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코의 언어순수주의와 양층언어 상황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2

        언어순수주의는 오늘날까지 체코의 언어학에서 가장 오랫동안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사회언어학적 주제이다. 체코의 언어순수주의가 근대 표준 체코어의 형성과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 이지만, 이와는 상반되게 현재 체코 언어사회가 겪고 있는 양층언어 상황의 근원이기도 하다는 부정적인 평가 역시 공존하고 있다. 본고는 체코 언어순 수주의의 일반 언어학적 의미를 논하기 위해 먼저 세 가지의 유형의 순수 주의 -의고화, 엘리트주의, 외국혐오증-로 분류하고 이 유형들이 시대적 전개과정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8세기 중반의 초기 언어순수주의자들과 1930년대 초의 프라하학파에 의해 ‘오염되고 타락한 체코어’로 비판받는 17세기~18세기의 바로크시기의 체코어의 언어자료를 바탕으로 오늘날 표준 문어체코어의 지위를 위협하는 공통체코어의 유사성을 확인하는 것은 의미 있다고 사료된다. 체코의 양층언어 상황에 대한 균형 잡힌 접근을 위해, 한편으론 표준어 발달의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순수주의의 과도한 개입과 그 통시적 배경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며 다른 한편으론 언어의 기능을 강조하며 표준어 육성을 강조한 1930년대 초 프라하학파의 언어문화이론에 지나치게 편향되지 않는 객관적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Linguistic purism has long been a contentious topic in Czech sociolinguistics. On the one hand, is has been widely recognized for its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tandard Czech (spisovná čeština).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criticized 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evolution of Czech diglossia over the past 100 years. Indeed, the current Czech language situation is generally described as irrelevantly diglossic. This paper considers some of the key issues of Czech linguistic purism, which is ultimately rooted in the specific extralinguistic conditions under which standard Czech originated. Czech linguistic purism stemmed from concerns due to the decline in the use of Czech language during the Baroque period and its replacement by German as the major language of discourse among the educated classes during the Habsburg rule. To capture the specifics of Czech purism, this paper identifies three types of linguistic purism - Archaizing, Elitist, and Xenophobic –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roque phonemic representation of written Czech and actual sounds of modern spoken Bohemian dialects. This combined approach enables to explain some of the dominant issues of Czech diglossia, and provides an objective position to deal with the linguistic tradition of Common Czech and Standard Written Czech.

      • KCI등재

        프라하 기능주의언어학파의 ‘언어문화이론’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1930년 대 초반에 프라하언어학파는 ‘언어문화(Language culture)’의 문제를 언어학 연구의 화두로 삼으며, 체코 언어사회 내에서 이미 오랫동안 불안정한 지위를 차지해 왔던 표준체코어를 육성할 이른바 ‘언어문화이론(Theory of Language Culture)’을 주창한다. 이 이론은, 1870년대에 체코어 보호의 목적으로 언어순수주의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언어규칙들을 제거하고 당대의 언어관습을 충분히 반영한 표준어규범의 성문화를 그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 이론의 핵심 원리들인 언어관습, 언어규범, 성문화 등은 한 언어권 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언어들의 육성보다는 특별히 언어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표준어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이론 은 표준어만이 한 언어공동체의 수준 높은 언어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다고 보았는데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언어문화이론을 표준어의 이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언어문화이론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언어의 공시성(Linguistic synchronicity) 원리는 언어의 순수성과 정확성을 결정짓는 하나의 규준으로 작용하였지만, 언어 공시성의 시간적 범위를 ‘최근 50년간의 언어관습’으로 제한하고 그 기간 동안에 훌륭한 작가의 명작에 사용된 체코어를 표준어의 규준으로 삼게 함으로써 이론의 경직성을 보여주었다. 이 학파는 또한 한 민족의 여러 가지 언어변이형 중에서 오직 표준어만이 다양한 의사소통의 분야에서 대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표준어의 기능적 문체를 중시하였는데, 이는 프라하언어학파의 기능주의적 학풍을 잘 드러내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문화 이론의 원리에 따라 성문화된 표준어의 규범들은 사실 구어보다는 문어의 언어관습에 의존함으로써 체코어화자로 하여금 표준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데 결국 실패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도 여전히 체코의 언어사회에 진행되고 있는 양층언어상황(Diglossia) 에 의해서도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Prague Linguistic Circle was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Language Culture, as a topic issue of Czech linguistic situation in the beginning of 1930s. In order to cultivate Standard Czech, they addressed primarily the unstable Czech language situation and founded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The theory aimed at removing mandatory language rules which Czech linguistic purists formulated in 1890s and at codifying the norm of standard language which adequately reflects contemporary language custom. The key principles of the theory such as language custom, language norm and codification etc. focused on consolidating prestige of standard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that only standard language is assumed to support linguistic uniformity and stability and to promote language culture of a language community, the theory took a serious view of functions of standard language, in this context the theory is sometimes labeled as the theory of standard language. The linguistic synchronicity which serves as a basic framework of the theory work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linguistic purity and accuracy, it showed however the rigidity of the theory since it confined the temporal scope to the recent 50 years’ language custom and limited the norm of Standard Czech to the Czech used mainly in ‘Good authors’ literature’. The linguists of the Prague School laid stress on the functional stylistics of standard language. This id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nly standard language performs the most effective function communication among all the other variants of the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theory is characterized mainly by functionalism. In the tradition of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however, the codified norms of modern standard Czech still rely primarily upon the custom of written language rather than that of spoken language and consequently the written form of the language is not actively used by Czech native speakers. The chronic problem of language situation in Czech Republic, so called ‘Czech Diglossia’ is recently growing worse.

