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진패션디자이너 사업 애로요인에 관한 연구

        김용주(Yongju Kim),강명수(Myung Soo Kang),김선우(Sun-Woo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신진 패션디자이너의 사업 애로요인을 밝힘으로서 1인 패션창조기업의 성공적인 사업전개를 위한 효율적인 지원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운영 애로요인에 관한 문헌연구를 분석으로 포괄적인 애로요인을 제시하고, 11개 신진 패션디자이너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패션산업의 특성과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인 신진 패션디자이너 기업은 사업화의 진행정도에 따라 사업안정화단계군, 사업초기단계군, 그리고 창업준비단계 군으로 구분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신진 패션디자이너의 사업애로요인은 크게 경영관련요인, 생산관련요인, 그리고 마케팅관련요인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선 경영관련요인으로는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패션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전 사업단계에서 인적자원의 부족을 애로요인으로 지적하였다. 단계별로 비교하여 보면 사업안정화단계에는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인적자원부족을, 사업초기단계는 디자인 이외의 기업운영에 필요한 인력부족을, 그리고 창업준비단계는 창업준비과정을 책임질 인력부족을 지적하였다. 두 번째 생산관련요인으로는 정보화에 따른 QR시스템의 도입과 동대문을 중심으로 형성된분업화된 생산네트워크시스템의 활용이 애로요인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창업준비단계에는 생산관련 정보 획득의 어려움이 분석되었다. 마케팅관련애로요인으로는 사업안정화단계에서 수출활성화를 위한 전략체계 미비, 사업초기단계는 브랜드력향상을 위한 브랜드컨셉 개발전략의 부재와 높은 유통수수료문제, 그리고 창업단계에는 상표등록과 브랜드 BI개발 관련 어려움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진 패션디자이너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경영지원 정책으로 사업안정화와 사업초기단계기업에는 공동브랜드육성을 통한 업무와 해외진출업무를 대행해줄 것을, 창업준비단계 기업에는 상표등록 관련 교육실시를 제안하고자 한다. 생산지원정책으로 사업초기단계와 창업준비단계에는 시제품 생산지원시스템 도입 및 생산네트워크시스템 개발을 제안한다. 마케팅지원정책으로 사업초기에는 브랜드전략 컨설팅과 공동 유통망확보를 위한 시장개척, 창업준비단계에는 브랜드 BI 관련업무 대행과 브랜드컨설팅 및 시장조사대행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bstacle factors of new fashion designer business in Korea and proposed the efficient assistant polic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irst of all, literature reviews on obstacle factors of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 in general were adopted and second, 11 new fashion designer business owners we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obstacle factors specifically in new fashion designer business. New fashion designer firm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stages of business; stabilization, early, and preparation stages. As results, obstacle factors for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 were analyzed as three issues; management, production, and marketing. In the aspect of management, insufficient human resources were pointed out as a major obstacle in all stages especially for the stabilization stage, and lack of human resources in exploring global market were more problematic. In the aspect of production, the introduction of QR system and the use of specialized production network system around Dongdaemoon district were pointed out as a major problem. In terms of marketing related issue, lack of strategic system for export was pointed out in the stabilization stage business whereas lack of brand concept developing strategy in the early stage. For the preparation stage business, developing the brand identity and trademark registration were investigated as the obstacle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brand development and agency activities in exploring global market were proposed as management assistant policies for the early and the stabilization stage business, whereas education for trademark registration was proposed for the preparation stage business. As production assistant policies, supporting the sample production and developing the production network system were proposed. As marketing assistant policies, consulting the brand strategy and developing the co-brand market were proposed.

