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므리의 율례와 우상숭배

        박기형 ( Park Gi Hyung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5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열왕기가 망국의 원인으로 고발하는 오므리 왕조의 우상숭배와 미가서가 국가멸망 원인으로 규탄하는 ‘오므리의 율례’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바알주의로 대표되는 우상숭배의 성격과 본질이 무엇이길래 그것이 나라의 멸망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인가?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바알주의 우상숭배에 담긴 사회경제적 함의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바알주의를 단순히 다른 종교나 “다른 신”에 대한 숭배라는 종교적 차원을 넘어 사회경제적 차원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성경이 배격하는 바알주의는 하나의 종교일 뿐 아니라 총체적인 사회경제적 체제를 대표하는 이데올로기라는 것이 본 논문의 중심논지이다. 성경에서 바알종교가 거듭해서 우상숭배로 비판되는 데에는 중요한 이유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신“을 섬기는 것, 즉 야웨만을 충심으로 섬기는 유일신 신앙에서 이탈하는 것은 종교적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함의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자면 열왕기와 예언서에서 우상숭배가 엄격히 금지되고 배격되는 이유에는 사회경제적 차원의 문제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주된 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왕기가 바알숭배를 집중적으로 규탄하는 배경과 이유는 바알주의 이데올로기가 야웨주의를 대체하는, 국가의 공식종교가 되었기 때문이다. 바알주의는 국가의 제반 정책과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종교로서 오므리-아합 왕조의 통치이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열왕기상 17장에서 열왕기하 10장에 이르는 엘리야-엘리사 이야기에 소개된 일화들을 통해 우리는 국가종교로서 바알주의가 배태하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모순들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바알숭배에 대한 호세아의 비판에 따르면 예언자들이 바알종교를 정죄하는 핵심적 이유는 그것이 야웨와의 언약을 무효화시키고 이스라엘의 언약공동체적 정체성을 허무는 종교이기 때문이다. 야웨와 이스라엘의 언약은 땅을 하사하는 종주 하나님과 그것을 매개로 일편단심의 충성을 바치는 봉신 이스라엘 사이의 쌍무적 계약인 것이다. The present article sees to explore for the correlationship of Omri’s statutes in Micah 6:16 and his nation-wide idolatry as the reason for the nation’s fall in 2 Kings. The questions of the article include the following: What is the nature and essence of Baalism? How can it be seen as the cause that determines the rise of a nation and its fall? In this regard the essay specially focuses on the socio-economic implication of Baalism. The present article insists that Baalism transcends the religious dimension of worship of “other gods”. It means that Baalism should be understood as the issue of socio-economic dimension. The central thesis of this article is that Baalism is not only a just religion but also an ideology representing a certain socio-economic system in the Holy Scripture. The article presents three reasons for this thesi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1-2 Kings’ intensive denouncement of Baalism is that it becomes established as the state-religion of Israel in the Omride dynasty. Baalism as the state-religion provided a ruling ideology for the Omri-Ahab dynasty which had an effect on the nation’s socio- economic policies. Secondly, the Elija-Elisha Cycle in 1-2 Kings shows several anecdotes that expose the socio-economic contradictions that Baalism as the state-religion conceived. Thirdly and finally, according to Hosea’s condemnation of Baalism, the worship of Baal brings about invalidating the covenant of Israel with YHWH and destroying the identity of Israel as a covenant community.

