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연악에 나타난 서역음악의 체계적 특징

        이보형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8 No.-

        중국의 연악(燕樂)이 인도와 같은 서역음악의 영향으로 생성된 음악이지만 중국의 고대 연악에서 서역음악의 체계적 특성을 찾기는 힘들게 되었다. 그 이유는 중국 연악에 나타나는 체계적 특성이 중국 고대 아악(雅樂)의 음악 체계적 특성의 영향으로 변한 데 기인하는 것이라고 봤다. 필자는 중국의 고대 연악에서도 동주음계명을 썼을 것으로 보고 중국 초기 연악 문헌을 살펴 서역 음악적 체계 흔적을 찾아 낸 것이다. 서역음악의 계명체계는 동주음계명(同主音階名 Cognat Syllable Names)체계로 되었고 중국 아악의 계명체계는 병행계명(Parallel Syllable Names)체계로 되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먼저 중국의 연악에서도 초기에는 동주음계명체계로 되었으나 이윽고 병행계명체계로 변한 것으로 보고 중국 연악에 병행계명체계의 흔적을 찾아 본 것이다. 서역음악의 동주음계명체계에서는 선법들을 동주음 배치법을 사용하고 중국 아악의 병행계명 체계에서는 선법들을 병행 배치법을 사용하였는데 중국 초기 연악에서 선법의 동주음 배치법을 찾아보니 중국의 [소지파 7조(蘇祗婆 七調)] 및 [사원 7궁 12조(詞源 7宮 12調)]와 같은 많은 중국 연악 문헌에서 선법의 동주음 배치법 흔적을 찾아냈다. 또 중국 아악의 선법 명명법에는 궁조, 상조와 같이 체계 명명법을 주로 쓰는데 비하여 서역의 선법 명명법에는 반섭조, 사타조와 같이 고유 명명법을 쓰는데 [당 연악 28조(唐 燕樂 二十八調] [사원 7궁 12조]와 같은 중국의 초기 연악 문헌에는 체계 명명법과 고유 명명법이 두루 쓰이고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와 같이 중국의 초기 연악 문헌에 동주음 선법 배치법과 선법 고유 명명법을 쓴 흔적이 보이는 것으로 봐서 중국 초기 연악에는 동주음계명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서역음악에서는 인도의 [davasa svara upaparamana mela)]라 이르는 [7조(key) 12음 배치법]이 있는데, 이것은 7음평균율 악기로 동주음계명으로 된 여러 선법의 구성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생성된 지시 방법이다. 이것이 중국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중국 연악에 7음평균율이 쓰였는지 살펴보니 중국 왕유진(王維眞)이 그의 한당대곡연구(漢唐大曲硏究)에서 소지파(蘇祗婆) 7조의 선법 구성음 지시음계를 7음평균율로 해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이 중국의 연악에도 동주음계명체계로 구성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7음평균율이 쓰였다는 것에 대한 방증이 되는 것이다. 인도 [7조(key) 12음 배치법]에는 제1Key, 제5Key에서 1개의 구성음을, 제2Key, 제3Key, 제4Key, 제6Key, 제7Key에서 2개의 구성음을 지시하는 구조로 되었다. 중국 연악에도 이런 서역음악의 [7조 12음 배치법]이 있었는지 찾아보니 [사원 7궁 12조(詞源 七宮 十二調)]와 [사원 고금자보(詞源 古今字譜)]와 같은 여러 연악 문헌에서 제1Key, 제5Key에서 1개의 구성음을, 제2Key, 제3Key, 제4Key, 제6Key, 제7Key에서 2개의 구성음을 지시하는 법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로써 서역음악의 영향으로 중국연악에서도 [연악 7조 12음 지시법]이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필자는 본 논문에서 중국 연악의 기보법인 공적보(工尺譜) 생성에도 서역음악의 7조 12음 지시법의 영향이 있었던 것을 밝혔다. 명 청대(明 淸代) [공척7조(工尺七調)]와 [사원 고금자보(詞源 古今字譜)]와 같은 고대 공척보 문헌을 비교하여 보니 서역의 7조 12음 지시법의 영향으로 중국의 적상번7조(笛上飜七調)과 같은 체계가 제1Key, 제5Key에서 1개의 구성음을, 제2Key, 제3Key, 제4Key, 제6Key, 제7Key에서 2개의 구성음 지시법을 쓰고 있어 중국 공척보 또한 서역 7조 12음 지시법의 영향으로 생성되었고 이것이 중국 아악의 체계로 바뀌면서 명 청대(明 淸代) 공척7조(工尺七調)로 바뀌었다는 것도 밝혀낼 수 있었다. 필자는 이미 다른 논문에서 서역음악의 [7조 12음 배치법]이 중국을 통하여 들어 온 것이 한국 향악에 [향악 7지 12음 배치법]이라는 것을 밝힌 바 있다. 그리고 이런 중국의 연악의 [7조 12음 배치법]이 한국의 향악 7조 12음 배치법 생성의 배경이 되었다는 것은 이미 이숙희 박사에 의하여 밝혀진 바 있다. 