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유주의 사회적 책임화의 계보학

        김주환(Joo-Hwan, Kim)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6

        이 글은 최근 기업, 노조, 시민단체 및 소비자들 등 제 사회주체들이 자발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떠맡는 현상을 ‘신자유주의 사회적 책임화’라는 말로 포착하고,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윤리적 소비를 중심으로 이를 푸코의 신자유주의 통치성 분석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일견 이러한 사회적 책임화 현상은 사회의 도덕적 연대의 복원처럼 보이지만, 신자유주의 통치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신자유주의가 사회적 연대의 공간을 통치 영토화하는 테크놀로지들이자 통치 영토화과정의 효과일 뿐이다. 이글은 우선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윤리적 소비 담론의 폭발적 증가를 신자유주의 통치 방식의 변형이라는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살핀다. 다음으로 신자유주의 사회적 책임화의 통치에 어떤 지식과 진리의 체제, 권력의 테크놀로지, 자기의 테크놀로지, 개인들에 대한 테크놀로지들이 동원되고 활용되는지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신자유주의 사회적 책임화의 함의를 논한다. 기업의 사회책임경영과 관련하여 사회도덕적 관심사들은 시장의 언어들로 재정의되어 경영전략의 한 구성요소로 축소되며, 윤리적 소비의 경우, 기존 권리의 주체들이 사회적 책임의 담당자로 변형됨으로써 개인들은 자신들이 사회에 야기할 수도 있을 위험과 저항을 스스로 관리하고 통제하면서 신자유주의 통치에 포섭된다. 이런 맥락에서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윤리적 소비운동 등을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하는 진보진영의 제 흐름들은 의도치 않게 신자유주의를 강화하는 것으로 귀결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urrent neo-liberal social responsibilization from the Foucauldian perspective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the neo-liberal social responsibilization refers to the current phenomena that social units, such as corporations, trade unions, NGOs, and consumers, voluntarily have begun to assume social responsibilities, instead of the state. I argue that the neo-liberal social responsibilization is not the restoration of the socio-moral solidarity at all, but a technology and an effect of the neo-liberal governmental territorialization of the social solidarity. In this context, I analyze the following four aspects engaged in the current social responsibilization as a neo-liberal governmental technology: knowledge and regimes of truth, technologies of power, technologies of the self, and the technologies of individuals. Then I suggest som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First, regarding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and moral concerns are reframed in terms of principles ofthe market, and reduced into specific instances of management strategies. Second, regarding the ethical consumption, as being transformed from the subjects of rights to the subjects of social responsibilities, individuals voluntarily come to control their potential for resistance in order to defend society from the risk which could be posed by themselves if they remain subjects of rights. Finally, in these contexts, a series of tendencies among Korean progressive camps, which suggest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ethical consumption as alternatives to neo-liberalism, will unintentionally result in the reinforcement of neo-liberal government.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와 불신, 명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의 역할과 신뢰와 불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유선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3

        This study examined how four domai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ffect the trust and distrust of corporations and contribute to their reput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role of trust and distrust between CSR domains and repu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thical responsibility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d influence on trust. Leg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strust. Companies that did not fulfill legal responsibilities were more likely to be distrusted. The influence of trust on corporate reputa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rust was a mediator between ethical responsibilit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nd reputation. Economic responsibility had a direct influence on reput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rategic approach in each CSR domai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이 공중의 신뢰와 불신, 기업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신뢰외 불신을 매개적 역할을 탐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대해 445명에게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 모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이 윤리적 책임과 박애주의적 책임을 다할수록 기업에 대한 신뢰가 강해지는 것으로, 법적 책임을 다하지 않을수록 불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불신 중 신뢰만이 명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여, 기업을 신뢰할수록 기업 명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과 신뢰와 불신, 명성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업이 이행하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은 신뢰를 매개로 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경제적 책임은 직접적으로 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의 각 차원과 신뢰와 불신, 명성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업이 윤리적, 자선적 책임을 잘 수행할수록 기업에 대한 신뢰가 구축되고, 이를 통해 명성이 높아짐을 입증하고, 기업의 당연한 책임으로서 기업활동에서 윤리성이 수호되고, 사회공헌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공정무역제품 신뢰, 구매의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의 관계