      • KCI등재후보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무신론’을 다시 보며 -

        정재현 한국실천신학회 2007 신학과 실천 Vol.0 No.12

        본 연구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변혁을 위한 신학적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신학적 성찰의 길은 물론 다양하겠지만 현실적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는 종교적 정서와 심성 등에 특별히 주목하여 문제를 접근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신 관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우상화의 성향, 그리고 신자들의 자기중심주의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진단하고 처방을 모색한다. 그런데 우상주의와 자기중심주의라는 문제는 주-객 관계를 기틀로 하는 신-인 관계의 왜곡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임의의 선택이 아닌 것은 물론이지만 서로 얽혀 문제를 더욱 증폭시키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이 한국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정서에서 과도할 정도로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 특히 현대 서구의 ‘무신론’적 통찰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 서구 무신론이야말로 우리나라에서 집약적으로 재현되고 있기도 한 서구 고전시대를 지배했던 신중심주의와 이에 뿌리를 둔 우상주의 뿐 아니라 근세에 이르러 절정에 이 르렀던 인간의 자기중심주의 대한 철저한 반동과 처절한 반성에서 터져 나온 시대의 예언적 외침이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현대 무신론은 신의 존재 여부를 논하는 형이상학적 담론이 아니라 비판적 성찰을 담은 예언자적 외침으로서의 뜻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무신론적 종교 비판은 먼저 신에 대한 관념을 신의 실재로 간주하는 오류로 인하여 환상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곧 허상일 수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붙잡으려하니 우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철저하게 드러낸다. 아울러 인간중심주의의 경우 구체적으로 종교인에게서 일어나는 자기절대화의 욕망이 종교적 가르침의 핵심인 자기 비움과 정면으로 모순일 수밖에 없다는 점도 폭로한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오히려 그리스도교에 대해 참 삶과 믿음을 위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이를 통해 종교 자체의 변혁을 위한 통찰의 지혜도 제시한다. 따라서 종교에 대한 무신론적 비판은 우상주의와 자기중심주의의 얽힘으로 인해 신앙을 삶과 동떨어진 주술로 전락시켜 온 한국 그리스도교의 자기정화를 위한 하나의 소중한 지침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ologically upon the re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its desirable transformat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ways of such effort, it tries to place its focus on the religious ethos and mentality represented by the modes of thinking and living. More concretely,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tendency of idolatry in the general concept of God and the problem of self-centrism easily founded among the majority of believers.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two problems are not of arbitrary choice but closely interwoven with each other in such a way as to deteriorate the situation more seriously. And there is no denying that this phenomenon has arisen to an excessive degree in the religious ment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prognosis of the problems as such, this study adopts the so-called 'atheism' developed in the contemporary Western thinking. For contemporary atheism appears as one of the major prophetic critiques against the theocentric idolatry which characterized the classical periods of Western society on the one hand, and against the self-centrism of human being which arrived its peak in the modern period on the other hand. And it is another good reason to bring atheism to the foreground that those problematic tendencies have developed prevalently in Korean Christianity. In other words, the contemporary atheism is not so much metaphysical discourse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existence of God as the timely prophecy of critical reflection upon popular religious consciousness. Atheistic criticism explores that religion cannot but fall into idolatry because believers are easily apt to confuse the concept of God with the reality of God. On the other hand, it also reveals that the believers' desire of self-absolutization in the name of truth cannot but contradict the Christian core teaching of self-emptying. By doing so, the contemporary atheism provides the significant motives of 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for the genuine life and faith with regard to the Christianity in Korea, which has been degenerated by idolatry and self-centrism.

