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자탄의 매개된 세계상과 재지역화의 균열들

        공임순(Kong Im-so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1

        이 글은 종전과 더불어 전후의 한반도 해방(자유)화의 조건이 쌀과 원자탄을 둘러싼 유언비어의 형태로 재연되고 있다는 점을 1장에서 지적했다. 쌀과 원자탄을 둘러싼 유언비어의 진위 논쟁은 한반도 해방(자유)화의 조건이 자립과 종속의 이중 계기에 노출되어 있음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쌀의 풍작에도 불구하고 쌀 기근과 쌀 부족은 수입쌀에 뒤섞인 원자탄원료의 반입이라는 유언비어의 형태로 한반도가 미소의 양 패권국 사이에서 전장화될 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불러일으켰다. 이것이 쌀과 원자탄과 관련된 유언비어의 진위 논쟁으로 불거진 셈인데, 이처럼 원자탄은 쌀과 더불어 아니 쌀 이상으로 한반도 주민들의 삶에 깊숙이 침투해 있었던 것이다. 원자탄은 한반도 주민들이 한 번도 접해보지 못한 미증유의 대상이었다. 이 미지의 존재로서의 원자탄은 종전과 전후의 세계상에 대한 한 표지로서 원자탄의 가공할 파괴력과 평화적 사용에 대한 관심을 동시적으로 촉발했다. 하나의 세계이냐 두 개의 세계이냐라는 물음에 압축되어 있듯이 원자탄은 전 세계적인 평화와 전쟁의 갈림길을 강제하고 있었다. 이러한 원자탄의 전쟁과 항구적 평화의 표상은 한반도 및 극동의 지정학적 운명을 비추는 거울상으로 작용했는데, 가령 한반도 및 극동이 원자탄의 폭발력에 비견되는 위험 지구로 인식되는 양상이 그러하다. 이러한 한반도 및 극동의 당면한 위기감은 한반도가 세계전쟁의 화약고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절박한 요청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전후의 동시대적인 감각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또 한번의 굴절을 겪게 된다. 한반도가 제 3차전의 도화선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주장은 원자탄을 사용해서라도 한반도의 적대 세력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으로 변전하고, 제 3차전에 대한 경고는 한국전쟁이 이미 제 3차전이라는 자기 임계점에 가닿게 된다. 이는 한국전쟁의 세계전화였으며, 한반도를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십자군으로서 자리매김하는 정치의 도덕화, 도덕의 정치화였다. 이러한 종전과 전후의 달라지는 세계 인식과 감각은 원자탄의 가상적 효력을 배경으로 전면전의 가능성이 전제된 새로운 공간창출의 움직임 속에서 이루어졌는데, 한국전쟁은 칼 슈미트가 말한 원자탄(핵)의 발명이 체현하는 전면전과 지역전의 내적 균열과 모순을 보여주는 일례로서 그 부족함이 없다 할 것이다. What this thesis examines in the first chapter is that a condition for emancipation(libera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s in postwar period had been reenacted in forms of rumor around rice and atomic bombs. The arguments whether or not this rumor around rice and atomic bombs is true revealed clearly that a condition for emancipation(libera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double moments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The atomic bombs was the an unheard-of object which Korean people had never seen or heard of before. This atomic bombs as an unheard-of object had promoted concerns about the horrible destructive power as well as peaceful use of it as a mark about world picture in postwar period. As the question whether the world will be one world or two world illustrated well, atomic bombs made the world be standing at the crossroads of worldwide peace and war. This representation of worldwide peace and war around atomic bombs worked as mirror image reflecting geopolitical fat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ar East, so to speak, it was aspect that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ar East were recognized as a danger zone equalled to destructive power of atomic bombs. But throughout the Korean War the insistence that the Korean Peninsula never to become the direct cause of world war Ⅲ changed the claim that the Korean War was already world war Ⅲ which was self-the critical point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was to be world war the Korean War, and was to be moral of politics and to be politics of moral by positioning the Korean War the Crusades of free democracy. This changing recognition and sense of the world was done within the new movement for the creating of space implying possibilities for total war against a background of virtual effective of atomic bombs, then the Korean War was an certain instance that showed internal raptures and inconsistency between total war and local war embodying the invention of atom bombs what Carl Schmitt called.