결국 [인도 7조 12음 지시법]의 영향으로 중국의 [연악 7지 12음 지시법]가 생성되고 이것의 영향으로 한국의 [향악 7조(지) 12음 지시법]이 생성되었고 이것이 변하여 악학궤범 향악 7조 12음 지시법이 생성되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Yeonak (燕樂) is localized Chinese music that came from Seoyeok region, located in ‘the west from China,’ including India, and the central and West Asia, but the earliest forms of yeonak hardly show any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Seoyeok music. This is because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yeonak had been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ancient Chinese aak (雅樂). Thus, this study traces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Seoyeok music by examining literature on ancient Chinese yeonak. Firs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ognate syllable names (同主音階名) of Seoyeok music was changed into parallel syllable names of Chinese aak, and then that the cognate arrangement of the modes employing cognate syllable names was changed into the parallel arrangement of the modes employing parallel syllable names. It seems that the twelve-tone arrangement of seven modes was changed into seven-tone arrangement. This study finds the evidence of the cognate arrangement of modes in the literature on Chinese yeonak such as Sojipa seven modes (蘇祗婆 七調) and Sawon seven gung twelve modes (詞源 7宮 12調). It demonstrates that the ancient yeonak used cognate syllable names. Chinese scholar Wang Yujin (王維眞) in his study (漢唐大曲硏究) argues that the seven-tone scale existed in China by analyzing sojipa mode as seven-tone scale; the twelve-tone arrangement of seven modes (davasa svara upaparamana mela) in Indian music was to make seven-tone scale instruments play several modes employing cognate syllable names. This study finds the systematic theory of twelve-tone scale of seven modes in Seoyeok music in the literature such as Sawon seven gung twelve modes and Sawon gogeumjabo (詞源 古今字譜). The seven-tone scale was made to refer seven-tone scale instruments to play modes employing cognate syllable names. This study finds in Sawon gogeumjabo that the notation system of yeonak called gongcheokbo (工尺譜) was influenced by the twelve-tone scale of seven modes of Seoyeok music. First, jeoksangbeon seven modes (笛上飜七調) of China was created by the twelve-tone scale of seven modes of Seoyeok music, and then it was changed into gongcheok seven modes (工尺七調) in Ming-Qing Dynasty as it was changed into the system of Chinese aak. As a result, it demonstrates that Chinese yeonak was created by the system of Seoyeok music. My earlier study, “A Study on the Hyangakchilji Principle of Referring Twelve tone of the Modal Tonic,” argues that the referring principle of producing twelve tones with seven keys of instruments that was found in Korean hyangak was influenced by that in Chinese yeonak, further by that in Seoyeok music. This study supplements the process that the referring principle of producing twelve tones with seven keys found in Chinese yeonak was influenced by that of Seoyeok music.

