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의 시각적 특성연구

        이원호 ( Won Ho Lee ),김재웅 ( Jae 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2

        본 논문은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한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북동에 위치하고 있는 역사문화자원 주변 경관사진 30장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관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16개 형용사를 척도화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요인이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북동 내 역사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는 주변에 나타나는 경관에 대한 30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16개의 형용사 어휘에 대한 선호도 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 평균치는 3.72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중 4.5점 이상의 사진은 VP8번, VP9번, VP10번, VP12번, VP15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를 보인 곳은 마포 최사영 고택과 성락원 주변경관으로, 이는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서울시 경관계획에 의해 고도를 제한함으로써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서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북한산에서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조망경관이 양호하게 확보되고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로 판단된다. 둘째,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특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 1(심미적 요인), 요인 2(문화적 요인), 요인 3(물리적 요인) 등 3가지 요인으로 요약되어 구분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 선호도와 이미지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 결과는 심리적 요인이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조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 대한 심미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셋째, 역사문화자원 중 정비되지 않은 주거지역 주변경관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부각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과 조화될수록 물리적, 문화적, 심미적 특성의 3가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높게 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표출된 인자에 대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역사문화자원 주변의 경관관리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Seongbuk-dong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were analyzed b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djective analysis. Research was investig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nd Research in the following way. Sel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surrounding area are located in Seongbuk-dong 30 sl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Landscape preference factors to identify the scale of 16 adjectives and the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Lastl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last image factors on visual preferences. First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fficer for 30 pictures appear in Seongbuk-dong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distributed around the target preference for the 16 adjectives analysis yielded an average result of overall preference were analyzed and that is a 3.72 average. In these photos, VP8, VP9, VP10, VP12, VP15; 4.5 points more than one order higher. The reason is limit of altitude by the Seoul landscape plan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ound. It also judged important reason that history and Culture ar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cultural property in the conservation area. Secondly, Important factors are factor 1(aesthetic factors), factor 2(cultural factors), factor 3(physical factors) and three factors could be identified.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for visual preference and image shows value of psychological factor is most significant to explain for nearby history &cultural resources of Seongbuk-dong of scenery around. As a result, the state can not view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nalysis will be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nea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esthetic factors. Third, the negative side of the argument is a residential area which is not arranged surrounding landscap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emerg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harmony with the phenomena of the physical, cultu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reas is a positive factor in the high incidence. Factors from that are express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derive a factor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landscape around is required.

      • KCI등재

        호남 역사문화 원형 개발ㆍ활용 현황 연구

        정경운(Jeong Kyung Woon)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1

        국내 지자체 실시 이후 지방 정부는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지역 정체성을 토대로 그들의 통합과 연대의식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이중의 과제를 안게 된다.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은 두 과제를 동시에 풀 수 있는 해결 방안으로 급속히 부상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기 시작한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배경 하에 호남의 역사문화 자원이 개발ㆍ활용되는 현황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현재 이 지역 내 역사문화자원의 개발과 활용은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역사문화자원의 원천 소스 개발 방식,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 전략으로서의 축제나 역사문화 공간(space)의 개발 방식, 그리고 전국 온오프라인 시장을 겨냥해 지역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상품 개발 방식이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무엇보다 지역민이라는 실질적 주체가 배제된 채 관 주도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나친 관주도 방식은 오히려 지역민들을 대상화시켜 결국 지역의 통합과 연대의식을 무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역사문화 자원 활용의 애초 목적을 훼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지역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선 문화상품 개발은 현재로선 대부분 지역 외 주체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지역은 간접적 효과만 누리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지역이 어떻게 개발주체로 나서야 하는가에 대한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historic-cultural resources of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and an alternative to their problems. Today the historic-cultural resources are developed and utilized in three ways. One is to develop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ources on the basis of digital: another is to develop either festivals or historic-cultural spaces as a place-marketing strategy; and the other is to develop cultural goods which are aimed at nationwide on-line and off-line markets beyond the regional limit. The following alternative is proposed to get over the limitations of current developmental processes. First. historic-cultural resources should be uniquely recognized. Among other things, historic-cultural resources should be dealt with upon academically exhaustive documentation, for they are of educational goal. In particular, this form of resources are of educational contents, and so the hasty and clumsy combination of resources will lead to a fearful damage to regional identity as well as a twist of history. Second, government-controlled development should be avoided, aiming at development guided by local main groups on their own ways. Too much government control can bring about objectified residents, which will lead to the disperse of regional integration and solidarity. Residents' autonomous self-organizational activities should go on without stopp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historic-cultural resources. When this creates life culture, the space will naturally lead to placeness.

