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욕설언어현상``에 대한 교육적 문화적 진단과 대안 모색

        박인기 ( In Gee Park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0

        욕설언어현상을 ``언어문화의 문제``로 보고 개선하려는 것은 미래지향적이고 바람직하다. 과거처럼 불량 언어를 단순히 규범으로 통제하고 교정하던 방식으로는, 현대사회의 언어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없다. 청소년이 사용하는 불량언어는 다음의 특성을 갖는다. 1) 또래집단내의 은어 사용이 증가한다. 2) 인터넷 댓 글을 통해서 욕설언어가 매개되고 확장된다. 3) 문어 활동이 줄어들면 불량언어가 생활 속에 많이 들어온다. 4) 영화 매체가 청소년 불량 언어에 영향을 주었다. 5) 공식적 소통에서 소외될수록 불량 언어에 노출된다. 욕설언어문화를 개선하려면 학생들에게는 심리적 처방, 사회적 처방, 그리고 문화적 처방 등이 함께 적용되어야 한다. 심리적 처방은 ``욕설하는 자아``를 동기나 과정 면에서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는 처방이고, 사회적인 처방은 ``욕설행위``가 사회생활에 어떤 어려움과 문제를 만들어내는지를 인식시키는 데 중점을 두는 처방이다. 문화적 처방은 욕설행위를 일종의 잘못된 문화현상으로 보고, 그 문화를 비판하고 대안문화를 실천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욕설언어문화 개선을 위해, 욕설현상 관련 각종 지표들이 개인차원사회 차원에서 개발되고 적용되어 일반화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국민욕설지수``나 ``욕설태도지표`` 등을 만들어 통용해야 한다. 교육 차원에서는 보다 전문화된 욕설언어예방프로그램들이 학교와 사회 양 영역에서 운용되어야 한다. 이를 지도하는 교사나 소프트웨어에 상당한 전문성과 기술이 함께 갖추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It is future-oriented and advisable to view the abusive language phenomenon as ``an issue of language culture`` and improve it. With an existing method which tried to control and revise abusive language with mere standards in the past, language problem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cannot be dealt with effective. Abusive language which teenagers us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use of slang by peer groups increases. 2) Abusive language is passed on and spread through the replies on the Internet. 3) As literary activities decrease, abusive language seeps into our life. 4) The film media has affected abusive language of teenagers. 5) As they become isolated from formal communication, they become more exposed to abusive language. In order to improve the culture of abusive language,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measures must be applied in conjunction to the students. A psychological measure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self that uses abusive language`` from the aspects of intention and process. A social measure focuses on making one recognize what problems and issues the ``swearing behaviors`` cause in social life. A cultural measure views searing behaviors as a erroneous cultural phenomenon and focuses on instructing people to criticize such culture and carry out the alternative culture. Various indicators related to swearing behaviors should be developed on the individual and society levels and applied generally to improve a culture.

      • KCI등재

        욕설의 특질에 관한 연구

        김상윤 한국화법학회 2002 화법연구 Vol.4 No.-

        I have research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abusive language and three hundred university students in early twenties we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Nowadays the abusive language that teenagers use is going to extremes. It is so much severe and persistent. There is a lot of excessive abuse. I've already made it clear in the character of abuse before that abuse is the realistic reflection of the times. When we consider the social status society of the past and the actuality of the present, we can sometimes regard abuse as true words. It's because abuse has been the product of excessive class consciousness and manners of the past and excessive enmity and trouble of the present. Besides, abuse has been the ventilation opening of repressed discontent, confined displeasure, and the weak's appealing. It has been the wit and weapon of the people for a long time. Korean abuse has not been chang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Gaejashikgateun (like a son of bitch)’ is the most widely used abuse and ‘Gaessangnomgateun (like a hang-dog of bitch)’ is the second. There is also lots of abuse about sex, women relevant to sex, and metaphor of animals. Korean abuse has become violent and furious because its pronunciation has been changed to fortes or aspirated sounds. Moreover, the increase of foreign language abuse by the misuse of foreign language and abuse in cyber space are so regrettable. Abuse has a long history. Abuse is an idiom that has been used by not only the common people but also the upper and lower classes for a long time, so it will not disappear in this country. We should only be cautious about it and beautify it.