        박현정(Park, Hyun-Jung),이상환(Lee, Sang-Hwa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7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공정무역제품 신뢰, 구매의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검정하였다.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제시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공정무역제품 신뢰와의 영향관계를 검정한다. 또한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신뢰 형성이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공정무역제품 신뢰와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윤리적 소비성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동기인식 유형이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수는 339명이다. 가설검정 결과,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환경적 책임은 공정무역제품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정무역제품 신뢰는 구매의도와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윤리적 소비성향의 조절적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 결과, 경제적 책임, 자선적 책임과 공정무역제품 신뢰와의 관계에서 윤리적 소비성향이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동기인식 유형의 조절적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 결과, 윤리적 책임, 환경적 책임과 공정무역제품 신뢰와의 관계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동기인식유형이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bout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rust in Fair Trade Certified Products, 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Price. It indicat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an element for enhanced trust in fair trade products and verifi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rust in fair trade products. It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trust in fair trade products on 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premium prices for them. Moreover, fo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rust in fair trade products, it examined the moderating influence of ethic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perception patterns of motiv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atawere collected froma questionnaire survey, and 339 respondents were chosen for analysis. According to hypothesis test results, legal responsi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rust in fair trade products, and the trust in the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price. Moreover, the hypothesis test on the moderating influence of ethical consumption propensity showed that such propensity had a moderating influence on relationship among ethical economic responsibilit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nd trust in fair trade products. Accordingly, the hypothesis test on the moderating influence of motivation perception patter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dicated that the patterns had a moderating influence on relationship among ethical responsibility,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trust in fair trade products.

      • KCI등재

        『생활과 윤리』 과목의 ‘윤리적 소비’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

        김민재(Kim Min 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적 소비’ 개념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생활과 윤리』 과목 내 윤리적 소비 관련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 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윤리적 소비의 개념과 윤리적 소비자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윤리적 소비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定義)되지만, 그 중심에는 소 비행동에서 유념해야 할 윤리적 기준과 소비주체가 지녀야만 하는 광범위한 책임의 식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윤리적 소비자들은 ‘이타적 책임감’이 강하고, 윤리적 소 비를 통해 ‘행복감’을 느끼며, 외부 사회적 변인들의 영향으로 인해 윤리적 소비를 향한 적극적인 실천 동기가 형성되기도 하고 위축되기도 한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 는 도덕 교과의 역사에서 소비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살펴보고, 현행 『생활과 윤리』 교과서들에 수록된 윤리적 소비에 대한 부분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내 용 개선을 위한 제언들을 시도하였다. 첫째, 윤리적 소비 개념의 체계화 및 영역 확 대를 위해 교과서 안에 윤리적 소비와 윤리학적 사고의 긴밀성을 나타내야 한다. 둘 째, 윤리적 소비에 대한 학교급별 교육 내용의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윤 리적 소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교과서를 기술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ontents related to ethical consumption within Life and Ethics subject, by more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ethical consumption currently grabbing attention.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general concept, occurrence background, relevant ethical position, and its type/category of ethical consumption. Next,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consumers, focusing on mental state and the external social variables of when ethical consumption is practiced. Lastly, this paper aimed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asures, by examining how the consumption matter has been treated in the history of moral education, and also critically reviewing the parts of ethical consumption contained in the current Life and Ethics textbook. When writing Life and Ethics textbook, the extension of ethical consumption area and the systematization of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also the contents should be selected to raise critical perspectives on this concept.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한준(Han Joon Lee),박종철(Jong Chul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1

