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간 영성지도 : 『영신수련』와 『천주실의』를 중심으로

        이강학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In Korean churches, interests in spiritual direction have been greatly increased.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society enlarges research topics on spiritual direction. On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direction and cultu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historic example of cross-cultural spiritual direction, especially for a Confucian culture. Specifically, It first of all focuses on the spiritual direction practiced by Ignatius of Loyola (1491-1556). We can find Ignatius’ methods of spiritual direction saliently in the Spiritual Exercises and his letters. Then, by exploring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天主實義), the work written by the first Jesuit missionary to China, Matteo Licci (1552-1610), it studies how the Ignatian spiritual direction had adapted on the Chinese Confucian culture. As a Jesuit, Licci knew very well the contents of the Spiritual Exercises and practiced many times the Ignatian spiritual direction based on the Spiritual Exerices. This paper finds that in writing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Licci used many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direction shown in the Spiritual Exercises. He followed the principle of “adaptation” as his strategy for mission, which is emphasized for taking care of directees in the Spiritual Exercises. Licci’s choice of sangje(上帝) as the Creator and Father God’s name, his description of the human nature and the heaven and the hell, and his suggestion of examination of consciences and fasting as ways of self-cultivation also find their parallels in the Spiritual Exercises. In sum, Licci wrote the True Meaning in order to prepare Ignatian spiritual direction for Chinese people in the Confucian culture. As Licci had shown, it is important that the director understands and respects the directee’s various cultural perspectives on God, human nature, spiritual disciplines, and spiritual experiences. As Licci’s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was very influential to Chosun as well as China, cross-cultural spiritual direction in this way can be fruitful. 한국교회에 영성지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다. 현대 사회의 다양성에 비추어볼 때 영성지도의 연구 주제는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그 중 하나가 영성지도와 문화의 관계이다. 이 글은 문화간 영성지도의 역사적 예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교와 유교의 만남을 영성지도의 관점에서 다룬다. 구체적으로, 먼저 이냐시오 로욜라(1491-1556)의 영성지도가 지닌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냐시오가 영성지도를 준 방법은 다양했다. 그 중 두드러지는 두 가지는 『영신수련』을 사용하는 방법과 편지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마테오 리치(1552-1610)가 쓴 『천주실의』를 살펴보면서 이 작품이 어떻게 이냐시오의 영성지도를 중국 유교 문화에 적용했는지를 살펴본다. 예수회 소속 선교사인 리치는 『영신수련』에 기반한 영성지도를 여러 차례 경험했기 때문에 『영신수련』의 내용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 이 논문은 『천주실의』를 쓰면서, 리치가 『영신수련』에 나타난 영성지도의 많은 특징들을 사용했다는 점을 밝힌다. 리치의 선교 원칙인 “적용”(adaptation)은 『영신수련』에서 피지도자를 위해 강조되고 있었던 것이다. 리치가 창조주 하나님의 중국 이름으로 상제(上帝)를 선택한 것, 인간의 본성 및 천국과 지옥에 대한 묘사, 그리고 자기 수양의 방법으로 양심 성찰과 금식을 제안한 것 등은 『영신수련』에 기반한 영성지도가 유교 문화에 가능하도록 적용한 예이다. 결론적으로, 리치가 『천주실의』를 쓴 목적 중 하나는 유교 문화권의 중국인에게 이냐시오 영성지도를 준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리치가 보여주었듯이, 영성지도에서 지도자는 하나님과, 인간 본성, 그리고 영성수련과 영적 경험에 대한 피지도자의 문화적으로 다양한 관점들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치의 『천주실의』를 통한 노력이 중국뿐만 아니라, 조선에까지 영향을 끼쳐 열매를 맺었던 것을 기억할 때, 영성지도자가 자기와 다른 문화권 출신의 피지도자를 진정으로 존중하고 이해하려고 하는 가운데 영성지도가 이루어진다면 영성지도는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서 좋은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예술목회를 위한 영성수련: 상상적 관상을 중심으로

