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의 필연성과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

        이영환(Yungwhan Lee) 한국서양고전학회 2010 西洋古典學硏究 Vol.39 No.-

        아리스토텔레스의 필연성 개념과 관련하여 필자는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다룬다. 첫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양상 실재론자인지 그리고 그가 양상 실재 론자라면 어떤 의미에서 그런 지이고, 또 하나는 콰인(W. V. O. Quine)이 de re 필연성을 부정하고 반(反)본질주의를 주장하면서 타겟으로 삼은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 (Aristotelian essentialism)’가 정말로 아리스토텔레스적인가 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근본적으로 양상 실재론자라는 것은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할 만한 주장이나, 구체적으로 그의 양상 이해가 어떤 의미에서 실재 론적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많은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들이 콰인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고자 한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가 (필자가 이해하기에) 중요한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본질 이해에서 벗어나 있다는 것에도 잘 드러난다. 필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본질에 대한 하나의 이해를 바탕으로 양상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이 물론 콰인식의 반본질주의가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콰인이 비판하고 일군의 학자들이 콰인의 비판으로부터 옹호하는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도 아닌 제 삼의 입장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의를 통해 또한 필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현대 술어 논리를 끌어들이는 것이 부적절함을 주장하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형이상학적으로 중립적이라고 주장되어왔던 현대 술어 논리가 어떤 의미에서 근본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는 다른 존재론적 가정을 끌어들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조심스럽게 문제제기를 할 것이다. 필자는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이해하는 필연성 개념이 현대적인 이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라고 주장하고 그러한 필연성 개념을 이해하는 한 시도로서 ‘능력으로서의 필연성’ (dynamic necessity) 개념을 소개할 것이다. I address two issues regarding Aristotelian modality. One issue concerns whether Aristotle is a modal realist. Is modality in Aristotle part of the objective world or is it somehow dependent on how we use our language or concepts? My answer is that Aristotle is a modal realist all right, but a peculiar kind, peculiar because his metaphysical stanc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urs. Another issue is whether Quine’s so-called Aristotelian essentialism is really Aristotelian. My answer is negative. When I explain why so-called Aristotelian essentialism is not Aristotelian, I will have a chance to discuss Aristotle’s metaphysical stance. The picture emerging out of my discussion of Aristotelian substances shows that there is a third alternative beside anti-essentialism of Quine and what he and other scholars have characterized as Aristotelian essentialism. During the course, the difference between Aristotelian metaphysics and the metaphysics that dominates the modern mind is noted and the applicability of modern logical notions/devices to Aristotle’s philosophy questioned. I suggest that we should be very careful in approaching Aristotle’s philosophy with the modern logical notions/devices since modern philosophy and logic are, I believe, on a quite different metaphysical footing from that on which Aristotle’s philosophy stands. I suggest at the end the notion of dynamic necessity as a basic framework to understand Aristotelian necessity.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과 그의 철학