        많은 기업들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필수항목이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Carroll(1979)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찾고자하였다. 이러한 심리적 기제와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제안하고자한다. 그리고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신뢰의 차원을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로 구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차원이 각각 두 신뢰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 노력은 전문성에 기초한 신뢰와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를 매개로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 노력이 높으면 소비자들은 해당 기업에 대하여 전문성에 기초한 신뢰와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를 형성하여 해당 기업 및 그 기업의 제품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법률적 책임활동과 윤리적 책임활동, 그리고 자선적 책임활동 노력은 모두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형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활동과 윤리적 책임활동, 그리고 자선적 책임활동이 해당 기업에 대한 전문성 신뢰가 아닌 호의성 신뢰를 매개로 해당 기업 및 제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제시해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들에게 우리 사회가 인지하는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에 대한 각 부분을 이해시킴으로서 자신들의 수익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거나, 또한 기업의 신뢰형성에 결정적이고, 실무적인 도움을 제공해줄 것이다. According to the great economist Milton Friedman, corporate has only one responsibility that is economic responsibility making a profit while observing the law. Market economy would result in improved efficiency and increased economic results. However, corporate efficiency-oriented activities may exert detrimental impact on well-beings of society through environmental pollution,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xploitation of labor in under developed countries. Business entities exist within a market society. Their activities influence the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are influenced by the society. Corporate is not separated from society. Since the globalization process starting 1990s, society witnessed the movement of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Consumers and investors have been asking corporate to conduct socially responsible actions such as producing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embodying product with socially responsible attributes, fair labor condi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etc. Business integrates social demands into its management. It is not new that today`s business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exhibit ethical and moral management and to carry out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Since South Korea emerged as a newly industrialized country during the 1980s, Korean corporations have become active in carrying out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to society. In spite of the short histor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Korean companie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rporate philanthropy. Corporations` significant donations to various social causes, no-lay-off policies, corporate volunteerism and green marketing are evidences of their commitment to corporate citizenship.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w an essential management practice whereby corporation can strengthen its sustainable value creation processes by enhancing the trust asset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usiness and the stakeholders. A critical but elusive issue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earch has been the impacts of a company`s social initiatives on the consumers` evaluation of product and corporation. Researchers in the area of management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s. These researchers explored a direct relationship either between CSR and its financial successes. However,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inconclusive and inconsistent. In the area of Market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CSR on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and corporat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not conclusive either.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in this study we postulates that the consumers` trust play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dimension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arroll,1979)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Trust is conceptualized into two different forms: expertise-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A model integrating four dimensions of CSR, two forms of trust,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is tested using data of 384 young consumer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the corporate economic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expert-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However, the corporate legal, the corporate ethical, and the corporate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not on the expert-based trust but only on the benevolence-based trust.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t-based trust and the benevolence-based trust bot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duct evaluation and on the corporate evaluation.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ust indeed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SR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orporations to understand the rela

      • KCI등재

        개인의 사회적 책임: 척도개발

        윤성욱(Yoon, Sung-wook),김삼원(Kim, Sam-Wo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최근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오고 있다. 경제주체의 구성요소는 국가, 기업, 가정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는데, 국가나 기업, 가정의 구성원은 결국 개인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하여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구성원의 가장 핵심 주체인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현실이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 할 수 있는 포괄적이며 신뢰가능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자선적 책임, 환경적 책임, 윤리적 책임의 3가지 차원으로 척도가 개발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개발된 개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척도의 세부 항목으로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 책임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온실가스 줄이기’ ‘공해방지 및 환경개선’ ‘환경보호’ ‘친환경 소비자 되기’, 자선적 책임으로는 ‘불쌍한 사람 돕기’ ‘이웃을 위한 봉사’ ‘사회적 모금행사 참여’ ‘약자를 돕는 일’, 윤리적 책임으로는 ‘공정거래 질서와 법규준수’ ‘사회적 규범 준수’ ‘미풍양속 준수’ ‘국가가 제정한 법률 준수’ 등이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시키며, 향후 국가적으로나 지방자치단체가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 할 것이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ISO 26000의 핵심과제인 환경부문, 자선부문, 윤리부문에 대한 개인의 책임 활동을 성실히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생존과 성장을 지탱해주고 지원해주는 사회에 대해 기업 이상으로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Purpose] Recently as the impotance of activiti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emphasized, many studies on CSR have been conducted. While components of economic units are nation, companies, and families, their members all can be thought to consist of individuals. Even though there exist precedent studies about CSR activities, there is none on the studies of individuals’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most essential of economic units.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goal to develop a comprehensive and reliable scale that can measure activities of individual social responsibility. [Methodology] As the result of study, the ISR scale with three dimensions of environmental, charitable,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has been developed. [Findings] The followings are the subsections of the ISR standards newl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include “to reduce greenhouse gases in daily life”, “to prevent pollution & inprove environment”, “to protect environment”, and “to becom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er”. Charitable responsibilities include “to help the poor”, “to volunteer for the neighborhood” “to participate in social charity events”, and “to help the social weak”. Ethical responsibilities are “to manage fair trade and obey regulations”, “to follow social norms”, “to keep beautiful traditional customs”, and “to obey the national legisl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will help realiz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social responsibility once again and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are important for national or local governments to diagnose ISR activities. Futhermore, as it can help individuals to sincerely perform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environmental, charitable, and ethical sections, which are the core agenda of the ISO 26000 promoted across the world, and envision the future-oriented society, it is thought to function as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into the advanced country.