      • KCI등재

        리영희의 지리산 토벌전 체험과 반공주의 우상 파괴의 역정

        소병철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8 南道文化硏究 Vol.0 No.34

        As is generally known, ever since the liberation from Japan, many Korean people have been deeply influenced by the pseudo-religious dogma called the ‘anticommunism’ and its extension, the pseudo-McCarthyist propaganda of the extreme-rightist political forces. Lee Younghee(1929~2010) was a representative of political enlighteners in the turbulent period of Korean modern history who by his pen struggled against the antidemocratic mass manipulations of the kind. He applied a scalpel of sharp criticism to the blind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 tendency which had ever obstructed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emocracy and revealed that the both are nothing but the ‘idols of the Cold War era.’ And because of this, he used to be a main target of the political censorship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all his life long. By the way, the original motive of his ideology criticism of the kind is known to have been formed just as he had experienced the tragedy of fratricidal Korean War as a junior officer. His war trauma of that time might have made him devote himself to the struggle against the irrationality of Korean anticommunism. But how could we revalue his lifelong stubborn struggle of the sort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where the anticommunist idol in question is still well? With this critical mind I outlined how his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had influenced on the ripening of his pacifistic self-identity and critically looked back on his lifelong struggle against the anticommunist idol in this essay. As a result, I reached the first conclusion that his most important achievement is his courageous revealing that the blind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 tendency of the Korean conservatives were together formed under the inevitable influence of the American postwar policy of the Cold War and that the both have ever functioned as the discursive powers which justify the destruction of democracy and the violation of basic human rights by the conservative ruling cliques. And then, I reached the second conclusion that he deserves to be an ideological forerunner who has greatly helped the Korean people to strengthen their democratic capacity in that thanks to his ideological struggle, his challenging belief of those days in liberal democracy turned into the public commonsensical belief today. 주지하다시피 해방 이후의 한국 사회는 시기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대개는‘반공주의’란 이름의 유사 종교적 도그마와 그것의 연장선에 놓인 극우 정치 세력의 유사매카시즘 선동이 대중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해 온 사회였다. 리영희(1929~2010) 는 그러한 반민주적 대중 조작에 비판적 문필로 맞서며 저항한 격동기의 대표적인 정치적·문화적 계몽가였다. 그는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하는 맹목적 반공주의와 숭미의식에 메스를 가하여 그러한 것들이 ‘냉전 시대의 우상’에 기인한 것임을 검질기게 폭로해 나갔고, 이 때문에 군사독재 사찰기관의 주요 표적이 되어 체포와 투옥을 밥먹듯당하는 형극의 세월을 겪어야 했다. 그런데 그러한 이데올로기 비판의 원초적 동기는 그가 약관의 초급 장교로 참전한한국 전쟁에서 동족상잔의 참상을 목격한 때부터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리산의전장에서 받은 윤리적 충격이 그로 하여금 한국적 반공주의의 비이성과 싸우는 우상파괴의 형로(荊路)에 스스로를 내던지게 한 것이다. 그러나 문제의 반공주의 우상이 여전히 건재한 지금의 한국 사회에서 우리는 그 우상과 집요히 맞섰던 리영희의 인생 역정을 어떻게 재평가하고 의미화해야 할까?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필자는 본고에서 리영희의 한국 전쟁 체험이 그의 반전주의적·평화주의적 정체감 형성에 미친 영향을 개설하고여기에서 비롯된 그의 반공주의 우상 파괴 작업을 비판적으로 회고해 보았다. 리영희의가장 큰 업적은 한국 보수 세력의 맹목적 반공주의와 숭미 의식이 해방 후 미국 냉전정책의 불가피한 영향 아래 동반 형성된 사실과 그것이 지금껏 보수적 집권층의 민주주의 파괴와 인권 억압을 정당화하는 담론 권력으로 기능해 온 사실을 용기 있게 밝혀낸데 있다고 생각된다. 나아가 그는 그러한 우상 파괴 작업을 통해 그의 생전엔 저항의칼끝이던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을 이 시대의 평범한 양식(良識)으로 만들었단 점에서한국민의 민주적 역량 강화에 묵직이 기여한 선각자로도 평가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베이컨과 회의주의