        이재현(Lee, Jae-hyu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대한 기본 이해와 태도에 대하여 그의 저작이 전승된 과정에 주목하여 반성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관되고 통일된 하나의 체계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이 철학이 가진 학문적 위상에 비춰볼 때 당연한 기대처럼 여겨진다. 특히 현재 우리에게 전승된 그의 저작은 논리학에서 출발하여 자연학, 형이상학, 윤리학과 정치학, 그리고 수사학과 시학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순서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것이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의 이념에 기인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도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그의 저작이 전승되고 편집된 역사를 살펴보면 이러한 기대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해하기보다 오해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나는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의 초기 전승사, 특히 기원전 1세기경 최초의 아리스토텔레스 전집(Corpus Aristotelicum)의 편집자로 알려진 로도스 출신의 안드로니코스의 작업을 주목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가진 구성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전승의 역사적 이해와 함께 전승된 저작에 대한 고전문헌학적 고찰, 그리고 그의 철학 전반에 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이해와 관련되지 않을 수 없다. 결론적으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이 가지는 구성적 특징을 그의 저작이 전승된 과정에서 유심히 살펴봄으로써 ‘순수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완전한 복원과 재구성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이 그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basic conception and attitude of Aristotelian philosophy by observing the transmission of his writings. The attempt to understand Aristotelian philosophy as a consistent, uniform, and unique system seems to be a natural expectation in the face of the scientific position of this philosophy. But if one looks at the history of the transmission and the edition of his works, this expectation does not correctly understand the Aristotelian philosophy, but misunderstands it. From this problem-consciousness I examine the structural features of Aristotelian philosophy by drawing attention to the work of Andronicus of Rhodes, who was the first editor of the Corpus Aristotelicum around the 1st century BC.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transmission of the Aristotelian writings, and to the classical-philological view of the transmission of writings, and also to the broad and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whole philosophy of Aristotle. Finally, I conclude that it is best to understand the Aristotelian philosophy in the pluralistic perspective as Aristotle himself did.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과 보에티우스의 삼단논법

        전재원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5 No.-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과 보에티우스의 삼단논법을 비교하는 것이다. 정언삼단논법과 가언삼단논법에 집중하기 위하여 양상적 삼단논법은 우리의 논의로부터 배제하였다. 논리학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과 관련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언삼단논법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연구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분석론 전서에서 다수의 타당한 정언삼단논법의 식들이 왜 타당한지를 증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언삼단논법에 관한 한 그렇게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에서 가언삼단논법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대목을 발견할 수가 없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들이 이 간극을 메우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 이론을 발전시킨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에티우스가 자신의 저서 가언삼단논법에 관하여의 제1권에서 강조하고 있듯이, 페리파토스학파는 가언삼단논법에 대한 연구를 막 시작했을 뿐이었고 나머지의 보다 더 상세한 연구는 어쩔 수 없이 보에티우스 자신이 할 수밖에 없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번역하는 가운데 보에티우스로서는 불가피하게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약간 변형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언어적 차이에 있었다. 우리는 보에티우스의 번역 때문에 주사와 빈사의 순서가 바뀜으로써 정언삼단논법의 격이 변형되었고,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삼단논법의 격은 보에티우스가 제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또 삼단논법에 관한 보에티우스의 저작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을 통해서 정언삼단논법은 거의 전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에 의해서 발전했던 반면에 가언삼단논법을 광범하고 세밀하게 연구한 사람은 보에티우스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보에티우스가 가언삼단논법을 간결하게 설명한 역사상 최초의 인물은 아니었다.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yllogisms from both fronts : Aristotle and Boethius. We mainly focus on th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categorical and hypothetical syllogisms in Aristotle and Boethius. Regarding Aristotle’s works on logic, it is not unusual to claim that Aristotle extensively worked on categorical syllogisms. In Prior Analytics, Aristotle gave proofs for many valid moods. However we cannot find a similar treatment for hypothetical syllogism in his works. Thus, it might be a reason for his students to improve Aristotle’s theory of syllogisms by filling the gaps in hypothetical syllogisms. As Boethius already emphasized in the Book I of De Hypotheticis Syllogismis, the Peripatetic School only initiated the start. The remaining and detailed treatise was due to Boethius himself. The impression we got from Boethius’s and Aristotle’s works on syllogisms is that the categorical syllogism is almost entirely developed by Aristotle himself, whereas the extensive and the detailed study of the hypothetical syllogism was carried out by Boethius, although he was not the first figure in the history who gave concise expositions on hypothetical syllogism. Boethius’s translations of syllogisms in medieval era were the primer resource and textbook for Aristotelian logic during the early Medieval ages. Therefore, the scholars of those times had no other chance but to work from Boethius’s commentaries. So, the evident properties of Aristotelian figures were not then visible. Boethius wrote several textbooks in logic. A detailed investigation might yield significant information on Boethius’s logic compared with the influence of Aristotle on Boethiu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과 그의 철학

