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납릉정문 신어상의 아요디야 유래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거룡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9 남아시아연구 Vol.25 No.3

        Since the publication of Jong-ki Lee's Garakguk-tamsa(Exploration of Gaya Kingdom) in 1977, the results of Prof. Byeong-mo Kim's archaeological research have been accepted without any criticism, and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Tomb of King Suro of Gaya Kingdom) Gate originated in Ayodhya of India was taken for grant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scholars who deny the possibility that the Divine fish originated in Ayodhya argue that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and the twin fish of Ayodhya because the Nableung Gate was built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Gate originated in Ayodhya. To this end, first, the meaning of the Divine Fish was identified in the relief of the Nableung Gate, and in this process, we looked a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details of the relief. I tri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Divine Fish,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entire relief, and examined the origi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 style of the twin fish in Ayodhya based on the results of my field trip in Ayodhya and Faizabad. Twin fish emblem is widely distributed not only in Ayodhya but also in adjacent Faizabad, and is usually built on the main gate of old buildings. The history of the gates of the buildings suggests that Ayodhya's twin fish emblems were formed in the early 19-20th century, while Faizabad’s ones were formed in the 18th-19th century. It is unlikely that the twin fish emblem of Ayodhya buildings was introduced to Gaya Kingdom along with Huh Hwang-ok,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twin fish emblem appeared in Ayodhya and Faizabad after 18th century. In addition, there are no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Divine Fish of Nableung Gate and the twin fish emblem of Ayodhya. 1977년 이종기의 『가락국 탐사』(駕洛國探査) 이래 쌍어문(雙魚紋)과 허황옥에 관한 김병모의 고고학적 연구 결과는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었으며, 납릉정문(納陵正門) 신어(神魚)의 아요디야(Ayodhya) 유래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문화전파론에 의거한 김병모의 연구는 이 두 곳 신어상과 쌍어문의 기원과 유래를 간과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지적되었다. 한편 납릉정문 신어의 아요디야 유래 가능성을 부정하는 학자들은 단지 납릉정문이 조선 중기에 건축되었기 때문에 납릉정문 신어와 고대의 가락국 또는 가락국과 아요디야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납릉정문 신어의 아요디야 유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납릉정문 부조에서 신어의 의미를 규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부조의 변형과정과 세부 내용에 대한 오해도 살펴보았다. 부조 전체의 콘텍스트에서 납릉정문 신어가 지니는 의미를 규명했으며, 현지답사를 토대로 아요디야 쌍어문의 특징적인 양식뿐만 아니라 기원과 유래를 규명하였다. 쌍어문은 아요디야뿐만 아니라 인접한 파이자바드(Faizabad)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대개 오래된 건축물의 정문 위에 조성되어 있다. 쌍어문이 있는 건축물의 역사로 볼 때, 아요디야 쌍어문의 조성시기는 대체로 19-20세기 초이며, 파이자바드의 쌍어문은 이보다 1-2세기 이른 18-1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요디야와 파이자바드에 쌍어문이 나타난 것은 18세기 이후라는 사실로 볼 때, 납릉전문의 신어상이 아요디야의 쌍어문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그 외양이나 의미에서도 이 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납릉정문 신어상이 아요디야의 쌍어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으며, 납릉정문 신어상과 아요디야 쌍어문의 일치를 전제로 한 김병모의 ‘허황옥루트’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타밀(Tamil)불교의 가락국 전래 가능성 고찰- 허황옥의 이동경로와 관련하여 -