        이주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6 No.-

        하나님의 신비한 은혜를 체험한 영혼은 그 초월적 경험을 심미적 혹은 미학적 언어를 통해 표현한다. “신앙 감정론”의 저자인 조나단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경험한 사람들에게 새로운 감각, 즉 영적 감각이 주어진다고 주장하였는데, 그 특징 중에 하나는 현실 속에서 하나님의 영광과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깨닫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새롭게 깨우쳐진 영적 감각은 미학적 혹은 예술적 방법으로 표현된다. 더불어, 손원영에 의해 제기된 예술영성형성의 정의와 개념을 바탕으로, 목회와 사역현장에서 예술영성이 어떠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주요 담론으로 삼고 있다. 본 논문은, 예술영성이 목회와 사역현장에서 형성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영성수련과 실천이 수반되어야 함을 전제하고, 그 이론적 근거를 기독교 영성학을 통해 밝히고 있다. Sandra Scheniders에 따르면, 학문으로서의 기독교 영성은 인식론적 지식보다는 존재론적 지식을 지향한다. 존재론적 지식은 개인의 경험적 세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데, Liebert는 존재론적 지식의 새로운 형성과 인식의 변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경험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 경험을 이끌어낼 수련과 실천이 수반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Liebert는 “공유되고 자기-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살아있는 영성에 관한 경험”으로 “실천practice”를 정의하면서, 영성실천을 통해 지식과 지식습득자 사이의 관계를 간주관적 경험으로 발전시켜야 존재론적 지식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영적 감각을 일깨울 새로운 경험을 위해 본 논문은 이냐시오의 영신수련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관상기도에 거룩한 상상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주문한 이냐시오의 영신수련을 통해 현대 기독인들에게 영적 변화와 성장의 경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건설적 대안을 발견한다. 상상력을 통한 관상을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삶을 묵상한 영혼의 내면엔 실존적이고 존재론적인 지식이 형성되며, 영적 감각이 일깨워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상상적 관상을 통한 영성 수련은 영적 감각을 일깨우고, 미학적 경험과 예술적 표현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목회적 상황에서 예술영성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영성수련 방법으로는 두 가지 상황을 예시로 들고 있다. 첫째는 헨리 나우엔의 “돌아온 탕자”이며, 두 번째는 설교 시간에 강대상에서 화가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예배 형태를 구성한 “Vintage Faith Church”이다. 예술적 표현방법이 어떻게 목회현장에서 영적 감각을 일깨우고, 영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증명하고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육적 적용에서는 선생님들의 영성지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 soul/spirit who has been experiencing the mysterious grace of God tends to employ the artistic or aesthetic languages to explain the transcending experience. In “Treaties on Religious Affection,” Jonathan Edwards elucidates that the salvific grace of God would equip peoples with new spiritual senses which enable them to acknowledge the beauty and glory of God in realities. Thus, the newly awakened spiritual senses are highly likely to be embodied by/with artistic or aesthetic methods or expressions. Based upon the definition and concepts of artistic spiritual formation initially raised by Sohn, this research made endeavor to explore the way in which artistic spirituality could be incarnated in Christian ministry and pastoral ministry. Supposing that artistic spiritual formation should be initiated and embodied by spiritual exercises and practices in Christian ministries, this study introduced Christian spirituality as academic discipline as well as its theological foundation. Sandra Scheniders notes that Christian spirituality makes pursuit to build on ontological knowledge, rather than epistemological one, since the former is counting on personal or existential experiences than the latter. Resonating with it, Elizabeth Lieberts also argues that spiritual renewal or transformation is supposed to have new experiences, and it is inevitable to have spiritual practices in order to arise new experiences within a soul/spirit. Defining the spiritual “practice” as a “shared self-critical experiences regarding a reflective lived spirituality“, Lieberts firmly convinces us that the ontological knowledge would be emerged by prompting the inter-subjective experiences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known. Spiritual Exercises of Ignatius of Loyola is introduced as practical or theoretical frame to awake new spiritual senses within a soul/spirit since Ignatius’ method strongly facilities imaginative capacity in contemplative prayer method. The contemplation equipped with imagination could effectively assists a soul/spirit to meditate the life of Jesus and to internalize it in an intimate way. It offers critical avenue to awake new spiritual senses so that existential or ontological knowledge would eventually be emerged in a soul/spirit. The awaken soul/spirit by imaginative contemplation could express or represent the inner experiences with artistic or aesthetic methods. Two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posed as good examples of artistic spiritual formation in Christian ministerial context. The first is the Henri Nouwen’s reflection on “the Prodigal Son,” and the second is the artistic worship formation of Vintage Faith Church. They specifically demonstrate in the ways how the artistic methods or expressions would awake spiritual senses and bring about spiritual transformation in Christian ministry. At last, the study suggests spiritual direction as Christian ministry and educational program to the teachers within Christian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동학 영성 수련의 특징으로서 자각