        황설중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1 No.-

        The most important epistemological task of modern philosophers was to defeat skepticism. Bacon was no exception. The skeptics propounding that “nothing can be known (acatalepsia)” were destroyers of knowledge, i.e. the power of man. According to Bacon, they were specifically the new-academics and pyrrhonists in the ancient Hellenistic period. Bacon tried to build the luminous world of “knowledge is attainable” (eucatalepsia) by uprooting the ancient dark skepticism that led man to intellectual desperation. To do so, Bacon developed his well-known doctrine of four idols. As long as man is obsessed with idols, so to speak, immersed in the swamps of ancient skepticism, there is no way out of the path of delusion and error. So Bacon declared that these idols must be renounced and put away with a fixed and solemn determination. But could our intellect be completely liberated from idols, that is, from the arguments of ancient skepticism, as Bacon hoped? Bacon talked about the hope of increasing knowledge by suitable experiments, true induction, continuous gradual progress,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scientists. But it is rather the doctrine of idols which disclose that such works can never completely wipe out idols. This suggests that in Bacon’s philosophy it would be futile to find a theory that could refute or eradicate skepticism. Approaching Bacon's philosophical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 theory to overcome skepticism is unprofitable. Bacon is, as it were, a friend of the ancient skeptics. In my opinion, the new path Bacon pioneered in responding to skepticism is in his view of the problem of idols thoroughly from the practical consequence standpoint, while stubbornly refusing to enter the useless arena of arguments developed by ancient skeptics. 근대 철학자들의 가장 커다란 인식론적 과제는 회의주의를 물리치는 것이었다. 베이컨도 예외가 아니었다. “어떤 것도 알려질 수 없음(acatalepsia)”을 내세우는 회의주의자들은 인간의 힘인 지식을 파괴하는 자들이었다. 베이컨에 의하면, 이들은 구체적으로 고대 헬레니즘 시대의 신(新)아카데미학파와 피론주의자들이었다. 베이컨은 인간을 자포자기로 이끄는 고대 회의주의를 뿌리째 뽑아버리고, 마침내 “잘 알 수 있음(eucatalepsia)”이라는 광명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그렇게 하기 위해 베이컨은 잘 알려진 우상론을 전개하였다. 우상들에 사로잡혀 있는 한, 말하자면 고대 회의주의자들의 논변의 늪에 빠져 있는 한, 인간은 미망과 오류의 길에서 벗어날 길이 없기에 베이컨은 이 우상들을 확고하고 엄숙한 결의로써 물리치고 폐기해야 한다고 천명하였다. 그러나 과연 베이컨이 희망한 대로 우리의 지성이 우상들로부터, 즉 고대 회의주의의 논변들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었거나 그렇게 될 수 있었는가? 베이컨은 감각을 도울 수 있는 안성맞춤의 실험, 참된 귀납법, 지속적이며 점진적인 전진 과정, 과학자들 상호간의 협력에 의해 지식의 증대에 대한 희망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런 작업들이 결코 우상들을 완전히 몰아낼 수 없다는 것을 오히려 우상론은 밝혀주고 있다. 이것은 근대의 주류 철학자들이 시도했던 바, 회의주의를 논박하거나 근절할 수 있는 이론을 베이컨에게서 찾는 일이 별 소득이 없으리라는 것을 시사한다. 회의주의를 극복하려는 이론의 정립이라는 시각에서 베이컨의 철학적 기획에 접근하면, 베이컨은 고대 회의주의자들의 희생양이 되고 만다. 내 생각에, 회의주의에 대한 대응에 있어 베이컨이 개척한 새로운 길은 고대 회의주의자들의 갑론을박의 장(場)에 들어서기를 완강히 거부하면서, 우상들의 문제를 철저하게 실질적인 성과의 관점에서 접근한 데 있다.