        이거룡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Gaya (Garak) Buddhism is intertwined with Heo Hwang-ok who came to Garak Kingdom from Ayutha kingdom which is mentioned in the Samgukyusa. In other words, the review of Heo Hwang-ok's migration route can be said to examine the origin and process of Gaya Buddhism. The fact that the name Heo Hwang-ok is mentioned in the inscription of Boju (Anyue), Sichuan Province of China, suggests that she did not come directly from Ayutha kingdom to Garak Kingdom, but before arriving in Garak Kingdom she stayed in Boju. In this study, while accepting a part of Professor Byeong-mo Kim's hypothesis that Heo Hwang-ok reached Garak Kingdom via Boju, I considered that Gaya Buddhism was transferred to Garak Kingdom under the premise that Heo Hwang-ok was from South India rather than Ayodhya. In other words, Heo Hwang-ok's movement path was viewed as Tamil-Boju-Garak Kingdom. not' Ayodhya-Boju-Garak Kingdom. To this end, first of all, I found out why the starting point of Heo Hwang-ok route cannot be Ayodhya. Professor Kim argues that Heo Hwang-ok's ancestors migrated from Ayodhya to Boju based on the agreement between the twin fish emblem of the two places, but these two emblems are considered to have different origins. Ayodhya's emblem was derived from Persia and have a meaning of 'protection', but Boju’s fish emblem have origins in China (the Yellow River basin) and have a meaning of abundance. While the former reflects the Persian (Zoroastrian) dualism, the latter is based on the yin and yang theory of Chinese philosophy. So Ayodhya cannot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Heo Hwang-ok route. There has been an active commercial and cultural exchange from ancient times between Assam, the starting point of the Tea-horse Road, and Tamil, South India. Hayagriva Madhav Temple in Hajo is a prime example. The temple's main god Hayagriva is traditionally a widely worshiped deity in the Tamil region, and this temple is the only Hayagriva temple outside of Tamil. This proves that most people who went to China by Tea-horse Road were Tamil peoples. Hayagriva Madhav Temple is still a representative temple of Assam and has many traditions related to Buddhism as well as Hinduism. Hayagriva is depicted in many forms, including Horse-headed Quan Yin (Hayagrīva Avarokiteśvara), in many Hindu-affected Asian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Hayagriva faith, several cultural similarities are noted between Tamil and Assam. Thus, assuming that Heo Hwang-ok was from Tamil Kingdom, it was possible that the ancestors would have traveled north by sea or by land along the Coromandel Coast to Assam, and then migrated to Sichuan by way of Myanmar along Tea-horse Road. 가야불교는 허황옥의 가락국 도래와 맞물려 있으며, 허황옥의 이동경로[허황옥루트]에 대한 검토는 가야불교의 전래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보주(普州) 서운향(瑞雲鄕) 신정기(神井記)의 “허녀황옥(許女黃玉)”이라는 명문에 의거하여 허황옥은 아유타국에서 직접 가락국으로 온 것이 아니라 보주를 경유하여 가락국에 왔다고 보는 김병모의 보주경유설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김병모의 보주경유설의 일부 수용하면서도, 그 인도기점은 아요디야(Ayodhya)가 아니라 남인도라는 입장에서 타밀불교의 가락국 전래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즉 허황옥의 이동경로를 ‘아요디야’-차마고도-보주가 아니라, ‘타밀’-차마고도-보주로 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선 쌍어문(雙魚紋)을 중심으로 허황옥루트의 기점이 아요디야가 될 수 없는 이유를 규명하였다. 김병모는 보주의 쌍어문과 아요디야 쌍어문의 일치를 근거로 허황옥의 조상이 아요디야에서 보주로 이주했다고 주장하지만, 이 두 곳의 쌍어문은 각기 다른 기원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요디야의 쌍어문은 페르시아에서 유래했으며 ‘보호’의 의미를 지니지만, 보주의 쌍어문은 중국(황하유역의 앙소문화) 자체에 기원을 지니며 풍요와 길상의 의미를 지닌다. 전자가 페르시아(조로아스터교)의 선악 이원론을 반영하고 있다면, 후자는 중국의 음양론에 그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아요디야는 허황옥루트의 기점이 될 수 없다. 차마고도(茶馬古道)의 인도 기점인 아쌈(Assam)과 남인도의 타밀 사이에는 고대로부터 상업적 문화적으로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아쌈의 하조(Hajo)에 있는 하야그리바 마드하브(Hayagriva Madhav)사원은 그 단적인 예다. 이 사원의 주신(主神) 하야그리바는 전통적으로 타밀지역에서 널리 숭배된 신이며, 이 사원은 타밀 이외의 지역에 있는 유일한 하야그리바사원이다. 이것은 차마고도를 오간 대부분의 사람들이 타밀사람들이었다는 방증이다. 하야그리바 마드하브사원은 지금도 아쌈지역을 대표하는 사원이며, 힌두교뿐만 아니라 또한 불교와 관련된 여러 전승들을 지니고 있다. 하야그리바는 힌두교뿐만 아니라 불교와도 깊은 관련을 지니며, 힌두교의 영향이 강한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에서 마두관음(馬頭觀音) 등 여러 가지 모습으로 묘사된다. 하야그리바신앙 외에도 타밀과 아쌈 사이에는 여러 가지 문화적인 유사성이 지적된다. 따라서 허황옥의 출자(出自)가 타밀왕국이었다고 가정할 때, 그 조상들이 뱃길 또는 육로로 코로만델(Koromandel)해협을 따라 북상하여 아쌈에 닿은 후, 차마고도를 따라 미얀마를 통하여 사천의 보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불전과 Mahābhārata에 수용된 Rāmāyaṇa의 소재