      • KCI등재

        원자탄과 스파이, 전후 세계상의 두 표상: 보이지 않는 중심과 관리(통제)되는 양심,내면의 지도

        공임순 ( Im Soon K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8 No.-

        이 글은 전후의 세계상을 원자탄과 스파이라는 두 담론 표상에 기대해 논의해 보 고자 했다. 이 글이 이러한 연구목적을 상정한 데는 두 가지 이유에서였다. 우선 원자탄이 갖는 동시대적 위상 때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에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탄은 원자탄이 매개하는 전후의 원자/ 핵 시대의 개막을 알렸고, 이는 제2차 세계대전의 총력전 형태가 갖는 ``절대전쟁``의 재형태화를 전후의 세계현실로까지 이어지게 했다. 원자탄이 매개하는 이 ``절대전쟁``의 재형태화는 전후 한반도의 달라지는 세계 인식과 연동하며,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과 현실을 끊임없이 상기시키는 사회정치적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원자탄의 동시대적 위상과 관련하여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형상 역시 문제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전후의 담론 공간을 심심치 않게 장식했던 이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면모는 ``절대전쟁``의 재형태화를 원자탄과 더불어 육화된 현실로서 각인시키는 ``운동/ 이동하는 신체성``의 탈(脫)내셔널 아이덴티티를 체현하게 된다. 원자탄과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형상이 갖는 이러한 동시대적인 위상은 한반도 내 행위주체들의 주체형성과정과 동시적인 움직임이었다. 다시 말해 원자탄을 절대(궁극) 무기로서 또한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를 절대적 (궁극적) 적의 형상으로 재정립하는 전후의 원자/ 핵 시대의 새로운 적대관계의 양상은 전후 한반도도 비켜갈 수 없게 했던 것이다. 특히 소련이 원자탄을 보유하게 되는 1949년 후반기의 달라지는 세계현실은 1950년도 전반 기에 잇달아 출간된 스파이 관련 대중출판물로 가시화되었다. 『소련을 스파이하고』와 『제2차 세계대전 스파이 비화』 및 『스파이와 스파이』등의 이 대중출판물들은 소련의 원자탄 보유라고 하는 1949년 후반기의 달라지는 세계현실 속에서, 스파이들과 관련된 대중적 호기심과 위기감이 착종된 권력 테크놀로지를 광범위하게 작동시키게 된다. 이 글은 강영수가 편한『스파이와 스파이』의 전 세계적인 규모의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형상이 1949년도 후반기에서 1950년도 전반기까지 전후 한반도의 신문지면을 달구었던 ``국제스파이 사건`` 및 ``적색 여 스파이 사건``과 짝을 이루며 전개되어가는 사회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른바 전후 한반도의 지역적 판본이라고 해도 좋을 이 다양한 스파이들의 형상은 원자탄에 얽힌 스파이들의 형상이 갖는 절대적(궁극적) 적대를 재연하면서, 한국전쟁의 절대적(궁극적) 적대관계를 예비하고 있었다는 것이 이 글의 최종 결론이다. This essay discusses a world picture in postwar period through atomic bomb and spies. It is two reasons that this essay has this purpose of research. The first reason is contemporary status having atomic bomb. Atomic bomb which was dropped on Japan at the end of World War II let the people know the atomic age of postwar and then reforming of ``absolute war`` having the form of total war in World War II led to the reality of postwar world.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changing perceptions of the world in postwar Korean peninsula, this reforming of ``absolute war`` being mediated by atomic bomb has been taking socio-political effect which was reminded constantly geopolitical destiny and reality of postwar Korean peninsula. About contemporary status of atomic bomb, the spies involved in it is also problematic. This aspect of spies involved in atomic bomb enriching scursive space in postwar Korean peninsula was imprinted reforming of ``absolute war`` as embodied reality along with atomic bomb, embodying de-national identity of ``mobile / exercising body``. This contemporary status of atomic bomb and the spies involved in it was done coincidentally process of subjectification of agent in postwar Korean pen insula. Particularly, changing reality of the world at the end of 1949 which the Soviet Union was possessing atomic bomb was becoming visible to be publish continuously popular publications about the spies in postwar Korean peninsula. This essay focuses the socio-historical process that the spies involved in atomic bomb, it was narrating on Spy and Spy of Kang Young-Su, was being developed at the same pace with ``the event of international spy`` and ``the event of red woman spy`` heating pages of a newspaper in postwar Korean peninsula. There is final conclusion of this essay that this representation of various spies what we called regional version of postwar Korean peninsula reenacted absolute hostility having the spies involved in atomic bomb, and it get ready beforehand for absolute hostile relations of the Korean War.