        이재현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basic conception and attitude of Aristotelian philosophy by observing the transmission of his writings. The attempt to understand Aristotelian philosophy as a consistent, uniform, and unique system seems to be a natural expectation in the face of the scientific position of this philosophy. But if one looks at the history of the transmission and the edition of his works, this expectation does not correctly understand the Aristotelian philosophy, but misunderstands it. From this problem-consciousness I examine the structural features of Aristotelian philosophy by drawing attention to the work of Andronicus of Rhodes, who was the first editor of the Corpus Aristotelicum around the 1st century BC.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transmission of the Aristotelian writings, and to the classical-philological view of the transmission of writings, and also to the broad and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whole philosophy of Aristotle. Finally, I conclude that it is best to understand the Aristotelian philosophy in the pluralistic perspective as Aristotle himself did.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대한 기본 이해와 태도에 대하여 그의 저작이 전승된 과정에 주목하여 반성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관되고 통일된 하나의 체계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이 철학이 가진 학문적 위상에 비춰볼 때 당연한 기대처럼 여겨진다. 특히 현재 우리에게 전승된 그의 저작은 논리학에서 출발하여 자연학, 형이상학, 윤리학과 정치학, 그리고 수사학과 시학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순서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것이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의 이념에 기인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도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그의 저작이 전승되고 편집된 역사를 살펴보면 이러한 기대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해하기보다 오해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나는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의 초기 전승사, 특히 기원전 1세기경 최초의 아리스토텔레스 전집(Corpus Aristotelicum)의 편집자로 알려진 로도스 출신의 안드로니코스의 작업을 주목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가진 구성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전승의 역사적 이해와 함께 전승된 저작에 대한 고전문헌학적 고찰, 그리고 그의 철학 전반에 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이해와 관련되지 않을 수 없다. 결론적으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이 가지는 구성적 특징을 그의 저작이 전승된 과정에서 유심히 살펴봄으로써 ‘순수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완전한 복원과 재구성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이 그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자연학』 2권, 4-6장에서의 운과 자동성

        이영환(Lee, Yung-Whan) 한국서양고전학회 2009 西洋古典學硏究 Vol.37 No.-

        이 논문의 주제는 아리스토텔레스가『자연학』 2권, 4-6장에서 개진하고 있는 운(τ?χη)과 자동성(α?τ?ματον)에 대한 설명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운과 자동성에 대한 설명에 대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고 지금까지의 주석가들의 해석을 검토하고 새로운 대답을 내놓는다. 1) 운 좋게 생긴 일의 대표적인 예로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들고 있는, 시장에 갔다가 자신의 채무자를 만나게 된 채권자의 이야기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보기에 운으로 말미암은 일은 정확히 무엇인가? 2) 여기에 (구체적으로는, 196b21-22) 등장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무언가를 지향하는’ (?νεκ? του)에 대한 설명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3) 아리스토텔레스의 운과 자동성에 대한 정의는 과연 어떤 것인가? 이 세 문제들은 사뭇 다른 문제들이면서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운과 자동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하려고 할 때 사실상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한꺼번에 다룰 수밖에 없는 문제들이다. 각각의 문제에 대해 필자의 대답은 다음과 같다. 1) 운 좋은 채권자의 예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일차적으로 운으로 말미암은 것으로 여기는 것은 채권자가 채무자를 만났다거나 그로부터 빚을 받은 일이 아니라 채권자가 시장에 간일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아리스토텔레스가 일차적으로 운으로 말미암은 것으로 여기는 일은 많은 연구자들이 생각하듯이 행위의 어떤 좋은 결과가 되는 그런 일이 아니라 오히려 목적하지 않은 결과에 도달하게 된 행위이다. 2) 196b21-22에 등장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νεκ? του’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기 위해 로스 등이 도입하는 비표준적 해석 - 보통의 ‘무언가를 목적으로 가지는’ 보다 더 넓은 외연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는 -을 채택할 필요가 없다. 3) 아리스토텔레스의 운의 본격적인 정의는 다른 연구자들이 생각한 것처럼 5장의 중간에 이미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장의 말미(197a32-35)에서야 비로소 등장한다. In this paper, I discuss Aristotle’s account of luck (τ?χη) and chance (α?τ?ματον) in Physics II. chapters 4-6. The passage in question has been much discussed by Aristotelian scholars but there are many issues that need reconsidering. I closely read the passage, especially chapter 5, line by line and discuss issues that come along. Particularly, I pose the following questions and suggest answer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opular interpretation adopted by scholars such as Ross: 1) What exactly is the thing that is due to luck, in the story of a lucky creditor, Aristotle’s paradigm example of a lucky incident? 2) How should we understand Aristotle’s explanation of ‘for the sake of something’ (?νεκ? του)? 3) What is the (fullest) definition of luck (and chance) Aristotle provides in these chapters? My answers are: 1) The (primary) thing due to luck in the example of the lucky creditor is not his meeting the debtor or getting his money back but his going to the market. 2) An ad hoc interpretation of ?νεκ? του is unnecessary. 3) Aristotle’s fullest definition of luck appears only in the last part of the chapter in 197a32-35.

