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운동참여의도 부모지지,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행동 간의 인과관계

        김인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참여의도와 부모지지, 자기효능감이 운동지속행동과 어떤 인과관계에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참여의도를 외생변인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지지, 운동지속행동을 내 생변인으로 구성하고, 검증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 교 4~6학년 학생 960명(남: 504명, 여: 456명)을 대상으로 참여의도, 자기효능감, 부모지지, 운동행동 척도를 사용 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된 매개효과모델은 이론모델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χ2=276.13, df=109, Q=2.53, TLI=.967, CFI=.976, RMSEA=.057) 각 경로에 대한 유의성 분석에서 참여의도 → 자기효능감 (.492), → 부모지지(.162), → 운동지속행동(.623), 자기효능감 → 운동지속행동(.309), 부모지지 → 자기효능감(.296), → 운동지속행동(.219)의 경로가 모두 유의한(p<.01)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과 부모지지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운동의도의 수준과 관계없이 자기효능감이 낮은 상태에서 자율적지지는 작게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으면 자율적지지가 지속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운동지속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도 수준을 높게, 부모지지 중 자율적 지지를 많이 제공하고, 자기효능감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 among intention,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exercis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causal relation model is constructed as exogenious variable is intention, endogenious variables are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exercise behavior. The subjects are 960(boys: 504, girls: 456)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intention about exercise,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exercise behavior scales a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examined theoretical model(χ2=276.13, df=109, Q=2.53, TLI=.967, CFI=.976, RMSEA=.057). In analysis each path, intention → self-efficacy(.492), → parental support(.162), → exercise behavior(.623), self-efficacy → exercise behavior(.309), parental support → self-efficacy(.296), → exercise behavior(.219) are significant. The second analysis of mediator effect,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in this model. In analysis of indirect effect of parental support, students are lower received control support and have higher intention show higher exercise behavior. To keep exercise behavior of children, children have to high participation intention and high self-efficacy, and parents have to provide autonomic support about their participation.

      • KCI등재

        규칙적 운동, 신체적 자기-효능감, 외상후 성장, 외상후 시간경과와 주관적 외상고통간의 관계

        김동환(Kim, Dong-Hwan),박경준(Park, Kyong-J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시간경과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 외상후 성장 → 주관적 외상고통간의 인과모형을 검증하고. 둘째, 이 인과모형에서 규칙적 운동과 무운동 집단의 영향력에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운동 동호회 회원들과 00대학교에 운동과 건강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 총 342명(규칙적 운동 236명, 무운동 106명)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외상후 성장, 주관적 외상고통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응답된 자료는 SPSS WIN 21.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분석, t-검증(t-test), 요인분석, Cronbach‘s α 분석으로 처리되었으며, AMOS 18.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으로 처리되었다. 또한 운동집단과 무운동집단의 경로계수를 비교하기 위해 쌍별모수비교(Pairwise Parameter Comparisons)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외상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외상후 성장은 외상후 주관적 외상고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규칙적 운동집단이 무운동집단에 비해 외상후 성장 → 주관적 외상고통의 경로 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경과 → 외상후 성장과 주관적 외상고통의 경로값 또한 규칙적 운동집단이 무운동집단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규칙적 운동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외상후 성장을 증진시키고, 외상후 주관적 외상고통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규칙적 운동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외상후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심리학적 기전에 대해 논의 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examine the causal model between first time lapse and physical self - efficacy → post traumatic stress → subjective trauma pain and secondly in this causal model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and no exercise Method: A total of 342 college students(236 regular exercise, 106 non-exercis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on Googl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for reliability using SPSS WIN 21.0. and analysed for path analysis using AMOS 18.0.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s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athletic group and the athletic group. Results: First, physic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growth decreased post-traumatic subjective pain. Second, the regular exercise group had a higher path coefficient of post-traumatic growth → subjective trauma than the no exercise group. Third, the path value of elapsed time →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post-traumatic pain was also higher in regular exercise group than in non-exercise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self-efficacy are effective in promoting post-traumatic growth and reducing post-traumatic subjective pa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y which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self-efficacy can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has been discussed. Discussions;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self-efficacy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how post-traumatic growth can be promote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

        이문숙 ( Moon-sook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이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일대의 공원과 등산로에서 걷기에 참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걷기 경험이 3년 이상, 주 2회 이상으로 하였다. 148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설문지를 작성 및 수집하였고 13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운동자기효능감, 건강위험지각, 운동지속의지로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 WIN VER 24.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지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과 운동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위험지각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walking during covid-19.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8 walking partipants aged over 65 years in D-city and 137( over 3 years, 2 times a week) of them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health risk perception scal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cale. SPSS WIN VER 24.0 and Amos 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risk percep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direct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mediated by health risk perception.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에 대한 능력 믿음, 관계-추론 효능감과 자기효능감, 노력 및 운동수행과의 구조적 관계