        정승석 ( Jung Seung Suk )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7

        라마 왕의 이야기를 수용한 것이 분명한 『육도집경』은 3세기 중엽(251년)에 번역되었다. 이 시기는 중국의 역경사에서 초창기에 속한다. 그러므로 『라마야나』의 소재가 불전을 통해 동북아시아의 불교권에도 유포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 그리고 이 사실은 『대장엄론경』이나 『비바사론』 등과 같은 이후에 번역된 불전들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입증된다. 대승 불전에서 라마 왕의 이야기가 국왕의 자애심에 의한 백성의 안녕과 국가의 번영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용된 사실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 같은 국왕의 전범이 라마 왕이며, 라마 왕이 통치한 나라인 아요디야(=아유타국)는 모든 국왕이 염원할 만한 이상향이었을 것이다. 본론에서는 『라마야나』를 예로 들어 서사문학의 영향력을 문헌적 증거로써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 『라마야나』는 그 자체에서도 보유(補遺)를 통해 소재의 변용 양상을 드러내며, 『라마야나』의 소재는 『마하바라타』의 도처에서도 변용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 인도의 내부에서도 그 소재는 사회적 이념의 형성과 종교적 관념이나 지향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변용되어 왔다. 이 같은 여파는 인도의 외부에까지 미쳤다. 라마 왕의 이야기는 주로 힌두교의 전파를 통해 동남아시아에서는 그 지역 고유의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동북아시아의 경우에는 라마 왕의 이야기가 불전을 통해 불교의 대사회적 가치관을 고양하는 방향으로 변용되어 있다. 특히 대승 불전에서는 『라마야나』의 전편과 후편이 모두 백성에 대한 자비의 실천과 국가의 번영을 위정자에게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용되었다. The Rāma story is clearly accepted in Ṣaṭpāramitā-saṃgraha (六度集經), and the latter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n the mid-third century(CE 251). This period belongs to the initial stage in the Chinese history of translating Buddhist texts. Therefore it's not too much to presume that themes of Rāmāyaṇa had been spread in the Buddhist sphere of Northeast Asia through Buddhist texts. And this is established sufficiently as a fact by the Buddhist texts translated later such as Sutrālaṃkāra-śāstra(大莊嚴論經), Abhidharma-vibhāṣā-śāstra(鞞婆沙論), etc. The fact of that in Mahāyāna Buddhist texts the story of King Rāma is transformed into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the peace of the public and the prosperity of the country by sovereign's benevolence is particularly worthy of attention. The model of such a sovereign would been King Rāma, and Ayodhyā(阿踰陁國) that was the country governed by King Rāma would been an utopia deserve to desire to all sovereigns. Though it is later example, the Ayutthaya dynasty (1351~1767) of Thailand caused by designating Ayutthaya as the capital could be a representive case. The kings of many generations in that dynasty had attached Rāma to their royal names. Of course, it is a direct effect of Rāmāyaṇa . However, in light of frequency in use of place names in Buddhist texts, the name of Ayodhyā is rather very rare relatively. Nevertheless, the fact that in legend of Queen Her(許皇后) the legend begins from Ayodhyā could be evidence of having known the story of King Rāma. In the record of Garak country (駕洛國記) include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三國遺事), the story about marriage of King Suro (首露王) and Queen Her is full of mysteries. According to it, in the viewpoint of epic literature excluding historical debate, King Suro may be compared to Rāma, and Queen Her may be compared to Sītā or a wife of Rāma. But this author, taking Rāmāyaṇa for an example, focused on grasping the influence of epic literature through textual evidences. Rāmāyaṇa in itself reveals aspects of transformation by supplement, and the themes of it are accepted everywhere of Mahābhārata in the forms of transformation. Even in the inside of India those themes had transformed into the way of developing social ideologies and religious ideas or aims. Such an influence of Rāmāyaṇa had reached even the outside of India. In Southeast Asia, the story of King Rāma contributed toward to form indigenous culture of each region. In the case of Northeast Asia, the story of King Rāma transformed to the direction of enhancing socio-cultural values through Mahāyāna Buddhist texts mainly.