      • KCI등재

        당 태종의 악무 관념과 악무 발전에 대한 공헌

        남종진 ( Jong Jin Na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중국의 무용사에 있어서 당대(唐代)는 연악(宴樂)의 황금시대로 꼽히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은 그 서막을 연 인물이었다. 하지만 그는 ‘십부악(十部樂)’을 완비하여 당 연악(宴樂)의 기본 골격을 갖춘 이외에도 ‘대당아악(大唐雅樂)’을 제정하여 당 아악(雅樂)의 기본 체계를 마련하였는 등 아(雅)와 속(俗)을 아우르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것은 당 초기의 정치적 통일에 따른 산물이기도 하지만 악무(樂舞)에 대한 태종의 독창적이고 개방적인 사고에 기인한 바가 컸다. 태종은 유가(儒家)의 악무에 대한 전통적 관념인 ‘물동심감론(物動心感論)’이나 ‘악여정통론(樂與政通論)’을 부정하여 악무는 사람의 마음을 근본적으로 움직일 수는 없으며 국가의 흥망성쇠도 악무와 직접적 연관성은 없다고 생각하였다. 오히려 삶이 즐거우면 악무도 조화로워진다는 인식 아래 ‘인화(人和)’를 통한‘악화(樂和)’를 내세웠다. 태종의 악무에 대한 인식은 악무 관련 정책이나 새로운 악무의 창작 등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었다. 그는 종래의 인습적 사고에서 벗어나 망국(亡國)의 음악과외래의 음악을 수용하는 개방성을 통하여 ‘대당아악’을 제정하여 예악제도를 세우고, ‘연악(燕樂)’을 만들어 ‘십부악(十部樂)’을 완비하고, 새로운 연악(宴樂)을 창작함으로써 당의 악무 제도를 조속히 정착시켰고 또 연악의 황금시대를 선도하였다. This paper were researched to the emperor Taizong`s thoughts and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music and dance in the Tang dynasty. Emperor Taizong was opposed to the Confucian`s traditional idea for music and dance. He thought music can not shake heart of human being, and thought music can not directly affect the rise and fall of nations. All these perspectives compared with the Confucian`s traditional idea for music and dance is contrary. On the other hand, he regard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ty of people and harmony of music is very important. He was not bound by the traditional way of thinking, readily accepted fallen nation`s music and foreign music. It came from his creative and open mind for music and dance. Based on these ideas, he had laid the foundation of the Royal ancestral rites ritual music(雅樂) and the Royal feast music(宴樂) in the Tang Dynasty. Thus he has enacted the ‘Great Tang’s Yayue`(大唐雅樂) and the ‘Ten kinds of music’(十部樂). It was settled nation`s music and dance system in the early Tang dynasty. Furthermore, It led to the development of music and dance in the middle Tang dynasty.

      • KCI등재

        태종(太宗),무칙천(武則天),현종(玄宗)의 당대(唐代)전기 악무(樂舞)발전에 대한 공헌

        남종진 ( Jong Jin Na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4 No.-

        중국의 무용사에서 唐代는 宴樂이 크게 번영한 시기였다. 특히 太宗貞觀연간부터 玄宗開元연간까지는 연악의 황금시기로 꼽힌다. 이 기간에는 <大唐雅樂>을 제정하여 국가의 예악제도를 정비하고, 수나라에서 계승한 연악을 十部伎로 개편하고, 樂舞관련 기구를 확대하여 전문 藝人을 양성하고, ‘雅’와 ‘俗’을 아울러 다양한 양식의 樂曲을 창작하고, 音律에 관한 전문 樂書를 편찬하는 등 연악의 발전에 있어서 돋보이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당나라 초기의 정치적 통일에 따른 사회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의 산물이었지만 또한 군주의 악무에 대한 애호와 적극적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太宗, 武則天, 玄宗은 당시 연악의 발전을 이끈 핵심인물이었는데, 그들이 악무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악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이루었다. 태종은 악무가 정치와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儒家의 樂舞觀을 부정하고 악무를 통하여 人和를 추구하여, 이전 왕조의 악무를 기꺼이 수용하였고 또 외래악무와 민간악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연악 발전의 토대를 다졌다. 둘째, 아악을 제정하고 악무 제도를 확대 개편하여 악무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태종은 大唐雅樂<十二和>와 선조의 廟樂을 제정하고 十部伎로 대표되는 당대의 연악 시스템을 마련하였으며, 무측천과 현종은 그런 바탕 위에서 十部伎를 <立部伎>와 <坐部伎>로 개편하고, 敎坊을 확대하고 梨園을 설치하여 악무기구를 전문화하고 인력 양성의 전문화와 효율화를 기하여 악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였다. 셋째, 새로운 악무와 樂章을 만들어 악무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였고, 또 악무에 관한 이론서의 편찬을 이끌어 악무의 이론적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태종은 <燕樂> 4종을 만들었고, 무측천은 <聖壽樂>과 <鳥歌萬歲樂> 등을 지었으며, 현종은 <光成樂>, <龍池樂>, <霓裳羽衣> 등 많은 新樂을 창작하였다. 또 무측천은 <十二和> 등의 廟樂에 새로운 樂章을 지었고, 樂律學에 관한 전문 저술인 『樂書要錄』의 편찬을 주도하여 악무의 이론적 발전에 공헌하였다. The age of Tang唐dynasty was the period when the Royal feast music and dance宴樂highly developed in the history of Chinese dance. Especially, the peaceful period from the Emperor Taizong’s reign to the Emperor Xuanzong’s was its golden age realized by social stability and economic growth after the unification of Chinese mainland by Tang. Meanwhile, the prosperity of the Royal feast music and dance also owes much to the passionate liking and active support of the Emperor Taizong, the Empress Wu Zetian and the Emperor Xuanzong for it. Their contribution to its development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aspects. First, they changed the traditional idea of court music and dance. Taizong denied the Confucian concept that music and dance should be involved with political intent while accepting foreign music and dance that had been criticized by Confucian sect as ruinous to the country, which also reflects Taizong’s pursuit of harmony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music and dance. Second, they modified and reformed previous system of court music and dance. Taizong composed the Royal ancestral rite music of Great Tang大唐雅樂and made the institutionalized system of the Royal feast music and dance represented by Ten kinds of court music and dance十部伎. Wu Zetian and Xuanzong reformed Ten kinds of court music and dance into Li-Buji坐部伎and Zuo-BuJi立部伎to improve their artistic quality. Further, Xuanzong newly expanded Jiaofang敎坊and established Liyuan 梨園to train professional court performers. Third, they composed new music and dance items and wrote theoretical books on music and dance. Taizong, Wu Zetian, Xuanzong newly com- posed new items including <Music of Pozhen 破陣樂>, <Music of Niaogewansui鳥歌萬歲樂>, <Music of Nichangyuyi霓裳羽衣> respectively, and the Empress Wu Zetian contribut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rhythmics by compiling <Selections from Music Books樂律要錄>.