      • KCI우수등재

        행위와 행위자

        노영란(Young-Ran Roh)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7

        도덕성과 도덕현상의 고찰에서 행위와 행위자가 가지는 의미와 둘 간의 관계라는 주제를 염두에 둘 때 코스가드(Christine M. Korsgaard)가 제시하는 구성적 모델(the Constitutional Model)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구성적 모델에서 코스가드는 행위(action)가 자아구성(self-constitution)이라고 주장하면서 행위와 행위자를 통합하고 행위자와 도덕적 행위자를 일치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칸트주의자인 코스가드의 구성적 모델에 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칸트적 구성주의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 결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존해서 코스가드는 목적론적 조직 내지 기능적 배열이야기하는 규범적 표준이 구성적 표준이 되고 이러한 구성적 표준이 우리의 활동에 적용될 때 규범적 힘을 가지는 구성적 원칙이 된다고 설명한다. 코스가드가 칸트적 구성주의에 아리스토텔레스를 결합하는 근거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 모두 기본적으로 규범적 원칙이 구성적 원칙이라고 본다는 점이다. 그러나 행위와 자아구성을 동일시할 때 코스가드는 자아구성을 상태가 아니라 활동으로 본다.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자아구성은 활동이기도 하지만 상태이기도 하기 때문에 행위가 바로 자아구성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코스가드처럼 행위의 규범적 원칙이 바로 행위자가 되는 구성적 원칙이라고 생각한다는 해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적절하지 못하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를 구성적 모델에 결합하는 코스가드의 시도는 그녀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지 못한다. 코스가드에게 있어서 규범성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은 규범성에 대한 절차주의적 이해를 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과 기능, 선에 대한 입장은 이러한 절차주의적 구성주의와 결합되기 어렵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실천적 합리성은 행복, 즉 잘 사는 것에 대한 추론과 관련됨으로써 절차적일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개념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결국 구성적 모델을 정립할 때 아리스토텔레스에 의존하는 코스가드의 시도는 적절하지도 못하고 성공적으로 작용하지도 못한다. Christine M. Korsgaard"s Constitutional Model is worthy of notice in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s of action and agent and the relation of the two. The Main argument of Korsgaard"s Constitutional Model is that self-constitution is action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ffect Aristotle has on Korgaard"s model and how well her reconstruction of Aristotle"s arguments work within her Kantian constructivism. Depending upon Aristotle Korsgaard insists that teleological organizations or functional arrangements bring about constitutive standards and those constitutive standards, in applying to our activities, serve as constitutive principles with a normative force. Korsgaard"s dependence on Aristotle is related to her understanding that both Aristotle and Kant see normative principles as constitutive principles. Such a understanding, however, does not fully reflect Aristotle"s positions. Korsgaard explains that self-constitution is an activity, and not a state. For Aristotle self-constitution is a state as well as an activity and so self-constitution is not action itself. It is thus somewhat different from Aristotle"s positions that normative principles for action are identified with constitutive principles for agents. There is another problem in Korsaggard"s project of getting Aristotle involved into her Constitutive Model. Korsagaard"s constructivist approach to normativity is a sort of proceduralism. On the other hand Aristotle"s conception of practical rationality is not only a procedural but also a substantive one in that it is related to the reasoning for eudaimonia, or living well. Thus Aristotle"s arguments on telos, function and good are at odds with her procedural constructivism. It shows that Korsgaard"s project does not work well as she expects.