      • KCI등재

        가락국(駕洛國)과 고대 남인도(南印度)의 문화적 접촉에 관한 고찰

        이거룡(Lee, Geo-Lyong) 한국인도학회 2017 印度硏究 Vol.22 No.1

        고대 인도와 한국의 문화적인 접촉가능성은 주로 『삼국유사』 “가락국기”의 허황옥(許黃玉)전승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고대 인도와 우리나라의 연결고리는 허황옥의 출자(出自)로 기록된 아유타국과 수로왕릉(首露王陵)의 쌍어문이었다. 허황옥전승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견해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가락국기”의 아유타국을 역사상 실존했던 나라 이름으로 인정하고, 이와 연관시켜서 허황옥의 출자를 현재 북인도의 아요디야(Ayodhya)로 간주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허황옥전승을 단지 후대의 부회(府會)나 윤색된 표현으로 이해하며, 아유타국은 인도에서 『라마야나(Rāmāyaṇa)』 이후에 생겨난 신화적인 허구로 보는 입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물고기숭배’를 중심으로 고대 따밀왕국들과 옛 가락국의 문화적 접촉가능성을 고찰했다. 종교야말로 고대 인도와 옛 가락국의 사회 전체를 반영하는 문화종합체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 볼 때, 고대 인도와 한국의 문화적 접촉을 시사하는 가장 확실한 예는 따밀어(드라비다어)와 한글의 유사성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장 보수적인 언어정보로 간주되는 지명(地名)에 주목하여, 물고기숭배를 중심으로 고대 따밀왕국들과 옛 가락국의 문화적 접촉을 규명하고자 했다. 옛 가락국권역 또는 낙동강 이남지역에는 물고기 ‘어(魚)’ 자가 들어간 산 이름이나 땅 이름 또는 절 이름이 많다. 이것은 고대 우리나라의 산악신앙과 물고기숭배가 결합된 것이며, 이 중에서 물고기숭배는 고대 따밀왕국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옛 가락국의 물고기숭배가 따밀왕국들과 연관된다는 것은 이 지역에 있는 여러 사찰의 창건설화에 반영된 전승에서 엿볼 수 있다. 물고기숭배는 고대 따밀왕국들에 현저한 문화현상이었다. 지금도 남인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숭배의 대상은 미낙쉬(Minakshi)여신이며, ‘미낙쉬’라는 이름 자체에 물고기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고대 인도의 여러 왕국 중에서 쌍어문을 기장(旗章)으로 사용한 왕국은 따밀왕국들 중 하나인 빤디야(Pandya)왕국이었으며, 미낙쉬는 빤디야왕국의 공주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옛 가락국권역은 남해와 접해 있을 뿐만 아니라, 밀양강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지역으로 내륙의 수운(水運)과 도로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였다. 마찬가지로 남인도의 동해안을 끼고 있는 드라비다문화권의 따밀왕국들은 해양을 통하여 인도 바깥의 아시아 여러 나라들과 활발하게 문화적인 접촉을 했다. 말하자면, 고대 따밀왕국들은 인도의 문화가 해외, 특히 아시아로 전래되는 교두보였다.