        김영철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ual meaning of spirituality in Donghak, and the method of training. The core of thought of Donghak is the concept of Si-cheon-ju that Suun claims. So, the key to spirituality and training of Donghak is to realize thought of Si-cheon-ju, namely, awareness. There are processes and procedures in order to recognize the spirituality of Donghak, that is, to restore the spirit of Si-cheon-ju and not to be different from Hanwol. Donghak spirituality and training is said to complete the personality of oneself. This means that one is aware of Si-cheon-ju and experiences that it is not different from Hanwol. The training of Donghak is a study to realize its own nature. The method of training Donghak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method of training emphasized in the training of Donghak for the perfection of personality takes the method of Soo-sim-jeong-gi emphasized by Suun. Next, what is important in the training is the Three-gyung's attitude. And there is the Sim-go of telling everything to Hanwol in everyday life. Lastly, what is practiced the most is the incantation, which is a method of training and a training method that makes the state of being able to experience Hanwol without feeling greedy and relaxed by itself as a tool. Through this practice, Donghak aims to open up a new world in which the individual is personally perfected and the world widely known as principle.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영성이 갖는 개념적인 의미와 더불어 수련이 갖는 의미와 방법 등을 밝히는 데 있다. 동학사상의 핵심은 수운이 설파한 시천주(侍天主)사상이다. 그래서 동학의 영성과 수련의 핵심은 시천주를 깨닫는 것, 즉 자각에 있다. 동학의 영성, 즉 시천주의 정신을 회복하여 한울님과 서로 다르지 않음을 인식하기 위한 수련에는 과정과 절차가 있다. 동학 영성과 수련은 스스로의 인격완성이라고 했다. 이는 곧 사람이 시천주를 자각하여 한울님과 서로 다르지 않음을 체험하는 것을 뜻한다. 동학의 수련은 주문공부, 마음공부 그리고 연성수도 등으로 불러진다. 즉 주문과 마음 그리고 자기 자신의 본성을 깨닫는 공부라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동학의 수련하는 방법, 즉 수련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먼저, 인격완성을 위해 동학의 수련에서 강조되는 수련법은 수운이 강조한 수심정기의 방법을 취한다. 다음으로 수련에서 중요한 것은 성경신(誠敬信)의 마음가짐이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을 한울님께 고하는 심고(心告)가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로 가장 많이 행해지는 것은 수련을 위한 방법이자 도구로서 그저 외고만 있으면 저절로 마음이 편안해지고 욕심이 없어지면서 한울님을 체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수련법인 주문(呪文)이다. 동학은 이러한 수련법을 통해 개인의 인격적 완성과 더불어 세상을 널리 도(道)로써 밝히는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하는 것이다.

      • 에니어그램과 영성 관련 국내연구의 분석

        이미련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0 에니어그램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과 영성 관련 국내 학위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에니어그램 연구 중 영성에 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에니어그램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켜 에니어그램에 대한 적용을 확대시키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국회전자도서관의 DB를 사용하여 검색한 에니어그램 논문 중 영성과 관련된 12편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논문의 핵심어 4가지, 즉 영성 고찰, 영성 상담, 영성 수련 및 영적 성숙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다. 영성고찰에 대한 논문에서는 9가지 성령의 열매와 9가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간의 연관성에 대해 서술되어 있었으며 성서 속 인물들을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영성상담 관련 연구는 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활용한 신앙지도 및 상담에 대한 조사연구였다. 또한 영성수련에 관한 연구에서는 기도를 중심으로 영성수련 방법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적성숙을 다룬 논문에서는 각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로 그리스도인의 성장과 회복방안을 설명하였으며 에니어그램을 통한 인격성숙과 영적성장에 대해 제시되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에니어그램 연구에서는 에니어그램 연구 중 영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영적성숙을 위한 에니어그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기독교 영성요소 개발 및 영성수련에 관한 연구