      • KCI등재

        과학의 영도(零度), 원자탄과 전쟁 : 『원형의 전설』과 『시대의 탄생』을 중심으로

        권보드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3

        1960년대 초·중반 남·북한에서 각각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장편소설『원형의 전설』과 『시대의 탄생』은 드물게도 원자탄이라는 핵무기를 화소(話素)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1945년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에 원자탄이 투하된 이래 핵무기는 언제나 한반도의 운명과 가까이 얽혀 있었다. 일본제국으로부터의 해방에 계기가 된 것은 물론이고 한국전쟁 당시에는 미국에 의해 원자탄 사용계획이 검토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도 남·북한 각각에서 핵에너지 및 핵무기에 대한 관심이 계속된 끝에, 2005년에는 북조선이 핵무기 보유를 선언한다. 핵무기는 최초 개발 직후부터 과학을 초과한 과학으로, 세계의 정치·경제·사회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자 인식론적 도전으로 취급받았던 만큼, 더욱이 한반도는 전쟁 및 휴전이라는 상황을 통해 그 무기의 사용가능성에 가까이 노출돼 있었던 만큼 문학에 있어서도 일정한 응전(應戰)을 기대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북조선의 전쟁문학에서 간간이 원자탄의 공포가 상기됐던 데 비해 남한 문학에서는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 『원형의 전설』이라는 문제적 소설에서도 인류의 종말이라는 가상적상황과 연결돼 알레고리적 용법으로 쓰였을 뿐이다. 반면 비슷한 시기의 북조선 소설 『시대의 탄생』에서는 원자탄이 한국전쟁의 근본적 변수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남·북한 사이 비대칭을 확인함으로써 전쟁 기억 및 이후 대응에 있어서의 차이 또한 확인하고, 동시에 아직도 인류가 적절히 응답치 못하고 있는 이 ‘과학을 초과한 과학’에 대한 사유의 가능성을 찾아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The Atomic Bomb marks the new phase in human history. It actualized the possibility of extinction of humans by humans, then transformed the traditional total-part relationship. Every local confrontation signifies a virtual world war and total destruction with the arrival of the atomic bomb. Korean war, which was the first local war after world war 2, was a typical exemplification of such a scheme, and the South and North appropriated the condition respectively. Korea had showed the ambivalent response toward the atomic bomb as the power of liberation and the threat of catastrophe from the experience of the bombing on Japan; however, against the backdrop of asymmetrical development of the atomic bomb in the U.S. and U.S.S.R, the South and North articulated the different attitude centering the bombing possibility in the Korean war. The South or the right wing in South supported the atomic bombing which was suggested by General McArthur, even with the exception such as The Myth of a Circle, while the North was overwhelmed by terror of the atomic bomb which was vividly represented in Daet'ong River or A Birth of the Epoch. Its traces had not been erased during the cold war period, and the influence is still alive.