      • Hinduism, Political Power and the History Textbook

        이광수(Lee, Kwang-Su)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09 아시아연구 Vol.- No.5

        인도에서는 민족주의 정당인 국민당(Janata Party)과 인도국민당(Bharatiya Janata Party)이 집권을 한 1977년과 1998년 이후 역사 교과서 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였다. 정권은 과거의 역사 교과서를 공산주의에 의한 역사 왜곡이라 규정하고 국립교육연수원(NCERT)의 교과서를 새로 집필하였다. 검인정 체제 아래에 있지만 국립교육연수원 발행 교과서가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역사 교과서 집필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인도에서의 역사 교과서 논쟁은 우익 정치 집단이 정권을 잡으면는 것만이 가장 효율적인 장기 집권의 길을 열어준다는 확신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믿었다는 점에서는 한국의 경우와 비슷하지만, 그 논쟁이 학계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철저히 학계의 논쟁을 외면하고 권력의 강압에 의해 문제가 발생한 한국에서의 역사 교과서 문제와는 전적으로 다르고, 본질적으로 역사학이 정치 권력의 이데올로기로 작동하였다는 점에서는 한국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인도에서의 역사 교과서 논쟁은 몇 가지 특색을 가지고 있다. 좌파는 역사를 사회과학의 일환으로 보는 반면 우파는 역사를 신화와 동일한 것 즉 문학의 일부로 보고 있다. 따라서 분명하게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먼 힌두 신화에 나오는 라마(Rama)나 끄리슈나(Krishna) 와 같은 신의 행적이 전자에 의해서는 부정되었지만 후자에 의해서는 인정되었다. 결국 이 논쟁은 학문이냐 신앙이냐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 역사 교과서 논쟁은 학교 교육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이 문제는 사회 정의와 관련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우파의 역사는 힌두교 우월주의를 넘어 다른 종교공동체를 부인하는 등 상당한 파시즘적인 이데올로기로 많은 학교에서 교재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역사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다원 사회를 부인하고 신성 국가를 주창하면서 사회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1992년 아요디야 사태나 2002년 구자라뜨 학살은 우파의 역사 교과서로 인해 촉발되었다는 것은 의심할 수 없는 사실이다. 결국 인도 우익의 역사 교과서 기술은 역사가 더 이상 과거를 설명하거나 분석하는 담론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정치의 최전선 무기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남아시아불교와 가야불교의 접점

