미와 초등 사회과 의사결정 연구의 변천 및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의 유형별 비교를 통하여 사회과 의사결정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다.사회과교육의 목적을 시민성 함양이라고 볼 때 시민성의 자질로서 의사결정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 오고 있다. 의사결정이란 다양한 속성을 지닌 대안들 사이에서 선택을 의미하며 사회과의 목표로서 의사결정능력 육성의 중시는 사회인식과 시민적 자질을 가장 유효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초등 사회과에서 의사결정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연구의 초점도 약간씩 변하여 왔다. 1970년대에 초등 사회과에서 의사결정은 사회과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사회과의 목표에서 의사결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1980년대 들어오면서 의사결정은 문제해결이나 사고의 일부분으로 의사결정의 세부적인 과정, 기능, 모형에 관한 연구물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르러 의사결정은 시민성 교육의 일환으로 의사결정을 강조하게 되었고 2000년대에는 의사결정에서 충분한 토의와 토론을 거친 숙고의 과정과 학생들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다음으로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을 연구자는 문제 중심적 의사결정모형, 균형적 의사결정모형, 반성적 의사결정모형으로 유형화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보았다. 문제 중심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Oliver & Shaver(1966)의 하버드 모형, 균형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Banks(1973)의 의사결정 모형, 반성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Engle & Ochoa(1988)의 의사결정 모형을 검토하여 보았다.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밑바탕으로 하여 사회과 의사결정과정, 의사결정모형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사회과 의사결정의 본질과 의사결정학습의 현장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실천이성으로 읽은 의사결정수업모형에서 교육적 앎의 의미

        한광웅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2

        This research inquiry the meaning of reflection intrinsic in decision-making model on practical reason. The educational epistemology's orientation of practical reason is critic about education is buried technical rationality seen by symmetrical structure of technical rationality and practical rationality and by symmetrical structure of dualism and monism. Decision-making model can divide 'rational decision-making model' and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at the point of practical rationality. ‘Rational decision-making model' separate knowing and action. The knowing of this model limit positive inquiry apply social science concept and principle at the separation of action. But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arrive on the base of monismic thinking of knowing and action. This is noteworthy for which action way is attribute to expansion of public good. This difference hav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for the meaning of reflection intrinsic in decision-making model. The reflection of 'Rational decision-making model' is technique for the sake of objective, certain knowing on the inquiry about fact and value. The reflection is limited at cognitive skill, instrumental means, technique construct 'the point of Archimedes'. But the reflection of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is fundamental thinking deconstruct partition on fact and value, cognition and emotion, and thinking and behavior. This is practical, because the reflection attribute to expansion of public good on social life. 본 연구는 의사결정수업모형에 내재한 앎의 의미를 실천이성의 시선에서 탐구하려 한다. 실천이성의 교육인식론적 정향은 기술적 합리성과 실천적 합리성의 대칭적 구도에서 기술적 합리성에 매몰된 교육에 대해 비판하고, 앎과 실천의 이원적 사유와 일원적 사유의 대칭적 구도로 앎과 실천의 관계를 조망한다는 점에 있다. 실천이성에서 앎과 실천의 대칭적 구도는 합리성의 대칭적 구도로 전화된다. 이런 맥락에서 의사결정수업모형은 ‘합리적 의사결정수업모형’과 ‘반성적 의사결정수업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합리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은 앎과 실천을 분리한다. 이 모형에서 앎은 실천과 분리된 채 사회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한 실증적 탐구에 국한된다. 반면, ‘반성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은 앎과 실천의 일원적 사유를 기반으로 성립한다. 이것은 공공선의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실천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이런 차이는 의사결정수업모형에 내재된 앎의 의미 이해에도 영향을 끼친다. ‘합리적 의사결정수업모형’에서 의사결정은 사실과 가치의 탐구과정에서 객관적, 자명한 앎을 위한 기법이다. 여기서 의사결정은 앎의 인지적 기능, 도구적 수단, 기술로 한정된다. 반면, ‘반성적 의사결정수업모형’에서 앎은 사회적 삶에서 공공선의 확대에 이바지하는 사회참여란 실천과 선순환적 관계를 맺는다.