      • KCI등재

        1인칭 사유의 외부에서 윤리적 주체를 세울 수 있을까? :‘책임’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복수 주체들의 윤리학

        김효영 한국여성철학회 2019 한국여성철학 Vol.32 No.-

        본 논문은 1인칭 외부의 ‘복수 주체(multiple subjects)’가 윤리적 주체로서 성립될수 있는가하는 문제를 ‘책임’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통상 윤리적 책임의 귀속여부는분명한 행위자를 요구하기에, 윤리학은 1인칭을 전제로 전개된다. 그러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개인만을 전제하는 강한 1인칭의 윤리학에서 역사적 부당행위에 대한 집단 사죄와같은 문제는 미답 상태로 남겨진다. 이러한 문제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윤리적 주체를 사유한 것이 공동체주의자로 꼽히는 알레스데어 매킨타이어(A. MacIntyre)와 마이클 샌델(M. Sandel)이었다. 이들이 제시하는 ‘서사적 자아관’에서 개인은 언제나 타자의 이야기의 부분으로 들어가고, 타자 역시 나의 이야기의 한 부분으로 개입해 들어온다. 때문에서사적 자아관은 상호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는 관계성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책임의 문제를강조한다. 동일한 관심사에서 도나 해러웨이(D. Haraway)는 복수의 행위자들이 함께 사는문제는 전적인 책임의 문제임을 환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복수 주체라는 토대에서, ‘설명책임(accountability)’을 동일하게 중시하면서도, 매킨타이어에게 중시되는 것이 상호간에 ‘이해가능성(intelligibility)’을 가능하게 하는 종착지로서의 ‘설명책임’이라면, 해러웨이에게 ‘설명책임’은 그로부터 다시 ‘응답책임(responsibility)’로 나아가야 하는 출발점으로 다뤄진다. 해러웨이에게 공동의 운명에 처해있는 복수의 주체란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개인’들로 구성된 것이 결코 아니다. 공동의 행위자들은 언제나 불균등하고 비동등한 입장에서 상호결부되어 있다. 때문에 불균등한 관계 속에서 행위자들간에 지속적인 응답의 노력이 수행되지않는다면, ‘이해가능성’ 만으로 공동의 운명을 꾸려나갈 책임은 온전히 성취될 수 없다. 강한 1인칭의 관점에서 벗어나 복수의 주체를 윤리적 주체로 상정함에도 불구하고, 매킨타이어의 서사적 자아관이 궁극적으로 ‘함께 사는 문제’에 대한 실제적인 답변을 제출하지못했던 것은, 이러한 불균등한 행위자들의 입장에 대한 고찰이 결여되어있었기 때문이라는것이 이하 논의의 주장이다. 그로써 우리는 해러웨이의 주장을 따라 공동의 행위자들이함께 사는 문제에서 어떻게 책임이 사유되고, 수행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 KCI등재

        한국형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박종철,이한준,김경진 한국마케팅학회 2010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2