        최경아 ( Choi Kyung-ah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2 No.-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서역과 중국을 거쳐 국내에 들어왔다는 것이 정설이었지만, 최근 해상경로를 통해 인도에서 직접 전래됐다는 남래설이 심심찮게 제기된다. 하지만 사료 부족으로 기존 통설을 번복하기엔 역부족인 것도 사실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수로왕이 불교를 잘 알고 있었다고 짐작할 수 있는 ‘16나한’, ‘칠성’ 등의 불교적인 표현이 등장 한다. 이는 아마도 『삼국유사』가 편찬되었을 당시의 불교 지식이 반영된 내용일 것으로 보인다. 아유타국의 왕녀로서 수로왕의 황후로 기록되어 있는 허황옥과 함께 불교가 전래되었다고 단정할 필요는 없으며, 불교의 전래와 공식 수용의 시기가 같다고 볼 필요도 없다. 따라서 불교가 가야 권역으로 들어온 시기는 허황옥이 가야에 온 서기 48년 이전일 수도 그 이후일 수도 있다. 교조적이고 종파화된 불교가 아닌, 민속이나 민간신앙의 형태로 교역을 통해 민간에 먼저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당서 역기』나 『불국기』에 아유타국이 등장하는 것을 볼 때 삼국유사의 일연은 아유타가 인도의 고대도시 아요디야임을 인지했을 것이다. 아요디아는 그 지명 자체가 인도의 종교를 상징하는 총체이다. 그러나 굽타왕조에 이르러 아요디야라는 이름으로 개명될 때까지 이 도시의 이름은 사께따(Saketa)로 알려져 있었다. 허왕후가 가야국에 도래한 1세기경 이 지역은 꾸샨왕조가 지배했던 시기로 헬레니즘, 페르시아계의 조로아스터교, 힌두교와 새롭게 등장한 대승불교 등 다양한 종교가 동서교역을 통해 축적되는 막대한 부와 더불어 번영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 또한 불탑이 조성되고 불상이 막 등장하기 시작한다. 『삼국유사』에는 허왕후가 고향에서 가져온 물품들이 나열되어 있다. 그녀가 가져온 물품들과 유사한 것들이 인도의 서부 해안과 동남부해안, 중북부 내륙의 아이하눔과 인근 꾸샨의 도시들, 베트남의 오케오 유적지 등에서도 발굴되었다. 그리고 김해의 고분군에서도 발굴되었다. 인도와 가야의 접점은 문화가 매개하고 있었고 그 내용은 다문화와 글로벌교역이었으며, 불교라는 형태로 이 땅에 흔적을 남겼던 것이다. 허왕후가 남인도 출신이라 해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 무렵 남인도의 안드라 부근에서도 여러 부파불교의 학파들이 활동했는데 이들은 점차 대승에 가까운 사상으로 전개되었다 남인도 역시 해상 실크로드의 활성화로 로마제국의 귀금속 등 서방의 상품이 유입되는 등 글로벌한 국제교역의 현장이었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Buddhism in India came to Korea through the Western Regions and China.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Buddhism had been imported directly from India through the maritime route. However,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it is not easy to reverse the more generally accepted view. In the Garak-guk-gi (Record of Garak country) of Samguk Yusa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re appear expressions such as ‘16 Nahan(Arahant)’ and ‘7 sung(saint)’, by which it can be guessed that King Suro knew about Buddhism well. This probably reflects the knowledge of Buddhism at the time when Samguk Yusa was compiled. We do not necessarily have to conclude that Buddhism has been brought to Korea along with Hwang-Ok Heo. Neither do we need to think that the date of official acceptance of Buddhism and that of introduction of Buddhism are the same. The time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Gaya region can be before or after C.E. 48. It seems that it was first introduced to common people in the form of folk customs and folk beliefs through trades, not in the form of dogmatic and sectarianized Buddhism. Hwang-Ok Heo is said to be the princess of Ayutta kingdom. As “Ayutta kingdom” appears in the Daedang-seoyeok-gi (The Great Tang Records on the Western Regions) and Bulguk-gi (The Record of the Buddhist Countries), it seems that Ilyeon (the author of Samguk Yusa ) recognized Ayutta as Ayodhya, the ancient city of India. Ayodhya is the epitome of the religion of India. However, the name of this city was known as Saketa until it was renamed as Ayodhya during the Gupta dynasty. Around the first century, when the Hwang-Ok Heo arrived in Korea, the region was in prosperity with the enormous wealth accumulated through East-West trade, with various religions such as Hellenism, Zoroastrianism, Hinduism and the newly emerging Mahayana Buddhism. During this period, more pagodas were built and the Buddha image began to appear. There are records of Hwang-Ok Heo and Ayutta in Samguk Yusa, and the items she brought from her home county are listed. Items similar to hers were unearthed on the west coast and southeastern shores of India, in the cities of Ai khanoum and Kushan in the north-central part of the country, and at the Oc-eo sites in Vietnam. They were also excavated in the tomb of Gimhae.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India and Gaya was midium of the culture, which was multicultural and global trade, and left traces in the form of Buddhism. Even if it is accepted that she is from South India,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At that time, various Buddhist schools were active in the Andhra area of South India, which gradually evolved into Mahayana Buddhism. South India was also the site of global international trade such as the precious metals of the Roman due to the invigoration maritime silk road.

      • KCI등재

        가야불교 출발선에서 본 아요디아의 위치에 대한 재고 - 허황후 이동경로 추정을 통해서 -

        한지연 ( Han Jee-y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허황후 이동경로에 있어서 출발선이 어디냐의 문제는 단순히 어느 지역과 가야가 교류를 했다라는 차원의 문제는 아니다. 허황후의 출신국가, 그 국가내에서도 어느 지역이냐의 문제는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많은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허황후의 출발선에 대해 수많은 가능성들을 열어두고 연구되어 왔다. 그 결과 북인도, 남인도, 태국, 중국 등 많은 지역이 거론되었다. 그리고 각각의 출발선에 따라 문화교류의 내용도 조금씩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까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왜 가야에 왔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허황후의 출신지역과 이동경로를 다시금 상정해보았다. 이에 허황후 생존 시기 무렵, 인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의 민족이동경로와 문화의 교류 현황 등을 함께 고려하였다. 고대 민족의 이동은 잦은 일이었으며 이는 생활방식, 문화의 이동 등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기 때문에 고대사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이다. 때문에 이와 같은 제반의 문제들을 함께 고려하고, 당시 싱인과 불교의 전파루트가 주요 루트로 작용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적용시켰다. 그 결과 북방루트의 육상도로를 일부 이용하고, 중국을 거쳐 가야까지 해상루트를 이용했을 가능성도 높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당시 민족의 이민사와 더불어 현존하는 유물의 동일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접근 방식이 활발하게 연구방법론으로 제시되지는 않았고, 두 가지 루트를 모두 이용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처음 밝히는 것이니 만큼 향후 좀 더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이 많다. 검토할 문제를 제기함과 동시에 허황후의 이동경로 문제를 제기하는 논문이다. The nationality of Heohwanghu and the exact region where she came from contain many issues on the cultural exchanges at that time. This is why there have been many theories about her departure point such as Northern India, Southern India, Thailand and China. Consequentially each theory has provided different routes of cultural exchanges. This paper is main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however focuses on the way and the reason that she came to Gaya to reconsider her nationality and the route toward Gaya. The research about the movement of peoples of East Asia include India when Heohwanghu lived seems to be helpful to understand her route. The most roads of merchant used at that time overlap those of Buddhism spreading out. Even though it still needs to review and improve the method of this study, there is good possibility that the group of Heo moved to China by overland route and afterward to Gaya by sea route.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 관련 쟁점 재검토

