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특수교육교사의 이미지 분석

        전민정,오유정,김삼섭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교사에 대한 이미 지를 분석함으로써 특수교육교사의 이미지 개선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K교육대학교 재학생 200명과 K대학교 사범대학 재학생 360명, 총 560명의 예비 일 반교사들을 대상으로 의미변별척도를 실시하여 특수교육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특수교육교사 이미지의 요인을 분석 한 결과, 3개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요인의 이름을 각각 평가, 활동, 능력으로 명명하였 다. 각 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예비 일반교사들은 특수교육교사를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지 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일반교사의 학교급에 따라 살펴본 결과, 예비 중등교사, 예비 초등교사, 예비 유치교사 순으로 특수교육교사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형용사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 일반교사들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특수교육교사를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특수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학생이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특수교육교사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용사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예비 일반교사의 미래 통합교육 을 위한 협력 대상인 특수교육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함으로써 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 일 반교사의 특수교육교사에 대한 지각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내용이나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예비 초등특수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박외곤,차국일,심광보,문경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D시의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초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예비 초등교사 85명과 예비 초등특수교사 88명이며, 설문 결과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요소의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예비초등교사와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인식차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첫째, STEAM 교육에 대한 정보의 인식은 예비 초등교사가 더 높은 인식을 지녔으며,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으며, 창의적 사고력, 학업성취도, 학습기회에 대해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의 교과 중 Arts, Science를 중요하게 인식하며, 장애영역 중 학습장애 학생에게 제일 긍정적인 교수법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예비 초등특수교사는 특수아동, 예비 초등교사는 일반아동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예비 초등특수교사는 Engineering, Arts, 예비 초등교사는 Science, Engineering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넷째, STEAM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교수관련 수업 자료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실 있는 적용을 위해서는 또 다른 업무가 되지 않도록 교육환경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에 대한 연구

        최진성 ( Choi Jin-s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가 보이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경상남도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예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은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정서조절력, 낙관성, 충동통제력, 자기효능감, 적극적도전성, 원인분석력 순이었다. 둘째, 예비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성별, 학교유형, 종교유무, 연령, 학년, 성적평점,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남성이 여성에 비해 적극적도전성이 높게 나타났다. 국·공립 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특수교사가 사립 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특수교사에 비해 낙관성과 공감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극적도전성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종교를 가지고 있는 예비특수교사가 회복탄력성 전체와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23세 이상 예비특수교사가 회복탄력성 전체와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자기효능감, 적극적도전성에서 다른 연령의 예비특수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4학년 예비특수교사가 2학년 예비특수교사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가 만족하는 예비특수교사가 다른 예비특수교사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 s of this study were 326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tending universities in Gyeongnam regional. The research tool utilized was RQT(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e(2003).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empathy, followed by emotion regulation, optimism, impulse control, self-efficacy, reaching out, casual analysis. Seco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x, school type, religion, age, grade, grade point average of, major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man teachers` showed higher reaching out tha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woman teachers`. Attending nation/public universitie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eared to higher optimism, empathy. Attending private universitie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eared to higher reaching out. Religion hav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eared to higher total resilience score, impulse control, casual analysis. Over 23 year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er total resilience score, casual analysis, impulse control, self-efficacy, reaching out than othe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i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sophomor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higher score, the higher resilience score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content with major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s than othe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후보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연구

        황순영,정은영,이미아 국립특수교육원 2006 특수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 경남에 있는 교육대학과 특수교육과예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Thompson과 Shrigley()985)가 개발한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척도(Revised Science Attitude Scale)를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와 t-검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전체 태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 특수초등교사가 예비 초등교사들보다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따른 예비교사의 전체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 중. 과학교수에 대한 편안함 영역에서는 과학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예비 교사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필요성 영역에서는 오히려 수강한 경험이 없는 예비 교사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초등교사의 과학교수 태도에 대한 문항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예비 초등교사는 예비 특수초등교사에 비해 학생들의 질문에 대한 두려움이 크며, 예비 특수초등교사는 다른 교과와 비교해 과학의 중요성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 toward science teaching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and speci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in 3 and 4 grade students of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Revised Science Attitude Scale developed by Thompson & Shrigley(1986) was used and the method, t-test, two way ANOVA were used to investig science teach ing attitude for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ed : First of all, the reliability if measurement instrument was verified through a pre-study.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used. And Discriminative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between two groups. But speci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igher perceived necessity of science education than gener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there weren't als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experiences of taking science related course. Howeve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are taking science course feel so easy toward comfort to science teaching compared to the not taking science course.