      • KCI등재

        또래 욕설 사용과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이 학령기 아동의 욕설 사용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석승림,민하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아동과 권리 Vol.18 No.3

        또래 욕설 사용과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이 학령기 아동의 욕설 사용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이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6학년 517명을 조사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Win 19.0 프로그램의 요인분석과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또래 욕설 사용과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은 학령기 아동의 욕설사용에 주효과를 나타냈다.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은 학령기 아동의 욕설 사용에 부적 영향, 또래 욕설 사용은 학령기 아동의 욕설 사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령기 아동의 욕설 사용에 대해 또래 욕설 사용은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3)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과 또래 욕설 사용은 학령기 아동의 욕설사용에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또래의 욕설 사용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 학령기 아동의 욕설 사용을 완화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mother’s responsive parenting and peers’ vulgar slang use on the vulgar slang use of school-age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517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Win 1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in effects of the responsive parenting of mothers and peers’ vulgar slang use on the vulgar slang use of school-age children was observed. The responsive parenting of mother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vulgar slang use, while. Peers’ vulgar slang us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vulgar slang use. (2) Peers’ vulgar slang use was a more powerful explanation for the vulgar slang use of school-age children than the responsive parenting of mothers. (3)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responsive parenting of mothers and peers’ vulgar slang use on the vulgar slang use of school-age children was observed.

      • KCI등재

        대학생 욕설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백유미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curse and abuse by university students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this purpose, a process model was set to display the trend of abusive Language and the questionnaire there of was organized to carry out the empirical survey. Subject of survey was 224 university students and data on abusive use of verbal abuse, reason for its use, and attitude to accept its use were collected. The contents of detailed analysi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analysis was made on the trend for each type of verbal abuse by university students. Second, analysis was made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verbal abuse by university students. And third, around the characteristics shown from Analysis 1 and Analysis 2, main characteristics and trend discovered in the process model of verbal abuse by university students were search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for each type of verbal abuse by university students, swear word was the most for 61.6% of the entire abusive use, and looking into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type of swear word, the identity-focused swear wordand the degree swear word were most frequently used. The reason to use was the most in ‘the other party makes me feeling terrible’, and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subject was highest in ‘once or twice a day to friend’. Looking into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use, it was most frequently considered that the abusive use of verbal abuse not to inflict damage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is study results, it was found out that university student generally curses and their consciousness on use of such curse were found to be very low. In addition, psychological factors on use of curse among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o be expression of the feeling of anger.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carry out consultation training and education that can help express emotion soundly by adjusting the suppressed anger and to develop self-awareness program on use of curse and ab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 욕설의 실태와 그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욕설 양상을 보여주는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설문지를 구성하여 경험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대학생 224명이며 구체적인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 욕설의 유형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둘째, 대학생 욕설 사용의 심리적 요인을 분석한다. 셋째, 분석 1 및 분석 2에서 나타난 특징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욕설 사용 예방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았다. 대학생의 욕설 하위 유형별 사용빈도를 살펴보면 신분 초점 욕설(놈,년)과 정도 욕설(좆나게)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사용하는 이유는 ‘상대방이 내 기분을 나쁘게 할 때’로 가장 많았고, 대상별 사용빈도는 ‘하루에 한두번 친구에게 하는 말’에서 가장 높았다. 사용 시 느끼는 감정을 살펴보면 ‘욕설사용은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은 대체로 ‘하루에 한두번’ 욕설을 사용하고 있으며, 욕설 사용에 대한 문제 의식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욕설 사용에 대한 심리적 요인은 분노의 감정 표출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 욕설사용에 대한 자각 프로그램 개발과 억압된 분노를 조절하여 건전하게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상담 훈련과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 욕설의 영향 요인 분석: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여