      • KCI등재

        1950년대 원자탄 공포를 낙관적 전망으로 치환하기까지-1959년 김산호의 <라이파이>와 한낙원의 『잃어버린 소년』을 중심으로-

        최애순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2

        본 논문에서는 1945년 미국의 핵실험 이후 전 세계에 퍼진 ‘인류 대재앙’의 공포와 영웅 소재 공상과학의 탄생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본다. 원자탄이 전 세계를 공포로 전염시켰을 때, 한국전쟁을 치른 남한이 처했던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위치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1959년부터 1962년까지 연재된 김산호의 <라이파이>는 1960년대와 1970년대 한국 ‘초인’ ‘거대로봇’ 공상과학 만화 모티프에 영향을 끼친 선구적인 작품이다. <라이파이>는 본격적으로 공상과학 만화의 시대를 여는 1960년대와 1970년대 한국 공상과학 만화의 원류가 되는 모티프를 담고 있어서 출발점의 의미에서 짚어보기로 한다. 1959년 <라이파이>가 연재되던 시기에 해방 이후 최초 과학소설이라 평가받는 한낙원의 『잃어버린 소년』을 함께 다루기로 한다. 1959년 한낙원의 과학소설에서는 <헨델박사>의 디스토피아적 전망에서 벗어나 우주인을 멸하기 위해 원자탄을 터뜨리는 결정을 내려 원자탄의 위력을 과시하는 쪽을 선택한다. <라이파이>가 정의의 사자를 내세우는 데 주력했다면, 『잃어버린 소년』은 원자탄에 대한 이중적인 시선이 담겨 있다. 두 작품은 1959년 미국으로부터 원자로의 유입이 결정되고 그로 인한 공상과학에서의 원자탄은 두려움과 공포보다는 우리를 지켜줄 강력한 무기이자 에너지 자원으로 기능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유효한 지표라고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원자탄에 대한 혼재된 감정이 1959년 원자로 유입을 기점으로 낙관적 전망으로 치환되는 과정에 주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원폭문학에 나타난 원폭피해자의 삶과 환경 - 이성교의 「廣島(히로시마) 戀歌」를 대상으로 -