      • KCI등재

        尙州 淵嶽書院과 九曲文化

        李九義(ku-eui Lee)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1 No.-

        이 논문에서는 상주 연악서원(淵嶽書院)과 연악문회(淵嶽文會), 연악구곡(淵嶽九曲)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52년 영천(靈川) 신잠(申潛)이 상주 목사로 부임하여 지천서당(智川書堂) 을 비롯하여 18곳에 서당을 건립하여 상주의 교육을 일으켜 많은 선비를 배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 이 서당이 불타버리자 1702년(숙종 28)에지방 유림의 공의(公議)로 서원을 창건하였는데 이 서원이 바로 연악서원이다. 1622년 5월 25일부터 연악서재(淵嶽書齋)에서 15명의 선비들이 4박 5일동안 연악문회에서 남긴 시문집이다. 이 책은 상산(商山)에서 나온 공동시집으로서는 최초이다.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전반에 걸쳐 살던 상주의 선비들이문회(文會)를 열어 당시 상주의 문화를 크게 진작시켰다. 연악구곡(淵嶽九曲)은 남계(南溪) 강응철(姜應哲, 1562~1635)이 상주시 청리면 지천동(智川洞)에 설정하고 경영했던 구곡원림(九曲園林)이다. 연악구곡이라는 이름을 붙인 시기는 1598년부터 1608년까지라 단정할 수 있다. 연악구곡에 대하여 읊은 시에는 자연의 좋은 경치와 아울러 그들의 학문과 풍류를 겸하고 있음을 직, 간접적으로 드러나 있다. 학문하는 선비들이 단지학문만 한 것이 아니라, 자연을 완상하면서 이를 즐길 줄 알았다. 연악서원이자리 잡은 곳에 연악구곡이 있어 이를 겸하기에 아주 적합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로 이곳, 상주(尙州) 청리(靑里) 지천(智川)을 중심으로 학문과 문학을 겸하는 선비가 많이 배출되었다. 16세기부터 이곳을 중심으로 학문과 문학이 발달한 것은 다음 몇 가지 이유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이 당시에 이 지역에서 훌륭한 목민관을 만나 인재가 많이 배출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당시에 이곳이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이곳은 유서 깊은곳이었기 때문이다. 넷째 이곳은 교통의 요충지라는 점이다. 이와 같은 몇 가지 이유로 16세기부터 이 연악을 중심으로 인재가 배출되었고, 학문과 문학이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rivate school of Yeonak, the meeting to compose poetry of Yeonak, and the Nine rolling Valley of Yeonak in Sangju. The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1552, Yeongcheon Shinjam was appointed as the pastor of Sangju and built 18 village schools, including Jicheon village school. When this village school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702 this private school was built in honor of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and enshrined their mortuary tablets. This private school is the Yeonak private school. This is a collection of poems left by 15 scholars at the meeting to compose poetry in Yeonak for 5 days and 4 nights from May 25, 1622. This book is the first joint poetry collection from Sangsan. From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scholars of Sangju held a literary meeting, greatly promoting the culture of Sangju at the time. The Nine rolling Valley of Yeonak is a a grove of nine rolling valley that was established and managed in Jicheon-dong, Sangju-si by Namgye Kang Eung-cheol (1562-1635).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eriod when the name the Nine rolling Valley of Yeonak was given was from 1598 to 1608. T he p oems a bout the nine rolling Valley of Yeonak directly and indirectly reveal that they combine their academics and customs with the beautiful scenery of nature. I thought that scholars who studied did not only study, but also enjoyed nature while perfecting it. The Nine rolling Valley of Yeonak was located where Yeonak private school was located, so it was very suitable for both. Since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many scholars who combine both studies and literature have been produced around this place, Cheongri, Sangju, and Jicheon. From the 16th century, studies and literature developed around this area can be found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at this time, there was a great management of the village in this area and a lot of talented people were produced. Secondly, it w as t he c enter of l earning at t hat time. T hirdly, it w as a h istorical place. Fourthly, this place i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hub. For these reasons, from the 16th century, talented people were produced centered on this Yeonak, and scholarship and literature were inevitably developed.