      • KCI등재

        『제인 에어』에 나타난 우상숭배의 양상

        이혜영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5 문학과종교 Vol.20 No.2

        우상숭배 문제는 하나님과 인간의 올바른 관계를 최고의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의 핵심 이슈이다. 기독교 문화권이었던 19세기 중반 영국을 대표하는 소설 『제인 에어』에는 여주인공 제인과 중심인물인 로체스터, 존 리버스 등 주요 인물들의 삶을 통해 우상숭배의 다양한 양상이 형상화되어 있다. 우상숭배의 주제는 우선 여주인공 제인의 로체스터에 대한 낭만적이고 열정적인 사랑의 우상숭배적 본질에 대한 인식과 그 포기의 고통, 극복에 대한 사실적인 형상화에서 두드러진다. 로체스터의 경우에는 제인에 대한 그의 영적 의존성의 문제와 극단적 자기중심주의라는 측면에서 인간 스스로가 삶의 주인이 된 또 다른 인간 숭배의 양상이 드러난다. 존 리버스 목사의 사례를 통해서는 목회 사역이나 율법주의, 캘비니즘 등의 신학 체계가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보다 앞서게 된 기독교인의 삶의 문제점과, 제인과의 관계에서 드러나듯이 목회자가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에 개입하는 영적 권위의 남용이라는 문제가 탐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 소설 『제인 에어』는 하나님과 한 영혼의 신성한 관계에 어떤 우상적 존재의 개입도 용납하지 않고 어떤 영적 권위자도 하나님의 대행자로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인격적 관계를 가장 소중히 여기는 프로테스탄티즘의 기본 진리를 형상화한 훌륭한 기독교 작품이라고 평가된다. The issue of idolatry is indispensable for understanding Christianity which prioritizes the love for God and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Jane Eyre, the representative novel of the still Christian mid-Victoria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idolatry. Various aspects of idolatry are explored in Jane Eyre, First, the theme of idolatry is distinct in Jane’s realization of the idolatrous nature of her passionate love for Rochester and in her painful struggle with her own resolution to leave him. Secondly, in Rochester’s case we can identify idolatrous issues in his spiritual dependency on Jane and extreme egocentrism. Third aspect of idolatry in the novel is where John Rivers, the minister, focuses only on outward ministerial work in place of an intimate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and idolizes systems such as legalism and Calvinism. From this study of Jane Eyre it can be concluded that Jane Eyre is a superb Christian novel embodying clear protestantism which emphasizes unmediated and direct relationship with God.

      • KCI등재

        우상숭배와 유가의 제례

        이동인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the idea that considers the Confucian sacrificial rites (toward ancestors) as idolatry. In its basic doctrine Confucianism in far from practicing idolatry. The investigator found three factors that influenced Christians to take Confucian sacrificial rites as idolatry. The factors are ①the biases of the monotheistic religion, ②the arrogance of the Western culture and religion, and ③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Confucian rites.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the Confucian sacrificial rite as a symbolic behavior or performance which is designed to keep the sense of intimacy toward the ancestors, thus fulfilling the adage that we should pay respect toward the dead in the same way as we do toward the alive. 이 논문은 유교의 조상제사를 우상숭배와 동일시하는 관념의 타당성을 검토한 것이다. 본래 유교는 우상숭배를 배척하는 경향이 강했음에도 불구하고 유교의 제사가 우상숭배로 비춰진 것은 ①유일신교의 편견, ②서구문화와 서구종교의 우월감, ③의례의 상징적 의미배제에 기인한다. 유교의 제사를 ‘돌아가신 이 섬기기를 산 사람 섬기듯이 함’(事死者如事生)을 구현하고 조상과 후손과의 거리를 줄이기 위한 상징적 행위, 또는 퍼포먼스로 보아야 그 본질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우상숭배와 유가의 제례