        최도식 ( Choi Dosik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본 논문은 이성교의 「광도(히로시마) 연가」 연작을 통해 원폭문학에 내재된 원폭 피해자의 삶과 환경을 고찰했다. 패전 후 일본은 원폭을 소재로 한 다수의 작품들이 생산되면서 원폭문학을 하나의 장르로 형성한다. 반면,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원폭희생자를 낸 원폭 피해국이지만 원폭과 관련된 작품이 드물며 논의도 희소한 실정이다. 원폭문학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인해 발생한 희생자와 생존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소재로 한 문학이다. 그러므로 원폭문학은 희생과 피해의 문학이며, 살아남은 생존자의 삶을 다룬 생존의 문학이다. 이에 본고는 이성교의 「광도(히로시마) 연가」 연작을 애도, 공포, 연민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첫째, 「광도 연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로 인하여 희생된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는 애도의 시이다. 시인은 원폭 투하의 역사적 현장을 애도의 공간으로 형상화한다. 히로시마의 한인 원폭피해자들은 일본정부와 일본인들로부터 차별을 받으며 살아왔다. 시인은 일본이 평화기념공원을 조성하여 평화 올림픽, 평화 기념식 등을 거행하지만 그것은 일본의 평화요 일본인만을 위한 평화로 인식했다. 따라서 우리 동포는 여전히 진정한 평화를 기다리고 있다. 진정한 세계 평화를 바라며 시인은 죽어간 원폭희생자의 넋을 애도한다. 둘째, 이성교 시인은 원자폭탄이라는 반인간적인 무기가 공포의 대상이며, 그 공포로 인해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는 원폭 피해자의 삶을 형상화한다. 시인은 공포의 트라우마를 “아픈 나무”로 비유한다. 시인은 화염과 폭풍으로 도시가 파괴되고, 이후 불타는 도시에 검은 비가 내리듯 방사능재가 도시를 뒤덮는 핵 공포를 형상화한다. 핵 공포에 대한 이미지는 돈호법, 청각적 이미지 등으로 형상화된다. 시인은 원폭의 공포를 주로 ‘검은 비’, ‘불비’로 상징화한다. 시인은 원폭의 공포와 그 기억의 상흔을 고스란히 감내한 우리 동포들의 서럽고도 슬픈 마음의 상처, 그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할 진정한 평화의 구원자를 기대한다. 셋째, 한일 원폭피해자는 방사능 피폭이라는 동일한 경험과 그 경험에 따른 신체적 손상, 감각에 각인된 극심한 고통을 공유한다. 하지만 히로시마에 거주하는 한인 원폭피해자는 그 이중고를 넘어 일본인들로부터 받는 차별과 냉대라는 삼중고를 견뎌야만 했다. 이성교의 「광도 연가」는 육체적 고통, 정신적 상처, 일본인들로부터의 차별과 냉대라는 삼중고를 견디며 살아온 우리 동포들의 삶을 연민으로 노래한다. 그리고 그들의 삶을 연민의 감정으로 연대한다. 더욱이 그들의 서러운 삶, 초조하고 불안한 삶이 끝나지 않고 계속 지속되는 삶이라는 사실에 시인은 그들의 삶에 맺힌 것들이 한 순간이나마 풀어지기를 소망한다. 우리는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세상을 만들어 가야 한다. 핵무기, 원자력 발전소에 의한 방사능 피폭은 우리의 삶을 처참하게 짓밟는다. 바로 「광도 연가」는 원폭피해자의 비참한 삶을 통해 우리에게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세상을 주문하는 환경 경계의 기록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 life and environment of Atomic-bomb victims in Atomic-Bomb Literature of through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eries. After the defeat, Japan produced a number of works based on the atomic bomb, forming a genre of atomic bomb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Korea is the world's second victim of A-bomb, but the literature work related to A-bomb is scarce and the discussion hard find. Atomic Literature is a literature about the lives of victims and survivors of atomic bombs dropped on Hiroshima and Nagasaki. Thus, atomic bomb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sacrifice and damage, and the literature of survival.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d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eries in terms of mourning, fear, and compassion. First, “Hiroshima Elegy” is a poem of mourning for the souls of victims victimized by the Hiroshima atomic bomb. The poet portrays the historical scene of the atomic bombing as a space of mourning. In addition, Korean A-bomb victims of Hiroshima have lived in discrimination. The poet recognized that Japan established a Peace Memorial Park, held a Peace Olympics, a Peace Memorial, etc., but it was Japan's peace and peace only for the Japanese. Thus our Koreans are waiting for true peace. In hope of true world peace, the poet mourns the souls of the dead. Second, Lee Sung-gyo poets are feared by the anti-human weapon called the atomic bomb, and the fear embodies the life of the bomb victims who live with trauma. The poet likens the trauma of terror to a “sick tree”. And the poet embodies the nuclear fear of radioactive material covering the city, as if the city was destroyed by a fire and a storm, and then a black rain rains on the burning city. The image of nuclear horror is shaped by money protection law, auditory image, etc. And the poet portrayed the horror of the atomic bomb mainly as black rain or bull rain. The poet expects the sorrowful and sad wounds of our brethren who have endured the scars of that memory, the prophets of true peace that will touch their traumas. Third, the Korean and Japanese A-bomb victims share the same experience of radiation exposure, their physical damage, and the severe pains that are imprinted in their senses. However, the Korean bomb victim who lived in Hiroshima had to go beyond the double high and endure the triple highs of discrimination and coldness received by the Japanese.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ings with compassion the lives of our Koreans who have endured the triple pain of physical pain, mental wounds, discrimination and coldness. And they unite their lives with feelings of compassion. Moreover, the fact that their sorrowful life, anxiety and misgiving are endless and enduring, the poet hopes that the things in their lives will be released for a moment. We must create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and nuclear power plants. It is a record of a borderless environment that asks us to create such a world.