      • KCI등재

        尙州 淵嶽書院과 九曲文化

        이구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1 No.-

        이 논문에서는 상주 연악서원(淵嶽書院)과 연악문회(淵嶽文會), 연악구곡(淵嶽九曲)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52년 영천(靈川) 신잠(申潛)이 상주 목사로 부임하여 지천서당(智川書堂)을 비롯하여 18곳에 서당을 건립하여 상주의 교육을 일으켜 많은 선비를 배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 이 서당이 불타버리자 1702년(숙종 28)에 지방 유림의 공의(公議)로 서원을 창건하였는데 이 서원이 바로 연악서원이다. 1622년 5월 25일부터 연악서재(淵嶽書齋)에서 15명의 선비들이 4박 5일 동안 연악문회에서 남긴 시문집이다. 이 책은 상산(商山)에서 나온 공동시집으로서는 최초이다.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전반에 걸쳐 살던 상주의 선비들이 문회(文會)를 열어 당시 상주의 문화를 크게 진작시켰다. 연악구곡(淵嶽九曲)은 남계(南溪) 강응철(姜應哲, 1562~1635)이 상주시 청리면 지천동(智川洞)에 설정하고 경영했던 구곡원림(九曲園林)이다. 연악구곡이라는 이름을 붙인 시기는 1598년부터 1608년까지라 단정할 수 있다. 연악구곡에 대하여 읊은 시에는 자연의 좋은 경치와 아울러 그들의 학문과 풍류를 겸하고 있음을 직, 간접적으로 드러나 있다. 학문하는 선비들이 단지 학문만 한 것이 아니라, 자연을 완상하면서 이를 즐길 줄 알았다. 연악서원이 자리 잡은 곳에 연악구곡이 있어 이를 겸하기에 아주 적합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로 이곳, 상주(尙州) 청리(靑里) 지천(智川)을 중심으로 학문과 문학을 겸하는 선비가 많이 배출되었다. 16세기부터 이곳을 중심으로 학문과 문학이 발달한 것은 다음 몇 가지 이유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이 당시에 이 지역에서 훌륭한 목민관을 만나 인재가 많이 배출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당시에 이곳이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이곳은 유서 깊은 곳이었기 때문이다. 넷째 이곳은 교통의 요충지라는 점이다. 이와 같은 몇 가지 이유로 16세기부터 이 연악을 중심으로 인재가 배출되었고, 학문과 문학이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고려시대 교방(敎坊)에 대한 재고찰

