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리長書運動의 기원과 在京儒林

        서동일(Dong-il Se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0

        在京儒林은 1919년 3월 고종황제의 國葬이 벌어지던 서울에 체류하면서 유림의 독립청원운동(파리長書運動)을 기획하고 추진했던 유림인사들을 가리킨다. 金昌淑, 金丁鎬, 李中業, 柳濬根, 林敬鎬, 成泰英 등이다. 이들이 항일운동에 적극 나서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 논문은 재경유림의 탄생과정에서 파리장서운동의 역사적 기원을 찾아보고자 했다. 파리장서운동의 기원을 재야의 보수유림 내부뿐만 아니라 재경유림이라는 외재적 요인에서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제2장에서는 고종의 국장을 참관하기 위해 상경했던 지방유림이 각종 항일운동에 참여한 사실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재경유림이 발의한 독립청원운동(파리장서운동)이 다른 형태의 항일운동에 비해 설득력을 갖게 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런 움직임을 주도한 재경유림이 어떤 인물로 구성되었고 어떤 배경에서 성장하였으며 어떤 정치적 성향을 지닌 인물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재경유림 및 그 협력자들이 펼친 대외활동 가운데 특기할 만한 항일운동 즉 1890년대 말부터 전개된 비밀결사운동, 1905년 전후에 시작된 독립운동근거지 개척운동, 1918년 고종망명계획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재경유림의 입장에서 본 파리장서운동의 前史에 해당한다. 제4장에선 재경유림과 지방 보수유림이 어떤 접점에서 파리장서운동에 협력하게 되었는지를 기술했다. 이 연구를 통해 파리장서운동은 을미사변 이후 재야 보수유림 내에서 증폭된 항일의식과 함께 재경유림이 1890년대 말부터 진행해 온 반일(항일)운동에서 역사적 遠因을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 고종의 급서와 3 · 1만세운동이 돌발적인 近因으로 작용한 것이라는 접근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In 1919, an strange independence movement, named Pari Jangseo Undong(巴里長書運動: so called the 1st Confucian Independence Movement), was led by a numerous Korean conservative confucian. The confucian more than 100 asked th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in Paris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imperial japan. But, it was a strange scene because the conservative confucian who had been regarding the western people as a babarian. Definitely, they were different with the traditional confucian. If so, did they really admitted the western as a civilized. The answer is NO. There were several persons who helped their considering. They are named Jegyeong Yurim(在京儒林: the confucian who had been stayed in Seoul) Pari Jangseo Undong seems to be a accidentally happened movement. But, it was a designed activity and had a clear historical background. What is ‘designed’ and ‘historical’? Let’s look over the origin of Pari Jangseo Undong and the role of Jegyeong Yurim. Jegyeong Yurim came of good families, learned under the good teachers. They learned both confucianism and western sciences differently from 137 conservative confucian participated in this movement, and they are very positive in anti-imperial Japan movement in the influence of family, fellows and the teachers. They, first, established a secret society to reform and strengthen Daehan Jeguk(大韓帝國: the Great Han Empire, 1897-1910). But, the efforts were failed because imperial Japan made Daehan Jeguk to semicolonialism after 1904 and strongly suppressed Korean politician. They decided to make a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utside the nation like Manchuria, Russia, etc, in the other hand, preparing to refuge emperor Gojong to China. But, this plan was also failed for the sudden death of emperor Gojong. In this background, Jegyeong Yurim faced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Understanding Jegyeong Yurim is very important problem. It shows what conditions the aim of Pari Jangseo Undong were formed by, and why 137 conservative confucian participated in this movement.