      • KCI등재

        해부학 개념이 들어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송창호(Chang Ho So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3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론적 철학자와 논리학자로 잘 알려져 있으나, 그는 위대한 자연주의 과학자이었다. 사실 그는 현대적 의미에서 최초의 해부학자이며 해부학을 학문들 중 하나의 전문분야로 이끌어낸 해부학의 창시자이었다. 비록 그가 사람을 직접 해부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태아의 일부를 관찰하였고 동물들의 계통학적 분류를 시도하였다. 그가 남긴 사람해부학의 업적과 아울러 동물비교해부학의 업적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는 장기들을 정확하게 묘사하였고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해부학적 연구방법의 토대를 확립했다. 또한 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전문 해부학 용어들을 만들었으며, 그의 관찰 기법은 너무나 정교하여 놀랄 정도이다. 비록 그의 생리학 개념에 많은 오류가 있었지만, 장기들과 몸의 각 부위에 대한 형태학적 설명은 당시에 그가 최고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해부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논의하는 데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연구한 해부학 분야의 업적을 살펴보고, 그의 해부학 연구의 오류를 알아보고, 해부학 개념이 들어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또한 오늘날 해부학자들에게 아리스토텔레스가 해부학의 위대한 선구자로 그의 훌륭한 업적을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 Although Aristotle is commonly known as a theoretical philosopher and a logician, he was also a great natural scientist. Actually in modern terms he was the first ever anatomist who originated anatomy. Despite the fact that he didn’t directly dissect humans, he observed parts of fetus and tried systematic analysis of animal bodies. The achievements he has accomplished in human anatomy and animal comparative anatomy are countless. He accurately described organs and built a foundation for presenting scientific reasons in anatomical research. Furthermore, he made modern nomenclature which is still being used today and his observational skills were so precise it was hard to even believe. Even though there were a lot of errors in his physiological concepts, his structural descriptions about organs and body parts were the best at that tim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how Aristotle’s anatomy and philosophy are closely related. It’s aim is to take a look at his anatomical achievements, errors and Aristotelian philosophy in its bearing on anatomical thoughts. In addition, the goal is to knowledge today’s anatomists about Aristotle’s astonishing achievements as a great pioneer in anatomy.

