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보육 정책 관련 학술지 연구논문 동향 분석: 2005-2009

        신은미 ( Shin Eun 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법과 유아교육법이 시행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유아교육 및 보육 관련 정책들에 대한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 및 보육의 정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등재학술지인 「유아교육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유아교육학논집」, 「한국영유아보육학」,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과 관련된 연구 150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5년 동안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과 관련된 연구는 숫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7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다음 2006년, 2008년, 2005년, 2009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아직까지 영유아 교육과 보육에 관한 정책 연구가 시기적 또는 사회적 요구나 시책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 관련 연구들을 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 및 보육 정책 일반에 관한 연구, 교육 및 보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유치원 평가 및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관련된 연구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효과적인 정책 수행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제안에 처방적인 연구보다는 정책을 주도하는 학문적 토대 형성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oli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to provide research data for improvement policy and progr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studies published b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Journal of Child Studies」. The 150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s of year ranges and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studies have increased since 5 years recently. The number of stud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were affected by timely or socially needs and government`s policy. Many of policy studies were fulfilled for 2 years, 2007 and 2006. Also, a large number of study subjects were about rational and general policy towar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gress,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and the childhood education center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y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is important. ecause study of policy is a foundation of leading government`s policy and helps government carry out policy effectively.

      • KCI등재

        유아교육 학제 내 유아교육정책 교과 개발 연구

        황해익,주철안,김병만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 학제 내 유아교육정책 교과 개발에 대한 전문가의 요구도와 주제 구성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의 구체적인 견해를 확인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아교육 관련학과 교수와 강사, 유아교육 관련 행정가, 유치원 원장과 원감 및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유아교사 등 60명으로 구성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총 44부가 회수되어 최종적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유아교육정책 교과 개발을 위한 전문가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정책 및 유아교육정책과 관련한 참고문헌, 선행연구, 전문가와의 면담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제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구체적인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정책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정책 교과 개발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요구도에서는 ‘필요하다’ 이상을 90.0%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대상 수준은 학부과정, 적합한 대상은 4학년, 이수 구분은 전공 선택 교과, 교수방법은 토론과 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정책 교과 개발을 위한 주제 구성의 적합도를 상위 주제 적합도와 하위 주제 적합도로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유아교육정책 교과 개발에 대한 전문가의 구체적인 견해를 질적 연구의 결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정책 교과 개발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xperts on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course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the appropriateness of theme organization for that and the views of exper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people who includ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instructors, administrato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dergarten principals, kindergarten assistance principal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10 year or more of career.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4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literature of educational polici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earlier studies and interview data with experts to find out the opinions of experts about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cour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Besides, the selec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ere interviewed to acquire in-depth data on their opin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90.0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considered it necessary or very necessary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course. As for the level of the objects of education and academic year appropriate for this course, the biggest group of the experts responded that this course should be offered as one of undergraduate courses in the senior year. Concerning the type of course, the largest group answered this course should be one of major electives, and in terms of teaching method, the largest group viewed discussion as the best teaching method, followed by lecture. Second, as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me organ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olicy course, themes were divided into two: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themes. And then their opinion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two kinds of themes were separately presented. Third, the opinions of the experts on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course were presented after making a qualitative research.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was provided,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is cours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의 최근 동향과 정책 과제

        최은영 육아정책연구소 2016 육아정책연구 Vol.10 No.1

        정부는 선진 유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유아교육정책과 제도의 도입을 꾸준히 추진하였는데, 2009년 ‘유아교육 선진화를 위한 종합 발전 방안‘, 2012년 만 5세 누리과정 시행, 2013년 누리과정의 전면 확대, ‘유아교육발전 5개년(‘13~‘17) 계획’ 수립등으로 최근 유아교육에서 획기적인 정책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누리과정 시행, 유보통합 등 정책 변화가 급변하고 있는 최근 유아교육정책 현황에 대한 자료의 축적과분석은 향후 유아교육의 미래지향적 정책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통계자료, 유아교육정책 사업 관련 제도 및 재정 관련 자료들을 유아교육 지표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의 공적 인프라 확대, 유아교육 재정 확보, 교원 처우 및 근로여건 개선, 유치원 질 관리 체제의안정적 정착, 유아교육 지원체계 확대 및 역할 강화 등 향후 유아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과제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overall information on and to assess the outcom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et future tas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by analyzing related issues that require in-depth analysis. In conducting the research, it was analyzed annual education statistics reports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nual reports, internal reports from Ministry of Education, reports by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s well as other related docum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ncluding the expansion of public infrastructur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uring and efficient allocation of fund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offering better compensation and working conditions for kindergarten staff, stable establishment of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expansion of and strengthening the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pport systems.