      • KCI등재

        《儒林外史》와 南京

        崔亨燮 한국중국소설학회 2017 中國小說論叢 Vol.52 No.-

        본 논문은 남경이라는 도시에 초점을 맞추어 18세기 중국 소설인 吳敬梓(1701-1754)의 《儒林外史》를 분석해 보려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오경재는 안휘성 全椒縣 출신으로 雍正11년(1733) 33살 때 남경으로 이사한 후, 줄곧 그곳에서 살다가 54세 때 揚州에서 病死한 후 남경에 묻혔다. 생애 중후반 20년 남짓 살았던 남경은 그에게 있어서 제2의 고향이자, 고향보다 더 사랑한 도시였다. 《유림외사》 속에는 고향에서의 경험과 세태, 가문과 繼父에 대한 기억 등 그의 일생이 곳곳에 녹아져 있지만, 특히 남경이라는 도시 공간, 그곳에서 교류하며 만났던 많은 사람들, 주변 도시에 대한 여행의 경험 등이 중요한 창작의 원천이 되었다. 먼저, 《유림외사》의 전체적인 공간적 배경을 분석해 보면, 대체로 ‘江南’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江南 중에서 다시 ‘남경’이라는 도시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먼저 20년 넘게 남경에 살면서 경험한 것들을 작품 속에 반영한 결과이다. 다음으로 명청 시기 강남의 특별한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당시 강남은 단순한 지리적 개념을 넘어서서 풍요로운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문화적 우월감을 내포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유림외사》에서 북경이 정치와 권력의 중심지로 그려져 있다면, 남경은 이와 대조적인 가치와 지향을 상징하는 재야 사인들의 중심도시로 그려져 있다. 《유림외사》는 오경재가 살았던 18세기 당시 청조 사회, 타자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포함한 강남 士人들에 대한 愛憎의 감정이 투영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림외사》 속 남경은 크게 자유롭고 개방적인 성격의 문화도시, 흥망성쇠의 역사를 표상하는 도시, 市隱들의 안식처로 그려져 있다. 남경에 대한 긍정적 묘사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이미지는 활력을 잃고 점차 세속화되어 쇠락해 가는 도시로 묘사되어 있다. 남경에 대한 이런 이미지는 우선 청조가 들어선 후 남경의 위상 변화와 관련이 있다. 永樂帝의 북경 천도 이후에도 兩京 제도 하에서 명대의 남경은 여전히 留都로서 방대한 지역을 관할 통제하는 정치적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경제, 문화의 중심도시였다. 청조를 세운 만주족은 남경을 점령한 후 留都로서의 지위를 박탈하고 江寧府로 격하시켰다. 또한 강희⋅건륭제 시기에 진행된 강남 士人에 대한 다양한 회유 포용 정책으로 그들의 응집력과 자부심도 점차 약화되어 갔다. 그와 함께 남경이라는 도시의 정치, 학술, 문화적 위상과 의미도 점차 희미해져 갔다. 《유림외사》에 묘사되어 있는 남경 이미지 속에는 상술한 것과 같은 복합적인 상황과 맥락, 의미가 투영되어 있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18th century Chinese novel, Wu jingzi(吳敬梓, 1701-1754)’s Rulinwaishi(儒林外史), especially focusing on relations with the city of Nanjing(南京). Wu jingzi was born in the country town known as Quanjiao(全椒), Anhui province and moved to Nanjing at the age of thirty-three(Yongzheng 雍正 11). After dying in Yangzhou(揚州), Jiangsu province, he buried in Nanjing at the age of 54. He lived in the so-called second hometown Nanjing, during over twenty years. It may be said that he loved Nanjing more than his hometown. Though hometown’s life and society, the memories of his father and family were reflected in Rulinwaish, it can be indicated that what influenced on his creating work were mainly as follows: the city space of Nanjing, interactions among Nanjing’s literati, and travel experiences of near cities etc. After analyzing spatial background of Rulinwaishi, I got the following result: this work generally focused on Jiangnan(江南) region, and especially focused on Nanjing as the central city of Jiangnan. First of all, it was result to reflect what writer Wujingzi lived and experienced in Nanjing during over twenty years. Second, We need to remember the peculiar concept and meaning of Jiangnan in the Ming-Qing dynasties. The concept of Jiangnan at that time had special meaning to involve cultural superiority based on abundant economic foundations beyond the pure geographic concept. In Rulinwaishi, the capital Beijing was described as the city to symbolize politics and power, in contrast, Nanjing was described as the central city of the literati to remain out of government. Rulinwaishi contain not only criticism to the other, the 18th century Qing society, but also ambivalent emotions of love and hatred for Jiangnan’s literati involving writer himself. I would also like to indicate the three images of Nanjing in Rulinwaishi: cultural city of the liberal atmosphere, city to represent the history of ups and downs, and refuge of city recluse. Despite positive aspects of Nanjing, it can be said that the general image was described as being secularized badly, and declining with loss of vitality. Though Yongle(永樂) emperor transferred the capital from Nanjing to Beijing in the early 15th century, old capital Nanjing under two capitals system still had strong influence on vast surrounding region. Nanjing was Jiangnan’s cental city in politics, economic and culture. Nanjing in the Ming dynasty was also Jiangnan literati’s mental capital until the early Qing dynasty. But it degraded an ordinary city, Jiangning fu(江寧府) under Manchu rule. The status and meaning of Nanjing grew weak among Jiangnan’s literati with Kangxi(康熙) and Qianlong(乾隆) emperor’s appeasement policies. Multiple context and meang as mentioned above, were reflected in images of Nanjing in Rulinwaishi.