        It is not new that today’s business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exhibit ethical and moral management and to carry out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Since South Korea emerged as a newly industrialized country during the 1980s, Korean corporations have become active in carrying out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to society. In spite of the short histor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Korean companie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rporate philanthropy. Corporations’ significant donations to various social causes, no-lay-off policies, corporate volunteerism and green marketing are evidences of their commitment to corporate citizenship.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w an essential management practice whereby corporation can strengthen its sustainable value creation processes by enhancing the trust asset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usiness and the stakeholders. Much of the conceptual work in the area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originated from researches conducted in the management field. Carroll(1979) proposed that corporations have four types of social responsibilitie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Most past research has investigated CSR and its impact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s and corporate performances. Although there exists a large body of literature on how consumers perceive and respond to CSR, the majority of pa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The s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past findings need to be tested across different national/cultural settings, especially si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 reflection of implicit conformation with the expectations and criticism that society may have toward a corporation(Matten and Moon, 2004). In this study, we explored whether people in Korea perceive CSR of Korean corporations in the same four dimensions as done in the United States and what were the measurement items tapping each of these four dimens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of CSR and the measurement items for CSR perceived by Korean people, nin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ral stakeholder groups(two with undergraduate students, two with graduate students, three with general consumers, and two with NGO groups). Scripts from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Korean stakeholders perceived four types of CSR which are the same as those proposed by Carroll(1979). However we found CSR issues unique to Korean corporations. For example for the economic responsibility, Korean people mentioned that the corporation needed to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untry by generating corporate profits. For the legal responsibility, Koreans included the “corporation need to follow the consumer protection law.” For the ethical responsibility, they considered that the corporation needed to not promote false advertisement. In addition, Koreans thought that an ethical company should do transparent management. For the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people in Korea thought that a corporation needed to return parts of its profits to the society for the betterment of society. The 28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ine focus group interviews, while considering the scale developed by Maignan and Ferrell(2001). Following the procedure proposed by Churchill(1979), we started by developing an item poll consisting of 28 items and purified the initial pool of items through exploratory,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176 samples were sued for this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28 items in order to verify the underlying four factor structure. Study 1 provided new measurement items for tapping the Korean CSR dimensions, which can be useful for the future studies exploring the effects of CSR on Korean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s and corporate performances. And we found the C... 그동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개발이 국·내외적으로 일부 연구자들에서 수행되어져 왔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하고 있는 구성개념(측정항목)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결핍과 기업의 네 가지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이 과연 서로 이질적인 차원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련된 지난 30년간 발표된 정량적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측정항목과 방법론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CSR)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오래 지속되고 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차원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떻게 바라보는지, 혹은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가 서구사회 위주로 개발되어 국내에서 인용되다보니, 국내 특성에 맞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대상을 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척도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새로운 척도가 기존 척도에 비하여 더 높은 예측력을 지니는지를 간접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새롭게 개발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적 책임은 ‘제품의 품질개선 노력’, ‘고객의 불평처리에 대한 체계구축’, ‘이윤창출을 통한 국가경제발전 이바지’, ‘고용창출 노력’, 법률적 책임으로는 ‘법적기준 준수’, ‘직원들의 복지추구와 고용관련법 준수’, ‘명시된 계약적 책임이행’, ‘기업경영 관련법 준수’, ‘소비자보호법 준수’, 윤리적 책임으로는 ‘윤리강령 지침마련’, ‘과장광고나 허위광고’, ‘투명경영’, ‘사업파트너와의 공정한 거래’, 자선적 책임으로는 ‘지역사회와의 협력사업’, ‘스포츠 및 문화활동 지원’, ‘지역사회 봉사’, ‘사회환원’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기업들에게 경제적 책임활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지시키고 있으며, 특히 국내 기업들에게 자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복음적 경영을 지향하는 기업에서의 사회책임활동 모형