        임영선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In this paper, I intend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view that understands Gyobang (敎坊) in the Goryeo period only about performing Daegok (大曲) by female court musicians (女妓). In addition, I attempted to verify whether Gyobang, which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previous studies, could be regarded as a musical institution in the Goryeo dynasty by examining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宋史 (History of Song dynasty),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高麗圖經 (Illustrated Book on Goryeo). Results show that Gyobang performed music in order of rituals such as the court banquet in Daekwanjeon (大觀殿宴群臣), the dynastic Buddhist Lantern Festival (燃燈會), and the assembly of the Eight Commandments (八關會), and they also performed Congratulatory Words (口號致語). Additionally, the court musicians of Gyobang consisted of guardians with the awe-inspiring deportment (衛仗), and they played drumming and blowing music (鼓吹) when a king marched outside of the court. In addition, Gyobang was not a separate institution from Daeakseo (大樂署) or Gwanhyeonbang(管絃坊), but a group distinguished from other musicians in that it had expertise in Yeonak (燕樂) of the Song Dynasty (宋). In the Joseon period, the meaning of Gyobang was changed. The court musicians of Gyobang not only referred to the musicians who were experts in the entertainment music of Chinese origin (唐樂), but also the musicians who were expert in the indigenous music (鄕樂). On the other hand, the custom of Gyobang-gayo (敎坊歌謠) continued and Gyobang-gayo was selected and listed as one of the contemporary Joseon court dances (時用鄕樂呈才) in The Guide to the Study of Music (樂學軌範). 본고는 여기(女妓)의 대곡(大曲) 연행에 한정하여 고려의 교방을 이해하는 기존의 견해를 재고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선행연구 간에 쟁점이었던 교방을 고려의 음악 기관으로 볼 수 있는 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宋史』 및 고려시대 문헌 사료를 통해 송대 교방의 연행양상과 송-고려 간의 음악 교류를 살펴보고, 『高麗史』를 중심으로 고려의 의례에서 교방이 연행한 양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송나라의 교방은 여악(女樂)뿐 아니라 소아대(小兒隊)·고취부(鼓吹部)·백희(百戱)·여제자(女弟子) 등이 소속되어 연악(燕樂)을 총괄하는 기관이었다. 이러한 송의 교방은 고려와의 지속적인 음악 교류를 바탕으로 고려의 교방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고려 교방의 연행 집단·연행 종목·복식 등이 송 교방과 상당히 유사하다는 점을 통해 확인된다. 다음으로, 고려의 의례 중에 대관전연군신·연등회·팔관회, 세 개의 의례에서 교방이 주악을 담당하였는데, 이들 의례에서 교방의 무대(舞隊)가 대곡을 연행한 것뿐 아니라 교방악관이 왕의 입장·거잔(擧盞) 등의 절차에서 음악을 연주하였으며, 구호와 치어를 올리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또한 왕의 행행(行幸)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위장(衛仗)에 교방악관이 구성되어 왕의 출궁 및 환궁 때에 고취를 연주하였다. 『高麗史』에서는 교방악관과 양부악관을 동일한 대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교방은 양부악, 즉 대악서·관현방과 구분되는 별도의 음악 기관이 아니며 교방악관은 대악서와 관현방에 소속된 악관이라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럼에도 교방이라 특정한 것에는 교방이 다른 악인과 구분되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이 전문성이란 고려 교방의 형성과 연행에 큰 영향을 준 송 교방의 음악을 연행에 있는 것에 있다고 생각된다. 고려 교방이 연행한 대곡, 치어 및 구호, 고취 등이 모두 송 교방이 담당한 연악의 범주에 들어간다는 점은 고려 교방의 전문성에 대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교방은 여기의 대곡 연행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대관전연군신·연등회·팔관회에서 의례 절차에 따른 주악, 치어와 구호, 왕의 행행에서 고취 연주에 이르는 광범위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교방은 대악서 및 관현방과 별도의 음악 기관이 아니라 송 연악에 전문성을 가졌다는 점에서 다른 악인들과 구분되는 집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고려시대 교방은 조선 건국 후 그 지칭 대상에서 변모양상이 확인되는데, 당악기뿐 아니라 향악기를 담당한 악공까지 교방악공이라고 부르거나, 지방의 여기들을 관리하는 기관을 교방이라 하는 사례가 확인된다. 반면에 고려 교방의 관습이 이어지는 양상도 보이는데, 왕의 환궁 때에 교방이 가요를 바치던 공민왕대의 관습이 이어서 『國朝五禮儀』 부묘의 중 거가환궁에 교방이 가요를 올리는 절차가 포함되었으며, 『樂學軌範』에도 향악정재 중 하나로 <교방가요>가 수록되었다.