      • KCI등재

        유림가와 영관의 관계

        정경란 한국국악학회 2013 한국음악연구 Vol.54 No.-

        <유림가(儒林歌)>는 작자 미상의 악곡으로 『악장가사(樂章歌詞)』, 『악학편고(樂學便考)』에 악보 없이 6연의 가사가 전하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악보와 함께 가사 제1연이 전하며, 평조이다. <유림가>의 제작시기에 대해서는 고려의 악곡이라는 것과 조선초기의 악곡이라는 두 가지 이론이 양립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림가>와 세종 때의 <정대업>중의 <영관(永觀)>과의 관계를 살폈다. 이 <영관>은 <서경별곡>에서 발췌한 곡으로 알려진 세종 때 <화태>였다가 세조 때에 곡명이 바뀐 <영관>과는 다른 곡이다. 세종 때의 <정대업>은 남려궁계면조이며, 그 중 <영관>은 <정대업>의 15곡 중의 마지막 곡으로 『세종실록악보』에 수록되어 있다. <영관>과 <유림가>의 선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12행(16정간 1행으로 간주)으로 이루어진 <영관>은 24행(16정간 1행)의 <유림가> 선율 중 1-6행과, 3-4행, 6행, 8행, 17-18행, 21-23행을 발췌하거나 변주하여 만들어 진 곡임을 확인하였다. 즉 <유림가>의 1-8행과 9-16행이 동일한 선율이므로, <영관>에서는 <유림가>의 반복되는 선율은 다시 반복해서 발췌하거나 변주하지 않고, 한번만 연주하게 함으로써 선율의 중복을 줄이고, 평조인 <유림가>를 <영관>에서는 계면조로 바꾸었다. 고려의 속악인 <청산별곡>, <서경별곡>, <만전춘>, <귀호곡>, <야심사>, <풍입송> 등에서 발췌되어 세종 때의 <휴명>, <화태>, <순응>, <형광>, <보예>, <융화> 등의 신악이 창작된 것처럼, <유림가>도 세종 때 <영관>에서 발췌 및 변주된 것으로 보이므로, 이형상의 고려속악으로 분류한 <유림가>가 진짜 고려속악일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선율진행만으로 악곡의 제작시기를 확언하기 어렵다. <유림가>의 제작시기에 대한 논의는 향후 음악학, 국문학, 역사학 등 다방면의 연구가 요구되며, 이번 연구가 <유림가>의 제작시기 연구에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Yurimga(儒林歌) is one of songs that might be composed in Goryeo or Joseon dynasty, the composer of which is not known. Its lyric and music have been written in Akjangkasa (『樂章歌詞』), Akhakpyungo(『樂學便考』) and Siyonghyang-akbo(『時用鄕樂譜』). This music must be handed down to some musics in Joseon Dynasty. Youngkwan have been written in Sejongsillok-akbo(『世宗實錄樂譜』) and transmitted one song of Jeongdaeeop(定大業). This paper is studied how Yurimga is transmitted into Joseon music through the comparison music of Youngkwan(King Sejong in Joseon). Youngkwan was played as one of Hoyryeak which was played as ritual music when executives gathered altogether in palace. Youngkwan is extracted or played the melody from Yurimga and adding new lyrics on it. Similarly, It is found that Yunghwa, Hwatae, Hyukjung and Hyumyeong are excerpted from Pungipsong, Seokyungbyulgok, Manjeonchun and Chongsanbyulgok, respectively in part or all. From this research it is proved the origin of Youngkwan from Yurimga.