        김인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인 교대3학년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서 능력 믿음과 관계-추론 효능감과 자기 효능감, 노력, 운동수행 간에 구조적 관계를 인과분석으로 밝히는 것 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계-추론 자기효능감, 고정믿음과 증가믿음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자기효능감과 노력, 운동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인과모델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G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G교육대학교 3학년 242(남:87, 여:155) 명으로 이들은 편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해 선정되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성별 간에는 증가믿음, 자기효능감, 수행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과모델의 전반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전반적 지수가(Q=2.84, GFI=.94, TLI=.93, CFI=.91, RNSEA=.05)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관계-추론 자기효능감과 자기효능감 간 경로, 고정믿음과 자기효능감 간 경로, 증가믿 음과 자기효능감 간 경로, 증가믿음과 노력 간 경로, 관계-추론 자기효능감과 운동수행 간 경로, 관계-추론 자기효 능감과 운동수행 간 경로, 증가믿음과 운동수행 간 경로, 자기효능감과 운동수행 간 경로, 노력과 운동수행 간 경 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체육전공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관리,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 관계

        이광옥(Kwang Ok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체육전공 중·고등학생들의 자기관리와 자기효능감이 운동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관련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육전공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유층집략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이용된 표본 수는 262명이다. 분석 가능한 자료를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변인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첫째, 자기관리에 있어서 정신관리는 운동지속의도의 강화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의 정신관리와 훈련관리가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의 생활관리와 대인관계가 운동지속의도의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의 운동이 운동지속의도의 강화성과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의 운동과 사회성이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의 운동과 지속이 운동지속의도의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and how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influence exercise adherence and also investigated the potential relationships among relevant variables. Participants were sampled, through a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from two population groups of students attending physical education middle or high schools at the time of the study. Included in the final pool were 262 students. Varied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requency analyse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liability, t-test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Results showed that (a) the aspect of mental toughness/strength in self-regulation strengthened exercise adherenc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 mental toughness and exercise control/management in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tendency toward exercise adherence; (c) life management an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self-regulation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obability of exercise adherence; (d) exercise self-efficacy fortified exercise adherence and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exercise behaviors; (e) exercise self-efficacy and sociality also affected the tendency toward exercise adherenc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lastly, (f) exercise self-efficacy and the maintenance of exercise behaviors significantly impacted the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 KCI등재

        여자 고등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제약요인 및 운동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비교

        김주동 ( Ju Dong Kim ),정인경 ( In Kyung Jung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고등학생들의 운동행동변화단계 분포를 파악하고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신체활동량 및 운동제약요인과 운동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을 비교·분석 하여 지속적으로 운동을 실천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체육교육 전략 및 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여자 고등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여자 고등학생 중 운동행동 단계가 유지단계인 경우는 8.4%에 불과하였으며 운동계획 전 단계가 24.0%나 되어 지속적 운동실천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운동행동단계에 따라 운동제약요인 및 운동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신체활동에 소극적인 여자 청소년들의 경우 운동행동단계별로 운동제약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운동 프로그램 및 체육수업 등을 계획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운동제약요인을 스스로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운동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이도록 중재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physical education strategies and methods for continuously practicing and maintaining exercise by analyzing the physical activity, constraint limitation, and efficiency of exerci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a survey of 33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nly 8.4 percen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in the maintenance stage and 24.0 percent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resulting in a very low sustained exercise rate. Depending on the level of exercise behavio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straint factors and self-efficacy. Female teenagers who are passive in physical activities through the above results need to identify exercise constraints and plan exercise program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nsidering them. In particular, they should seek arbitration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 KCI등재

        감각통합심리운동이 발달장애학생의 운동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영익,권순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1