      • KCI등재

        프라하 기능주의언어학파의 ‘언어문화이론’ -양층언어(Diglossia) 속에 내재한 표준어 규범의 문제-

        김인천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Prague Linguistic Circle was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Language Culture, as a topic issue of Czech linguistic situation in the beginning of 1930s. In order to cultivate Standard Czech, they addressed primarily the unstable Czech language situation and founded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The theory aimed at removing mandatory language rules which Czech linguistic purists formulated in 1890s and at codifying the norm of standard language which adequately reflects contemporary language custom. The key principles of the theory such as language custom, language norm and codification etc. focused on consolidating prestige of standard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that only standard language is assumed to support linguistic uniformity and stability and to promote language culture of a language community, the theory took a serious view of functions of standard language, in this context the theory is sometimes labeled as the theory of standard language. The linguistic synchronicity which serves as a basic framework of the theory work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linguistic purity and accuracy, it showed however the rigidity of the theory since it confined the temporal scope to the recent 50 years’ language custom and limited the norm of Standard Czech to the Czech used mainly in ‘Good authors’ literature’. The linguists of the Prague School laid stress on the functional stylistics of standard language. This id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nly standard language performs the most effective function communication among all the other variants of the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theory is characterized mainly by functionalism. In the tradition of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however, the codified norms of modern standard Czech still rely primarily upon the custom of written language rather than that of spoken language and consequently the written form of the language is not actively used by Czech native speakers. The chronic problem of language situation in Czech Republic, so called ‘Czech Diglossia’ is recently growing worse. 1930년 대 초반에 프라하언어학파는 ‘언어문화(Language culture)’의 문제를 언어학 연구의 화두로 삼으며, 체코 언어사회 내에서 이미 오랫동안 불안정한 지위를 차지해 왔던 표준체코어를 육성할 이른바 ‘언어문화이론(Theory of Language Culture)’을 주창한다. 이 이론은, 1870년대에 체코어 보호의 목적으로 언어순수주의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언어규칙들을 제거하고 당대의 언어관습을 충분히 반영한 표준어규범의 성문화를 그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 이론의 핵심 원리들인 언어관습, 언어규범, 성문화 등은 한 언어권 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언어들의 육성보다는 특별히 언어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표준어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이론은 표준어만이 한 언어공동체의 수준 높은 언어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다고 보았는데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언어문화이론을 표준어의 이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언어문화이론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언어의 공시성(Linguistic synchronicity) 원리는 언어의 순수성과 정확성을 결정짓는 하나의 규준으로 작용하였지만, 언어 공시성의 시간적 범위를 ‘최근 50년간의 언어관습’으로 제한하고 그 기간 동안에 훌륭한 작가의 명작에 사용된 체코어를 표준어의 규준으로 삼게 함으로써 이론의 경직성을 보여주었다. 이 학파는 또한 한 민족의 여러 가지 언어변이형 중에서 오직 표준어만이 다양한 의사소통의 분야에서 대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표준어의 기능적 문체를 중시하였는데, 이는 프라하언어학파의 기능주의적 학풍을 잘 드러내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문화이론의 원리에 따라 성문화된 표준어의 규범들은 사실 구어보다는 문어의 언어관습에 의존함으로써 체코어화자로 하여금 표준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데 결국 실패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도 여전히 체코의 언어사회에 진행되고 있는 양층언어상황(Diglossia)에 의해서도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양층언어(Diglossia)’와 ‘빈드어(Windisch)’ 논쟁으로 살펴본 체제전환 이후 슬로베니아 언어정책 양상