      • KCI등재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백수진 ( Paik Su-jin ),안성우 ( Ahn Seoung-w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들이 장애아동을 위한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부산과 천안 소재 대학교 사범대학에 다니는 학생 126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2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으로 빈도분석과 카이검정을 하였다. 연구 결과 :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 모두 ‘평생교육’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해서는 예비교사보다 예비특수교사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 모두 장애인 평생교육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며, 궁극적으로 장애인의 자립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시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 모두 직업능력 향상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예비교사는 직업능력 외에 기초문해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예비특수교사는 문화예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대상자 모두 장애인 평생교육은 혼합형태로 운영될 필요가 있겠다고 답하였지만 예비교사는 혼합형태 외에 특수한 형태인 평생교육이, 예비특수교사는 통합된 평생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예비교사 및 예비특수교사의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on preservice general teachers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126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the University of Pusan and Cheonan, a school of education. The study administrate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hich was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articipant had positive perception about lifelong learning.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basic literacy education was important besides vocational ability.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a special form is also important for the disabled while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at integrated form is also important for them.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se findings for lifelong education of the disabilities,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자폐성장애유아교육」교과목의 포트폴리오 체제 운영을 통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응용행동분석적 교수전략 관련 지식의 변화

        박계신 ( Gye Shin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자폐성장애유아교육」교과목을 운영할 때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의 교수를 포함하는 포트폴리오 체제를 적용함으로써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있어서 변화를 나타내는지와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이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무엇을 경험하였는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학생 대상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사전사후 교사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의 사전사후 개념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응용 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교과목 관련 과제 수행 시 작성한 개인별 반성적 저널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의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을 포함한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 이후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자폐성 장애아동 대상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도 상위개념, 종속개념, 밀도 및 위계의 모든 측면에서 뚜렷한 향상을 나타냈다.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을 수행하면서 이론 수업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학생의 특성 및 자신의 과거의 반응들을 성찰하였고, 수업을 통해 획득한 이론적 지식을 아동의 교육을 위해 적용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교육적 실천을 위해 습득한 지식 이외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하고 탐구하고자 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또한 교육적 실천을 통해 기쁨과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아울러 교육적 실천을 위해 확장된 탐구 자세를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폐성 장애학생을 잘 가르치는 교사가 되고 싶은 바램과 각오를 나타냈다. 또한 자신들이 유아특수교사의 길을 선택한 것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rtfolio System including Applied Behavior Analysis educational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eaching efficacy and knowledge chan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o, this study is to inquire how pre-service teachers tell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Portfolio System. Twenty-two pre-service teacher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Autism」university lecture course participated in the Portfolio System. Teaching efficacy test and concept m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on before and after running the Portfolio System, and pre-service teachers` daily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ere proved t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at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System. Second,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 on their knowledge(in general concepts, sub-concepts, concept map levels and cross-links) about Applied Behavior Analysis educational strategies. And the third, pre-service teachers had a practical experience and established image of good teacher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의 직업이미지