      • KCI등재

        현행 한국 당악의 악조와 그 특징에 관한 연구

        정화순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8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당악이 중국 전래의 속악인 점을 고려하여 그 연원처로서 중국 속악의 2종 악조인 “연악조”와 “청악조”를 개괄한 뒤, 중국 전래 속악 가운데 현행하는 ≪보허자≫와 ≪낙양춘≫이 각각 “연악조”와 “청악조”에 속하는 서로 다른 악조의 악곡임을 밝혔다. 나아가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악곡 가운데 “황종의 음고가 ‘c’인 점”, “당피리가 중심이 되는 점” 등 당악적 조건을 갖춘 ≪여민락만≫․≪여민락령≫․≪해령≫․≪정동방곡≫․≪유황곡≫ 등의 악곡들 역시 한국의 “당악”으로 간주하고 그 악곡들의 악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종묘제례의 진찬악인 ≪풍안지악≫과 그 축소곡인 ≪경모궁제례악≫의 ≪혁우곡≫ 등도 정대업․보태평과는 다른 음계구조를 지닌 악곡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당악에는 중국의 2종 속악조의 전통을 지닌 “연악조”의 악곡들(≪정동방곡≫과 ≪여민락만≫)과 “청악조”의 악곡들(종묘제례의 진찬악 ≪풍안지악≫과 ≪경모궁제례악≫의 ≪혁우곡≫)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밖에 향악의 평조와 동일 구조를 지닌 “5음음계”의 악곡(≪여민락령≫과 ≪유황곡≫)과, 평조와 계면조가 조합된 “7음음계”의 악곡(≪해령≫)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국 속악과 다른 면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청악 7음음계”는 온전한 구조의 정통성을 유지하고 있는데 반하여, “연악 7음음계”는 제3음인 “姑”가 생략됨으로써 “6음음계”화되어 나타난다는 점 역시 한국 당악조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문헌상, 한국 당악의 악조가 2종으로 구분되어 나타나는 사례는 악학궤범당비파의 조현법에 명시된 “상조”와 “하조”에서 발견된다. 2종 조현법의 4개 현에 명시된 음으로 미루어 “상조”는 “연악조”에 해당하고, “하조”는 “청악조”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중국 속악의 “연악조”와 “청악조”가 매우 이른 시기부터 한국의 당악에서 운용되어왔음을 말해준다. This study, considering that Dangak came from China's Sokak (lit. vulgar music), examined such two Chinese tune origins, Yeonakjo and Cheongakjo, and revealed that, of China's extant Sokak tunes, the extant Boheoja and Nakyangchun belong to Yeonakjo and Cheongakjo, respectively, making them different from each other. Furthermore, of Korea's created tunes, tunes - which are equipped with Dangak conditions such as Hwangjong's pitch being c and Dang piri (fiddle) being the center - including, Yeominnakman, Yeominnaknyeong, Haeryeong, Jeongdongbanggok, and Yuhwanggok, were regarded as Korea'sn Dangak, and their tones were examined. Also, Jongmyojeryeak's ritual wine-offering music Punganjiak and the tune's reduced tune Gyeongmogungjeryeak's Hyeokugok were also examined in this study, considering that these have a different scale structure from Daeeop and Botaepyeo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Korea's Dangak encompasses not only China's two Sokakjo tradition of Yeonakjo(Jeongdongbanggok and Yeominnakman) and Cheongakjo tunes(Jongmyojeryeak's ritual wine-offering music Punganjiak and Gyeongmogungjeryeak's Hyeokugok), but also the 5-tone scale tunes with the same Hyangak Pyeongjo structure(Yeominnaknyeong and Yuhwanggok) and the Pyeongjo and Gyemyeonjo combined 7-tone scale tunes(Haeryeong), making them different from China's Sokak. Also, while the Cheongak 7-tone scale maintains the whole structure tradition, the Yeonak 7-tone scale drops the third tone Go, making it a six-tone scale, and characterizing Korea's Dangakjo.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Korea's Dangakjo is classified into two kinds, whose examples are found in Sangjo and Hajo specified in the Dangbipa tuning method of Akhakgwebeom. Given the tones specified for the four strings in the two tuning methods, Sangjo is considered Yeonakjo, and Hajo considered Cheongakjo. This fact suggests that China's Sokak Yeonakjo and Cheongakjo were applied to Korea's Dangak from very earlier times.