      • KCI우수등재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 지역정체성 활성화 방안 연구 : 부여 장암면 장하 1리(장정마을)를 중심으로

        조윤설,한승석,장충희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68

        This study presented a measure to activate rural villages by preparing a plan to establish regional identity focusing on local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which was based on the concept of Ruritage.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underdeveloped villages of rural areas, the storytelling model to utilize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and theories and cases of rural public design. Based on the the survey, the research site (Jangjeong Village in Buyeo) was selected and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 storytelling model and public design application method were presented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of the target site. Jangjeong Village is an area where the population is declining and aging is progressing. In addition, Treasure No. 184, a three-story stone pagoda in Janghari, is possessed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but its utiliz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storytelling model' was developed that local people could sympathize with by deriving the values of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from the target site. To do this, the image of Jangjeong Village was set as a village full of value that overcomes the political severance of Baekje's destruction and remembers Baekje with the power of culture. To this end, using the message of 'The stone pagoda that retains the culture of Baekje', the image of Jangjeong Village was set as a village overflowing with value to overcome the political severance of Baekje's fall and to remember Baekje with the power of culture. By using the developed model to improve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the local residents in Janghari, we suggested ways to apply public design that can reflect and empathize with the valu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Public design developed around public facilities, information systems, environmental maintenance and streetscap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revitalizing local identity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revitalize rural villages - that have images of 'insufficient', 'undeveloped', and 'fading away' -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rural villages and local residents with ‘characteristic’, ‘new’, and ‘sympathetic’ image by utilizing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which are the competitiveness of rural areas. 본 연구는 RURITAGE 개념에 기반, 지역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지역정체성 확립방안을 마련하여 농촌마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구의 대상이 되는 농촌의 낙후마을,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스토리텔링 모델, 농촌 공공디자인 이론과 사례를 검토하였다. 검토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대상지(부여군 장암면 장하 1리)를 선정하고, 대상지의 지역정체성 확립을 위한 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모델과 공공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부여군 장암면 장하 1리는 농촌마을로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는 지역이다. 또한 장하 1리는 보물 184호 장하리 3층석탑을 역사문화자원으로 보유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활용도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적 가치를 도출하여 지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백제의 문화를 간직한 백제계 석탑’이라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장하 1리의 이미지를 백제멸망이라는 정치적인 단절을 극복하고 문화의 힘으로 백제를 기억하고 있는 ‘가치가 충만한’ 마을로 설정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바탕으로 장하리 지역민들의 정주환경 개선에 적극 활용하여 지역민의 삶 속에 역사문화자원의 가치가 투영되고 공감될 수 있는 공공디자인 적용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 안내시스템, 환경정비 및 가로경관을 중심으로 전개된 공공디자인은 지역민들의 지역정체성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족한’. ‘발전하지 못한’. ‘소멸되어가는’ 등과 같은 이미지를 기반하는 농촌마을 활성화 방안에서, 농촌의 경쟁력인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특색 있는’, ‘새로운’, ‘공감되는’ 이미지의 농촌마을과 지역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역사문화자원 인포그래픽스에 나타난 정보 시각화의 서사적 표현분석

        김하나 ( Ha-na Kim ),장재욱 ( Jae-wuk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3