      • KCI등재

        생의윤리학에 적용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탐구방법

        전재원(Jeon, Jae-Wo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탐구방법이 생의윤리학적 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엔독사(endoxa)와 더불어 윤리학적 탐구를 시작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윤리학적 탐구의 출발점에는 엔독사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포리아(aporia)도 있다. 엔독사와 더불어 아포리아에 직면할 때, 우리는 보다 더 확실한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그리고 어떻게 해서 잘못이 발생했는지를 알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탐구방법을 비판하는 입장에 서 있는 사람들은 아포리아를 변증법적으로 해소하는 단계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들은 공리주의 윤리설이나 칸트(I. Kant)의 윤리설과 같은 윤리이론에 최고의 자리를 내주거나 사례기반 추론법이나 배려윤리학처럼 실천을 중시하여 윤리이론을 아예 멀리한다. 전자의 경우 윤리이론으로부터 엔독사와 분명히 모순적인 혹은 혐오감을 자아내는 결론에 직면했을 때, 그 결론이 윤리이론으로부터 나왔다는 주장에 설득당할 사람은 별로 없다. 후자의 경우 생의윤리학은 비판적이고 규범적인 날을 상실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탐구방법은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세부적인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순수사회과학의 상향식 접근과는 달리, 그리고 배려윤리학처럼 상향적으로 접근하는 몇몇 응용윤리학과는 달리,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방법은 규범적이고 비판적인 날을 보유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탐구방법은 우리로 하여금 엔독사에 대한 단순한 기술(記述)을 넘어 엔독사 안의 아포리아를 해결하는 데에로 이동하게 해준다. 생의윤리학의 영역은 실천적 영역이자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논란이 많은 결론들은 생의윤리학의 영역에서는 설득력이 없다. 논란이 많은 결론들에 직면할 때, 즉 엔독사의 충돌로 말미암아 아포리아에 직면하게 될 때, 우리는 엔독사를 넘어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탐구방법은 윤리이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이동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The main claim of this study is to graft the method outlined and used in Aristotle"s Ethics onto bioethics. This study begins by giving a outline of Aristotle"s ethical method. The main argument is made in two stages. First, it is argued that Aristotelian ethical method is credible because it compares favourably with alternatives. In this argument it is shown that Aristotelian method is not vulnerable to criticisms that are made both of methods that give a primary place to moral theory such as utilitarianism and methods(such as social science approaches) that eschew moral theory. Second, the appropriateness of Aristotelian ethical method is indicated through outlining how it would deal with a particular bioethical cas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나타난 ‘하마르티아’에 대한 연구