        정용구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4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1 No.1

        기독교의 본질은 절대적인 사랑 안에서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되어지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사랑은 먼저 하나님 안에서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며,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다. 이처럼 사랑의 최소 단위가 바로 자신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에니어그램은 자기 자신이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자원을 풀어 보는 것과 같다. 이처럼 많은 자원을 받은 인간은 이것을 나누며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 하나님에 대한 합당한 삶의 원인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신 안에 있는 자원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어떤 자원들이 있는지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본질과 성격을 다른 개념으로 구분하는 에니어그램의 관점을 인간의 경험적 자아인 거짓 자아를 넘어서 참 자아를 인식하고 실현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참 자아로 살아가는 것은 하나님의 형상과 맞닿아 있는 본질을 회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에니어그램과 연관된 영성의 발달 단계를 기독교 영성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기독교 영성적 측면에서는 구약, 신약성서 속에서의 영성적 요소를 단계별로 살펴보고 이를 통한 영성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건강한 신앙적 성숙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함의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런 영성적 요소를 에니어그램심리역동체계와 연결하여 실제 영성훈련에 활용될 수 있는 부분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교회사회사업 프로그램으로서 영성수련회에 대한 효과성 검증

        유장춘(Jang Choon You),강병덕(Byung Deok K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3 No.-

        This thesis will be about a study of the experience of the internal change of the people who attended ‘Finding the Beautiful World’, the first stage of Dail spiritual training program. The study is based on the quantitative inquiry of the postscript and survey of the people after the training. As a result of the survey , first of all, the participants showed great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program. Second, through quantitative inquir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erspective and idea of oneself and the world has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training. Third, the training could be evaluated as it attributed to the participants to become positive toward God, neighbour, family and themselves. It is clear that this spiritual training had great impact on the participants by seeing them forgiving their most unforgivable people in their lives throughout the training. 본 논문은 다일공동체의 영성수련 프로그램 1단계 ‘아름다운 세상 찾기’에 참석한 사람들이 기록한 후기와 설문을 바탕으로 양적조사를 통하여 그들에게 일어난 내적인 변화의 경험을 제시한 연구이다. 이 조사의 결과를 통하여 먼저, 참여자들은 영성수련 과정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으며, 둘째로, 조사를 통하여 이 영성훈련이 개인에게 자기 자신에 대한 관점과 세상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높아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셋째로, 하나님, 이웃, 가족, 그리고 자신과의 관계에 대하여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특별히 용서할 수 없었던 사람들을 이 수련의 과정을 통하여 용서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은 이 영성수련 프로그램이 관계의 회복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일상과 영성의 통합의 관점에서 본 영성지도