      • KCI등재

        우리나라 항만활성화를 위한 애로요인 우선순의 분석

        김운수,김근섭,이성우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6 경영컨설팅연구 Vol.6 No.2

        우리나라는 최근 동북아 물류허브를 지향하며 다양한 중심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물류중심화 전략은 항만, 배후단지 등 외부적 하드웨어 구축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진정한 동북아 물류허브 구축을 위해서는 내부적 경쟁력 또한 확고히 해야 한다. 특히, 항만시설 조성과 함께 항만이용자(선사, 운영사, 화주, 항만물류업체 등)가 느끼는 애로요인을 파악하고 해결하여 항만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2개 무역항을 대상으로 각각의 항만이용자가 느끼고 있는 항만별 물류 애로요인을 이용자별․요인별로 조사하고, 항만별 활성화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애로요인의 우선순위를 HFP(Hierarchical Fuzzy Process)를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항만별로 공통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애로요인을 종합평가하여 우라나라 항만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항만별 애로요인 개선을 통해 개별항만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항만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여 동북아 물류중심국가로의 추진에 성장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노인대상 한국무용 지도자의 애로요인 탐색: PBL 문제개발로의 확장

        유지영(Ji-Young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노인대상 한국무용 지도자들의 애로요인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발견된 애로요인을 지도자 교육에 적용 가능한 PBL 문제개발로 확장하였다. 이에 크게 4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개방형 설문지와 1:1 인터뷰를 통해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수강생 관리 관련, 교육과정 관련, 공연 수행 관련, 수업 환경 관련의 4가지 애로요인에서 총 9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첫째, 수강생 관리 관련 애로요인으로는‘수강생들 간 갈등’과‘개인 맞춤식 수업 요구’가 탐색되었다. 둘째, 교육과정 관련 애로요인으로는‘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거부감’,‘습득력에 따른 수준차이’가 탐색되었다. 셋째, 공연 수행 관련 애로요인으로는‘부족한 연습시간’,‘공연 성취 욕구’,‘수행기관의 행정’이 탐색되었다. 넷째, 수업 환경 관련 애로요인으로는‘제반 환경’,‘공간 환경’이 탐색되었다. 그리고 탐색된 노인무용 지도자들의 애로요인을 바탕으로 화합을 위한 공동체 춤, 공동안무 방식의 창작춤, 역할분배가 가능한 놀이춤, 미러링(mirroring) 기법의 춤으로 4개의 PBL 문제를 개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Korean dance instructors targeting senior people and extends the difficulties found to developing PBL problems applicable to the instructors’ education.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employ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four questions and 1:1 interview and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otal nine subfactors were drawn from four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student management, the curriculum, performances, and class environment. First, about difficulties related to student management, ‘conflicts between students’ and ‘demand for personalized class’ were explored. Second, regarding difficulties about the curriculum, ‘refusal against new teaching methods’ and ‘leve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bility of acquisition’ were explored. Third, concerning difficulties related to having performances, ‘lack of time for practicing’, ‘needs to achieve excellent performances’, and ‘the administration of organizations in charge’ were explored. Fourth, about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class environment, ‘environment in general’ and ‘spatial environment’ were explored. Also, based on the difficulties explored from dance instructors for senior people, this researcher has developed four PBL problems through community dance for harmony, joint choreography-based creative dance, playful dance allowing role division, and mirroring-based dance.

      • KCI등재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중소수출기업의 수출애로요인과 촉진요인 분석

        황선대(Sun-Dai Hwang),이기웅(Ki-Woong Lee) 한국통상정보학회 2013 통상정보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중소수출기업의 수출애로요인과 촉진요인을 파악한 후 상호 연관성을 전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에 근거하여 수출 애로요인으로는 수출경험, 시장정보, 브랜드 이미지, 제조기술, 유통망확보 등 9개의 요인이, 수출촉진요인으로는 경영자의 해외시장 지향성 등 4가지 요인을 제시하였다.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여 수출애로요인간 복잡한 연관성을 2차원의 평면에 단순화시키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촉진요인의 애로요인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정부지원정책은 시장정보와 제조기술의 부족을 해소하는데 큰 효과를 발휘하는 반면 브랜드이미지, 전자무역인프라, 운영자금의 부족에서 겪는 어려움은 기업의 내부 역량으로 완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ring and facilitating factors in export activities of the small and medium export companies. Nine export deterring factors are analyzed by multinational dimensional scaling(MDS) method to identify key dimensions underlying those factors. Perceptual mapping shows that some factors such as brand image, operating capital and e-trade infra are found similar in its degree of difficulties in export activities.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government export promotion measures might play an effective export facilitating factors to ease the export deterring factors like market information and manufacturing skill. Whereas difficulties arising from e-trade infra, operating capital, and brand image might be eliminated by internal competency of company, difficulties from distribution channel might be lessened by overseas orientation of chief executive of company.