        김인숙(Kim, Insoo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연극과 문학에서 주인공을 불행에 빠뜨리게 하는 그래서 관객들에게 연민과 공포를 가져다주는 ‘하마르티아’의 고전적인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하마르티아’를 어떤 문맥에서, 어떤 용도와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사실 그동안 국내외의 여러 학자들이 이 말의 의미와 용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동원하여 조사를 하였다. 하지만 아직 합의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핵심적인 문제는 ‘하마르타아’가 인간의 내면적인 지성적인 착오나 판단, 실수, 과오 등을 가리키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도덕적인 착오나 판단, 실수, 과오 등을 가리키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실존과 전 삶을 좌우하는 어떤 외부적인 힘, 이를테면 주인공이 어쩔 수 없이 비극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운명이나 신의 힘을 가리키고 있느냐는 것이다.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마르티아’를 사용하고 있는 『시학』13장은 물론 13장의 전후문맥과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13장과 14장에서 훌륭한 비극의 모델로 자주 언급하고 있는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마르티아’를 단순히 주인공의 지성적 혹은 도덕적 무지나 착각, 과실만을 뜻하는 것으로만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오히려 주인공이 전지전능한 신이 아닌 유한된 지식과 능력을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그가 아무리 이를 벗어나려고 몸부림친다하더라도 결국 벗어날 수 없음으로 인해 비극을 당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유한적 실존성’(有限的實存性)을 지칭하는 것임을 논증한다. 말하자면 인간의 실존성은, 한편으로 ‘하마르티아’를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는 존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하마르티아’의 지배 아래 있을 수밖에 없고 그리고 그 결과에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하마르티아’를 기존의 연구들처럼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오히려 복합적인 개념으로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This essay explores a correct possible meaning of the term hamartia which Aristotle employs twice in his Poetics 13with a reference to Sophocles’s Oedipus as the best kind of tragic plot. To be the best kind of tragic plot that arouses pity and fear, according to Aristotle, “a person[protagonist] is one who neither surpasses [us] in virtue and justice, nor who undergoes a chance to misfortune because of evil or wickedness, but who falls because of some hamartia, and who is one of those persons who stand in great reputes and properity...[a person who] involves a chance that moves not from bad fortune to good fortune, but the other way round, from good fortune to bad, not because of evil, but because of a serious hamartia.” Strikingly, since Aristotle offers no definition of the term hamartia in his Poetics, what Aristotle meant by hamartia has been hotly debated in areas such as drama, classical literature, opera and philosophy. The crucial issue at stake is whether hamartia should be interpreted simply as either a hero(ine)"s tragic moral error, mistake, wrongdoing, and sin, or his(her) intellectual mistake, error, and ignorance in judgment, or the protagonist"s human limitations in both intellect and morals, or as referring to external power and force such as fate and god"s providence. In order to find a correct possible meaning and usage of hamartia in western classical plays, this essay focuses especially on Aristotle"s Poetics. Through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to the related text and its context, the essay strives to find the meaning of hamartia and then argues as follows: Aristotle employs the term hamartia in Poetics not simply to mean either the protagonist"s moral error or his intellectual mistake and ignorance of judgment, but embraces a much more compound meaning, including the moral and intellectual limitations of the human protagonist, who is under the power of fate and gods. 본 연구는 연극과 문학에서 주인공을 불행에 빠뜨리게 하는 그래서 관객들에게 연민과 공포를 가져다주는 ‘하마르티아’의 고전적인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하마르티아’를 어떤 문맥에서, 어떤 용도와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사실 그동안 국내외의 여러 학자들이 이 말의 의미와 용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동원하여 조사를 하였다. 하지만 아직 합의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핵심적인 문제는 ‘하마르타아’가 인간의 내면적인 지성적인 착오나 판단, 실수, 과오 등을 가리키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도덕적인 착오나 판단, 실수, 과오 등을 가리키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실존과 전 삶을 좌우하는 어떤 외부적인 힘, 이를테면 주인공이 어쩔 수 없이 비극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운명이나 신의 힘을 가리키고 있느냐는 것이다.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마르티아’를 사용하고 있는 『시학』13장은 물론 13장의 전후문맥과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13장과 14장에서 훌륭한 비극의 모델로 자주 언급하고 있는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마르티아’를 단순히 주인공의 지성적 혹은 도덕적 무지나 착각, 과실만을 뜻하는 것으로만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오히려 주인공이 전지전능한 신이 아닌 유한된 지식과 능력을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그가 아무리 이를 벗어나려고 몸부림친다하더라도 결국 벗어날 수 없음으로 인해 비극을 당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유한적 실존성’(有限的實存性)을 지칭하는 것임을 논증한다. 말하자면 인간의 실존성은, 한편으로 ‘하마르티아’를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는 존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하마르티아’의 지배 아래 있을 수밖에 없고 그리고 그 결과에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하마르티아’를 기존의 연구들처럼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오히려 복합적인 개념으로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This essay explores a correct possible meaning of the term hamartia which Aristotle employs twice in his Poetics 13with a reference to Sophocles’s Oedipus as the best kind of tragic plot. To be the best kind of tragic plot that arouses pity and fear, according to Aristotle, “a person[protagonist] is one who neither surpasses [us] in virtue and justice, nor who undergoes a chance to misfortune because of evil or wickedness, but who falls because of some hamartia, and who is one of those persons who stand in great reputes and properity...[a person who] involves a chance that moves not from bad fortune to good fortune, but the other way round, from good fortune to bad, not because of evil, but because of a serious hamartia.” Strikingly, since Aristotle offers no definition of the term hamartia in his Poetics, what Aristotle meant by hamartia has been hotly debated in areas such as drama, classical literature, opera and philosophy. The crucial issue at stake is whether hamartia should be interpreted simply as either a hero(ine)"s tragic moral error, mistake, wrongdoing, and sin, or his(her) intellectual mistake, error, and ignorance in judgment, or the protagonist"s human limitations in both intellect and morals, or as referring to external power and force such as fate and god"s providence. In order to find a correct possible meaning and usage of hamartia in western classical plays, this essay focuses especially on Aristotle"s Poetics. Through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to the related text and its context, the essay strives to find the meaning of hamartia and then argues as follows: Aristotle employs the term hamartia in Poetics not simply to mean either the protagonist"s moral error or his intellectual mistake and ignorance of judgment, but embraces a much more compound meaning, including the moral and intellectual limitations of the human protagonist, who is under the power of fate and gods.