      • KCI등재

        김황의 「己未日記」 중심으로 보는강우 儒林의 현실 인식과 일제강점기 대응 양상

        김종진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3 No.-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Joseon(朝鮮) dynasty was collapsed because of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the theory of ‘Confucian capitalism’ that Confucianism had a profound effect on national development. Although today Confucianism is regarded as an outdated ideology, it is still a big part of the Korean spiritual found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re spirit and behavior of devout Confucian communities. No doubt it is not proper to argue which one is right between the theory of ‘Confucian blame for national ruin’ (儒敎亡國論) and that of ‘Confucian capitalism‘ (儒敎 資本主義論) here, for they are to be judged by history. However, rumination on this issue can make us at once obtain valuable reference data for our future generations, rediscover Confucianism’s strong points to inherit, and also find out things to reflect on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ords and actions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Gangwoo(江右), Yeongnam(嶺南), region at the time, focusing on 「Kimiilgi(己未日記)」 by Jungjae(重齋) Kim Hwang(金榥), who recorded the urgent real-life experiences unfolded before a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n order to look at Gangwoo Confucians’ perception of and response to reali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y analyzing the consciousness permeated in their words and actions found in related records centering on Kimiilgi (己未日記: A Diary in the Gimi Year.), it is possible to answer the questions aroused in various aspects and confirm new facts. First of all, the Myeonmun(俛門) scholars, the mainstream of the Gangwoo(江右) Confucian community always maintained the idea that the future of the nation should be promised through self-purification rather than physical resistance such as righteous army uprising. However, during national crises, Gangwoo Confucians agonized fiercely and acted up to their conviction to restore the nation and people, so when they acted, they boldly threw life away. With a sense of crisis, seeing their fatherland ruined, they strengthened their will to fight for independence. While joining the nation-wide movement active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3.1運動), they bravely led their own Yurimdan(儒林團) uprising, such as the Paris Janseo(長書: lengthy petition) Movement (巴里長書運動: the Paris Petition for Independence Movement), an action that strongly revealed their will to restore national independence to the world in Paris. It is true Confucian leaders failed to join the March 1st Movement, not because of other religious leaders’ intentional exclusion of participation. And devout Confucian leaders, according to belief, thought other religions as heretical, so they failed to join them, while other religious leaders also failed to call Confucian leaders for the March 1st Movement for some reason. Feeling regrets for their absence from the first movement, Confucian leaders lead nation-wide uprising actively, throwing away their lives. However, Confucians distrusted Western-style enlightenment for modernization, and their belief in Confucian monarchy remained unchanged.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feudal view of the Gangwoo Confucianism is an innate limitation brought about by the long tradition of Confucian culture. From today's point of view, conservative Confucian value defense at the time should be reformed prospectively. Nevertheless, in light of today's assertion that Confucianism was a considerabl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capitalist economy, it can be said tha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of the Gangwoo Confucianism confirmed here were the best response attitudes of their own i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유교 때문에 조선이 망했다.’는 주장이 있고, 반면에 우리가 이룩한 국가 발전을 두고 유교 사상의 힘이 컸다는 ‘유교 자본주의론’도 있다. 유교 사상은 이미 흘러간 이데올로기가 되었지만, 아직 우리의 정신적 바탕의 큰 부분에 자리 잡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유교 신봉자인 유림의 의식 세계와 행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여기서 ‘유교망국론’과 ‘유교 자본주의론’을 놓고 어느 쪽이 옳은지를 따져 보는 것은 부질없는 일이다. 그것은 역사의 평가에 맡기면 될 것이다. 다만, 그 의미의 반추를 통해 우리의 미래에 좋은 참고 자료를 얻을 수가 있으리라는 생각이다. 거기서 유림이 반성할 부분이 무엇인지, 유교 사상의 좋은 점이 무엇인지를 재발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3ㆍ1 운동 전후에 전개된 긴박한 현실 체험을 기록한 重齋 金榥의 「기미일기」를 중심으로 당시 영남 강우 지역 유림 인사들이 접촉한 사람들과의 언행을 살펴, 나라가 망한 상황에서 그들의 현실인식과 대응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 「기미일기」를 중심으로 하여 연관된 기록의 내용에 스며있는 그들의 의식 세계를 분석하여, 여러 측면의 의문점을 해소하고, 새로운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강우 유림의 주류였던 俛門 학자들은 의병 봉기 등 물리적인 저항보다는 自靖을 통해 후일을 기약해야 한다는 생각에 줄곧 변함이 없었다. 그렇지만, 국난에는 나름대로 국가와 민족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였고, 행동할 때는 목숨을 던지는 과감함을 보였다. 나라가 망한 현실에서 위기의식을 가졌고, 자주독립에 대한 의지도 확고하였다. 그것은 3ㆍ1 운동에 뒤늦게나마 참여하고, 이어서 파리장서 의거 등 유림단 의거를 주도하는 등의 행동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1운동 초창기에 참여하지 않은 것이 주도 측인 종교계의 의도적인 배제는 아니었지만, 적극적으로 동참을 요구하지 않았고, 유림도 자신들이 이단으로 간주해 온 종교세력과 선뜻 손잡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민족적 대사인 독립선언에 불참한 것은 분명한 실책이었다. 그러나 그 후, 전국적으로 확장된 독립 만세 운동과 파리장서 같은 유림단 의거에는 목숨을 걸어 매진하였고, 그것은 자주독립의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 행동이었다. 그런 중에도 근대화를 지향하는 서구식 개화를 불신하고, 유교적 왕도 정치에 대한 신념 또한 변함이 없었다. 그처럼 강우 유림의 봉건적 세계관은 오랜 전통의 유교문화가 가져다준 태생적 한계임을 알 수 있었다. 오늘날의 입장에서 보면, 당시의 수구적 유교 가치 수호는 마땅히 전향적으로 고쳐야 할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교 사상이 근대 자본주의 경제발전에 상당한 바탕이 되었다는 주장에 비추어 보면, 강우 유림의 세계관과 현실 대응 태도가 긍정적이었든 부정적이었든 모두 격동의 국난 시대와 망국의 상황에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것이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鮮初 樂章 「儒林歌」 연구