        서봉언,김경식,최성보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cyber swearing, using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We used panel data,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regulations and computer use frequency are key factors affecting instances of cyber swearing. School regulations have a negative effect on swearing among students but computer use frequency has a positive effect. The more students adhere to regulations at school, the less they swear on the Internet. This means that school-related variables have a decisive effect on cyber swearing for early adolescents. Among high school students, gender is the main factor. That is, male students experience and engage in cyber swearing much more than femal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 delinqu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swearing. Actual delinquent behavior may also be linked to increased instances of swearing on the Internet. To sum 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chool-related variables, media variables such as computer usage, and actual problematic behaviors affect online behavior. Thus, proper educational programs to raise awareness among students and prevent cyber swearing have to be undertaken. 최근 들어 청소년 자살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사이버 욕설의 문제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청소년 사이버 욕설 참여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초4 패널과 중1 패널을 구분하여 각각 패널별 사이버 욕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먼저 초4 패널을 분석한 결과, 사이버 욕설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규칙과 컴퓨터 이용빈도로 확인되었다. 학교규칙은 사이버 욕설에 부적인 영향을, 컴퓨터 이용빈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학교규칙을 잘 지키는 학생일수록 사이버 욕설을 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막 진입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요인과의 관계가 여전히 유의미한 것으로 추측된다. 다음으로 중1 패널의 경우, 초4 패널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성별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5.789배 사이버 욕설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어 남자 고등학생들의 사이버 욕설이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위비행의 영향이 정적으로 나타나 실제로 음주, 흡연, 무단결석, 가출에 참여할수록 사이버 욕설도 함께 늘어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단순히 사이버 욕설이 사이버 상의 문제가 아니라 행동 상의 문제와 동반될 가능성을 내포하는 것으로 청소년 문제 및 일탈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그리고 비등교일에 컴퓨터 및 게임 시간이 늘어날수록 사이버 욕설에 더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디어 요인이 사이버 욕설의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이탈리아어의 욕설

        조문환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8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55

        Le parolacce ed espressioni volgari, le forme linguistiche di imprecazione, insulto, maledizione, esprimono emozioni dell’essere umano quali rabbia, odio, dolore, paura, o addirittura simpatia. Esiste in ogni società questo tabù linguistico non solo in lingua standard ma anche in lingue regionali, dialetti e gerghi. Come strumento alternativo dell'attacco fisico e diretto, questo registro basso pieno di volgarità viene usato quotidianamente ed è diffuso ampiamente tra le persone. La parolaccia è caratterizzata da linguaggio osceno, profanità, bestemmie, e assolve alla funzione di dissoluzione del malcontento. In Italia, la storia della parolaccia è lunga, volevo esaminare le varie forme di turpiloquio in italiano cominciando dall'antichità fino ai nostri giorni. Imparare una lingua straniera infatti significa comprendere perfino le parole volgari, ritengo che questo studio sia utile per capire meglio un modo di comunicare da parte degli italiani, anche se l’intento non è di servircene con cattive intenzioni. 욕설(parolaccia o turpiloquio)은 인간 사회 어느 곳에나 존재한다. 분노, 증오, 저주, 두려움, 고통과 같은 인간 내면에 자리한 부정적 감정 표출의 도구로서, 혹은 유희, 농담 같은 친근감 표출의 도구로서 표준어에 존재함은 물론이고 지방어, 방언, 은어(gerghi) 등의 언어변이 속에도 욕설이 존재한다. 욕설은 ‘돌 던지기’를 대신하여 말로써 분노를 표출하고 공격하는 유용한 수단이다. 욕설은 사람이 아닌 대상 혹은 상황에 대해 혼잣말로써 불만을 표 (imprecazione)하는 형태, 사람이나 대상을 악담(maledizione)하여 공격함으로써 모욕감(insulto)을 유발하는 형태, 신성한 이름을 거론하여 신자 혹은 비신자를 폄훼하는 신성모독의 형태(bestemmie, blasfemie)로 발현된다. 따라서 일탈, 저급함, 상스러움, 불쾌감을 동반하는 욕설의 언어는 주로 성(sesso)이나 배설물(escrementi) 같은 외설어(linguaggio osceno), 윤리적 가치를 파괴하는 저급어(profanità), 신앙적 가치를 폄훼하고 평가절하하기(svilimento)의 개념을 포함한다. 이 세상 언어들 가운데 욕설어가 가장 발달한 언어 중 하나를 꼽는다면 이탈리아어가 아닐까 싶다. 욕설은 인간의 욕구와 불만이 만들어내는 언어인 만큼 오랜 기원을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욕설의 출현에서부터 시작하여 이탈리아어의 레퍼토리 가운데 일상의 한 레지스터를 차지하고 있는 현대의 욕설까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 욕설의 언어가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다루고자 한다. 그간 욕설의 언어는 진지한 언어학적 연구의 대상이 아니어서인지 관련 학술문헌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언급되는 자료들 중 상당 부분은 인터넷 자료에서 가져올 수밖에 없었음을 밝힌다.