        이동인(Yi, Dong-I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the idea that considers the Confucian sacrificial rites (toward ancestors) as idolatry. In its basic doctrine Confucianism in far from practicing idolatry. The investigator found three factors that influenced Christians to take Confucian sacrificial rites as idolatry. The factors are ① the biases of the monotheistic religion, ② the arrogance of the Western culture and religion, and ③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Confucian rites.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the Confucian sacrificial rite as a symbolic behavior or performance which is designed to keep the sense of intimacy toward the ancestors, thus fulfilling the adage that we should pay respect toward the dead in the same way as we do toward the alive. 이 논문은 유교의 조상제사를 우상숭배와 동일시하는 관념의 타당성을 검토한 것이다. 본래 유교는 우상숭배를 배척하는 경향이 강했음에도 불구하고 유교의 제사가 우상숭배로 비춰진 것은 ① 유일신교의 편견, ② 서구문화와 서구종교의 우월감, ③ 의례의 상징적 의미배제에 기인한다. 유교의 제사를 ‘돌아가신 이 섬기기를 산 사람 섬기듯이 함’(事死者如事生)을 구현하고 조상과 후손과의 거리를 줄이기 위한 상징적 행위, 또는 퍼포먼스로 보아야 그 본질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시각예술에 나타난 공정한 이미지에 관한 연구

        김석원(Kim, Seok-Weo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6 미술문화연구 Vol.8 No.8

        연구자는 이미지 왜곡이 없고 편견 없는 사회, 이미지의 다양성이 존재하는 시각예술의 문화적 현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리의 문화적 현상은 주변의 과도한 이미지의 홍수속에서 살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우리나라 사회를 포함해서 아프리카 등을 포함한 저개발 국가는 우리에게 왜곡된 이미지를 대중매체가 부추긴다. 이미지의 편향과 왜곡 현상은 대중들에게 고정관념 등 편견을 낳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공정한 이미지’를 통해 편견 없는 사회는 무엇인지 규정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이미지에 관한 기원을 중심으로 미술, 사진, 문화, 영화에서 ‘공정한 이미지’와 ‘공정하지 않은 이미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의 입장에서는 이미지를 모방하는 것 자체가 공정성에 어긋났다. 우상은 역사적으로 이미지란 용어가 탄생하기 전에 등장했고 그 이후 이미지를 대신하는 초상 또한 초기에 특권계층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서 ‘이미지의 공정성과 평등성’에 위배된다. 연구자가 시각예술에서 ‘공정한 이미지’를 추적하는 과정 중에 설정한 ‘토테미즘의 공정성’은 토테미즘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우상파괴주의(공정하지 않은 이미지를 파괴)’를 실천한 행위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푸생의 그림에서 이미지의 주위에서 환호하는 사람들은 잠재된 ‘인간의 집단적 욕망의 투사’를 드러낸다. ‘토테미즘은 이미지의 가치를 공정’하게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친구와 친척들 사이에서 하는 놀이로 인식하고 설정된 이미지를 통해서 사회적, 대화적, 변증법적인 관계를 맺으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가면의 평등성’은 축제에 사용한 가면의 이미지를 통해서 신분과 출신이 사라지고 익명의 세계가 된다는 점, 사회적 위선을 제거하고, 모두가 평등한 상태로 몰입하게 된다는 점에서 가면은 이미지의 공정성으로 인도한다. ‘토테미즘의 공정성’과 ‘가면의 평등성’은 놀이와 축제를 통해서 억눌린 인간의 욕망을 드러내고 이미지의 공정성을 지향한다. 이미지의 공정성을 담보로 한 ‘문화 인류학적 영화’ 중 장루쉬의 <미친 지도자들, 1955>는 저개발 국가 사람들이 이미지의 피해자, 혹은 이미지의 객체가 되는 현상에 대한 대안으로 해석된다. 저 개발 국가 사람들이 아무런 이유 없이 선진국들의 목적에 이용당하는 피사체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 그들이 객체에서 주체로 바뀌어 대등한 관계에서 ‘공정한 이미지’를 실천하는 것은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하나의 대안적 방법으로 작동하는데, 시각예술에서 공정한 이미지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부분이 많다. The study placed a purpose to investigate prejudice-free society with no image distortion and the cultural phenomenon of visual arts where there are diverse images. Nowadays, people are living in a flood of excessive images surrounding us. The mass media leads people to distort images continually in Korea and un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Africa. Deflection and distortion of image lead people to be prejudiced, having stereotypes. To solve this problem, the study tried to define what unprejudiced society is first through ‘fair image’ and looked at cases of ‘fair image’ and ‘unfair image’ in art, photography, culture, and films based on the origin of image. From God"s point of view, it would be unfair to imitate images itself. The word, ‘idol’ has appeared historically before the word, ‘image’; and the word, ‘portrait’ to replace ‘image’ had been initially used only for limited privileged class; so it deviates from ‘fairness and equality of image’. Fairness of totemism was analyzed as a practice of ‘iconoclasm(destroyed unfair image)’, though not perfect during the process of tracking ‘fair image’ in visual arts. People cheering around the image in Poussin"s painting reveals a potential ‘projection of man"s collective desire’. ‘Totemism thought the value of image were fair’, as they had tried to have social, interactive, dialectical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relatives, recognizing it was a play with image. ‘Equality of masks’ leads to fairness of image through the image of masks at festivals, as identity and origin disappears and people all immerse themselves in an equal state at an anonymous festival, removing social hypocrisy. ‘Totemism fairness’ and ‘equality of masks’ are revealing repressed human desires through plays and festivals, aiming at fairness of image. Jean Rouch"s 〈Crazy leaders, 1955〉 as ‘cultural anthropological film’ was analyzed as an alternative for the phenomenon that people in undeveloped countries were depicted as just victims or objects. People in undeveloped countries should not be used as the object to be exploi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ed countries without a reason.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at it was a practice of ‘fair image’ as one alternative that an equal relationship changed from the object to the subject shows in documentary film.