        김승우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is paper is aimed on looking into when and by whom Yurimga(儒林歌)was composed and into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as a court poem(Akjang, 樂章) in former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at most of court poems which praise King Taejo(太祖) were composed in his reign and that Yurimga includes a certain word "the Han River(漢水)", Yurimga, which also commends King Taejo, is highly probable to have been written between 1394 when Joseon Dynasty transferred its capital to Seoul and 1398 when King Taejo vacated his throne. It has been presumed that Yurimga was composed and presented to a king by usual Confucian scholars, but there is little persuasion in it. As many other court poems in this period, it is very plausible that Yurimga was also written by an illustrious official. Jeong Dojeon(鄭道傳) can be presumed to have composed this poem not only because he had presented several court poems including Sindoga(新都歌) in the Korean vernacular in the reign of King Taejo but also because he often applied the style of Goryeogayo(高麗歌謠) to his compositions that is also widely found in Yurimga. Especially, the persona of the poem states in the fifth stanza that he is willing to admire and follow Pang Xuanling(房玄齡) and Du Ruhui(杜如晦), who were both predominant prime ministers in the period of former Tang Dynasty, which can be actually interpreted as Jeong Dojeon's own pledge. Yurimga is divided into four parts according to the contents: The first part from the beginning to the first half of the third stanza praises the dynasty and the king by presenting several propitious omens; the second part to the fourth stanza celebrates the harmonious balance of the royal authority and the power of the retainers; in the fifth stanza, the third part, the persona displays his ideal and pride as a Confucian; Finally, in the last stanza, he calls another young Confucian who has not been yet in government service despite his hard working and shows his promising future in the new dynasty of Joseon. 본고는, 『樂章歌詞』·『時用鄕樂譜』·『樂學便考』에 수록되어 전하는 鮮初樂章 「儒林歌」의 제작시기와 작자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흐름과 특징을 논의함으로써 선초 악장 및 詩歌史의 전개 양상을 보다 정교하게 해명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악곡이 혹사한 「感君恩」과의 관계를 고려하면 「유림가」 제작의 하한연대는 세종24년(1442)으로 확인된다. 한편, 「유림가」는 태조를 칭송한 작품으로서,태조에 대한 악장이 세종 재위 후반기의 것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태조 재위기에 지어졌다는 사실에 착안할 때, 「유림가」 역시 태조연간에 제작되었으며 문면에 漢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 구체적인 시기는 한성천도 이후인 태조3년(1394)부터 태조7년(1398) 사이로 분석될 수 있다. 「유림가」를 선초의 유생들이 지어올린 것이라는 추정이 있어 왔으나, 선초 악장의 제작 관행으로 미루어 이는 설득력이 약하다. 이 시기의 여타 악장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유림가」 역시 관각문인에 의해 지어졌을 개연성이 높고, 그 유력한 작자로는 鄭道傳이 지목된다. 정도전은 태조대의 악장 제작을 주도한 인사로서 당시로서는 이례적으로 국문악장을 남긴 전력이 있을 뿐 아니라, 「新都歌」·「靖東方曲」 등에 활용된 고려속요 양식이 「유림가」에도 동일하게 발견되기 때문이다. 또한 작품의 내용으로 보아도 『朝鮮經國典』·『經濟文鑑』 등에서 그가 강조했던 신왕조의 핵심 치적들이 「유림가」의 구절로 詩化된 흔적이 역력하다. 특히 역대의 수많은 사표들 가운데 굳이 唐初의 재상 房玄齡·杜如晦를 흠모하며 따르겠다고 직접 표출한 제5장은 정도전 자신의 자기다짐과도 같은 성격을 띤다. 「유림가」는 크게 네 단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장 전절까지에서는 黃河淸 등 물이 맑아지는 상서를 통해 신왕조와 임금에 대한 송축을 전개하다가,제3장 후절부터 제4장까지에서는 표현을 바꾸어 각각 학과 봉으로 상징되는 신하와 임금 사이의 조화로운 협력 및 국가운영의 기반을 칭송하였다. 이어지는 제5장에서는 화자가 직접 문면에 등장하여 유자로서의 이상과 긍지를 펼쳐보였으며, 마지막 제6장에 들어 또 다른 서생에게로 그러한 유림의 이상을 확대하면서 유생들의 밝은 앞날을 기약하였다. 이러한 단락 구성은 기승전결의 단계에 부합하는데, 각 단계에 정도전의 입장을 투사하여 해석해 보아도 작품전체의 의미가 무리 없이 연결된다.