      • KCI우수등재

        욕은 ‘하류층’의 언어인가?: 한국 청소년의 가족배경, 거주지, 연령 및 젠더별 욕설의 사회적 맥락과 실천

        정예은,최성수 한국사회학회 2023 韓國社會學 Vol.57 No.3

        욕설은 ‘저급하고 배우지 못한’ 사회적·경제적 하위계층 집단의 언어로 흔히 인식되어 왔다. 특히 청소년기 욕설 사용은 교정과 계도의 대상이자 교육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탈적 행태로 간주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층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되는 욕설 사용이 하위계층 집단에 귀속되는 문화인지 아니면 성장기를 거치며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또래문화인지 질문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의 욕설에 대한 이해와 사용 맥락, 그리고 실천이 사회경제적 여건(가족배경, 거주지역), 연령, 젠더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혹은 다르지 않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전국 중·고등학생을 포괄하는 청소년 욕설실태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크게 네 가지 주요한 양상이 나타났다. 첫째, 청소년들의 욕설 사용 시작 시기나 이해, 맥락, 사용 빈도에서 부모 학력과 직업으로 측정된 가족의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거주 청소년들과 비교해 지방 소도시 및 도서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은 욕설적 표현에 대한 용인 정도나 욕설 빈도에서 모두 낮은 양상을 보였다. 셋째, 연령이 높아지면서 성인기에 가까워질수록 욕설을 덜 사용하며 선별적 맥락에서만 사용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넷째, 남성보다 여성 청소년들이 욕설 사용 빈도나 용인도 등이 모두 낮았으며 지역과 연령에 따른 차이 역시 젠더 간 다르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국 청소년들의 욕설이 계층화된 그리고 교정되어야 할 언어라기보다 청소년들이 전반적으로 공유하고 성인기를 향한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또래문화임을 시사한다. Swearing has been associated with underclass language, perceived as vulgar, uneducated, and lacking legitimacy. The use of swear words by adolescents, particularly, has been considered deviant behavior in need of correc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ether the prevalent use of swear words among Korean adolescents is a culture attributed to lower-class groups or a shared peer culture among adolescents across strata. We examine how adolescents judge swear words, employ them in various contexts, and use them, and how this varies by family background, area of residence, age, and gender. Our analysis of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Swearing Survey, encompass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employ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variate models, reveals four key finding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ing, perception, context, or frequency of adolescents' use of swear words by family background, as measured by parental education and occupation. Second, compared to adolescents residing i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those living in small towns and rural areas exhibit lower levels of tolerance and frequency regarding swear words. Third, as adolescents get older and approach adulthood, they tend to use swear words less and in more selective contexts. Lastly, female adolescents were less likely than male counterparts to use swear words, both in terms of frequency and tolerance, and the regional and age-related gaps are more pronounced among fema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wearing among Korean adolescents is a shared peer culture and a natural aspect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rather than a stratified or illegitimate form of language.

      • KCI등재

        청소년 욕설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이동민 ( Dong Min Lee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0

        요즘 청소년들 대화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것이 욕설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욕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욕설의 본래의 기능을 넘어서고 있다는 것을 쉽게 체감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욕설의 사용실태와 현황,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태 조사 결과, 대다수의 남녀 학생들이 욕설을 하고 있으며, 욕설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으며 가정 형편이나 함께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의 정도에 따라 욕설의 사용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욕설의 의미도 모른 채, 습관적으로 또는 또래 집단끼리의 친근감 형성을 위해 사용하고 있었다. 욕설 습득도 대부분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되었고 주로 인터넷 매체를 통해 욕설을 습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교사가 사용하는 언어에 대해서는 교사에 대한 교육적 기대도가 높아서 민감하게 반응하였는데 이는 교사들도 바른 언어 사용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언어 사용에 대한 개선 방안을 협의적, 광의적 차원으로 제시하되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는데, 학생들의 언어 개선 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가, 사회, 학교, 가정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 It is a curse that can be heard easily in adolescents`` recent talks. In the school field, the students`` curses are being used generally and can be easily felt as saying of surpassing the original function of curse. Hence this study suggested the actual condition & the present status,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curses, which are being used by adolescents,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the majority of boy and girl students were using curses and were failing to feel a critical mind of curses. The level of using curses was indicat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mily circumstances or the family member level of living together. Also, students were using habitually or for forming intimacy between peer groups without knowing even a meaning of curse. Even acquisition of curse was begun mostly from the elementary school days. A curse was revealed to be acquired mainly through internet media. Especially, the language that a teacher uses was sensitively reacted because of being high in educational expectation level for a teacher. This can be considered to imply that even teachers need to positively join the usage of correct language. Finally, an improvement plan for adolescents` usage of language was suggested in the narrow and broad dimension and was pursued solution by taking a specific case. In order for education for improving students` language to succeed, there is a need of continuous interest and education of nation, society, school and home.