        김경은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현대사회의 특징의 하나는 일상성이다. 일상이란 용어가 ‘매일의 삶에서 반복되는 것’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사소하고 무의미하다는 뜻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오늘날 사회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영역에서는 일상에 대한 관심이 주요한 학문적 주제로 논의되고 있다. 일상을 보는 시각은 두 가지다. 먼저 일상은 사회구조의 생산과 재생산, 개인의 생산과 재생산이 만나는 자리이기에 우리의 관심이 현재의 일상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현재에서 의미를 찾고 가치를 발견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일상을 소외의 관점에서 보는 것으로서 전인적 완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일상 속의 한 개인이 느끼는 무력감을 극복하기 위해, 삶의 토대가 되는 어떤 ‘양식(style)’, ‘생활방식(a way of life)’의 형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일상의 삶을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의 시간, 충만한 생명력을 느끼는 공간으로 경험하기 위해 신자들의 삶에 필요한 것은 매일의 삶에서의 영성형성이라고 제안하면서, 이를 돕기 위한 사역의 하나로서 영성지도를 제안했다. 일상의 삶과 영성지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는 연구 사례(case)로서 스코틀랜드 장로교인들의 영성지도를 선택하여 피지도자들의 영성지도 경험을 살펴보았다. 스코틀랜드 장로교인들이 참여하고 있는 영성지도는 이냐시오 방식의 영성지도였다. 이냐시오식 영성지도를 통해, 피지도자들은 ‘상상력을 이용하여 말씀으로 기도하기’와 ‘분별’을 자신들의 일상의 삶에서 실천하면서 일상의 삶을 새롭게 살게 되었다고 했다. 즉, 영성지도를 통해 자신들의 삶의 역사에서 하나님이 일하셨음을 보게 되었고, 오늘의 일상적 삶도 하나님과 함께 걷는 삶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변화를 얻게 되었다고 했다. 따라서 21세기 한국교회의 목회현장에서 이냐시오식 방법을 포함하여 영성지도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Everyday life’ is a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and dailiness can be defined as ‘rhythm as rules and repetition of everyday life.’ Everyday life means repetition, so it might be considered trivial and meaningless. Nevertheless, in today’s world, everyday life is discussed as a significant academic topic in a variety of academic fields including sociology. There are two different viewpoints in understanding everyday life. First, since everyday life is a place which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each person and social structure occur, our concerns have to be focused in the present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we should focus on the present and find the meaning in it. Second, people feel alienation and powerlessness in the present, so they need a ‘style, a formation of ‘a way of living’ which can be a foundation for their lives.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a space that Christians can feel a full communion with God and abundant vital force. Spiritual direction can be a ministry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experiences of spiritual directees in Scotl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everyday life and spiritual formation. The Scottish directees took part in Ignatian spiritual direction, and as a result came to see their life experiences and everyday life in a new perspective. They gained a new perspective of how God had been working in their life history and how their everyday life is a path working with God. For these reasons, this paper proposes that spiritual direction needs to be more active in order to revitalize Christians in the 21 century ministry.

      • 여성 역량강화의 관점에서 본 영성 수련

        김양희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0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Vol.2010 No.10

        과거 여성들이 가부장적 사회구조 속에서 내외적 갈등 해소를 위해 종교에 의탁했던 것이라면, 삶의 외적 조건들이 변화한 오늘날에도 여전히 종교에 천착하는 이유, 그리고 여성들이 영성 수련을 통해 무엇을 기대하고 획득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여성들 내면의 문제의 뿌리를 더듬어가는 작업이면서 동시에 내면의 억압을 비춰주는 거울이 된다. 이 과정을 통해 기존의 종교 담론에 포함되지 않았던 여성들의 목소리, 여성들이 내면화한 종교의 가부장적 서사, 종교를 통한 초월에의 욕망 등이 드러난다. 영성수련은 종교적 구도행위인 동시에 여성들이 자기탐구를 통해 내적인 힘에 눈을 뜨고 그것을 개발하는 유용한 정신적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연구목적을 가지고 중년여성들로 구성된 가톨릭 기도공동체 회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여성 신자들은 기도를 통해 자신이 겪는 갈등의 원인을 묻고 스스로에게 답을 구하는 내적 성찰의 여정을 시작한다는 점, 둘째, 여성들은 일상생활과 영성 수련이라는 두 공간을 오가면서 삶에 대한 통찰을 얻고 인간적 성숙을 이루며 내적인 힘을 갖춰 나간다는 점, 셋째, 여성들의 영성 수련은 잃어버렸던 내면의 ‘목소리’를 되찾는 과정이며 가부장제를 살면서도 그것을 넘나들 수 있는 힘을 익혀가는 과정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여성 신자들은 이러한 각성과 체험을 거치면서 점차 에고(ego)속에 위축됐던 자아상이 확장되고 내적인 힘(empowerment)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한다.