      • KCI등재

        핀란드의 유아 교육과 보육 통합과정에 관한 연구

        곽노의 ( Kwak No U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유아 교육과 보육을 위한 정책은 저출산 대책뿐 아니라 경제 선순환으로 이어지는 정책이다. 대부분의 영유아가 공·사립 교육·보육기관에 다니고 있지만 교육비 부담과 수용 기관 부족, 교육·보육 행정시스템의 난맥 등으로 학부모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영유아 교육·보육은 국가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영유아 교육·보육 시스템을 전면 재정비하여 마음 놓고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우선 소관부서 통합을 실행한 후 재정, 교육과정, 교사교육, 현직교육 및 연수, 기관평가 등을 핀란드의 경우처럼 순차적으로 통합해 가면서 영유아교육의 현안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한다. 핀란드의 교육은 2003년 OECD회원국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능력 평가(PISA)에서 최상위를 기록하여 그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을 시작으로 모든 교육과정을 정부가 전액 지원하는 공교육으로 이뤄낸 결과이다. 여기서 필자는 핀란드의 유아교육서비스가 통합되어 교육문화부로 이관되었다는 점에 관심을 갖고 그 과정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핀란드에서도 유보 통합되기 이전에는 초등 준비단계인 6세를 위한 유아학교(pre-school)은 교육문화부(The ministry for Education and Culture)에서 관장하고 유아교육과 보육 단계인 0~5세 서비스는 최근까지 사회보건사업부(The ministry for social and Health Affairs)에서 관장하였다(의무교육은 초등교육단계인 7세부터 시작됨). 핀란드에서는 일련의 정책의 변화를 통하여 2013년 유보통합을 실현하였다. 우리나라는 현재 교육과정은 통합되어 만 3-5세 유아들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누리과정을 시행하고 있지만 그 밖에 것은 앞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북유럽의 아이들의 교육은 행복한 어린시절을 보호해주고 지켜주는 기능을 하는 곳이 유아교육기관이라고 한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우리도 유아교육과 보육의 방향을 잡아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gr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Finland. Polic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s a policy that leads to economic virtuous cycle as well as low fertility measures. Most infants and young children attend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nd child care centers, but parents are faced with difficulties due to the burden of educational expenses, the lack of acceptance institutions, and the stagnation of education and child care administration syste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hould be fully responsible for the entire nation`s responsibility and nur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ystems to provide a nurturing environment. First of all, we need to solve problems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ntegrating the union into the budget, education, curriculum, and in-service education. In 2003, Finnish education authorities ranked the highest in the world by recording their excellence in the ranking of their academic abilities (PISA) in the OECD Student Middle School. The result is a result of the education of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has resulted in the government`s full support of all education programs. I am concerned about the progress of the integr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Finland which was transferr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improvement to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candinavian countries are trying to establish a preschool(kindergarten) that protects young children`s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책네트워크 분석