      • KCI우수등재

        식민지기 유림대회의 출현과 지방의 유교권력

        서동일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1

        Korean confucian were strongly criticized by the intellectuals in the early 1920s. Many intellectuals and young leaders thought Korean confucianism and confucian took responsibility for the fall of Korea in 1910, and were still block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The confucian became to need tools and media to protect themselves. A new type of confucian assembly named Yurim-daewhe (儒林大會) appeared then. What did the confucian appeal through this assembly? To survey this, first, the newspaper articles relating to Yurim-daewhe were researched. In result, 39 articles and 27 assemblies in 1920s were found. And, through the articles,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the purposes and results of the assembly in 1920s were analyzed. At last, using more documents such as individual diaries and criminal records, various types oYf urim-daewhe were examined. Yurim-daewhe was general social phenomenon since 1920s in colonial Korea. The assembly had several purposes, for example, to participate in independence movement, to cooperate Japan, or to improve confucian rights and benefits. But, the most important was to protect the propertie sof Hyannggyo(鄕校) which were the possession of local confucian in the past. Local confucian was once regarded as local leaders by colonial power, but now were living in the era of loss and burden. Therefore, the conflicts between local confucian and colonial power(county office) for confucian power in local community were necessary, and this situation was exposed throughY urim-daewhe. 1920년대 초 식민지 조선의 유림은 지식인층으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다. 많은 지식인과 청년지도자들은 조선의 유교와 유림이 대한제국의 멸망에 책임이 있고, 여전히 조선사회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유림은 자신들을 보호해줄 수단과 매체를 필요로 하였다. 이 시기에 ‘유림대회’로 명명된 새로운 형식의 집회가 출현하였다. 유림은 이 집회를 통해 무엇을 호소하였는가? 이를 위해, 우선 유림대회에 관한 1920년대의 신문기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39건의 신문기사와 27회의 유림대회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들 기사를 통해 1920년 유림대회의 출현배경, 목적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좀 더 많은 기록, 즉 개인 일기와 형사 기록 등을 활용해 다양한 유형의 유림대회를 확인하였다. 유림대회는 1920년대 이래 식민지 조선의 보편적인 사회현상이었다. 이 집회는 몇 가지 목적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독립운동을 고취하거나, 일본에 협력하거나, 유림 자신의 권익을 개선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과거에 지역 유림의 재산이었던 향교재산을 보호하려는 것이었다. 지역 유림은 한 때 식민권력에 의해 중간층으로 간주되었으나, 이제는 상실과 부담의 시대에 살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에서의 유교권력을 둘러싼 유림과 식민권력(군청)의 갈등은 불가피하였고, 이런 상황은 유림대회를 통해 노출되었다.

      • KCI등재

        1920년대 식민지 조선 유림과 일본의 탕도성당(湯島聖堂)

        정욱재 ( Uk Jae J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1 No.-

        에도막부 때 釋奠祭와 막부의 인재 교육을 담당했던 湯島聖堂은 19세기 말엽까지도 조선 유림에게 알려지지 않은 생소한 장소였다. 메이지 유신으로 왕정복고를 단행한 일본은 서구 근대화 정책을 펼치면서 湯島聖堂의 기능를 폐지했다. 이런 湯島聖堂을 재발견한 집단이 바로 斯文會였다. 사문회는 경학원의 관계를 통하여 식민지 조선 유림과 교류를 하였으며, 이로 인해 식민지 조선에 서서히 湯島聖堂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 장소가 식민지 조선 유림에게 구체적으로 알려지게 된 계기는 1914년 湯島聖堂을 방문했던 경학원의 일제협력유림의 기록에서 비롯되었다. 1920년대에 들어오면 식민지 조선 유림은 湯島聖堂을 본격적으로 참배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22년에 식민지 조선 유림의 湯島聖堂 방문이 절정에 이르렀다. 1922년은 바로 공자가 사망한 지 2400주년이 되던 시기였다. 1922년 10월29일 일본의 사문회가 주관하여 湯島聖堂에서 ‘孔子二千四百年追遠記念祭’를 개최하였으며, 경학원의 일제협력유림을 비롯한 식민지 조선 유림도 참여하였다. 이 행사를 기점으로 일제협력유림을 비롯하여 식민지 조선 유림은 湯島聖堂을 새로운 유교의 성지이자 일본의 발전을 상징하는 장소로 분명하게 인식하였다. 특히 일본이 유교를 숭봉한다는 것을 잘 알지 못했던 조선의 지방 유림은 湯島聖堂과 그 공간에서 열리는 행사를 보면서 일본이 근대화에 성공한 국가일 뿐만 아니라 유교도 발전한 나라로 인식되었다. 또한 湯島聖堂은 일제협력유림에게 자신의 친일 행위를 합리화하는 좋은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Yushima Seido Shrine (湯島聖堂), the center of education and the Seokjeonje (釋奠 祭) ceremony by the Shogunate, was an unfamiliar place to the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Shrine was temporarily clos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and its subsequent European Modernization plans, but was later rediscovered by the Samunhoe, the group of enlightened Japanese intellectuals who tried to establish ‘modernized Confucianism’ for the new modern country. In this regard, the group took interest in the old Shrine and revived the ceremony of Seokjeonje once ceased by the Meiji government. The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recognized the existence of Yushima Seido Shrine from cultural exchanges with the Samunhoe through the Gyeonghakwon. More specifically,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of Gyeonghakwon recorded their visits to the Shrine in 1914, which induced official visits to the Shrine by the general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The number of visits by the Confucian scholars reached its peak in 1922, the 24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Confucius. On October 29, 1922, the Samunhoe held ‘Memorial Rite for Confucius after 2400 years of the Death of the Master (孔子二千四百年追遠記念祭)’ at the Yushima Seido Shrine, and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of Gyeonghakwon participated in the Rite, along with other Confucian scholars from the colonized Joseon. After the Rite, the Yushima Seido marked itself as the new ‘holy place’ of the ‘new Confucianism’ and symbol of progress of Japan. Especially for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who didn’t know that Japan also respected the same philosophy as they did, the event made an impression that Japan is not only a modernized country, but also a country with modernized and advanced Confucianism, which became a good excuse for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on their treacherous actions.

