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운동참여와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및 스트레스 간 인과모형

        조필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sport participation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stress. The subjects were 800 (boys: 406, girls: 394) children who live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they were fourth and higher graders. The emotion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PANAS-X (Watson & Clark, 1994), and the stress scale was a modified stress scale (Kim, 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an ANOVA and structure equation. In the analysis of variance, the boys showed higher positive emotions and academic stress than girls, and the participants showed lower negative emotions and academic stress than the non-participants. The fifth grade and six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academic stress than that of the fourth grade. In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sport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ccording to each of the items in emotions and stress, th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elf-confidence and attention to positive emotions than the non-participants, lower anger and loneliness among the negative emotions, and stress resulting from disputes between friends than the non-participants. In the analysis structure equation, the suggested model in this study, which was created using extraneous variables, is sport participation; the endogenous variables ar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stress. They were tested as a theoretical model ( χ2 =183.83, χ2 /d=3.11, GFI=0.952, TLI=0.959, CFI=0.969, RMSEA=0.07). The paths of sport participation toward positive emotions, sport participation toward negative emotions, sport participation toward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toward str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운동참여와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및 스트레스 간에 어떻게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밝힘으로서 운동참여의 정서에 대한 효과와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2년 현재 G 광역시와 C 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학년 이상의 초등학생 800명(남: 406, 여:394)을 대상으로 긍정과 부정 정서 척도(PANA-X)와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 학년별, 운동참여유무별 집단 간 정서와 스트레스 비교에서긍정 정서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운동참여아동이 비참여 아동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부정의 정서에서는 운동참여아동이 비참여아동에 비해 낮은 것으로, 학업스트레스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학년별로는 5학년 이상의 학생이 높은 것으로, 운동참여아동이 비참여아동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와 스트레스의 세부분석에서 ‘자신감’, ‘주의집중’의 긍정의 정서는 운동참여아동이 비참여아동에 비해 높고, ‘화’와 ‘고독감’의 부정 정서와 ‘친구와의 말다툼’ 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긍정과 부정의 정서와 스트레스를 내생 변인으로 한 연구모델은 높은 전반적 지수(χ2=183.83, χ2/d=3.11, GFI=.952, TLI=.959, CFI=.969, RMSEA=.07)를 보여 이론모델로 양호함을 보여주었으며 세부적 지수에서 운동참여와 부정 정서, 운동참여와 스트레스, 부정 정서와 스트레스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와 열정이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영훈,신민철 미래융합통섭학회 2022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5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와 열정이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기간은 2021년 5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약 5개월간 일반개인운동자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편의표집법을 이용하여 265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재미, 긍지, 활력, 정화)와 운동열정(강박열정, 조화열정)이 운동만족에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재미, 긍지, 활력)와 운동열정(조화열정)은 사회승인만족에 높은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재미, 긍지, 활력)와 운동열정(강박열정)이 선수생활만족에 높은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활력, 정화)와 운동열정(강박열정, 조화열정)이 일상생활만족에 높은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재미, 긍지, 활력, 정화)와 운동열정(강박열정, 조화열정)이 외부환경만족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와 운동열정은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와 운동열정은 사회승인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와 운동열정은 선수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와 운동열정은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개인운동자의 운동정서와 운동열정은 외부환경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운동박탈이 발달장애학생의 정서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김종제(Kim, Jong-je)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2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4 No.-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운동하는 발달장애학생에게 운동을 박탈했을 때 정서와 수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L" 센터와 ‘k"센터에서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는 발달장애학생 50명(남 43명, 여 7명)으로 하였다. 정서측정은 Watson 등(1994)의 PANAS를 기초로 한국문화에 맞도록 정용각(2000)이 개발한 PANAS-X 정서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면측정은 오진주 등(1998)이 개발한 한국형 수면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후에 사용하였다.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지속시간에 따른 평상시, 운동박탈 3일 후, 그리고 운동박탈 6일 후 정서와 수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지속시간에 따라 시기별 정서의 차이가 있었다. 평상시에는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지속시간에 관계없이 정서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운동을 박탈한 후에는 운동기간이 길고, 운동빈도가 많으며, 운동지속시간이 길수록 긍정적 정서가 낮아졌으며, 부정적 정서는 증가했다. 둘째, 정서와 마찬가지로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지속시간에 따라 시기별 수면의 차이가 있었다. 평상시에는 수면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운동을 박탈한 후에는 운동기간이 길고, 운동빈도가 많으며, 운동지속시간이 길수록 수면의 질이 나빠졌다. 평상시에는 운동에 대한 몰입도와 상과없이 지속적인 운동이 발달장애학생의 정서와 수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운동박탈은 운동에 대한 몰입도가 높은 발달장애학생의 정서와 수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deprivation on emotion and sleep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 total of fifty developmentally challenged students (male:43, female:7) who registered at "L" and "K " fitness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PANAS-X (Jung et al. 2000) based on PANAS (Watson et al.) was used for psychometric measurement and the Korean Sleep Scale(Oh, Jin Joo et al. 1998) was modified and supplement to measure sleep. Repeated measures ANOVA was employed to identify daily emotion and sleep patterns as well as changes in emotion and sleep after halting exercise for three days and six days based on period, frequency and duration time of exercis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emotion and sleep of each period vary according to period, frequency and duration time of exercise. Normally, emotion levels were similar regardless of period, frequency and duration time of exercise.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depriving exercise from subjects positive emotions decreased while negative emotions increased the longer the period and duration time and higher the frequency became. Second, sleep also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period, frequency and duration time of exercise. Sleep quality was usually similar but after halting exercise quality of sleep became poor the longer and more often subjects exercised. On a normal basis, steady exercise positively affects emotion and sleep of developmentally challenged students regardless of concentration? intensity of exercise, but exercise deprivation has bigger implications for emotion and sleep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who are more absorbed in exercise.