        박신영(Park, Seen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13년까지의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책에 참여한 정책참여자들이 형성한 정책네트워크의 특성을 구성원, 통합성, 자원, 권력 차원에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공교육화 관련 일간지 신문기사에 나타난 정책참여자와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수집하고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 정책네트워크의 구성원은 주요한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책 쟁점이 나타날 때 그와 관련된 정책참여자 수가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냈고 참여자의 유형별로는 관료제, 이익집단의 참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시민사회단체와 일반 국민의 정책네트워크 참여가 저조하였다. 정책참여자, 특히 비공식적 정책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이 제한적이어서 전반적으로 유아교육 정책네트워크의 통합성이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공식적 정책참여자들이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책에 대해 의제를 발의하여 정책결정권자가 채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교환하고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공식적인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교육 정책네트워크의 자원과 권력 특성을 살펴보면 교육부가 지속적으로 정책네트워크 내의 자원흐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였고 네트워크의 권력 또한 교육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 정책네트워크에서 교육부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교육부는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책네트워크의 중심에서 이전 정책결정권자와 새로운 정책결정권자 사이에서 정책의 방향을 지속시키고 이해당사자와 정책수혜자를 포괄하는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networks from 1993 to 2013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inferring from policy networks’ properties representing membership, integration, resources, and power. For this purpose, data of policy-participants,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policy keywords appearing in articles from daily newspapers addressing issu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SNA).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networks in dimensions of membership, integration, resources and power by period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memb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networks appeared to increase when issues closely related to interests of policy participants appea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network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networks tended to be very low because of limited linkages between policy participants. It appeared that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concentrated its resources and pow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networks. This meant that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s were required to share informa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policy-making processes with various policy participants, leading them to set a bottom-up agenda based on the information.

      • KCI등재

        미국과 영국의 유아교육 효과연구 결과가 한국 유아교육 발전에 주는 시사점

        신은수,정미라,박은혜,권정윤,전홍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a proposal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amining international trends for reinfor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human resources. This study explores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human resources from the early years among the economically developed countries of the OECD. Also, the study analyzes that the educational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specifically the strengthening of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 year 2000. In addition, the study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longitudinal studies conducted in the U.S. and the U.K. that prove the educational and economic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increasing levels of economic invest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ing quality education for 0 to 5 year olds, lowering the student-teacher ratio and upgrading teacher quality, establishing a free public education system for 3 to 5 year olds, and supporting research on the short/long term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governmental level, and applying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to policy making. 본 연구는 국가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하여 영유아기 교육을 강화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OECD 경제 선진국들의 영유아기 인적자원 개발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2000년 이후 영유아기 공교육 체제로 전환하여 교육을 강화하는 국가교육정책을 실행한 미국과 영국의 유아학교(pre-school)******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 관장 하의 만 3세에서 5세 대상의 미국의 공립 유아학교(universal pre-kindergarten)와 영국의 유아교육기관(nursery schools, reception class)을 통칭하여 유아학교(pre-school)로 사용하였음. 의 교육적, 경제적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정책적인 시사점은 영유아기 교육에 대한 재정적 지원 확대, 0~5세 영유아에게 양질의 유아교육 보장, 만 3~5세 무상 공교육 체제 구축 등이다.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의 질(質)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탐색

        박찬옥,조형숙,엄은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a plan and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by reviewing the purpose and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elements of successful educational policies. There exists an abundance of research carried out on educational reforms pointing to educational programs, teachers, physical environment, home life, and local communities as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result,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public educational systems, and specialty trai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this sense, this study has concluded that it is desirab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aimed at: (1) establishing public educational systems focus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2) widely extending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 consolidating systems toward cultivation of quality teachers; and (4) includ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gover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children up to 5 years of age. 본 연구는 양질의 유아교육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것이 왜 중요한지, 어떠한 요소들을 충족시켜야 하는지를 재고함으로써 한국 유아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 및 정책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간의 우리나라 유아교육 정책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논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교육프로그램, 교사, 물리적 환경,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유아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은 통합적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구현 및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 공교육 제도의 확립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의 방향으로 첫째, 유아학교 중심의 공교육 제도를 확립할 것, 둘째, 유아교육에 대한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을 대폭 확대할 것, 셋째, 양질의 교사 양성을 위한 체제를 정비하고 질 강화 방안을 마련할 것, 넷째, 0-5세 영·유아교육을 교육부 중심의 학제로 포함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외 유아교육 정책 탐색