      • 성서의 십계명과 에니어그램심리역동의 영성수련적 접근의 상관성 연구

        정용구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6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3 No.1

        성서에서 나타난 절대적인 영성적 기준은 십계명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신앙적인 기준을 통한 영성적 생활 을 가능케 하는 규범일수 있다. 기존 에니어그램과 성서적 연구의 연관성 연구는 인물적 속성과 성서와의 연계에만 그친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성서속 인물적 원형이 십계명과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이 를 에니어그램심리역동의 욕구역동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 각의 욕구역동별 영성적 접근은 성서속 인물의 원형과 에니어그램의 욕구역동과의 연계성은 변화되기전의 성품인 격정을 인식하게 하고 성화훈련을 하게 함으로 변화된 성품이 되게 하는 중요한 심리적 연결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성서의 십계명과 에니어그램 영성수련적 접근과의 상관성은 명확한 영성적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이 건강한 욕구 의 정화, 성화까지 이루게 하는 과정임을 볼 수 있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에노미야 라쌀과 선(禪) ―영성과 책임의 대화―

        김명희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7 종교문화연구 Vol.- No.28

        The Catholic Jesuit priest Hugo Makibi Enomiya-Lassalle (1898-1990), who was sent to Japan as a missionary in the early 20th century, pursued a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through Zen meditation throughout his life. Lassalle was convinced that the Jesuits' spiritual training and the Zen meditation of Buddhism could go beyond the gap and walk the path of consilience. Thus he invented ‘Christian way of Zen meditation’ and spread it to Germany and Europe. He also attempted a dialogue of responsibility for social peace together with the spiritual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Zen. His Christian way of Zen meditation has become a ‘participating spirituality’ or ‘responsible spirituality’ that transcends individual spirituality and is responsible for the well-being and peace of society. Lassalle pursued a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through Zen meditation, that is the thought of nothingness, not through the doctrine or concept of religion. The Zen medit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nothingness, could be accepted as a meditation method of Christianity. His Christian way of Zen meditation is still popular in Europe, including Germany and Switzerland. Lassalle’s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through the Zen meditation is also required in Korea’s multi-religious society. Especially, Lassalle’s Christian way of Zen meditation is needed in order to break down the wall of impassibility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Protestantism),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s, This study investigates Lassalle’s dialogue with Zen in three main directions. First, it examines Lassalle’s spiritual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Zen. The method of how the Jesuit spiritual training and Zen can be met is studied through the book Zazen und die Exerzitien des heiligen Ignatius written by Lassalle. Second, the dialogue between Zen and Christianity is examined as a dialogue of responsibility of Lassalle. In particular, centering on Lassalle-Haus founded by the Jesuit priest Niklaus Branchen, the meaning of the dialogue of responsibility pursued by Lassalle and how it is being practiced today are examined. Finally, it is diagnosed whether the spiritual and responsible dialogues of Lassalle through Christian way of Zen meditation could be possible for Korea’s multi-religious society. 20세기 초 일본에 선교사로 파견된 가톨릭 예수회 신부 에노미야 라쌀(H. M. Enomiya-Lassalle, 1898-1990)은 선(禪)을 통해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대화를 추구하였다. 라쌀은 예수회의 영신수련과 불교의 좌선이 차이를 넘어 통섭의 길을 걸을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그리스도교적 선 명상’을 창안해 독일과 유럽에 보급시켰다. 라쌀은 그리스도교와 선의 영성적 대화와 함께 사회평화를 위한 책임의 대화도 시도하였다. 그의 그리스도교적 선 영성은 사회의 안녕과 평화를 책임지는 ‘참여영성’ 혹은 ‘책임영성’이 되었다. 본 논문은 라쌀의 선과의 대화를 세 방향에서 다루었다. 첫째, 라쌀의 선과 그리스도교의 영성적 대화를 고찰하였다. 라쌀의 저서 『좌선과 성 이냐시오의 영신수련』을 통해 예수회의 영신수련과 선이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둘째, 라쌀 하우스를 중심으로 라쌀의 책임의 대화로서 선과 그리스도교의 대화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라쌀의 그리스도교적 선 명상을 통한 영성적‧책임적 대화가 한국의 다종교 사회에 가능한지 진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