        김정규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how the special teachers in pre-service to recognize with professional imag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Method: A questionnaire with 50 items were developed. The 563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F-test, and regression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Results: The special teachers in pre-service perceived six factors such as professional ability, role, personality, support needs, emotion, and physical appearance in professional im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b) sex was not important variable in all factors, grade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professional ability, role, personality, and emotion, volunteer exper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fessional ability, and personality, and major especiall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all factors. Conclusion: The professional image was changing during the grade of the special teachers in pre-service.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업이미지를 예비특수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전국의 특수교육과 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설문지는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기초조사를 제외한 본 설문문항은 Likert식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전국에 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의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t-test와 F 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이미지 인식은 전문적 자질, 역할, 인성, 지원요구, 정서 그리고 신체․외모 요인 등 총 6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이미지 인식은 학년, 자원봉사 경험, 그리고 전공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특수교사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이미지 인식 구성요인 중 전문적 자질과 역할 요인의 상관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특수교사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이미지 인식은 교사양성과정을 통해 변화하고 발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교사양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교현장실습 경험이 예비 특수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권충훈,이형하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test of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between pre-service special teacher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Based on the pre- and post- test scor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73 pre-service special teachers(31 student of dept. of elementary special edu. and 42 student of dept. of early childhood edu.) at K university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quired and discussed from the outcomes of chang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between pre-service special teacher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t 7 categories, negative changes at 2 categori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school types(special education teacher vs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eaching practicum, the chang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happened on much more and variously. Thir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career of a guidance teacher(below ten years and more than ten years), happened on the group of the less than ten years much more and variously. Specially, the group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less than ten years of guidance teacher experienced much more positive changes. 본 연구는 2013학년도부터 모든 교원양성기관에서 도입한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와 관련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실습이 예비 특수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확인 및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G광역시 소재 K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31명, 유아교육과 42명(총73명)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에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하위 14개 영역별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 전체 예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는 14개 영역 중 7개 영역에서 의미 있는 증가를, 2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예비 특수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결과는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예비 특수교사는 3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1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예비 유아교사는 7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1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셋째, 학교현장실습 지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결과는 예비 유아교사의 경우가 보다 많은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교육경력 10년 미만의 지도교사에게 지도를 받은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결과가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대한 선호도 분석

        강민주(Kang Min Joo),이성하(Lee Seong Ha),이문정(Lee Mun Jo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1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교사교수활동, 학생학습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8개 지역(강원, 경남ㆍ부산, 경북ㆍ대구, 광주ㆍ전남, 충청)에 특수교육학과가 개설된 대학교의 예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특수교사는 특수학급보다는 특수학교에서 교사교수활동을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장애학생의 학습활동은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급의 교사교수활동에 대한 선호도 차이는 중등특수교육 전공자일수록, 학년은 1학년일수록 더 많은 기대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역별로는 대구ㆍ경북지역 예비특수교사들이 특수학급의 교사교수활동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수학교 학생학습활동에서도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특수교사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교사교수활동과 학생학습활동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예비특수교사의 교사교수활동 및 학생학습활동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pective teachers' preferences of special schools and classes.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consist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spective teachers prefer special classes over special schools for the teaching activity factors. They anticipate that special schools have more chances of interchanging colleagues' idea than special classes have. In addition, they have a lot more expectation on special schools than special classes for the handicappe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Second, in the group expectation analysis about the teaching activitie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classes, younger prospective teachers (especially freshmen) have high expectations on the special classes' teaching activities. They anticipate that special classes include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more than special schools do. The prospective teachers in Daegu, Gyeongbuk area have low expectations on the teaching activities of special schools and classes. Third, correlation analysis of factors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refore, prospective teachers prefer special schools for teaching activities and special classes for learning activities.

      •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한 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이미지 탐색

        권혜진(Kwon, Hye-Jin),유영의(Yoo, Yung-Eui),이상희(Lee, Sang-Hee)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5 특수·영재교육저널 Vol.2 No.2

        본 연구는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와 유아교사에 대한 역할이미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년제 S대학교 특수교육과 예비교사 31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와 유아교사 이미지를 은유(metaphor)와 이를 설명하는 그림, 텍 스트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은유, 그림, 텍스트 자료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의 역할이미지는 행동수정전문가, 안내자, 가능성과 잠재력 발견자, 양육자, 발달지원전문가, 개별화교 육전문가, 인내와 도전의 전문가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교사의 역할이미지는 안내자, 양육자, 준비교육자, 발견자, 학습의 모델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이미지 특성 분석을 통해 통합교육의 실질적인 성공을 도모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ages of special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1 pre-service teachers were sampl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mong those students whose major are in Special Education at A University and attending the course of self‐development projects. Participants were surveyed on how they perceived special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were analyzed through hermeneutic interpretation. In the final analysis, data from 30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ole images of special teacher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ere behavior modification specialist, guide, possibility and potential discoverer, supporter, developmental support expert,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expert, patience and challenges expert, etc. Second, the role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ere guide, supporter, preparation educator, discoverer, class modeler, etc.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e images about special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teachers,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study discussed about the substantial success of integra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