      • KCI등재

        대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운동정서의 차이

        황규영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운동정서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교양체육 강의를 수강하는 남학생 231명, 여학생 136명, 총 367을 대상으로 스포츠활동 참여 여부와 참여 횟수, 그리고 성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운동정서의 차이를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대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운동정서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활동 참여 횟수가 많은 대학생일수록 자아존중감의 긍정요인과 운동정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긍정요인은 남학생이 높은 반면 부정요인은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 고, 운동정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차이가 있었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남학생이 비참여 남학생이나 여학생보다 긍정요인은 높게, 부정요인은 낮게 나타났다. 운동정서는 참여 남학생이 다른 모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비참여 여학생은 다른 모든 집단보다 낮았다.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여학생이 재미와 긍지요인에서 비참여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활동 참여의 효과가 성차를 넘어선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exercise emotion according to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67 college students taking physical activity clas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s a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 activit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self-esteem and exercise emotion than those who did no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the positive factor of self-esteem and exercise emotion. Fourth, 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 activity had higher positive factor and lower negative factor for self-esteem than non-participating male and female. As for exercise emotion, 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 activity had higher than in all other groups, and the non-participating female students were lower than in all other groups. Fe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 activity were higher in fun and pride factors than mal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d. This showed that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port activity went beyond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배드민턴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운동정서의 매개효과

        홍영준,최유리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allel multi-mediating effect of Athletic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Exhaustion in Badminton Play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of 255 badminton players registered as players in the Korean Sports Council in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v.3.3)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mo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emotional/physical exhaustion. Secon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exhaustion of a sense of achievement. Third, positive emo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d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ach's support for autonomy perceived by the players mediates athletic emotion and reduces exercise exhaustion. In addition, positive emotions experienced by athletes decreased exercise exhaustion, and negative emotions increased exercise exhaustion, indicating that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burnout are closely relat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ffective for the coach to maintain a positive emotion by autonomy supporting the of the athletes in order to reduce the athletes' exhaustion. 본 연구는 배드민턴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운동정서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년 대한체육회에 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배드민턴 선수 25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검사,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PROCESS macro(v.3.3)의 모델 4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정서의 하위요인 긍정정서는 자율성지지와 정서/신체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정서의 하위요인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모두 자율성지지와 성취감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정서의 하위요인 긍정정서는 자율성지지와 평가저하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이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운동정서를 매개하여 운동탈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수가 경험하는 긍정정서는 운동탈진을 감소시키고, 부정정서는 운동탈진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정서와 운동탈진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선수들의 운동탈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도자는 선수들에게 자율성을 지지하여 긍정정서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KCI등재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운동정서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최헌기,김승윤,신규리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5