      • KCI등재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발명’ 단원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수업 모형 개발

        서정완,이용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1

        We confront incessant choices in life. A person or a group stands at a crossroad continuously and make decisions under limited conditions in each time in order to achieve a goal. These series of processions are referred to as decision making and dominates our actions. Based on this view, the decision making is crucial and it secures its own position in school education as well as in re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cision making skills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improve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subjects.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education was problem recognition, problem identification, alternative production, alternative assessment, optimum selection, optimum evaluate. An instructional models for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y education and examination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developed a teaching material to experience each step. And in the teaching material was to verify the improved decision-making skill. Accordingly, a decision making instruction model in techn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students’ decision making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능력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 추출, 환경 요소 분석, 의사결정 검사도구 개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수업 도구 선정,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 개발의 6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로 문제인식, 문제규정, 대안생성, 대안평가, 최적안 선택, 최적안 평가를 도출하였다. 둘째, 의사결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출된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준거로 여러 의사결정 수업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의사결정능력 향상 수업 모형을 기준으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여 의사결정능력의 하위요소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수업 과제를 본 수업과 이후 수정 보완을 거친 수업에 투입하였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수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 평가모형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재신(Jae Shin Par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결과정보위주의 편향에서 벗어나 의사결정 과정상의 역량이 체계적으로 분석되는 평가모형이 필요하다. 개발 방법론으로 근거이론이 사용되었다. 근거이론은 현장으로부터 체계적으로 수집된 실증자료에 기반하여 이론을 발전시키는 현상학적 방법이다. 개발된 평가모형은 개념적 틀, 평가요소, 실행절차 등으로 구성된다. 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은 직무 관련 설정된 목표의 성취도, 의사결정 과정의 절차적 합리성, 집단 상호작용 효과성을 중심으로 평가된다. 4개의 사례연구를 통해 평가모형이 개발되었고, 1개의 실제 사례에 적용되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 상황에 대한 사용가능성과 유의미한 교훈 및 역량향상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이 평가모형은 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경영자들이 실무에서 보다 합리적이고 정당성 있는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하여 참고할 수 있는 길잡이로서의 역할도 있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evaluating the manager’s decision-making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that helps overcome the outcome bias and systematically analyze the competence of managers in making decision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grounded theory, which is an interpretative method to develop a theory that is grounded on empirical data systematically gathered from the practice. The model developed consists of a conceptual framework, evaluation criteria, and an operational procedure. In particular, decision-making competency is evaluated in terms of task-specific delegation specifications, procedural rationality, and group effectiveness. The model was tested by application in investment decisions of a venture capital company. The application proved that the model is usable and useful in deriving valuable lessons and identifying steps to be taken for competency improvement. This model can be used not only as a tool for evaluating the competency of managers specific to decision-making, but also as a self-diagnostic tool or a working guide for managers to make self-confident and justifiable decisions.

      • KCI등재

        의사결정 학습모형에 기초한 의사결정나무 활동이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지영 ( Jiyoung Cho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 학습모형에 기초한 의사결정나무 활동이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7명으로, 연구도구는 박지영(2012)이 개발한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와 이수기(2005)가 사용한 조망수용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결정 학습모형에 기초한 의사결정나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의사결정력과 조망수용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결정 학습모형에 기초한 의사결정나무 활동이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조망수용능력에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유아를 위한 의사결정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cision tree activity based on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of young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total of 37 five-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test of decision making ability (Park, 2015) and the test of perspective-taking ability (Lee,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decision tree activity based on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This implies that the decision tree activity based on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for young children is effective in decision making ability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 KCI등재

        정치 수업에서 사회과 의사결정학습 모형의 활용 방안

        박새롬(Pak Sae-ro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정치교육의 핵심적인 목표 중에 하나는 학생들이 정치적 권리를 가진 존재로서 정치생활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주도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의사결정능력은 정치생활을 주도하는 데 있어 바탕이 되는 필수적인 역량이지만 정치 수업 차원에서 사회과 의사결정학습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치 수업에서 의사결정학습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 수업에서 의사결정학습을 활용할 때 의사결정의 목적이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민주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것임을 분명히 하며, 집단 구성원간의 교류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이 될 수 있도록 숙의해보는 기회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정치적 의사결정에는 선택중심형, 합의도출형, 문제해결형의 다양한 유형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유형별 특성을 반영하여 수업을 구성함으로써 여러 유형의 정치적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한다. 선택중심형 의사결정은 자율적인 판단과 선택이 강조되는 데 비해 합의도출형 의사결정은 타인과의 협상 및 조율과정이 중시되며 문제해결형 의사결정은 실제 참여의 바탕이 된다는 점이 상대적으로 강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능력’을 기능적으로 습득하는 데서 나아가 정치적 의사결정의 과정에 몰입하게 함으로써 능동적인 정치생활을 주도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One of the core goals of political education is to empower students to lead their political life in an active manner as individuals with political rights. Decision-making abilities are an essential capability required in political life,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ow to make use of decision-making learning in political lessons. This study, thus, set out to propose effective utilization plans for a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in political lessons. They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 purpose of making a decision is for the members to pursue the democratic values in political lessons where decision-making learning is put in use.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them with a chance for deliberation so that they will make a better decision through exchanges among each another. Secondly, it is critical to consider the various political decision-making types including choice-centric, agreement-reaching, and problem-solving and implement them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choice-centric decision-making type puts an emphasis on autonomous judgments and choices. The agreementreaching type emphasizes a negotiation and coordination process with others. The problem-solving type becomes a base for actual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to design political lessons in ways that they would not only focus on the improvement of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ies,” but also allow students to gain political decision-making experiences needed for political life in various form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의 목회 리더십: 리더십 의사결정모형을 중심으로