        권혁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2 동유럽발칸연구 Vol.46 No.3

        The transition to Eastern Europe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were the most significant events in Slovenian history. This change allowed Slovenia to gain its first independent state since settling in the Balkans in the 7th century. The history of Slovenia was, in short, the history of the incorporation. In previous history, Slovenia has always maintained their ethnicity and language under the umbrella of a powerful nation. In 1991,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Slovenia established an independent ‘nation-state’. The first priority of Slovenia was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identity, a national identity. The Slovenian language is a symbol of the Slovenian nation and national identity. In previous history, Slovenia did not complete this task, and the bigger problem was the Slovenian public's perception of the Slovenian language. Due to the continued cultural dominance of foreign powers, the Slovenians themselves turned a blind eye to the pure Slovenian language. Slovenian language was always a low variety in the ‘Diglossia Phenomenon’. The Slovenian accepted the ‘Windisch Theory’ and ‘Diglossia’ without resistance. The regime chang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iest national state were important turning point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Slovenian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Slovenia tried to solve this through a state-led language policy. In the early days of the regime change, Slovenian language policy attempted to force the use of pure Slovenian language in all public sphere. However, Slovenes lived in previous history as Europeans rather than Balkans, Slavs. The general public in Slovenia tended to perceive the purist language policy as a product of backward Balkan nationalism. Contrary to the government's intention, the general public hoped for a Slovenian language policy that could be linked to globalization and Europeanization. The expansion of English, which can be called the language of globaliz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another ‘Diglossia phenomenon’ despite the Slovenian government's regulations. After the regime change, Slovenian language policy changed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regime and failed to present a consistent direction. To this day, the completion of pure Slovenian language, the sacred symbol of the Slovenian people, remains an unresolved national task. 동유럽 체제전환과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연방의 해체는 슬로베니아 역사에 가장 의미 있는 사건이다. 이 변동을 통해 슬로베니아는 7세기 발칸지역에 정착한 이후 처음으로 자력으로 독립된 국가를 얻을 수 있었다. 슬로베니아의 역사는 한마디로 속국의 역사, 편입의 역사였다. 이전의 역사에서 슬로베니아는 항상 강대국 우산 아래에서 그들의 민족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1991년 역사상 처음으로 독립 민족 국가를 수립한 슬로베니아의 우선 과제는 국가 정체성, 민족 정체성의 확립이었다. 슬로베니아어는 그러한 슬로베니아 민족의 신성한 상징이고 국가 정체성의 핵심 기준이다. 진정한 슬로베니아 민족 국가의 모습은 공공의 영역이나 개인의 영역에서 순수한 슬로베니아어를 온전하게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전의 역사에서 슬로베니아는 이 과제를 완성하지 못했고 더 큰 문제는 슬로베니아 대중이 지닌 슬로베니아어 인식이었다. 지속적인 외세의 문화적 지배로 슬로베니아인은 스스로 슬로베니아어를 외면했다. 모국어인 슬로베니아가 항상 ‘하위어(Low Variety)’였고 통치 세력의 언어가 ‘상위어(High Variety)’인 ‘양층언어(Diglossia) 현상’이 일상이었다. 지배 계층의 언어와 혼합된 ‘빈드어(Windisch)’가 슬로베니아어를 대체하고 더 나아가 민족 정체성을 결정하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혼란함을 슬로베니아인은 저항하지 않고 받아들였다. 1991년 최초의 민족 국가 수립은 대내외적으로 슬로베니아어 위상 향상에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체제전환기 슬로베니아 정부는 모든 영역에서 순수 슬로베니아어 사용을 강제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전의 역사에서 발칸인, 슬라브인이기보다 유럽인으로 살아온 슬로베니아인에게 순수주의 언어정책은 오히려 낯선 이념이었다. 일반 대중은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세계화, 유럽화와 연계될 수 있는 언어정책을 희망하였다. 체제전환 이후 슬로베니아 언어정책은 정권의 성향에 따라 변화되며 일관성이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한다. 현재까지도 슬로베니아 민족의 신성한 상징, 슬로베니아어의 완성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민족 과제로 남아있다.