        Purpose Although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in academia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exercise emotion, individual studies showed different resul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exercise emotions i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After exploring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22,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final nine articles. Result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exercise emotion in leisure sport participants was .278.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xercise addiction and exercise emotion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showed a medium effect size. Third, positive emotions caused by exercise addiction appeared to have a medium effect size, while negative emo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ze of the effect between the sub-factors of exercise addiction and the sub-factors of exercise emotion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emotional attachment and exercise desire showed a large effect size with positive emotions. However, withdrawal symptoms were correlated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Conclus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구목적 체육학계에서 운동중독과 운동정서 간의 관계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개별 연구물들은 각기 상이한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메타분석을 통하여 여가 스포츠 참가자들의 운동중독과 운동정서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탐색한 후, 최종 9편의 연구논문을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R4.2.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무선효과모형에 따른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운동정서 간의 관계는 중간효과 크기를 보였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 하위요인과 운동정서 간의 관계는 중간효과 크기를 보였으며, 그 크기는 감정적 애착, 운동욕구, 금단증세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중독에 따른 긍정정서는 중간정도의 효과 크기로나타난 반면, 부정정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여가 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 하위요인과 운동정서의 하위요인 간의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감정적 애착과 운동욕구는 긍정정서와 큰효과 크기를 보였다. 그러나 금단증세는 긍정과 부정정서 모두와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감정적 애착, 운동욕구 및 금단증세와 같은 운동중독의 주요 현상들은 긍정정서와 상당히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있음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인지평가와 정서의 매개효과

        송기현(SongKi-hyun),김승용(KimSeung-yong)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인지평가, 정서, 운동지속 및 탈퇴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긍정적 사고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인지평가와 정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전국에 위치한 체육 및 일반계열 중·고등학교의 남녀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목적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최종 유효 표본으로 총 306부를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전체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실시한 후 가설검정을 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인지평가의 분석 결과, 긍정적 사고는 인지평가의 도전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위협 요인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사고와 정서의 분석 결과, 긍정적 사고는 긍정적 정서에 정적으로 부정적 정서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분석 결과, 긍정적 사고는 운동지속 및 탈퇴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청소년 선수들의 인지평가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도전은 지속 및 탈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협은 지속 및 탈퇴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서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긍정적 정서는 지속 및 탈퇴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정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평가의 위협요인과 정서의 부정적 정서가 긍정적 사고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정적 정서만이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스포츠 현장의 코치 또는 부모는 선수들의 중도포기나 스트레스 그리고 탈진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고민에 앞서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positive thinking, cognitive appraisal, emotions,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of adolescent athletes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appraisal and emotions on relations between their positive thinking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For these purposes, we collected total 306 valid samples by applying purposive sampling to male and female athletes in physical education and common middle and high schools around the nation. Collected data was used with the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to test the overall model for its fitness and hypothe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e positive thinking and cognitive appraisal of adolescent athletes and found that their positive think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allenge factor of cognitive appraisal and negative ones on the threat factor.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positive thinking and emotions show that their positive thinking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respectively. Third, the result showed relations between their positive thinking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and found that their positive thinking had no direct impacts on their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Fourth, as for relations between their cognitive appraisal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challeng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whereas threa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m. Fifth, as for relations between their emotions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their positive emotion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whereas their negative emo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m.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hreat factor of cognitive appraisal and negative emotions on relations between positive thinking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and found that only negative emotion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In conclusion, coaches and parents of adolescent athletes keep in mind to make them have positive thinking instead of worrying about the negative results such as sport dropout, stress and burnout.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유소년야구선수의 운동욕구가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박규남(Park, Kyu Nam)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4