      • KCI등재

        건설기업 실행예산 편성업무의 애로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구교연,김한수,Koo, Kyo Youn,Kim, Han 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7 No.3

        국내 건설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인한 내실 경영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실행예산 편성 업무에서 나타나는 애로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애로요인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종합건설사의 견적과 공무의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조사를 통하여 실행예산 편성업무의 6개 애로요인군(群)과 18개 애로요인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실행 편성 업무에서 다양한 애로요인이 존재하지만 각 애로요인에는 경중이 있으며 우선적으로 주목하고 대비할 애로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행 예산 편성업무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현안은 협력업체의 견적능력 역량 강화와 견적전문가 양성 및 안정적인 운영인 것으로 나타났다.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 profitability has become a more critical issue for general contractor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nd discuss obstacles and their key characteristics in the construction budget estimating.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with experienced estimators of general contractors, the study identified 18 obstacles by 6 groups. It discussed that although various obstacles exist, there are key obstacles to which general contractors should pay attention for the realistic construction budget estimating. In particular, improving subcontractors' estimating competency and incubating estimating experts are identified as the key issues to overcome obstacles in the construction budget estimating.

      • KCI등재

        해외 CM사업의 애로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김재희,김한수,Kim, Jae-Hee,Kim, Han 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5

        CM기업의 해외진출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CM기업이 해외 CM사업에서 겪는 애로요인(어려움)을 도출하고 이들 애로요인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해외 CM사업 경험이 있는 CM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해외 CM사업의 5개 애로요인군(群)과 25개 애로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해외 CM사업에는 다양한 유형의 애로요인들이 존재하지만 각 애로요인에는 경중(輕重)이 있으며, CM기업들이 우선적으로 주목하고 대비해야할 소수의 애로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M기업이 해외 CM사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현안은 CM전문가 양성 및 확보를 통한 시공이전단계 사업관리역량 강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An expansion into the global market increasingly becomes a buzz world among Construction Management(CM) firm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 obstacles and investigate their nature and implications to CM firms in Korea. The study identified 25 obstacles under 5 categories. Base on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with CM experts who have global CM projects experience, the study discusses that while there exist various types of obstacles, a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for a small number of major obstacles to minimine risks in overseas CM projects. It also suggests that improving pre-construction management competency through securing CM experts should be listed as a top agenda for Korean CM firms.