        안연식(Yeon S. Ahn)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이슈로 하며, 특히 복음적 경영을 지향하는 기업(이하에서는 복음적 기업이라고 칭함)과, 이와는 반대로 특별히 구별되지 못한 세상적인 기업(일반 기업이라고 칭함)을 구분하여 사회적 책임활동 모형이 어떻게 차별화되어야 하는지 제시한다. 기업들이 추구하는 경영의 성과 목표는 이윤추구를 통한 지속적 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복음적 기업과 함께 일반적인 기업들도 선의의 목적을 가지고 일자리 창출을 포함한 경제적 책임영역이나 고객만족 및 사회 기여를 표방하는 자선적 책임활동 영역 등의 차원에서 사회책임활동을 수행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일반 기업에서 추구하는 사회책임활동과 이들과 경쟁이 불가피한 환경에 처해 있는 복음적 기업에서의 사회책임활동은 어떻게 구별되어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제기된 이슈를 사회책임활동 영역의 우선순위와 사회책임활동의 방향성을 골격으로 사회책임활동 모형을 차별화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음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영역의 우선순위는 법률적 책임→윤리적 책임→복음적 책임→경제적 책임 등의 형태로 전환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책임활동의 방향성은 일반 기업의 활동이 순수공익형 및 마케팅 접목형인데 비해서, 복음적 기업의 활동은 자사의 유익함을 추구하거나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복음 전파에 기여하도록 주님이 사명을 감당하는 사회책임활동 모형으로 정의하고 있다. This paper is discussed on the issues about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Typically Many firms are pursuing the management`s performance, as this means that the goal of this firms are to achieve their survival and continual growth. Inherently they implement the economic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CSR, including job cre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etc,. If so, how should it be the CSR activities in the evangelical firms` and general firms` while considering that faced a competitive environment inevitable? In this paper, a new CSR model for evangelical firm`s is suggested which framework considers the priorities of CSR activity areas and CSR`s activity orientation. New CSR model suggested for evangelical firms` emphasizes that the priorities of CSR activity areas have to converted as legal responsibility → ethical responsibility → evangelical responsibilities → economic responsibilities. Also, CSR`S activity orientation for evangelical firms` must focus to the Lord`s mission to contribute to the gospel with precluding or giving up the approach in the perspectives of marketing strategy, even humanism perspective. And evangelical firms` CSR`s activity in this model is not seeking the interests of their own name in order to maintain the Christ`s name and purity.

      • KCI등재

        중국 인터넷쇼핑몰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태도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태도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병기,유재욱,전상택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4

        The Chinese internet shopping mall market is growing rapidly, and the number of companies operating shopping mall websites is increasing.,As the number of companies operating online shopping malls in China increases, the activiti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ve become important to online compan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used as a marketing tool for forming positive image of a company and it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management regardless of business scope of a company. This study measur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economic responsibi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easily accessed and easily used in China's Internet shopping malls, focusing on Beijing, Shanghai and Tianjin areas.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attitude and corporate image and the mediating role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image of corporate attitude.,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hinese Internet compan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attitude and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attitude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environmental responsibility, philanthropy responsi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imag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of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who actually shop in China using the Internet, so it can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value of empirical research and the entry of domestic online shopping mall companies into the Chinese market. 중국 인터넷 쇼핑몰 시장은 매우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으며 쇼핑몰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기업들도 갈수록많아지고 있다. 중국에서 온라인 쇼핑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기업들에게도 기업의사회적 책임에 대한 활동이 중요하게 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을 위한마케팅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업의 사업 범위와 관계없이 지속가능경영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환경적 책임, 자선적 책임, 윤리적 책임, 경제적 책임 및 법적 책임요인으로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인터넷 쇼핑몰을 쉽게 접하고 이용이 용이한 20~30대학생과 직장인 등의 중국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베이징, 상하이, 텐진 지역을 중심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태도 및 기업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기업태도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이미지 간의 매개역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중국 인터넷 기업의 사회적책임은 기업태도와 기업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태도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환경적 책임, 자선적 책임, 윤리적 책임,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과 기업이미지 간에 매개변수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중국에서 인터넷으로 쇼핑을 하는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실증연구로써의가치와 국내 온라인 쇼핑몰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