      • KCI등재

        일제 말 지방 유림의 지형과 한시에 드러난 동양론 연구 -안변(安邊) 유림의 『황군위문시(皇軍慰問詩)』를 중심으로

        한길로 ( Gil Ro Ha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3 東亞 硏究 Vol.32 No.2

        『황군위문시』는 1938년 중일전쟁에 참전 중인 황군을 격려하고 이들의 승전을 기원하기 위해 함경남도 안변 유림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순한문 시집이다. 책에는 안변 유림 소속 유림 69명이 작성한 칠언율시 69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시를 수록한 유림의 상당수는 군수·도평의 원·면장·면협의원 및 학평의원 등에 소속되었던 경력을 갖고 있었다. 나아가 지역에서 금융 조합, 수리조합, 과물(果物)조합 등 지역의 각종 조합에 관여하고 있던 지역 유지나 유력자 상당수 역시 안변 유림의 이름으로 시를 창작했다. 이는 일제 말 지방 유림의 지형을 잘 보여준다 할 수 있다. 20년대 이후 총동원시기까지 지역의 유림은 도지사, 군수 등 총독부 관료의 통제를 받고 있었고 지역 관료의 임명에 따라 향교에서의 교임을 맡을 수 있었다. 과거 유림은 지역에서 명망있는 가문이나 유교적 학식이 뛰어난 사람들이 주축이었으나, 당시 유림은 유림으로서의 자격이나 소양보다는 관료의 측근으로서 일제가 추진하는 사업에 협조적으로 임하거나 행정 능력을 구비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전통시대 유림이나 향교 운영주체들의 인적구성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 유림의 인적 구성의 변화는 한문학 창작 계층 및 경향에도 변화를 가지고 왔다. 즉 전통시대 한시가 갖는 미학적 특징이나 수사적 경향 등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 계층들이 유림의 이름으로 한문학 창작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그들의 시는 한문학적 전통을 계승하는 측면보다는 ‘일제 협력의지 표출’, ‘전통 사회에 대한 복고의식’, ‘한자 문화의 귄위에 편승’ 등의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들이 남긴 『황군위문시』는 ‘일본어-국문’이라는 이중 글쓰기 지형을 보인 조선 문단의 측면과 주변의 문학으로서, 일제 말에 창작된 친일한시의 일면을 웅변하고 있다. 『Hwang Gun Wi Moon Si』 is the collection of poems all written in Chinese which the Confucian scholars spontaneously composed to encourage the imperial army which took part in the Sinjo-Japanese War in 1938 and prayed victory of them. The collection includes Chinese poems of 69 confucian scholars who were belonging to the An-byeon confucians, and all of them were composed by the style of Chinese verse with seven syllables to the line. The considerable number of confucian scholars who contained their poems had a career as a governor, a member of large regional assemble, a head of a township, a member of township assembly or a member of school evaluation assembly. Further more the considerable number of local worthies or influentials who were involved in various associations such as a financial association, irrigation association, and fruit association in their area also created a poem in the name of the An-byeon confucians. 『Hwang Gun Wi Moon Si』 which they left speak one aspect of pro-Japanese Chinese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the pro-Japanese ideology and literal authority of Chinese classics were included by administrators and influentials of each area as literature of the aspect and surroundings of the literal world of the Chosun Dynasty which shows an aspect of double writing in ‘Japanese-Korea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유학 관련 인명부(人名簿)를 통해 본 유림(儒林) 사회의 변화