        장혜진 ( Jang Hyejin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서 국외 유아교육 정책을 탐색하고 유아교육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국외 유아교육 정책을 알아보기 위해 취학전 교육전통을 지닌 영국, 사회적 페다고지 전통을 지난 핀란드, 최근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교육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뉴질랜드를 선택하였다. 각 나라의 유아교육 정책을 탐색한 결과, 유아의 웰빙에 대한 관심 고조, 교육과정의 자율성 강화, 개별 유아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계획, 유아의 핵심 역량 강조, 학습기준 및 학습성과에 대한 재개념화, 교사 대 유아 비율 제정,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 내 실습 강화, 기관의 자체 평가 강조를 정책점 시사점으로 제안한다. 국외 유아교육 정책을 탐색하는 것은 현재 유아교육 실제를 새롭고 낯선 관점으로 바라보도록 하여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시사점을 추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overs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and extracted policy implications necessary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xamine overs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the UK, which has a tradition of pre-primary tradition, Finland, which has a social pedagogy tradition, and New Zealand, which is influencing the recently revised 2019 Nuri Curriculum and Korean education policy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expl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in each country, increased interest in children's well-being, strengthening of curriculum autonomy, curriculum planning for an individual child, emphasis on children's core competencies, re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standards and learning outcomes, establishing the child-to-child ratio, strengthening practice with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and emphasizing the institution's self-evaluation as policy implications. Exploring overs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is expected to allow us to look at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ality from a new and unfamiliar perspective, thereby extracting new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public na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방향 탐색

        김병만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al evaluation criteri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which can evaluat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s a desirable standard based on opin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evaluation experts,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exper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expert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Opinions of the experts were presented through SWOT analysis and SWOT Matrix strategy analysis. SWOT analysis analyze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s as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and analyzes S-O strategy, S-T strategy, W-O strategy, and W-T strategy through SWOT Matrix strategy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roposed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may be meaningful for the direction and value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for parents. 본 연구는 유아교육정책·평가 전문가, 유아교육행정 전문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유아교육정책을 바람직한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개진된 전문가들의 의견은 SWOT 분석과 SWOT Matrix 전략 분석을 통해 제시되었다. SWOT 분석을 통해 정리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 내용은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의 4가지 내용으로 분석하였으며, SWOT Matrix 전략 분석을 통해 S-O 전략, S-T 전략, W-O 전략, W-T 전략의 개발 방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 탐색은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방향과 가치를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을 구상하고 실천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정책적으로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정책의 이념적 지향과 실천 과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 분석

        변정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is study aims to gaug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by exploring the awareness and demand of the principals of private kindergarten on th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practical tasks of the recently announc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even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focus group interview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schedule began with the dispatch of the notice on April 16 and collected the basic data on May 27 and completed the organization of the transcription on June 22.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focus on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form pla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strengthening publicity. According to the study, eight top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under the two themes of ideological orientation and practical task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were derived. The first topic was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which resulted in three subcategories: learner-orient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and the accountability of the country. The second topic was the implementation task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n which five subcategories of the method of publicity orientation, education support system, child care and education cost support, education operation method and Nuri curriculum were derived. The ideas and practical task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in line with trends and policies around the world, and we could obtain the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at it was necessary to look at various perspectives in the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유아교육정책의 이념적 지향과 실천 과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과 요구를 탐색하여 향후 유아교육 정책의 발전 방향성을 가늠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립 유치원장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일정은 4월 16일 안내문 발송부터 시작하여 5월 27일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6월 22일 전사본에 대한 정리를 완료하였다. 교육부의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혁신방안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정책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고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교육정책의 이념적 지향과 실천 과제라는 2개 주제의 8개 상위 범주와 13개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주제는 유아교육정책의 이념적 지향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 평생교육 관점, 국가의 책무성이라는 3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고, 두 번째 주제는 유아교육정책의 실천 과제로 공공성 지향, 교육지원 체계, 보육 및 교육비 지원, 교육운영 방법, 누리과정의 5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아교육의 이념과 실천과제들은 전 세계적인 흐름 및 방침과 일맥상통하고, 향후 유아교육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다양한 관점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