        최성훈(Seong Hun Choi)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3 No.-

        한국교회는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 즉 소위 뉴노멀(new normal) 시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으며, 그 가운데 가장 시급한 것은 의사결정 과정의 개선에 대한 요청이다. 의사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리더와 구성원 간의 대화와 협력이지만 그동안 한국교회에서 의사결정은 소수의 리더에 의해 독점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리더십 연구의 발전과정 속에서 특성이론과 행동이론에 이어 상황을 중시하는 리더십 이론은 1960년대 이후 등장했고, 이후로도 수정과 개선을 통해 시대와 소통하는 가교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코로나 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한국교회가 복음을 중심으로 교회의 본질을 수호하며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황적 리더십에 바탕을 둔 의사결정모형을 점검하는 것이 유용하다. 빅터 브룸(Victor H. Vroom)과 아더 제이고(Arthur G. Jago)에 의해 제시된 리더십 의사결정모형은 1988년 및 2002년 두 차례에 걸쳐서 수정되어 현장 응용력이 향상된 가장 최근의 의사결정모형이다. 브룸과 제이고는 일곱 가지 상황에서 의사결정 과정과 연관된 다섯 가지 리더십 유형 중에 하나를 선택할 것을 제안하는데, 그 유형들은 지시형, 개별상담형, 팀상담형, 촉진형, 위임형으로 나뉜다. 한국교회의 전통적 의사결정 유형은 지시형과 개별상담형에 가깝고, 최근에는 팀 상담형으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코로나 19의 위기 상황에서 교회의 본질과 사회적 책임을 위해서 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목회자의 자기성찰은 물론 교회 전체의 시대적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촉진형과 위임형을 중심으로 복음의 원리와 상통하는 민주적인 소통의 근간이 되는 의사결정 유형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Korean churches face the request of a paradigm shift to cope with the post-Covid-19 era, in other words, the new normal era.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is to improve the processes of decision-making in the church. During the last few decades, Korean churches have ignored the dialogue and cooperation between church members, while often a senior pastor has exercised the monopolistic right of decision making. The situational theory of leadership appeared in the 1960s and was revised and updated continuously afterward. Then it provided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leaders and modern society. Hence, Korean churches need to examine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so that they may protect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bear the social responsibilities under the situation of Covid-19. Victor H. Vroom and Arthur G. Jago introduced the normative model of decision-making in 1973 and revised it twice both in 1988 and 2002. Thus, it is the newest model of decision-making and its applicability to the field is proven. Vroom and Jago suggested that a group leader has to choose one of five models such as deciding, individual consulting, group consulting, facilitating, and delegating in seven different situations. The traditional style of decision-making in Korean churches is similar to deciding or individual consulting type and it is close to group consulting type nowadays. Yet, Korean churches have to strengt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church members and carry out the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e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Pastors have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toward the goal and it needs self-reflection of them. Hence, Korean churches continuously seek to find an ideal model of decision-making that responds to the gospel message and boost democratic communication.