        황정일(Hwang, Jung Il)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가야는「삼국유사」에서 언급된 이후 그 역사성과 더불어 불교 전래와 관련해서 끊임없이 그 진위가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불교와 관련해서는 ‘가락(駕洛)’이라는 국명(國名)과 아유타(阿踰陀)라는 전래 지역, 그리고 그 전래 시기가 문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불전(佛典)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함으로써「삼국유사」에서의 가야불교와 관련한 진위를 논구했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야의 국명과 관련한 기존의 주장은 1) 인도의 붓다-가야 (Buddha-Gaya)라는 불교적 지명에 근거한 주장, 2) 남인도 드라비다어 에서 ‘가야’가 물고기를 뜻하기 때문에 가야 지역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되었다는 주장, 3) 고대 한국어의 음운변화(音韻變化)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 등이 있었다. 그러나 「삼국유사」「어산불영」의 내용과 그 음역어를 추적한 결과, 가야의 원어는 나게라갈(那揭羅曷)에 해당하는 nagarahara에서 유래한 것으로 논구했다. 특히, 이곳은 과거 동서양을 잇는 교역지였으며, 불경과 불상이 중국으로 전해졌던 간다라 (Gandhara) 지역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야불교의 전래 지역과 관련해서 1) 아유타(阿踰陀)는「라마야나」이후 만들어진 가상의 도시라는 허구설과, 2) 남인도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한 남인도 출자설 등에 대해서는 논자의 기존 연구를 보완해서 고대 인도 중북부 지역에 실존했던 도시로 보았다. 셋째, 가야불교 전래 시기와 관련해서는 「삼국유사」「파사석탑」에서 언급된 ‘상교(像敎)’라는 말에 주목했다. ‘상교=불교’로 이해하는 일반적 해석이 아니라, 상교라는 단어의 본래 뜻인 불상과 교법으로 해석해 보면, ‘상교’ 가 나오는 구절을 ‘불상과 경전이 없어서 절을 짓지 못했다’로 번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해석이 가능하다면,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는 가야 성립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 Ever since it was mentioned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Gaya, the name of an ancient Korean kingdom, has been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s of whether it actually existed or not, and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n peninsular.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Buddhism, the state name of Garak(駕洛), Ayuta(阿踰陀) from which region Buddhism was said to be imported to ancient Korea, and the connection time have been controversial.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ranslite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to define the truth or falsehood of Gaya Buddhist mentioned in Samgukyus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Gaya state name include 1) the Buddhist name place known as Buddha-Gaya in India, 2) Gaya s fish worship faith since Gaya means fish in South Indian Dravidian, and 3) Korean phonological change. However, this writer explored Samgukyusa s Eosanbulyeong(魚山佛影) tale and corresponding transliterations, finding that the word Gaya came from nagarahara mentioned as Nageragal(那揭羅曷). In particular, this place was found to have been a trade hub connecting the West and East in ancient times, and part of Gandhara from which region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were brought to China. Second, with regard to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origin from which Buddhism was brought to Gaya, which include 1) Ayuta(阿踰陀) was an imaginary city created after Ramayana and 2) South India in relation to South India s fish worship faith, this writer complemented the existing theories and saw the area as an actual city in the middle and north region in ancient India. Third, with regard to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attention was paid to ‘Sanggyo(像敎)’ mentioned in Samgukyusa s PasaSeokdap(婆娑石塔). Apart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of ‘Sanggyo=Buddhism’, if the word Sanggyo is originally meant as Buddha image and Buddha teaching, it can be translated as being unable to build temples due to the absence of Buddha image and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if this interpretation is allowed,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founding time of Gaya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anggyo.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 관련 쟁점 재검토― 『삼국유사』에 언급된 불교용어와 음역어(音譯語)를 중심으로