      • KCI등재

        일반 논문 : 중소기업의 기술경영 활동수준과 기술역량 및 기술혁신 애로요인간의 관계

        박상문 ( Sang Moon Park ),서종현 ( Jong Hyen Seo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中小企業硏究 Vol.34 No.2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은 개별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성과창출에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져 왔다. 중소기업들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나 중요성으로 인해 정부차원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정책들은 기술혁신 자금지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나, 중소기업들의 기술경쟁력 수준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기술혁신에 대한 선행연구들도 기술혁신 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들도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기업들의 기술혁신을 저해하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기술혁신에 대한 투자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기술을 활용한 가치창출에 초점을 둔 기술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서 기술경영 활동수준이 기술역량과 기술혁신 애로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국내 중소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7개 응답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경영 활동수준은 전반적인 기술역량과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경영 활동수준은 기술혁신의 애로요인에 대해서도 부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경영의 세부활동 수준에서는 시장조사활동과 R&D 과제관리 활동수준은 기술역량과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기술개발 애로요인과 세부 기술경영 활동과의 관계에서는 R&D 과제관리와 조직적 참여수준은 기술개발과정상의 애로요인과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를 보이는 반면, 시장조사활동과 R&D 과제관리 수준은 사업화 애로요인과 부의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소기업 있어서 기술경영이 기업의 기술역량과 혁신을 통한 가치창출 촉진에 중요함을 의미한다. 특히, 기술경영 활동 중에서는 R&D 과제관리가 기술경영 활동에서 다른 활동들보다 기술경쟁력과 혁신 애로요인에 유의한 관계임을 보임으로써 R&D 과제관리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과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실무적 의의와 정책적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nsity of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s 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barriers to innovations in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roles of innovations on firms` short-term performances and long-run survival and growth of firms. Under this important role of innovation, firm managers and policy makers have invested more financial resources into research and development functions to enhance innovation capabilities and seize business opportunities. Prior studies, however, have shown controversial relationships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Some studies have shown positive effects of R&D investment on firm performance, guiding more investment in R&D activities. Others have shown non-significant or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R&D investment and performance. These inconsistent relationships between R&D investment and performance show a need to explore additional factors to explain the differences and contingent effects of R&D investment on performance. Among many factors, a group of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s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anage innovation processes from strategic alignment through R&D management to commercialization. In spite of theoretical arguments on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of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s with innovation capabilities and barriers to innovation. Based on prior researches, we developed two hypotheses on the impacts between technology management 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barriers to innova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y management processes on performances and barriers to innovations in SMEs. To verify hypothetical relationships, we collected and analyzed empirical data from Korean SMEs from firms older than three years in multiple industries. We asked key informants responsible for R&D investment to respond to this survey. This study measured two dependents variables. One is the level of technological capability that was measured by averaging the perceived level of product and process capabilities compared to major competitors. Another is barriers to innovation in the overall innovation processes. From eight different key difficulties around innovation processes based on related prior studies, we reduced two difficulty factors, barriers on R&D process and barriers on commercialization with four different items in each factor. The independent variable used in this paper was a measure of the intensity of technology managements. We identified five different sub-activities related to technology management from prior studies. They include market analysis and intelligence, technology strategy and planning, project and R&D manageme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upport. Each sub-activity was independently regarded as one of the key factors in technology management and critical determinants of innovation performances. All sub-activity consists of four detailed items measured by binary variables. From this measurement, the intensity of technology management added all binary measures on all activities and sub-activity was measured by the addition of the binary usage of the detailed items. This paper used several control variables. Firm age was measured by total firm years from its inception. Firm size was the natural logarithm of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Also another firm size variable was added by coding a binary variable depending on total sales volumes. We added another binary variable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 corporate R&D center. To measure government certification on technological capability, we coded one for externally certified firms in terms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zero for other SMEs. We measured competitive strategy : technology leadership, cost leadership, and niche strategy. Each firm was identified with one competitive strategy as two different binary variable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337 respondents from a survey on Korean SMEs in manufacturing sect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nsity of technology management is important for SMEs to enhance innovation capabilities. Total intensity of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s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chnological capabilities. It means that SMEs utilizing more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s operate more competitive innovation processes and build their technological capabilities. Among sub-activities in technology management, there are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technological capabilities. Practices related to market analysis and R&D management show positive relationships. Other practices, such as technology planning,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no significant impacts 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is indicates market analysis and R&D management practices are more significant and important for SMEs to build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Also the intensity of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s has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s with both barriers to innovations, R&D process and commercialization. For the barrier to R&D processes, practices on R&D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nega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general difficulties in R&D processes. Other practices including market intelligence, technology plann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show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R&D process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barriers to R&D processes are the matter of organizational systems and processes to manage overall innovation processes within the organization. The total intensity of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s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barrier to commercialization. Among the sub-activities, practices related to R&D management and market intelligence show negative relationships with difficulty in commercialization processes. Other practices such as technology planning,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shown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This result indicates that commercialization problems in innovation are rooted in practices in the early stages of innovation processes, not only assessing market potential and customer needs in the market, but also timely and strategic management of R&D projects and progres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for SMEs to build their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reduce difficulties in innovation processes. Most technology management and practical practices have focused on large companies with sufficient internal resources. Different from prior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identified some specific practices, of which one is highly related to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rocesses. The most interesting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 is R&D management practice. This practice has show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both barriers to innovation. It indicates that R&D management could be a baseline practice on technology management and a practical guideline for SMEs to enhance their innovation performances. Another interesting practice is market intelligence to analyze market trends and customer needs which are regarded as key factors on innovation. Apart from financial investment in innovations, technology management is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industrial firms to create and capture more value from innovation. There are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Most of all, we need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technology management models rather than highly complex and resource-intensive systems. Despite increasing interest and literature, there is still a lack of understanding on critical practices for SMEs to adopt and utilize technology management with practical viewpoints.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test more robust models and methodology to measure intensity and quality of technology management practices. Also we need additional researches on the generaliz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y managem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s in diverse contexts and environments.