        연구배경 역사문화자원의 정보 활용은 다양한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반면, 정보 전달 과정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본질적 상징성을 잃어가며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본질적 상징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인들에게 시각적 수용이 용이한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보 시각화와 인포그래픽 스토리텔링 및 서사구조의 이론과 알베르토 카이로의 ‘정보 시각화 수레바퀴 모델’의 핵심요소를 근거로 인포그래픽 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사건과 시간을 포함한 역사문화자원 인포그래픽 작품을 선정하였고, 기준이 될 수 있는 분석 틀을 재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분석에 앞서 정보 시각화와 역사문화자원 인포그래픽은 연계성과 상호관계성 등 전달할 정보의 구조화가 탄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역사문화자원 인포그래픽은 대부분 이미지형의 스토리텔링으로 서사 구조를 드러내기가 용이하였으며, 서사의 특성을 타임라인과 위치/지리 인포그래픽으로 보충해 주었다. 반면 역사적 배경은 정보 수용자의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디자인의 의도나 메시지 등은 다뤄지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정보 시각화를 통한 역사문화자원의 표현 분석을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인포그래픽에서 나타나는 서사 요소의 특징을 확인했다.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역사문화자원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즉, 차후 역사문화자원 인포그래픽스는 모션그래픽을 더 적극 활용하여 의미 전달, 역동성, 주의, 흥미를 더욱 촉진하고, 서사 특성을 인포그래픽을 통해 발현함에 있어 더 효율적인 정보 전달 방법을 고심해야 하며, 다가오는 미래에 어떤 가치를 갖는지 함께 표현하여 그 가치를 한 층 더 증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부분적 사건과 특정 인물에만 인포그래픽스를 주목시키지 말고, 이러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도형, 색,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타이포그래픽 활용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사실성에만 집착하지 말고, 상징성, 대표성을 통한 상상력 자극과 흥미 유발을 촉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기반해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더욱 체계적인 시각화 방법을 연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utilized for the interaction of various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essential symbolism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lost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transfer, which leads to an interpretation with a different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design method that is convenient for visual acceptance for modern people with keeping of essential symbolism. Method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studied cases of infographics on the grounds of the key elements of‘information visualization wheel model’of Alberto Cairo and theory of storytelling and narrative structure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infographics. An infographic work fo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cluding events and times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criteria. Result The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should be established, including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the infographics fo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efore the analysis. Most of the infographics fo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ere image-type storytelling, which made it easy to expres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were supplemented by the timeline and location/geography infographics. However, the historical background such as the design intent or the message was not addressed based on the basic knowledge of the information recipient. Conclus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expression analysi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rough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then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elements that are found in infographics, and then studied the systematic visualization methods for the infographic design. In other words, infographics for futur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hould further promote dynamism, attention, and interest to convey meaning by using motion graphics more actively. In order to express narr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infographics, a more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method is required. Expressions and values containing values for the future should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research on the use of figures, colors, photos, illustrations, and typography to comprehensively and effectively express such information is required rather than focusing on infographics only on partial events and specific people. It is proposed to stimulate imagination and interest through symbolism and representation rather than obsessing over reality.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nvestigated a more systematic visualization method for infographic design.

      • KCI등재

        역사문화자원을 고려한 국내 주거단지 사례연구

        이화연(Lee, Hwa-Yeon),황규홍(Hwang, Kyoo-H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주거지 정비 및 개발에서 발견되는 역사문화자원을 주거단지 계획에 반영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개발프로세스의 개선점, 공간요소의 활용성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주거지 정비지구의 역사문화자원의 개념을 고찰하고 그 유형을 건조물, 가로, 장소, 자연, 유적자원의 5가지로 분류하여, 20개 국내 사례를 통해 사업 진행프로세스와 공간요소별 역사문화자원 반영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그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개발 프로세스 측면에서 도출한 시사점 첫 번째는 등록문화재의 활용에 대하여 적극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과 둘째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시 주민참여 과정을 통한 사전 협의의 필요성, 셋째로 관리주체와 사업 추진 주체의 불일치로 야기되는 문제극복을 위한 디자인 및 관리와 관련한 상호 협의절차의 필요성, 넷째로 문화재 지표조사의 시기 및 절차적 부적절함으로 역사문화자원의 적극적 계획 반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책 필요성 등이다. 주거단지 공간요소 측면에서 도출할 수 있었던 주요 시사점은 첫째, 지역 및 도시 차원에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단지 경계부에 조화로운 공공디자인 추구, 둘째, 가로자원과 가로변 건물의 맥락적인 조화의 필요성, 셋째, 역사문화자원의 공공성과 주민의 프라이버시의 충돌에 대한 고려, 마지막으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주동디자인의 적극적인 반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implications in housing complex considered with Historic & Cultural Resources in Korea. It includes case analysis study of 20 housing complex sites with two point of view. The one is what the problems are to applicate HCR on the process of complex design, and the other point is the spatial approaches about considering the HCR to the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four implications from the process analysis such as needs to grope the way of utilizing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s in the development of housing complex, needs to converge residents’ opinion about design, needs synthetic access through cut across the main body of management, and needs to correct the order of cultural assets surface examination. Second, there are four implications from the spatial approaches. Designer should consider the public design on boundary of housing complex from urban perspective. Also, there needs to consider the building scale and the width in the street design, and needs to consider separation of public and privacy on complex designing. Lastly, it needs to consider positive building design not only the landscape design for considering HCR. The results call the continuous inquiry to solve the explored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고양특례시 역사문화자원 활용방안 연구: 지역성 고찰을 통한 테마 활용방안의 도출을 중심으로