        설주희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6

        Modern times dissolved the traditional society. Yurim, the ruling class also the intellectuals of Joseon Dynasty also faced changes. Yurim’s social status declined, and a new class of people was incorporated among them. The directory related to Yurim published in Japanese Colonial Era includes changes in Yurim society. Those that were newly incorporated into Yurim society were so-called ‘Sin-Yurim(新儒林)’. Sin-Yurim used all kinds of methods to register their names to the directory in the times when traditional was dissolves. Sin-Yurim were incorporated in the school directory as well. This case, which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publication of traditional school directory, is one of changes in Yurim societ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Weakening of Confucian ideology that began after the modern era caused changes in the idea of Yurim. As modern times bring ruptures between the traditional orders, the idea of Yurim started to rupture. Yurim, positioned as the intellects of traditional society and the ruling class of local community, became vague along with the dissolution of Confucian order. The ones that squeezed into the gaps in between the idea of Yurim were Sin-Yurim. Abolition of past examination and class distinctions brought deprivation to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but were an opportunity to give someone a sense of belonging. Sin-Yurim, who were able to incorporate into Yurim class due to dissolution of tradition, is a case of premodern Confucian ideology that was inherent in the modern society. 근대 이후의 유림은 흔히 ‘공자를 신봉하여 유교를 수학하는 유학적 지식인이자 지배 계급’으로 정의되고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유림으로 활동하였던 이들 중에는 위 개념에 부합하지 않은 자들도 존재하였다. 일제강점기 향교에서 발간한 유림안(儒林案) 중에는 유림의 공론이 아니라 특정 개인의 이권에 의해 만들어진 사례가 있었다. 또한 전통사회에서 유림 지위에 있을 수 없었던 이들이 유림 명부에 입록(入錄)되고 싶어 했던 사회적 현상 역시 존재하고 있었다. 전통 사회에서 유림의 계층에 속할 수 없었던 이들은 일제강점기 이후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유림안에 이름을 올렸고, 그들은 ‘新유림’으로 불렸다. 新유림의 움직임은 학파(學派) 문인록에서도 확인된다. 1934년 정석모는 『간재선생문인록(艮齋先生門人錄)』이라는 이름의 간재학파 문인록을 발간하였다. 문인록 조사 결과 정석모는 간재학파의 문인이 아니었으며 호남 유학의 지형을 이끌고 있던 노사학파, 연재학파, 면암학파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았다. 심지어 정석모는 『화도연원록(華嶋淵源錄)』에도 입록되어 있지 않은 30여 명의 인물을 자신이 만든 문인록에 입록시켰다. 정석모가 입록시킨 이들 역시 간재, 노사, 연재, 면암학파에 속해 있지 않았다. 전통적인 문인록 발간 양상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정석모의 사례는 일제강점기 이후 유림 계층의 범주가 약화되면서 발생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근대 이후 시작된 유교 이데올로기의 약화는 유림 사회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근대가 전통 질서 사이의 균열을 불러오듯 유림의 개념 사이에서도 균열이 일어났다. 전통 지식인이자 향촌 사회의 지배 계급으로 군림하던 유림은 결국 유교 질서의 해체와 함께 그 범주가 모호하게 되었다. 과거의 폐지와 계급의 타파는 조선시대 향촌 지배 계급에게 박탈감을 주었지만 누군가에게는 소속감을 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전통의 해체로 유림이 될 수 있었던 新유림은 식민지 조선에 내재되어 있던 전근대 유교 이데올로기의 투영 사례이다.

      • KCI등재

        유림의 만주 이주와 신흥무관학교 설립

        서동일 숭실사학회 2020 숭실사학 Vol.0 No.45

        신흥무관학교는 1910∼20년대 만주의 대표적인 독립군 간부 양성소였다. 그렇다면, 신흥무관 학교는 어떤 이념과 사상으로 운영되었을까? 또한, 이 학교의 설립에 관여한 것으로 확인되는 김대락·이상룡 등의 유림은 어떤 방식으로 학교에 기여하였을까? 신흥무관학교의 유교적 맥락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사상의 총합물인 신흥무관학교를 다면적으로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문을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우선, 1910년대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이나 반일운 동에 참여한 유림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신흥무관학교 유림세력이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 지 확인하였다. 이어, 유림과 유교의 신흥무관학교에 대한 기여도를 학교의 설립과 운영, 학생 충 원과 부지 확보, 이념과 생활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김대락·이상룡 등은 원래 보수유림이었지만 1905년 제2차 한일협약 체결 전후에 계몽주의를 수 용한 뒤 개신유림으로 전환한 인물들이었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신흥무관학교의 유림세력은 만 주에서 공교운동을 진행하거나 의병운동 방식을 중시한 보수유림과 대립하는 경우가 많았다. 김 대락은 이상적 공동체의 이념으로 ‘共理’라는 개념을 제안했는데, 그는 기존 유림과 달리 공화라 는 용어에 거부감을 보이지 않았고, 공화주의를 중국‧일본‧러시아 등 동아시아의 시대정신으로 이해하였다. 이는 ‘유교적 공화주의’라고 불릴 만한 것이었다. Shin-heung Military School played a role as a military academy of independence army in southern Manchuria in 1910s and 1920s. What ideologies was the school operated by? How did several Confucian literati, like Kim Dae-rak(金大洛) and Lee Sang-yong(李相龍), contribute to the school?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help to understand the school, which is the sum of various ideologies, in multiple ways. For the purpose of this, the followings were discussed: how many types Confucian literati who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the area could be classified to and what type the persons like Kim Dae-rak and Lee Sang-yong would belong to?; how the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the students recruitment and campus expansion, and the philosophy of establishment and life style. Kim Dae-rak and Lee Sang-yong were classified as reformative Confucian literati, who had been originally conservatives, but learned enlightenment after the treaty of 1905. Especially, Kim Dae-rak was symbolic person, who was 69 age in 1913, when he wrote a writing work(‘words of advice’), didn’t feel repulsed by the term republic(共和), rather regarded republicanism(共和主義) as an inevitable trend in East Asia. So, his thought was what could be called Confucian Republicanism in contrast to Western Republic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