      • KCI등재

        Firm characteristics and Export barriers of Korean SME

        Eung-sok Lee(이응석) 한국국제상학회 2016 國際商學 Vol.31 No.3

        수출을 통한 해외시장진출은 좁은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중소기업들의 수출실적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국내 중소기업 입장에서 수출 애로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배경 하에서 부산 ․ 경남지역 중소기업 을 대상으로 수출 애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부산 ․ 경남지역의 중소기업의 수출 애로 요인을 중소기업의 국제화 역량 측면에서 세분화시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국내 수출중소기업의 애로 요인으로 현지거래선 발굴, 해외시장환경에 적응 어려움, 현지소비자 및 경쟁자에 대한 이해 부족, 해외시장 관리인력 부족, 국제경험 및 역량 부족 등이 나타났다. 한편 수출중소기업의 국제화 역량별 애로 요인을 살펴보면 국제화 역량이 높아질수록 현지시장개척보다는 현지화 전략 실행상 어려움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export barrier of Korean SME. Also this paper study on the differences of export barrier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of Korean SM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adopts literature review of SME export barrier and emperical methodology focusing on local 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s. Results : It was found that the export barriers of Korean SME are difficulties of finding foreign importers and adaptation of foreign environment, the unfamility of local customers, the lack of export managers, and internationalization experience. These export barriers shows differences according to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y of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Conclusions : To expand the export activities of korean SME, we need the policy supporting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y of Korean SME and customizing individual SME export needs.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녹색벤처기업의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애로요인에 관한 연구

        이재학 ( Jae Hak Lee ),김인규 ( In Kiw Kim ),이미순 ( Mi Soon Lee ),박철 ( Cheol Par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4 No.2

        녹색산업이 세계적으로 부상하면서 녹색벤처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녹색벤처 업체를 초기에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애로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해 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제품개발에 성공한 벤처기업들도 막상 시장에서 마케팅의 어려움 때문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벤처의 어떤 애로요인들이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녹색벤처 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해 분석해 본 결과, 녹색벤처의 마케팅 경쟁력은 시장창출, 납품 및 유통, 자금문제에 대한 애로요인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케팅 경쟁력은 마케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녹색벤처의 설립연도와 소재지에 따라 각 애로요인이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상대적으로 신생기업일수록, 비수도권 소재 기업일수록 납품 및 유통관련 애로요인이 마케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 소재기업이나 상대적으로 오래된 기업일수록 자금지원관련 애로요인이 마케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녹색벤처를 육성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orldwide, green growth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a new economic development. Green Growth in 2008 to South Korea for a new growth paradigm of national development is proposed. And in the green industry development and investment has been a lot of support. All green industry to develop global competitiveness, with the green industry to act as seeds in the ecosystem is essential to the growth of green ventures. Without the development of a green venture profitable green industry is difficult to form an ecosystem. Green ventures as well as other ventures to think that marketing is the most difficult. Venture Although they have superior technology, market creation is the absence of marketing skills. But in high-tech sectors such as the green industry continues to maintain technological superiority in the venture unit is not easy. Green Venture eventually to customers with a differentiated marketing is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the balance advantage in global markets. As with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competitiveness of marketing green market creation, delivery and distribution, Monetary support and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bottleneck of green market creation, delivery and distribution, Monetary support as increased and the competitiveness of marketing has to be lowered. Also, competitiveness of marketing is ultimately related to marketing performance. As a result,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green venture market creation, delivery and distribution, Monetary support for the more active support. In this paper, the results based on green venture to develop and the implications for growth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 KCI등재

        한국 중견기업의 경영 애로요인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업종별 경영 애로요인 해소를 위하여