      • KCI등재

        한반도에서 원자력이 지닌 해방자-구원자 이미지와 그 결과들

        이필렬 ( Pil Ryul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6 No.-

        1945년 일제 식민지에서 해방된 후 한반도 민 중에게 원자력은 해방자-구원자로 다가왔다. 한 국전쟁 후 원자력은 남북한 모두에게 생존과 번 영을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 되었다. 이들에게 원자력은 무엇보다 원자탄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었다. 북한은 연구용 원자로와 소형 원자로를 이용해서 원자탄 개발에 성공했 다. 남한은 독자적인 원자탄 개발을 시도했으나 미국의 간섭으로 실패했다. 그러나 미국의 핵우 산을 방패삼아 원자력발전 강국이 되었다. 남한 과 미국은 원자력발전소를 제공함으로써 북한 의 핵개발을 저지하려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핵 을 핵으로 제어한다는 발상이 성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여기서도 구원자로서의 원자력에 대한 남한과 북한의 집착을 발견할 수 있다. 한반도에 서 원자력의 구원자-해방자 이미지는 매우 강하 게 뿌리내리고 있다. 북한에서는 미국에 대항하 는 생존수단으로서 핵무기 보유를 확대하고 있 다. 남한에서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원자력발 전 확대를 넘어 사용후 핵연료의 재처리를 통한 플루토늄 추출권 확보까지 시도하고 있다. 한반 도가 원자탄과 원자력발전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려면 이 이미지를 벗겨내야 한다. 이는 원자 력이라는 과학기술, 과학기술 자체의 본성에 대 한 성찰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After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the nuclear power was perceived by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as savior and liberator. During the Korean War nuclear power in the form of the atomic bomb was eagerly accepted by the South Korean people as almost the only means of preventing the communization of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People in North Korea, meanwhile, experienced the unbearable horror caused by severe bombing and assumed that the nuclear attack of the U.S.A. was highly probable. Consequently, people in North Korea became convinced that having nuclear power was the only way to prevent the devastating offensive of the U.S.A. During the 1960s the two Koreas were able to conduct their own research nuclear reactors. South Korea secretly established a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rogram in 1970s but failed to complete it because of the intervention from the U.S.A. and the assassination of the dictator Park. However, South Korea was able to develope nuclear power plant technology under the nuclear umbrella of the U.S.A. and became one of the most highly developed countries in the nuclear energy sector. North Korea struggled to develop it`s own nuclear weapons and finally succeeded in carrying out nuclear tests and becoming a nuclear power state. Nuclear power in the Korean Peninsula is of no long-term benefit for Korean people and should be banished from the Peninsula. However, because the ‘nuclear spell’ is so powerful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way to achieve this. To liberate Korea from it`s ‘nuclear spell’,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very nature of nuclear technology as a modern technology and to develop the alternatives to it.

      • KCI등재

        냉전과 소련의 핵실험(1949), 원폭 피해 서사의 번역 -나가이 다카시『長崎의 鐘』과 존 허시『廣島』-

        이행선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6

        Takashi Nagai's『長崎の鐘』 and 『Hiroshima』by John Hersey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 in 1949. Nagai's book was translated into 『長崎의 鐘』on August 1, and John Hersey's book was published as『廣島』on November 3. The two books were atomic bomb storyline about the fear of atomic bombs dropped on Hiroshima and Nagasaki in August 1945. In 1949, when the two texts were translated, Germany was divided into East and West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succeeded in experimenting with atomic bomb development. In addition, China's Communist Party won the civil war and buil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Massacres by public power, such as the Jeju April 3rd Incident and the Yeosu-Suncheon Incident, were also intensifying anti-North Korean sentiment and hate politics in Korea. In this phase, the Soviet Union's development of atomic bombs realized the concerns and fears of World War III and the atomic(nuclear) war. In short, the paper attempted to reveal the message and meaning of the translation of the two texts dealing with atomic bombs to Korean society at a time when the Soviet Union developed atomic bombs and concerns over war outbreaks and escalated inter-Korean conflicts. 1949년 한국에 나가이 다카시의『長崎の鐘』과 존 허시의『廣島』가 번역 출간되었다. 나가이의 책은 8월 1일『長崎의 鐘』으로 번역되었고, 존 허시의 책은 11월 3일『廣島』로 출간되었다. 두 책은 1945년 8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참상을 다룬 원폭기록집이다. 두 텍스트가 번역된 1949년 독일은 동독과 서독으로 분단되었고 소련은 원자폭탄 개발 실험에 성공했다. 또한 중국은 공산당이 내전에서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건립했다. 한국에서도 제주4·3사건, 여순사건 등 공권력에 의한 학살이 자행되고 반북정서와 증오정치가 심화되고 있었다. 이런 국면에서 소련의 원자탄 개발은 제3차 세계대전과 원자(핵)전쟁의 우려와 공포를 현실화했다. 요컨대 본고는 냉전 초기, 대표적인 두 원폭 피해 기록집이 한국인 원폭 피해자와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와 서사효과를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 KCI등재