        황정일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Ever since it was mentioned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Gaya, the name of an ancient Korean kingdom, has been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s of whether it actually existed or not, and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n peninsular.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Buddhism, the state name of Garak(駕洛), Ayuta(阿踰陀) from which region Buddhism was said to be imported to ancient Korea, and the connection time have been controversial.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ranslite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to define the truth or falsehood of Gaya Buddhist mentioned in Samgukyus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Gaya state name include 1) the Buddhist name place known as Buddha-Gayā in India, 2) Gaya's fish worship faith since Gaya means fish in South Indian Dravidian, and 3) Korean phonological change. However, this writer explored Samgukyusa's Eosanbulyeong(魚山佛影) tale and corresponding transliterations, finding that the word Gaya came from nagarahāra mentioned as Nageragal(那揭羅曷). In particular, this place was found to have been a trade hub connecting the West and East in ancient times, and part of Gandhara from which region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were brought to China. Second, with regard to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origin from which Buddhism was brought to Gaya, which include 1) Ayuta(阿踰陀) was an imaginary city created after Rāmāyana and 2) South India in relation to South India's fish worship faith, this writer complemented the existing theories and saw the area as an actual city in the middle and north region in ancient India. Third, with regard to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attention was paid to ‘Sanggyo(像敎)’ mentioned in Samgukyusa's PasaSeokdap(婆娑石塔). Apart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of ‘Sanggyo=Buddhism’, if the word Sanggyo is originally meant as Buddha image and Buddha teaching, it can be translated as being unable to build temples due to the absence of Buddha image and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if this interpretation is allowed,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founding time of Gaya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anggyo. 가야는 『삼국유사』에서 언급된 이후 그 역사성과 더불어 불교 전래와 관련해서 끊임없이 그 진위가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불교와 관련해서는 ‘가락(駕洛)’이라는 국명(國名)과 아유타(阿踰陀)라는 전래 지역, 그리고 그 전래 시기가 문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불전(佛典)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함으로써 『삼국유사』에서의 가야불교와 관련한 진위를 논구했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야의 국명과 관련한 기존의 주장은 1) 인도의 붓다-가야(Buddha-Gayā)라는 불교적 지명에 근거한 주장, 2) 남인도 드라비다어에서 ‘가야’가 물고기를 뜻하기 때문에 가야 지역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되었다는 주장, 3) 고대 한국어의 음운변화(音韻變化)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 등이 있었다. 그러나 『삼국유사』 「어산불영」의 내용과 그 음역어를 추적한 결과, 가야의 원어는 나게라갈(那揭羅曷)에 해당하는 nagarahāra에서 유래한 것으로 논구했다. 특히, 이곳은 과거 동서양을 잇는 교역지였으며, 불경과 불상이 중국으로 전해졌던 간다라(Gandhara) 지역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야불교의 전래 지역과 관련해서 1) 아유타(阿踰陀)는 『라마야나』 이후 만들어진 가상의 도시라는 허구설과, 2) 남인도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한 남인도 출자설 등에 대해서는 논자의 기존 연구를 보완해서 고대 인도 중북부 지역에 실존했던 도시로 보았다. 셋째, 가야불교 전래 시기와 관련해서는 『삼국유사』 「파사석탑」에서 언급된 ‘상교(像敎)’라는 말에 주목했다. ‘상교 = 불교’로 이해하는 일반적 해석이 아니라, 상교라는 단어의 본래 뜻인 불상과 교법으로 해석해 보면, ‘상교’가 나오는 구절을 ‘불상과 경전이 없어서 절을 짓지 못했다’로 번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해석이 가능하다면,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는 가야 성립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