        목적: 본 연구는 전대미문의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유소년야구선수의 운동욕구가 운동정서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유소년야구스포츠클럽 선수들 중 코로나19로 인해 훈련을 4주이상 참가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 선수 197명을 연구대상으로 운동욕구와 운동정서 구조화된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ver)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운동욕구의 하위요인인 사교욕구, 운동정서의 하위요인인 재미, 긍지, 활력, 정화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시욕구는 재미정서, 정화욕구는 긍지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욕구의 하위요인인 건강, 체형욕구는 운동정서의 하위요인인 성취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운동욕구의 하위요인의 사교욕구는 유소년야구선수들의 운동정서에 정신적, 신체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어려운 코로나19 시대에 스스로 멈춤에 대해 선택 할 수 없는 유소년선수들에게 위기를 기회로 전화위복에 계기를 삼아 자신을 돌아보고 정서를 조절하는 의미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thletic needs of youth baseball players due to the unprecedented COVID-19 situation affect the state of athletic sentiment. Methods: To this end, 197 youth baseball sports club players who have not been able to participate in training for more than four weeks due to COVID-19 used research tools structured for their desire to exercise and exercise emo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3.0 (ver),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nalysis methods. Results: Result In this study, social desire, a sub-factor of exercis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fun, pride, vitality, and purification emotions, while health and body shape needs, a sub-factor of exercise,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achievement emotions.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social needs, a sub-factor of athletic needs, are causing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for youth baseball players, and in the difficult COVID-19 era, youth players who cannot choose to stop themselves can use crisis a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mselves and control their emotions.

      • KCI등재

        사상체질별 운동정서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이재호,한태준,배영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relationship of the exercise emotion and continuation by a classified Sasang constitution for the ordinary person participated in sports. We tried to analysis using the SPSS WIN Ver 12.0 software. It results as follows. The predictive factors that the influence of exercise emotion by a classified Sasang constitution on the exercise ability, habits show the vitality in Taeyangin, the pride, purify, vitality in Soyangin , the fun, pride in Taeeumin, and the vitality, purify in Soeumin. Also the fun in Soyangin, Soeumin and the fun, pride in Taeeumin are the predictive factors that effect on the exercise circumstances. And the vitality in Taeyangin, the pride in Soyangin, the fun in Taeeumin, Soeumin are the predictive factors that effect on the exercise interest. Besides, the predictive factors that the influence on the exercise companion show the purify in Taeyangin, the fun in Soyangin, Taeeumin, and the vitality in Soeumin. 본 연구의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는 일반인들을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운동정서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SPSS WIN 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stepwise방식의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상체질별 운동정서와 운동지속과의 관계에서 태양인은 운동능력, 습관, 운동관심 요인과 운동정서의 모든 요인과, 소음인은 운동능력, 습관, 운동환경, 운동친구 요인과 운동정서의 모든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양인과 태음인은 운동지속과 운동정서 모든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상체질별 운동정서가 운동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태양인은 활력, 소양인은 긍지, 정화, 활력 태음인에서는 재미와 긍지, 소음인은 활력과 정화, 운동환경에서는 소양인과 소음인은 재미, 태음인은 재미와 긍지로 나타났다. 운동관심에서는 태양인은 활력, 소양인은 긍지, 태음인과 소음인은 재미, 운동친구에서 태양인은 정화, 소양인은 재미, 태음인은 재미, 소음인은 활력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황규영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교양체육 실기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교양체육 실기수업을 수강하는 남학생 229명, 여학생 137명, 총 366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운동수행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운동정서 그리고 운동지속 요인의 차이를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 간 운동정서의 모든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운동지속 역시 모든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수행 력에 따른 요인 간 차이 분석에서는 성취목표성향의 수행접근과 숙달접근에서 상위그룹이 중위 및 하위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정서와 운동지속 요인 모두에서 상위그룹이 중위 및 하위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중위그룹도 하위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성향의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은 운동정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숙달회피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지속에서도 수행접근과 숙달접근이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회피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접근목표 성향은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회피목표성향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66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aking physical activity clas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emale in all factors of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students having the better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had significantly higher in positive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Mastery-approach goals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positively affected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on university students while mastery-avoidance goals negatively affected on both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