      • KCI등재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치료추구지연에 대한 의사결정모형

        오효숙,장금성,정명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8 No.4

        Background Acute coronary syndrome is major cause of death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decision tree model of the treatment-seeking delay among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Methods This study used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applying the cognitive ethnographic decision tree modeling. Th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29 patients. The model was tested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volving 311 patients. The predictability of the decision tree model was quantified as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followed the pathway predicted by the model Results The model for decision making about when to visit a doctor after detecting symptoms was developed. Decision outcomes for the model were categorized into immediate visit and delayed visit. In the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the model was influenced by lowered consciousness, perceived seriousness of symptoms, presence of bystander, social-group influences, admission route and barriers to visiting a doctor. The predictability of the model was 88%. Conclusions This study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of educational strategies for reducing treatment-seeking delay of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연구배경 본 연구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증상 발생 후 종합병원 방문까지의 치료추구행위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을 파악하여 의사결정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인지적 문화기술학적 의사결정모형 방법론을 적용한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을 이용하였다. 먼저 질적연구방법을 이용하여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추구행위에 대한 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였고 개발한 모형을 다시 3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양적연구방법으로 검증하였다. 결 과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첫 증상발견에서부터 종합병원방문까지 치료추구시기 유형에 대한 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였고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 결과로, 증상발견 후 병원방문까지의 치료추구 시기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의식장애 여부, 지각된 증상의 심각성, 증상 발생시 목격자 존재, 병원방문에 대한 사회적 준거집단의 영향, 병원방문의 장애성, 입원 경로가 중요한 주제로 나타났고, 의사결정 결과는 증상발견 후 3시간 미만 내에 병원을 방문하는 즉시형과 3시간 이후에 병원을 방문하는 지연형으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 결과로 치료추구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요인을 카이제곱 검증을 한 결과,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의식장애가 없는 경우(교차비 6.75, p<0.05), 증상발생시 목격자가 있는 경우(교차비 0.44, p<0.05), 병원방문의 장애요인이 있는 경우(교차비 24.72, p<0.05), 입원경로가 응급실인 경우(교차비 0.15, p<0.05) 지연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추구지연에 대한 의사결정모형의 예측력은 총 311명의 대상자 중 273명이 예측되는 경로로 통과되어 88%의 성공률을 보여주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증상 발생 후 병원방문을 지연시키는 요인들 중 병원방문의 장애성과 의식장애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치료추구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정보화가 의사결정 신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통령 비서실을 중심으로

        백정미(白貞美) 한국국정관리학회 2007 현대사회와 행정 Vol.17 No.2

          The Informationalization has been brought the great changes to organizations. Especially it has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time to make decisions. The effect of decision making rapidity differs according to the kind of informationalization system and work, and step of decision making.<BR>  To analyse the effect of ICT of Office of President about decision making rapidity, path model is used. The model is consisted of independent variable(ICT), intermediate variables(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behavior of ICT user, capability of ICT user), and dependent variable(rapidity of decision making). The rapidity of decision making is affected directly by ICT or indirectly by intermediate variable such as capability of ICT user. The total effect of the decision making are largest at the database in all kinds of works. And, the users" capability of using ICT among the intermediate variabl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의사결정 신속성은 성공적인 국정관리의 한 요소로, 본 연구는 대통령 비서실 정보화가 의사결정의 시간단축에 영향을 주었는지, 주었다면 어떠한 경로를 그리면서 주었는지, 그리고 의사결정 단계와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BR>  분석결과 정보화수준이 높아질수록 의사결정 시간단축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정보화시스템의 종류, 그리고 업무의 종류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 그리고 의사결정 유형에 있어서는 전략적 정책판단이 필요한 경우나 위기시 업무보다는 일반관리업무에서 의사결정 시간단축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의사결정 단계에 있어서도 문제인식단계에서의 시간단축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대통령 비서실 정보화가 의사결정 신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화시스템 중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매개변수에서는 이용자의 능력과 태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기법을 이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결정모형 개발

        한은정,곽민정,강임옥 한국통계학회 2011 응용통계연구 Vol.24 No.1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tarted in July, 2008. We try to make up for weak points and develop a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upgrade the rating model of the category of need for long-term care continually. We improve the rating model using the data after enforcement of the system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long-term care marketplace. A decision tree model was adpoted to upgrade the rating model that makes it easy to compare with the current system. This model is based on the first assumption that, a person with worse functional conditions needs more long-term care services than others. Second, the volume of long-term care services are defined as a service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flect the changing circumstances. Rating models have to be continually improved to reflect changing circumstances, like the infrastructure of the system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urance beneficiary. 노인장기요양보험은 2008년 7월에 시작된 이후 제도의 안정적 정착과 발전을 위해 여러 가지 면에서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은 상태이다. 그 중에서도 장기요양급여의 진입장벽을 결정하는 등급결정모형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제도 시행 이후 급속히 변화하는 장기요양 시장의 현실을 등급결정모형에 반영하고자 제도 도입 이후의 자료를 활용하여 등급결정모형을 구축하여 현행 모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등급결정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이것은 현행 모형과 비교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형은 기능상태가 나쁜 사람일수록 장기요양서비스량이 많을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장기요양서비스량을 서비스 제공시간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변화된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등급결정모형을 보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향후에도 서비스 인프라, 급여 이용자의 특성 등 계속 변화하는 환경을 반영하여 등급결정모형을 보완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