        박은진,전미옥,최경애,오현규 한국콘텐츠산업학회 2024 콘텐츠와 산업 Vol.6 No.2

        본 연구는 고양특례시의 지역성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그동안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조사 연구가 축적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효과적인 활용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고양특례시 역사문화자원의 가치를 새로운 시각에서 발굴함으로써 특색 있는 역사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역사문화’ 기반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양특례시의 지역성을 깊이 있게 살펴보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고양특례시 역사문화자원 활용의 의미와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이러한 논의들을 기반으로 역사문화자원 활용의 주제어, 테마 등을 설계하였고, 이러한 전략들이 실제적으로 수행되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고양특례시의 역사문화자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세대의 의견도 수렴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물들은 고양특례시의 지역적 특징, 정책적 이슈, 전문가 의견, 지역민·관광객 수요 등을 통합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고양특례시의 역사문화자원 활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사업을 기획·추진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주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trategies for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Goyang Special Case City by considering its local context. Recognizing the challenge of underutilization despite extensive research in this field, the study aimed to propose 'history-culture'-based content that maximizes the unique historical resources of Goyang Special Case City from a fresh perspective.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ocality and interviewed expert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potential directions for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effectively. Building on these insights, the study formulated keywords, themes, and strategies for resource utilization and provided concrete support plans for their implementation. During the process, the study also gathered opinions from various generations through surveys to systematically utiliz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Goyang Special Case City. The study's primary findings, incorporating local characteristics, policy considerations, expert insights, and the needs of residents and tourists, are expected to serve as valuable references for planning and advancing various policy initiatives related to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utilization in Goyang Special Case City.

      • KCI등재

        읍성공간 건축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이향란(Lee, Hyang-Ran),이상준(Lee, Sang-J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나주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올바른 개발방향과 효율적인 이용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하여, 현 우리나라 역사문화자원 보전제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국내ㆍ외 대표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도시에 적용 가능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방안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 대상지인 나주지역의 도심공간에 집중 분포되어있는 역사문화자원의 특성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다음 역사문화자원의 계획요소들을 마련하고 분석한 결과를 중심으로 나주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의 활용방안과 지역활성화 전략을 도출한다. This study establishes the structure of the case analysis based on the plan for the utiliz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can be applied in the Korean cities. It identifies the actual state of th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Korea and observes the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utilizing such resources. It focuses on the utilization of such resources in Naju City and considers the right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the efficient method of usage. Nex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are centrally distributed in the subject place of Naju City periodically. Then, it provides the planning factors of such resources and draws the plan for the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and the strategy for the regional activation in Naju City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 지역문화콘텐츠로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사례 연구 : 군산근대문화유산거리와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이상현,이종오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2000년 이후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요구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2001년 문화재보호법 개정으로 등록문화재제도가 도입되면서부터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과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지역문화콘텐츠로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은 도시재생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전라북도 군산시와 전주시는 1980년대 이후 급속히 진행된 도시쇠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을 추진했는데, 지역문화콘텐츠로서 전통한옥마을과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성공사례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군산근대문화유산거리와 전주한옥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자원의 보존, 역사문화자원을 매개로 한 지역활성화 정책,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으로서 축제의 개발과 운영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역문화콘텐츠로서 역사문화자원 활용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 KCI등재

        전주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도시재생 -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홍성덕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8 No.-