        한국 SF만화에 나타난 냉전 시대의 공포 1960년대 초, 우주 소재 SF만화를 중심으로

        서은영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2 애니메이션연구 Vol.18 No.3

        이 글은 1952년부터 1967년까지를 한국의 초기 SF만화로 구분하고, ‘우주’를 소재로 한 작품에서 드러나는 냉전시대의 디스토피아적 전망과 위기의식을 고찰했다. 이 글은 그동안 언급되지 않았던 한국 초기SF만화사를 기술하고, 새로운 영역에서 해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1960년부터 1967년까지의 현존하는 SF만화의 작품목록을 작성하고, 왕현의 『저 별을 쏘라』, 『인간의 최후』, 박현석의 『감마박사』(이상, 1960), 신동우의 『싸워라 지구함대』(1962), 박기당의 『유성인 가우스』(1965)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1945 년 원자탄 투하로 세계는 전쟁종식과 함께 미소냉전이라는 새로운 질서로 재편되었다. 원자탄의 위력과 미소 강대국 간의 군비경쟁은 제3차 세계대전의 공포와 위기로 확산되었다.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 성공은핵과 우주라는 이중의 가능성이자 공포로 전 세계를 쇼크에 빠뜨렸다. 1960년대 초, 우주 소재 SF만화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미소냉전의 세계질서는 핵ᐨ우주 디스토피아의 ‘우주적 악몽’과 경험적 전쟁의 유비로서의 우주전이었다. 이 시기의 SF만화는 이러한 냉전시대를 우주개척, 우주식민지, 우주전쟁과 지구침공의 요충지가대한민국이 될 것이라는 재난적 상상력으로 그려냈다. 이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이 아닌 현실이었던한국전쟁의 기억을 환기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됐다. 미소냉전체제의 세계질서를 자기서사화함으로써 되살아난위기의식이었다. 또한 대한민국이 우주전쟁의 최후의 방어선이 될 것이라는 재난적 상상력의 순간은 한국전쟁직후의 세계인식과 맞닿아 있었다.

      • KCI등재

        하라 다미키(原民喜)의 「여름 꽃(夏の花)」 연구 ―히로시마의 피폭 체험을 형상화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조수일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0 No.-

        DengThis paper contemplated on Summer Flowers(夏の花), a representative literary work of Tamiki Hara that illustrates his radiation exposure from the atomic bombing of the U.S. Forces. He does so by showing a clear contrast between usual and unusual and between the living and dead, and by using novelistic expressions that guide readers to ceaselessly perceive time and space of the literary world. First, paying attention to why the opening of the work is dated August 4, 1945, the work is compared with records explaining the air raid situation at the time. The comparison reveals that the time setting and actions of the protagonist, ‘me,’ are inevitable settings arranged meticulously and elaborately based on the historical time. Next, ‘silence’ of the protagonist, ‘me,’ is pointed out to be a symbol of the reality that represents the impossibility of response rather than a deliberate omission of communication by the author. Lastly, the expressive behavior of the author imprinting the movement line of ‘N’ and ‘me’ on the text is analyzed as a function that makes readers draw space in the literary world while checking the map of Hiroshima in their time and space. 본 논문은 하라 다미키의 문학세계를 대표하는 「여름 꽃」이 미군의 원자폭탄 투하에 의한 자신의 피폭 체험을, 일상과 비일상/산 자와 죽은 자의 극명한 대비를 보여 주는 방법과 독자로 하여금 작품세계의 시간과 공간을 끊임없이 의식하게 하는 소설적 표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우선, 작품 서두는 왜 1945년 8월 4일로 설정되어 있는지에 주목하여, 당시의 공습상황이 기재되어 있는 기록물과 대비하여, 그 시간 설정과 주인공 ‘나’의 행동은 역사적 시간을 바탕으로 매우 섬세하고 세밀하게 구성된 필연적 설정이라는 점을 밝혔다. 이어서, 주인공 ‘나’의 ‘무언(無言)’은 작자에 의한 인위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결락이 아닌 응답불가능성의 상황을 가리키는 리얼리티의 표상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N’과 ‘나’의 동선을 텍스트에 각인하는 작자의 표현행위는 독자로 하여금 독자의 시공간에서 히로시마의 지도를 확인하며 작품세계의 공간을 그려나가게끔 하는 수행적 기능으로써 작동한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