      • KCI등재

        『알렉산더 수사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신경수(Shin, kyungsoo)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플라톤이 수사학을 변증법에 비해 상당히 부족한 기술로 여겼던 것이나, 소피스트들이 수사학에 대해 기존의 학문을 대체할 수 있는 마스터키쯤으로 생각했던 것과도 구분되는 독특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수사학』의 독특성이 전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본인의 독창성에 기인한 것은 아니며, 플라톤과 소피스트의 논의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전개하는 문제제기와 논의방향은 기본적으로 플라톤의『고르기아스』와 『파이드로스』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수사학 비판에 동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소피스트들의 수사학 체계에 진지하게 접근함으로써 자신만의 수사학을 정립할 수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피스트들의 수사학에 대한 입장을 나름대로 일리 있는 논의로 받아들이고 발전시키려는 편을 택한 것이다. 이에 『알렉산더 수사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러한 면모를 명확히 보여주는 기준점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와 동시대에 수사학 교재로 출현한 『알렉산더 수사학』은 소피스트 수사학의 연구뿐만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의『수사학』 분석에 획기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수사학』은 소피스트의 대표적인 수사학 저작인『알렉산더 수사학』과 구성적인 면이나 내용적인 면에서 매우 유사하다.『수사학』은 『알렉산더 수사학』으로 대표되는 소피스트의 수사학 모음집에서 출발하여 거기에 있는 오류들을 제거한 후 철학적 가능성을 모색한 작업의 결과물이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가 소피스트의 수사학처럼 설득의 방식을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설득의 요소와 같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수사학을 철학의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의 철학적 논의가『알렉산더 수사학』으로 대표되는 소피스트의 수사학에 빚지고 있다는 점 또한 부정할 수 없다. The 『Aristotle’s Rhetoric』has a unique system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Plato and other Sophists’ works; put another way, Plato partly underestimated ‘rhetoric’ comparing to ‘dialectic’ while sophists regard it as a master key to replace the established studies. But it does not mean that Aristotle’s rhetoric made in his own creation, rather in fact partly based on the arguments of Plato & some other sophists. The Aristotle’s question and his argument has basically its root on 『Gorgias』and 『Phaidros』by Plato. Nevertheless, his debate was not stopped there on the criticism of the Plato’s rhetoric and went further to search out the sophists’ rhetoric system as a whole, on which finally established his own version. So as to say, he tried to accept their perspectives in paraphrase and recast in his own expression. In this respecct, the『Rhetorica ad Alexandrum』is one of the outstanding feature of Aristotle’s work. The『Rhetorica ad Alexandrum』that served as the representing rhetoric text book not only for the contemporary, but for Aristotle himself has been cited as a significant reference to understand the sophists’ arguments and Aristotle’s thought. The Aristotle’s rhetoric is overlapped in many ways with『Rhetorica ad Alexandrum』that is one of the typical works of all sophists, especially in structure and contents. In this sense, 『Aristotle’s Rhetoric』was a result of philosophical representation that originally started from sophists’ work collections and corrected some errors from it. Though the fact that Aristotle brought the rhetoric into a higher ground of philosophy is true, unlike sophists did stopped just on persuasion level on the one hand, the fact that his philosophical argument has owed much to the Sophists’ rhetoric is hard to deny, on the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