        최근 10년 사이에 가장 주목할 만한 도시재생의 사례로 손꼽을 수 있는 곳 중의 하나는 전주한옥마을이다. 1977년 한옥보존지구로 지정된 이후 1995년 미관지구가 해제됨에 따라 무분별한 개발이 예정되었던 공간이 전통문화 지구단위 계획으로 단순 ‘보존’에서 특색있는 ‘개발’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본 논문은 한옥보존지구 지정으로 슬럼화한 한옥마을이 한국을 대표하는 ‘한옥마을’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전주한옥마을의 개발은 한옥보존지구의 해제와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도시 지정이 맞물리면서 기획되었다. 지구단위 계획을 통해서 재개발된 전주한옥마을의 성공요인은 한옥이라는 전통 주거공간과 조선왕실문화, 유교문화, 종교문화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이 반경 5백미터 이내에 밀집된 역사문화자원이 토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통문화중심의 도시화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한 결과이기도 하다. 사업 추진 및 협력 주체로서 전통문화중심도시추진단은 모범적인 민관거버넌스였다. 한옥마을 공간 내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은 진정성을 강화하는 방향, 전통문화상품 개발 및 판매를 촉진하는 상품화 확대방안, 숨어 있는 콘텐츠를 발굴 알리는 체험과 교육의 콘텐츠 구축방안 등 세 영역으로 진행되었다. 공공영역이 민간영역의 활성화를 뒷받침하는 균형점을 이루었다.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은 도시정체성으로 연결되었다. 한옥마을 내에 담은 역사문화자원과 전통문화는 전주의 도시정체성으로 발전해 나갔다. 한옥마을의 공간적 확대가 불가피 하며 그 대상은 마을 밖의 구도심이다. 전라감영 복원으로 대표되는 도시재생이 이어질 계획이다. 한옥마을의 성공은 새로운 도시재생 공간의 득이 될 수도 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재생의 성공여부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a study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cess of Jeonju Hanok Village which had gradually become slums while it had remained as a hanok preservation zone for 20 years. Jeonju Hanok Village seems a dense area where over 700 hanoks are clustered, but, actually, it is not a traditional one but a modernized urban town.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cultural resources clustered from l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and other religions. The real urban regeneration of Jeonju Hanok Village was begun when Jeonju was designated as a city of the 2002 FIFA Worldcup Korea-Japan. The urban regeneration proceeded focussing on three directions: to keep the authenticity of the cultural heritages in the village, make th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goods favourable on the market, and develop relatively unknown contents. Dur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governance, like the Project Team of Traditional Culture-centered City, was a critical factor of its success. As a result, Jeonju Hanok Village has grown up to a famous tourist destination which over six million tourists visit a year. For everlasting success of the village, there have been lively discussions on the identity of the city. Based on the Jeonju citizens' consensus of 'the Jeonju spirit', urban regeneration of the parts which have been lagged behind is on the way again. The success stories of Jeonju Hanok Village have suggested new visions toward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success of new projects is as clear as day light.

      • KCI등재

        문화경쟁력 제고를 위한 역사문화자원 개발 정책방안 : 신라문화권을 중심으로

        이태종(李泰鍾) 한국정책과학학회 2009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자원의 보고로 평가되어 온 신라문화권이 최근에 왜 경쟁력을 상실할 위기에 처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문화개발체계적인 관점에서 그 실태를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대표적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경주시가 세계적 수준의 문화경쟁력 확보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정책대안을 관광과 연계시켜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한국 민족문화의 중심지역으로 평가되어 온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신라문화권, 유교문화권, 가야문화권 중에서 특히 세계문화유산을 다수 보유한 신라 천년의 문화지대인 신라문화권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문화관광매력체계의 중추인 문화자원체계의 근간이 되는 하위체계인 문화개발체계에 국한하였으며, 연구내용은 문화경쟁력과 문화ㆍ관광의 정책적 연계론, 문화관광과 문화관광현상의 체계, 문화자원체계와 문화개발체계의 정책준거, 신라문화권 문화개발체계의 현황 및 실태 분석, 문화의 국제경쟁력 제고 차원의 신라문화권 역사문화자원 개발 정책방안(문화와 관광의 연계 관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서 문헌연구와 전문가자문을 통해 지역문화의 국제경쟁력 및 정책준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에 의거하여 문화개발체계 분석모형을 정립한 후, 신라문화권의 실증적 자료 및 현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문화개발체계의 현황 및 국제경쟁력 창출 여건의 실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적실성, 소망성 및 실현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라문화권의 역사문화자원이 세계적인 경쟁력과 보편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추진해야 할 주요 정책방안을 문화개발체계의 구성요소(역사문화자원 개발의 방법과 내용, 역사문화자원 기능의 권역내 배분, 역사문화자원과 서비스시설의 연출 및 관리)별로 체계적으로 고안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evelopment system why the Silla cultural area, a major treasure-trove of the Korean culture, has recently faced a risk of losing its competitiveness. Based on that analysis, the study also explores desirable policy alternatives that Gyeongju city, a major local self-government in charge of the Silla area, should pursue in order to create high added-values by securing global-level cultur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is confined only to the cultural development system, a subsystem that is the basis for the cultural resources system.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the 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tourism, theoretical examination on the system of cultural tourism phenomenon and the policy standards of the cultural development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nalysis model, an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ultural development system in the Silla cultural area, and the policy alternatives of the Silla heritage resources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sidering comprehensively the relevance,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I suggest major development policy alternatives, through which the Silla heritage resources can acquire global competitiveness and universality. Those policies ar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classify by the elements of the cultural development system such as the approach and contents of heritage resources development, the distribution of heritage resources functions within the Silla cultural area, and the presentation or management of heritage resources and servic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