      • KCI등재

        뉴스 댓글에서의 욕설 사용 실태와 한국 사회의 금기 문화

        이정복(Lee Jeong-Bok)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5 No.-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의 뉴스 댓글에서 누리꾼들이 쓴 금칙어 욕설의 쓰임을 분석하고, 현재 한국 사회 금기 문화의 특징이 무엇인지 파악해 보고자 했다. 2장에서 인터넷 욕설과 금기어, 금칙어의 관련성을 기술하고, 3장에서 인터넷 욕설의 유형과 사용 실태를 분석해 본다. 4장에서는 누리꾼들이 사용한 욕설 금칙어의 쓰임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 금기 문화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정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누리꾼들은 성기/성행위, 장애/질병, 죽음, 신분/품성 등 여러 가지 유형의 욕설을 쓰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 장애 및 질병 관련 욕설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면에서 남성이 여성의 4배 이상 욕설을 많이 썼고, 세대별로는 50대 이상의 나이 많은 누리꾼들의 욕설 사용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누리꾼들의 욕설 금칙어 사용을 통하여 한국 사회 금기 문화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했는데, 과거는 물론 지금도 장애 금기, 하층 계급 및 반인륜적 행위 금기, 성행위 및 근친상간 금기 문화가 특히 강하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 of swear words used by netizens in comment of the Naver new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aboo culture in present Korean society. In Chapter 2, we describe the relevance of swear words, taboos, and prohibited words of internet. In Chapter 3,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swear words are analyzed. In Chapter 4, we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boo culture of Korean society based on the usages of swear words.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find that Korean netizens are using various types of swear words such as sexual organ and sexual activity, disability and disease, death, status and personality, etc. and among them, disability and disease swear words account for half of the whole. In terms of gender, males used the swear words four times more than females. In terms of generations, older people in their fifties or older used the most swear words. Through the use of these swear words by netizens, three characteristics of taboo culture in Korean society appeared: taboo of disability, taboo of lower-class and anti-human behavior, and taboo of sexual and incest.

      • KCI등재

        Netflix 오리지널 한국 콘텐츠에 나타난 비속어 ․ 욕설 양상 분석

        심현보,이정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2 No.2

        심현보․ 이정희, 2024, Netflix 오리지널 한국 콘텐츠에 나타난 비속어․ 욕설 양상분석, 어문연구, 202 : 197~225 본 연구는 한국 영상 콘텐츠 중에서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선정하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로 어떠한 한국어의 비속어․ 욕설에 노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Netflix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 드라마와 영화 중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을 제외한 총 32편의 대사를 추출하여 영화․ 드라마 대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김정선․ 이필영 외(2011)에서 제시한 한국어 비속어․ 욕설 목록을 기준으로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영화․ 드라마에서 한국어 비속어․ 욕설이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위 20개의비속어․ 욕설은 상대방에게 위협적이고 강도 높은 비속어․ 욕설이 대부분이었으며50% 이상의 영화․ 드라마에 출현하고 있었기에 비속어․ 욕설은 사용범위가 굉장히넓은 어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한국어의 비속어․ 욕설이 폭넓게 존재하므로 영화나 드라마 등의 대중 매체를통해 한국 문화를 즐기는 외국인이나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은 이미 한국어의비속어․ 욕설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결과를바탕으로 외국인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오해와 장애가 없는 의사소통을 위해이해 교육의 차원에서 비속어․ 욕설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해야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osure of foreign Korean-language learners to Korean profanity and swearing in Korean dramas and films. A corpus of dialogue was compiled from a total of 32 Korean dramas and films, excluding those rated as restricted for youth by Netflix Korea. Using a list of Korean profanity and swear words provided by Kim Jung-sun and Lee Pil-young (2011), the patterns of such language within the content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profanity and swearing were both diverse and prevalent across the dramas and films. Moreover, the top 20 profanity and swear-word terms were primarily threatening and highly intense, appearing in more than 50% of the dramas and films, indicating that profanity and swearing encompass a broad vocabulary range. Although not explicitly found by this study, it inferred that various other Korean profanity and swearing terms exist and are used widely. Foreigners enjoying Korean culture 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rough mass media are likely already significantly exposed to Korean profanity and swearing.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learners should be provided at least minimal information about profanity and swearing in the context of their comprehension education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out misunderstandings or hindrances between foreig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