        이진권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소수의 대기업과 절대 다수의 중소기업 사이에서 우리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이 직면하는 경영애로요인 중 기업 내부 에서 해결이 가능한 경영애로요인 관련 변수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조업과 비제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중견기업의 경영관련 애로요인은 자금조달 곤란, 기술개발 곤란, 내수부진, 인건비 부담, 해외수요 부진 등에서 발생된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5년간에 걸쳐 제조업 747개, 비제조업 567개 등 총 1,314개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애로요인과 관련된 변수 를 재무측면에서 자금조달과 관련된 자기자본증가와 부채증가, 생산측면에서 기술개발과 관련된 연구개발비, 마케팅측면에서 매출과 관련된 광고 선전비, 인사측면의 인건비, 국제화측면의 수출로 설정하고 동 변수들이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 과, 제조업에서는 자기자본증가율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채증가율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비는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광고 선전비와 인건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제조업의 경우, 자기자본증가율, 광고 선전비, 수출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나머지 변수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금조달에 있어 중견기업은 자기자본 조달 비중이 높고 자기자본 증가율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경영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자기자본 조달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고 부채 운용과 관련하여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조달비용이 절감 되는 자금조달수단의 다양화가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기술개발 측면에서 연구개발비지출비중은 제조업이 비제조업보다 높으므로 제조업은 특허기술의 상용화전략을 추진하고 비제조업은 우수 특허 확보를 위한 R&D지출 확대를 통해 기술개발곤란을 해소하여야 할 것이다. 광고 선 전비는 제조업, 비제조업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므로 지속적인 광고 선전비 지출 확대를 통한 판매 활성화로 내수부진에 대응할 필 요가 있다. 인건비 지출은 제조업에서는 경영성과에 정의 효과를 미치므로 수익 증가에 따라 인건비 지출을 적정규모로 확대하고 비제조업은 교육 훈련 등을 통한 노동생산성 제고를 통해 인건비 부담을 완화해야 할 것이다. 수출과 관련, 제조업의 수출은 경영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 고 있고 비제조업에서는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으므로 제조업은 기술개발을 통한 우수특허 취득 및 수출가격경쟁력 제고가 요구되며 비제조 업은 수출비중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Korean Mid-sized enterprises(MSEs) paly an important waist role in our economy between a few large companies and an absolute large number of small sized enterpri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ternal management difficulty factors of Korean MSEs by distinguishing between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explore countermeasures for MSEs. MSEs’internal management difficulty factors are classified to financing difficulty, R&D’s limit, domestic sales shrink, labor cost increase, and sluggish overseas demand.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1,314 MSEs’financial data over a ten year period from 2006 to 2015. 1,314 companies consist of 747 manufacturing companies and 567 non-manufacturing companies. For empirical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duced from management difficulty factors. The growth rate of capital equity and debt growth rate were deduced fromfinancial management aspect, R&D cost was deduced from production, advertising expense was deduced from marketing, labor cost was deduced from personnel management, and export was deduced fromglobaliz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manufacturing industry, the growth rate of equity had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debt growth rate had negative effect, R&D cost was not related to performance, advertising expense and labor cost had positive effect, and export had negative effect. In non-manufacturing industry, the growth rate of equity, advertising expense and export had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Based on analysis results, some measures could be suggested. Considering MSEs’internal financing portion is high and growth rate of equity had positive effect, equity financing should be expanded continuously. As for debt financing, lowcost and diversified financing have to be taken in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industry. Considering the R&D cost was not related to performance and manufacturing industry’s R&D ratio is higher than non-manufacturing’s ratio, manufacturing industry should conduct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and non-manufacturing industry should expand R&D cost for obtaining patents. Advertising expense should be also invested continuously for sales activation because advertising expense was related to performance. Considering labor cost was only related to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industry, labor cost should be also invested in proportion to revenue increase inmanufacturing industry, and labor cost burden should be mitigated by labor productivity enhancement through education training in non-manufacturing industry. Regarding the globalization, acquirement of excellent patents and export competitiveness improvement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are needed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export amount increase is necessary in non-manufacturing industry as export was negatively related to performance inmanufacturing industry, and export was related to performance in non-manufacturing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