      • KCI등재

        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diglossia)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

        정소연(Chung So-y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송강 정철은 한시와 시조를 모두 지은 작가임에도 그간 한시와 시조에 대해서 각각 연구가 진행되었고, 송강의 한시와 시조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는 송강의 한시와 시조를 본격적으로 비교하고, 사대부 본령의 갈래인 한시 외에 왜 시조를 필요로 했는지, 시조의 효용은 송강에게 무엇이었는지, 그럴 수 있는 이유는 매체언어와 관련해 무엇인지 규명해냈다.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송강의 한시와 시조의 주제를 비교한 결과, 한시는 작가의 삶과 밀착되어 시조보다 더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그러나 전쟁은 주로 한시를 통해, 백성에 대한 교훈적인 내용은 시조를 통해 드러내었다. 둘째, 두 갈래에서 모두 자연보다는 사람을 많이 다루나, 한시에서는 정철이 속한 사대부 남성과의 교유가 위주가 되고 상층 사대부가 많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시조에서는 임금부터 백성까지, 상하남녀노소의 다양한 사람을 다루었다. 셋째, 한시에서는 작시의 특정 상황과 특정인물이 제목 및 내용에서 잘 드러나는 데 비해, 시조에서는 ‘나’, ‘너’, ‘우리’, ‘늙은이’, ‘젊은이’, ‘부모’, ‘아들’ 등 누구나 대입할 수 있는 일반 명사를 사용해 보편적인 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는 사람을 다루었다. 넷째, 한시에서는 작가와 시적 화자의 거리가 멀지 않고 거의 일치하나, 시조에서는 실제 작가와 시적 화자의 거리가 멀고 거의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시조에서 관심을 둔 사람은 실제 작가의 처지를 뛰어넘어 보편적인 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다섯째, 상층 사대부 남성이라는 작가의 실제 신분을 뛰어넘어 상하남녀노소의 보편적 인간에 대해 노래할 수 있었던 것은 모든 인간이 죽음앞에서 동등하다는 의식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인식은 한시보다 시조를 통해 잘 드러난다. 여섯째, 보편적 인간에 대한 애정과 소통이 한시보다 시조를 통해 드러날 수 있었던 것은 매체언어의 특징과 밀접하다. 사대부 남성의 기록 매체인 한문으로 짓는 한시는 사대부 본령의 갈래로서 작가가 속한 신분과 생활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비해 시조는 상하남녀노소가 모두 사용하는 모국어로 짓기 때문에 다룰 수 있는 범위가 훨씬 넓다. 일곱째, 보편적 인간애는 문자보다 소리를 통해 표출하기가 쉽다. 문자는 사람의 손을 떠나 있고, 영원히 존재하지만 소리는 사람을 통해 전달이 되고 일회적이다. 소리의 특성은 죽음을 겪는 초초한 삶을 사는 인간 삶의 특성과 맞닿아있어서 문자로 짓는 한시보다는 소리로 향유하는 시조로 나타내기가 더 알맞다. 본고는 송강 정철 당대에 한문과 국어가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로, 상위어와 하위어로 기능했던 양층언어적 현상을 중심으로 한시와 시조를 비교함으로써 송강에게 있어서 한시와 시조의 상관성과 갈래적 기능을 본격적으로 규명해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ough Song-Gang Jeong-Chul composed both Sino-Korean poetry (Han-Si) and Korean songs(Si-Jo), but it has not been studied in earnest. So, I researched Comparative Study of Song-Gang Jeong-Chul’s Sino-Korean poetry and Korean songs(Si-Jo) and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 of genre and language choice, and what the necessity of Si-Jo was to Song-Gang Jeong-Ch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ubject, Song-Gang treated more several subjects in Sino-Korean poetry than in Korean songs(Si-Jo). Second, Song-Gang paid attention to human than nature in both genre, but the social status of people were different. The people appeared in Sino-Korean poetry were almost upper class’ male, but those in Korean songs(Si-Jo) were several, from King to farmers, men and women of all. Third, the people appeared in Sino-Korean poetry were specific men. We can know their name and status because of the title of Han-Si. On the other hand, the nouns in Korean songs(Si-Jo) are ‘me’, ‘you’, ‘us’, ‘the old’, ‘the young’, ‘parents’, ‘son’, etc, those are general nouns, so any person can be applied. Fourth,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coincide in Sino-Korean poetry, but, the distance of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is far in Korean songs(Si-Jo). So, the poetic speaker can be extended to universal human, jumping over the position of real writer. Fifth, this cognition of Song-Gang Jeong-Chul comes from that all humans are equal before death. It is well showed in Korean songs(Si-Jo) than in Sino-Korean poetry(Han-Si). Sixth,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are well appeared in Korean songs(Si-Jo). It is closely connected the character of language choice. The Korean language is a mother tongue which all people use from birth, so, it is natural that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is appeared in Korean songs(Si-Jo.) Seventh,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are well appeared by voice, spoken language than by written language. Written language exists leaving the man and be forever, but spoken language always exists with man and be temporarily. These characters of voice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s life.