        This study is an intervention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sensory integration psychological exercise on exercise ability and self - efficacy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udents. The subjects were 2 autistic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2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for 2 or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4 sessions. In addition, after the intervention,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verified by checking the maintenance after 2 weeks' rest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nsory integration psychological movement showed improvement of the exercise ability by positive scores of all the four subjects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students. In particular, autistic students showed the highest athletic performance.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had the lowest score of the athletic ability among the 4 students, but the rate of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 inward posture was the highest. Second, intervention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sensory integration psychological exercise showed improvement of self - efficacy in all four students. Self - efficacy was assessed using a 5 - point scale. In the pre-test of the total 23 items, the mean score of the average students was 1.5-2.2, but after the intervention, the post-test showed a high score of 3.3-3.6. All four students showed positive self-efficacy The effect of the change was observed. In the maintenance stage test, it was confirmed that exercise ability and self - efficacy were main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psychological exercis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xercise ability and positive self-efficacy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본 연구는 감각통합심리운동을 통한 신체활동이 발달장애학생의 운동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중재연구이다. 자폐성장애학생 2명과 지적장애학생 2명 총 4명의 대상자에 대하여 주 2∼3회 매회기 40분 내외로 총 24회기에 걸쳐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실험 설계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중재를 마친 후 2주간의 휴지기를 가진 뒤 유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심리운동은 발달장애학생 대상자 4명 모두에게서 사후 검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모두 긍정적인 수준의 득점으로 운동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자폐성장애학생은 가장 높은 운동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지적장애학생은 4명중 운동능력의 점수는 가장 낮았지만 개인내적 사후 향상 비율은 가장 높았다. 둘째, 감각통합심리운동을 통한 신체활동의 중재는 대상학생 4명 모두 자기효능감에 향상을 보였다. 자기효능감에 대한 평가 검증은 5점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총 23문항의 사전 검사에서 대상학생 모두 평균 평정척도 점수가 낮은 1.5∼2.2를 나타내었으나 중재가 종료된 후 사후 검사에서는 3.3∼3.6의 높은 척도의 점수를 나타내어 대상학생 4명 모두 향상된 자기효능감의 긍정적인 변화의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유지 단계 검사에서 운동능력과 자기효능감이 유지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시사점은 감각통합심리운동이 발달장애학생의 운동능력 향상과 긍정적인 자기효능감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걷기 운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여가유능감이 운동만족, 운동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채수원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1

        본 연구는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한 간호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6주간 여가 운동 참여에 따라 여가 유능감이 운동만족, 운동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총 185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여가유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은 운동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여가유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은 운동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운동만족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운동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하여 대학생들 역시 학교 생활에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비대면 수업 등으로 인하여 신체활동의 감소로 면역력이 낮아지고, 심리적으로도 위축된 상태에서 교양체육 수업을 통해 꾸준히 운동 실천을 하면서 형성된 여가 유능감은 지속적으로 운동참여에 대한 의지에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는 향후 운동 습관을 마련하는데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론 수업과 실습을 병행하면서 학생들이 꾸준히 운동에 대한 지식 습득과 더불어 운동 실천을 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 복합스트레칭 운동과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발달의 관계

        이현정 ( Lee Hyun-jeong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6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강원도 C지역 장애인근로사업장에 근무하는 지체장애인 8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스트레칭운동 유형을 주 3회 실시하였다. 스트레칭운동 유형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 집단(A), 스트레칭운동 집단(B), 통제집단(C) 운동 전·후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효능감의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 되었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88으로 나타났다. 통계처리 방법은 SPSS Ver.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운동 전·후에 따른 집단간 차이(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3 X 2 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후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나타난 경우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사용하였고 운동 전·후에 따른 집단 내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스트레칭운동 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기효능감의 변화 중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는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 집단(A), 스트레칭운동집단(B) 모두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1), 스트레칭운동 유형 전·후에 따른 집단간에도 유의한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types on self-efficacy in stretching and muscular exercise group(A), stretching exercise group(B) and control group(C) and to compare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exercise. This study targeted 80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orking in the labor facility for the disabled in C area, Gangwon Province. For measuring self-efficacy and social adapt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Self-efficacy was verified through an analysis of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facto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88.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types on self-efficacy in the physically disabl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oth stretching and muscular exercise group(A) and stretching exercise group(B)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before and after exercise(p<.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and interaction effects before and after stretching exercise types.

      • KCI등재

        노인의 자기 효능감과 신체활동

        이창수 ( Changsu Lee ),주동진 ( Dongjin J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신체활동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운동과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하여 인구통계학적인 속성도 활용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미국 중서부 지역 5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 정도에 대한 분석은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인 변인과 신체활동의 정도, 그리고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활용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레저 활동 집단과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일상생활, 그리고 직업에 대한 신체활동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나이와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는 상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수준과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심리적, 그리고 지각적인 변인을 배제한 연구 결과의 도출이므로, 추후 연구는 이를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exercise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is relationship using various demographic dimension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0 years of age and older, who currently live in the Midwest, USA. One-way ANOVA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for exercise an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Multiple Regression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for exercise an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the 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positively related with leisure activity group. However,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by habitual and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ge and exercise self-efficacy. The conclusions indicate that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self-efficacy, and these finding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ical and cognitive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impact on older adults’ cognitive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