      • 1967년 ‘5.25 교시’를 통한 북한의 역사왜곡연구

        안성호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과학연구 Vol.32 No.2

        우리는 일제로부터 광복을 되찾은 날을 연합국 미국이 일본을 패망시 켜 우리가 해방된 날로 기념하나 북한은 조국해방의 날 의미를 그렇게 해석하지 않는다. 김일성이 항일 빨치산 주체의 광복군을 만들고 소련 군과 함께 한반도로 진공해가지고 일제를 쳐부수고 조국을 해방한 것 으로 역사왜곡을 보여주고 있다. 북한은 20여년에 걸친 만주항일무장투 쟁이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최고 최후의 투쟁이었고 바로 이 투쟁에 의 해서 조국해방이 이루어졌다고 규정한다. 이는 역사왜곡이고 공산당식 선전선동에 불과한 것이다. 북한은 일제하인 1930년대 초 김일성이 결성한 항일유 격대가 항일투쟁과정에서 공산주의혁명가들의 모범이 되는 생활방식을 창출했다고 하면서 이를 항일유격대식이라고 지칭하였다. 김일성은 한참 연하로써 1930년대 항일무장운동을 하던 훨씬 이전부터 안중근, 유관순, 이승만, 김구, 안창호, 윤봉길, 이봉창, 조만식, 김규식, 김좌진, 이청천, 이회영 등 수많은 독립 운동가들이 만주벌판에서 상해 임시정부에서 머나먼 미국 땅에서 왕성하게 항일무장투쟁, 외교활동, 교 육활동, 민족경제부흥운동 등 다양하게 독립 운동하였던 역사적 사실 등을 왜곡하거나 무시하고 있다. 오로지 김일성이 이끄는 항일무장투쟁 의 대오가 소련군과 함께 중국만주와 조선북부지역에서 전민항쟁을 조 직하면서 일제의 무력을 섬멸하면서 진군하여 조국을 해방시켰다고 과 장하면서 역사를 날조하고 있다. 게다가 김일성은 1967년 소련군대보다 항일유격대가 광복에 기여했다고 선언하여 소련군대를 폄훼한 것은 김 일성유일사상체계확립과 김일성-김정일 부자세습체제를 위하여 행하여 진 역사왜곡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김정일이 2인자로 등극한 이후에 는 1974년 항일유격대식 슬로건은 생산도 학습도 생활도 항일유격대식 으로라는 구호를 제시하면서 일반화되기 시작한데서도 잘 알 수 있다.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 구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국가들의 붕괴와 체제전환과정과 1994년 김일성사망에 따른 체제위기와 극심한 경제난 에 직면하면서도 항일유격대식의 삶의 방식체득을 더욱 강조하였다. 이 는 북한 주민들의 사상적 해이를 방지하고 김일성-김정일 부자세습체 제와 사회주의 혁명열의를 선전선동 고취하고자하는 고도의 전략이 깔 려있는 것이다. 북한은 1930년대 반일 반제국주의 투쟁식 잔재가 여전 히 남아 시대착오적인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 우상화에 빠져있다. 북한은 여전히 광복70주년을 맞이해서도 해방 전후 김일성 독재정권 수립과정, 김일성에 의한 6.25불법남침 등 과거사에 대하여 전혀 반성하 지 않고 김정은을 통한 김일성 식 역사왜곡을 지속적으로 자행하고 있 다. 본 논문은 바로 북한의 역사왜곡의 서막이라 할 수 있는 1967년 5.25교시를 중심으로 북한의 근현대사 역사왜곡과 김일성-김정일-김정은에 이은 날조역사, 역사조작과 3대에 걸친 광신적인 우상화작업 등을 분석·정리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획 논문 : 기독교철학의 제문제 ; 칼빈의 예술론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박현덕 ( Hyun Duck Park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0 기독교철학 Vol.10 No.-