      • KCI등재

        의사소통전략에 따른 Code Switching 사용 동기 연구: 표준어와 삼척지역어를 중심으로

        이노미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3

        In diglossia environments, code switching, in which standard languages and regional languages are changed over and used according to communication conditions and contexts to suit communication goals, actively occurs. At thi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motivators and characteristics of code switching among standard languages and Samcheok regional languages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rategie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3 communication factors of information provision, problem solving, and standard expressions affect code switching use motivators. Also, analysis revealed the 4 social relationship factors of social distance, generation gaps, community spirit, and position along with the emotional factor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2 sub-factors of amusement. On the other hand, it is worth focusing on the fact that hierarchical recognitions of standard languages and regional languages along with the distinctive accents of Samcheok regional languages and unconscious speech tones were revealed to be the causes of formation that take lead in code switching. Through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promote new perceptions of regional languages and to provide keys to communication research regarding the code switching aspects of regional languages and standard languages. 양층언어적 환경에서는 커뮤니케이션상황과 맥락에 따라 표준어와 지역어 두언어를 의사소통 목적에 맞게 서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코드 스위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닌다. 코드 스위칭은 커뮤니케이션 발신자가 언어자원 부족으로 의도한 메시지 전달이 어려울 때 대체가능한 언어 형식을 사용하는 ‘의사소통전략’ 의 대표적 방식으로 양층언어 사용자인 지역민에게 하나의 언어 현상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전략에 따른 표준어와 삼척지역어의 코드 스위칭 사용동기 요인과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연구결과 정보제공과 문제해결, 준거적 표현의 3가지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코드 스위칭 사용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사회적 거리와 세대차, 공동체 의식, 사회적 지위의 4가지 ‘사회관계적 요인’을 비롯해 ‘감정적 요인’에서는 감정표현과 오락성의 2가지 하위요인이 분석되었다. 반면 표준어와 지역어의 계층적 인식과 삼척지역어 특유의 억양과 어조의 무의식적 발화가 코드 스위칭을 전도(前導)하는 생성원인으로 밝혀졌다는데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통해 지역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도모하고 지역어와 표준어의 코드 스위칭 양상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龍飛御天歌>와 <月印千江之曲> 비교연구 -양층언어현상(Diglossia)을 중심으로-