      • KCI등재

        18~19세기 南人 詩壇의 시적 특징의 일면 -菊圃의 시맥과 상주지역의 洛江 船遊를 중심으로-

        방현아 동방한문학회 2023 東方漢文學 Vol.- No.97

        본고는 18~19세기 남인 시단에서 보이는 시적 특징의 일면을 연구한 것이다. 근기 남인의 시맥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菊圃 姜樸(1690~1742)은 詩社를 통해 일련의 문학동인을 형성하며 후대 문인들에게 전범이 되었으며, 詩經 을 중심으로 한 그의 시론과 문학적 특징은 주변 문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근기 남인의 문학적 특징이 18~19세기를 거치며 근기는 물론 영남의 남인 문단으로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바, 悅雲社와 낙강을 중심으로 한 洛江泛月의 船遊 문학은 17세기 남인 시맥이 누대를 거쳐 19세기 후반까지 내린 대표 사례라 하겠다. 7월 기망과 10월 보름에 있었던 洛江의 船遊는 16세기 말에서 17세기에 상주지역에선 이미 오랜 관습으로 자리 잡았다. 1622년 5월 淵嶽文會를 통한 淵嶽文會錄 외에도, 임술년 선유에 의한 壬戌泛月錄 과 18세기 후반 續竹雨社를 통한 竹雨社詩集 , 19세기 중반의 洛遊帖 은 모두 그 성과물이다. 시회의 구성원 중 일부는 현실적 대응의 일환으로 임란 이후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고자 己亥合禊(1599)를 조직하여 존애원을 창설하고 도남서원을 창시하는 등 도학을 기본이념을 현실에 실천하였으며, 본 계회는 20세기 초까지 유지, 존속되었다. 이들이 창작한 시는 국포 시의 溫藉함과 幽雅함을 따르고 姜世白(1784~1824)의 ‘詩貴自然’, ‘自然者, 天機也’라는 시 정신을 담고 있다. 국포의 손자인 姜世綸(1761~1842)은 맹자 의 觀水와 息山 李萬敷(1664~1732)의 觀山之術을 들어 선유 문학을 觀水之術로 설명하여 자연의 觀物을 통한 性情의 流露와 이를 통한 道體의 실현으로 설명하였다. 선유 문학의 미학적 전통은 최종적으로 仁에 도달하고 仁義禮智信을 실현키 위한 유학적 이념에 근간을 두었다. 또한, 姜世綸․姜世揆․趙奎和는 1517년부터 1704년까지 행해진 연악문회를 통한 낡고 오래된 淵嶽書院古蹟帖 2권과 同遊題名錄 1첩을 정리함으로써 會文補仁과 繩武의 함의를 몸소 실천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spects of poetic characteristics found in Namin poetry from the 18th and 19th centuries. Gukpo of the 17th century Namin poetry circle formed a series of literary circles through current affairs and became a model for later generations of writers. The influence of his poetry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centered on Poetry , on the literary people around him is considerabl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Geungi Namin continued through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ontinuing the tradition through Geungi and Namin literary circles in Yeongnam. The Seonyu(船遊) literature of Nak river Beomwol(泛月), centered on Yeolunsa(悅雲社) and Nak river is a continuation of the poetry of Namin in the 17th century. It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eriod of the traditional context being set to the late 19th century. Nak river seonyu(船遊) held on the first full moon of July and the first full moon of October, had already become a long-standing custom in the Sangju region in the late 16th and 17th centuries. In addition to Yeonakmunhoerok through Yeonakmunhoe in May 1622, Imsulbeomwolrok by seonyu(船遊) ImSul-year(壬戌年), JukwooSa-anthology through Sokjukwoosa(續竹雨社)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Nakyucheop in the mid 19th century are all the results. As a practical response, some of the members of the council organized Gihaehapgye (1599) to overcome realistic problem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founded Jonaewon and Donamseowon, and were active in putting the basic ideology of Taoism into practice. It lasted until the early part of the century. The poetry they created followed the onja(溫藉) and yooa(幽雅) of Gukpo poetry and expressed the poetic spirit of Kang Se-baek's ‘Poetry values nature’ and ‘Nature is the purity of human nature.’ Kang Se-ryun cited the gwansu(觀水) of Mencius and the gwansanjisul(觀山之術) of Siksan, explaining that the gwansujisul(觀水之術) is the flow of nature through the look at nature and the realization of conduction through it. The aesthetic tradition of boating literature is based on Confucian ideology to ultimately reach benevolence and realize Five Constant Virtues, and contains the implications of huemunboin(會文補仁) seongmu(繩武)palindrome and monk dance.

      • KCI등재

        해양사고 발생의 확률모델 분석

        장운재,금종수,Jang, Woon-Jae,Keum, Jo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0 No.2

        최근 우리나라 연안해역은 선박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해상교통이 폭주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폭주는 연안해역에 대해 인명, 재산, 환경오염 등의 심각한 해양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안의 해양사고를 확률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해상교통량과 기상조건, 해양사고 등의 다양한 연관성을 기반으로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양사고의 형태를 선박의 크기, 선령, 선종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하고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The marine traffic congestion has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vessel traffic volume in Korean coastal waterway these days. Heavy traffic could bring serious marine casualties which cause the loss of human lives, properties and marine pollution in coastal area. In this paper, the probability analysis of marine casualties in Korean coast. To achieve this aim, clears up the cause of accident and examines closely the mutual relations among marine casualties, weather condition, and marine traffic volume. These casualtie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patterns or the point of view of ship's size, ship's type and ship's ag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are describe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