        이글의 목적은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통해서 그의 예술론을 살펴보는데 있다. 로티(R. Rotty)에 따르면 오늘날 예술은 단순히 인간의 삶의 표현양식을 넘어 과거 목회자나 철학자들이 점유했던 도덕선생의 자리까지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오늘날 개신교는 예술에 대해 왜곡된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로크마커(H. Rookmaaker)에 따르면 그 책임이 바로 칼빈주의자들이 있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과연 칼빈은 예술을 부정했는가? 결코 그렇지 않다. 단지 칼빈은 예술이 하나님을 경배하는 일보다 앞서는 것을 경계했고, 이를 우상화하는 것을 강하게 비판했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 예술의 고유한 영역은 철저히 인정했던 것이다. 오히려 그는 당시 카톨릭의 전통 안에 억압되어 있었던 예술에 대해 자유를 부여했었다. 따라서 우리는 칼빈을 가리켜 단순히 반예술론자로 치부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의 의도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이 예술의 은사를 그 목적에 맞게 적절히 사용되기를 원했다. 즉, 칼빈에게 있어서 ``미``(美)는 하나님의 존재라고 하는 관점에서 벗어나서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었던 것이다. 결국 그에 따르면 예술의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과 인간에의 봉사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예술을 대하는 신앙인들의 왜곡된 이해에 대해서 치유적 기능을 갖게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J. Calvin`s conception of art through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ccording to R. Rotty, today`s arts is beyond simply a form of human expression of life, they had taken the place of both preachers and philosophers as the moral teachers of the youth. However in the present, the Protestantism is being regarded tat it has distorted prejudice for art. According to H. Rookmaaker, he regarded the Calvinismist has responsibility for that prejudice. If so, Did Calvin has denied the art indeed? It is absolutely not. Just he alerts that the art is being given priority than worshiping God and He had strongly blamed that the art is being made an idol itself. But simultaneously he had accepted thoroughly it`s own domain.on the contrary to this, he gave freedom to the art which has suppressed by tradition of Catholicism in those days. So we could not simply consider that the Calvin had a anti-artistic point of view. The intention of him is just want that the human who were created by shape of god use the innate gift of art appropriately for its own purpose. In other words, For Calvin, the ``beauty`` could be though out of perspective of God`s existence. Therefore, According to Him, The purpose of art is serving the glory of god and human being. So this article will have a function for those who have distorted prejudice when they treat the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