        정소연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This study based on the view point of Diglossia that the role and position of Chinese writing and Korean writing were not equal in Chosun Dynasty in Korea. Namely, Chinese writing was High Variety for Men and the high class and Korean writing was Low Variety for women and low class especially in 15th century. So I tried to study how the difference of two languages influenced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and <Songs of Flying Dragons>. The preceding articles regarded the two literature works with same character, but I established the different things of them through this article. The results are showed in three points-the reading public, creation reason, view-point and style. First,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not in <Songs of Flying Dragons>. The song was translated in Chinese poetry and explanatory note was in Chinese. Because it is for King(man) and high class. But,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noted by Korean characters which were in front of Chinese characters for Queen and Buddhist monk. Second, There were Confucian view-points and formal idea in <Songs of Flying Dragons>, Buddhism and private idea-consolation of losing wife and mother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Third, the difference of two language influenced in style and structure of text. <Songs of Flying Dragons> intends to poetry by literacy and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intends to song by orality. 본고는 조선시대 한문과 국문의 지위가 동등하지 않고 상ㆍ하층, 남성과 여성에 따라 구별되어 사용된 양층언어적 상황에 기반해 두 언어의 이러한 차이가 국문이 창제된 당시의 작품인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 연구이다. 두 작품은 기존논의에서 국문가사로 된 악장문학으로 같이 분류되어 공통점에 기반해서 연구되었지만, 본고에서는 한문과 국문의 표기상황이 달라 그 차이점이 어떠한지 비교하여 대상독자층, 창작동기 및 다루는 세계관, 나아가 문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용비어천가>는 한자어에 대해 국문음을 표기하지 않았고, 한역시와 한문주해가 병기되어 있다. 반면 <월인천강지곡>은 국문앞세움 표기를 통해 한자어에 국문음 표기를 하였고 국문가사만 존재한다. 이는 대상독자층이 <용비어천가>는 왕을 비롯한 사대부남성을, <월인천강지곡>은 소헌왕후라는 여성 및 追薦儀式에서 이를 부르는 승려, 나아가 일반 백성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다. 둘째, 두 언어표기의 차이는 다루는 내용 및 세계관과 밀접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용비어천가>는 건국의 정당성을 위한 공식적 목적에서 유교적 세계관 및 군신관계를 다루고 있는 반면, <월인천강지곡>은 개인적인 슬픔을 위로받기 위한 비공식적 목적에서 출발하여 불교적 세계관과 신앙심의 전파 등을 다루고 있다. 셋째, 두 언어표기의 차이는 통사구조 및 텍스트구조에 영향을 미쳐 문체의 차이를 가져왔다. 이를 통해 <용비어천가>는 국문의 문자언어로서의 기능이 강해 詩로서의 성향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월인천강지곡>은 국문의 구두언어로서의 기능이 강해 노래로서의 성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러시아-유라시아 지역의 언어적 특성: 중앙아시아의 ‘민족개념-민족어-러시아어’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길윤미 한국러시아문학회 2016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52 No.-

        Nations of the former Soviet Union that gained independence after the Soviet Union was fragmented have all dealt with linguistic issues politically at the state level. Central Asian nations have also devoted themselves to raise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which was eaten into by Russian for a long time through a variety of policies. However, the outcomes are much inferior to the Baltic or Caucasus nations that became independent around the same time. This paper finds the key to explain such situation in the particular concept of nation of Central Asia. While revealing that concept of nation in the Central Asian society was formed as a concept of social or political group at first and does not vary much from the concept for a long time, this study explains the process that modern European concept of nation put down its root by the nation creation polices of the Soviet regime and the situation that the status of Russian was fixed in the meantime. Because modern concept of nation was formed but it was not established spontaneous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national identity of Central Asians is relatively weak, and the fact is considered to remain an obstacle i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language policies.

      • KCI등재

        러시아-유라시아 지역의 언어적 특성: 중앙아시아의 “민족개념-민족어-러시아어”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길윤미 ( Yoon Mi Kil ) 한국러시아문학회 2016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52 No.-

        Nations of the former Soviet Union that gained independence after the Soviet Union was fragmented have all dealt with linguistic issues politically at the state level. Central Asian nations have also devoted themselves to raise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which was eaten into by Russian for a long time through a variety of policies. However, the outcomes are much inferior to the Baltic or Caucasus nations that became independent around the same time. This paper finds the key to explain such situation in the particular concept of nation of Central Asia. While revealing that concept of nation in the Central Asian society was formed as a concept of social or political group at first and does not vary much from the concept for a long time, this study explains the process that modern European concept of nation put down its root by the nation creation polices of the Soviet regime and the situation that the status of Russian was fixed in the meantime. Because modern concept of nation was formed but it was not established spontaneous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national identity of Central Asians is relatively weak, and the fact is considered to remain an obstacle i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language policies.

      • KCI등재

        19세기 조선에서 기독교 선교사들이 한글 재인식에 끼친 공헌 : 기독교 문서선교의 영향을 중심으로

        Hoijung Jung 한국교회사학회 2016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4 No.-

        이 논문은 19세기 말 서양 선교사들이 성서 번역과 지식 전달의 도구로 한글을 사용함으로써 한글을 재인식시키고 더 나아가 한글 공동체를 형성 하는 데에 끼친 공헌을 다루었다. 한글은 창제 이래 “양층 언어”라는 독특 한 언어 상황 속에서 한문의 하위 언어로서의 지위를 한번도 벗어 보지 못 했다. 그러나 19세기 말 중화사상이 흔들림에 따라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 졌던 한문의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그 자리를 대신하여 한글은 국문 이라는 이름을 부여 받게 된다. 하지만 한글은 현실적으로 국문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지 못했고 국한문 혼용체가 주류를 이루고 있던 것이 19세기 말 조선의 언어 상황이었다. 이 시기에 조선에 입국한 서양 선교사들은 성 서번역과 문서 출판의 도구로 한글을 과감하게 선택함으로써 한글이 하나 님의 말씀을 전하고 지식을 전달하는 상층 언어로서 인식되는 데에 큰 공 헌을 했다. 한글이 처음으로 유교 경전의 내용을 담던 한자와 대등한 지위 를 부여 받게 된 것이다. 선교사들의 이러한 공헌은 단순히 한글을 재인식 시키는 데에 그친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상하귀천을 막론하고 같은 문자 로 같은 정보를 공유하고 공론에 함께 참여하는 한글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볼 때 선교사들은 19세기 말 한글이 국문으 로 탄생되는 시기에 한글의 가치를 재인식 시키는 데에 매우 영향력 있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될 수 있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Christian missionaries’ contributions to the re-evaluation of han’gǔl by adopting it as a medium for translating the Bible and an instrument of conveying common knowledge. The paper also explores how these efforts further formed a vernacular public. Since its invention, han’gǔl had struggled to escape the image of a subordinate script to the Chinese characters under “diglossia,” where Chinese characters were identified as low and high hierarchical language respectively. However, as Sinocentrism had begun to collapse in the 19th century, the status of Chinese characters was being shaken to its core and han’gǔl was bestowed as kungmun (national script). Yet, in reality, han’gǔl was not able fully exercise its potential as a national script. Instead, a mixed script of han’gǔl and Chinese characters were overwhelmingly used. During this unique situation, the Christian missionaries boldly chose to use han’gǔl for the Bibl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despite the dilemma of “diglossia.” As han’gǔl became to deliver holy Christian ideas and current affairs, the script became parallel to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mainly used for Confucian texts. Thus, these usages by the missionaries contributed to the elevation of han’gǔl into a high script. Further, these efforts even formed a vernacular public where people were able to share information by commonly using han’gǔl regardless of class and gender. In sum, the Christian missionaries’ contribution functioned as a powerful catalyst in the re-evaluation of han’gǔl duringits birth as kungmun in 19th century Chosǒ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