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술성모의 신화적 정체

        천혜숙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동아시아고대학 Vol.16 No.-

        신라 국조의 탄생에 관한 신화는 그 연원에 따라 ‘천강형’과 ‘성모형’의 두 유형으로 전승되어 왔다. 천강형에 비해 주목되지 못했던 성모형은 신라 서악의 여신 서술성모가 혁거세와 알영을 낳았다는 내용이 중심이다. 그러나 서술성모의 존재에 대해서는 해명되지 않은 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성모의 ‘불부이잉’이나 ‘혁거세와 알영의 어머니 說’에 대해서는 신화학적 접근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서술성모의 신화적 정체성을 두 신화 유형간의 관계 속에서 해명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서 두 신화의 구조와 상징에 대한 비교를 시도했다. 천강형 신화는 ‘천부지모[천남지녀]’의 구조인 데 비해서, 성모형에서는 출산의 주체로서 성모가 등장하는 데다, ‘불부이잉’과 ‘모자 이주’의 구조가 중심이 되고 있다. 그런데 성모형의 ‘불부이잉’과 ‘모자 이주’는 북방계 신화들처럼 ‘모자 이주—부친 탐색—친자 확인—부계 승계[즉위]’로 충족되는 구조가 아니다. 이런 차이의 정점에 있는 존재가 여산신 서술성모이다. 서술성모는 남편없이 아이를 낳은 점, 신라로 이주한 후에도 남편을 찾지도 구하지도 않고 홀로 서악의 산신이 된 점에서 확연한 차이가 드러난다. 한편 천강형에서 ‘나정’의 상징은 ‘천강’ 못지않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나정을 계정의 이칭이라고 보면, 혁거세는 ‘계룡이 상서를 나타낸 우물’에서 출현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서술성모의 현현인 계룡이 알영정에서 알영을 출산하는 맥락과 다르지 않다. 뿐 아니라 일연은 서방의 의미를 들어, 백마의 상징까지도 서술성모와 연관 짓고 있다. 서술성모가 혁거세와 알영의 어머니라는 설은 이 문맥에서 비로소 이해가 가능하다. 서술성모는 혁거세의 나정 출현에도 관여하고, 알영의 알영정 출현에도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때 서술성모가 두 성아를 낳음은 생물학적 출산이 아니라 인식적․신화적 출산이다. 사실적 차원에서는 근친상간의 ‘남매혼’이 되는 혼란에도 불구하고 일연이 이 설을 부각한 것은 서술성모를 대모신적 존재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백마와 계룡의 통합상징으로서 서술성모의 대모신적 위상은 신라 국조신화를 ‘천강형’ 중심으로만 이해할 때는 포착하기 어렵다. 천강형의 정치적 권능에도 불구하고 성모형의 신화가 전승된 것은 신라의 여산신 신앙이 그만큼 강했음을 반증하는 사실일 것이다. 가야산신 정견모주, 운제산 성모가 된 남해왕비, 지리산 성모가 된 고려태조비, 그리고 안동 청량산의 공민왕모 산성 등의 사례들로 보면, 이렇게 왕모가 여산신으로 숭봉되는 신화 및 신앙의 패턴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There are two types in mythical tradition related to the birth of Hyukuse(혁거세), the founder of Shilla Dynasty. One is the type of ‘descending from heaven’(천강형—ⓐ type), the other is the type of ‘the Holy Mother’(성모형—ⓑ type). It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clarify mythological identity of the ‘Suhsul’ Holy Mother(서술성모), who have been not so noticed relatively. To do so, I compared the structure and symbolism of the two types. In ⓐ type, it's structural pillar is the marriage of Heavenly father[heavenly man] and Earth mother[earth woman]. In contrast, there is no Heavenly father[heavenly man], but Pregnancy and Birth by the Holy Mother without husband, in ⓑ type. The migration of the mother and son is a distinctive motif of ⓑ type. But their migration, in ⓑ type is not connected with the motif of ‘father navignation’, of ‘patriarchal succession[enthronement]’, like myths of the north countries. I think that beings of Mountain Goddess, like Susul, would provide the key to the reason why their structures are different. In other word, Susul can be considered as the Great Mother, because she not only conceived by herself without husband but also, after birth and migration, didn't get a husband, became Goddess of Suhsul mountain. Meanwhile, symbolism of ‘the advent from well’, ‘Najung’(나정) has important meaning as much as ‘descending from heaven’. Because Najung is the other name of ‘Gyejung’(계정), and there sacred dragon(계룡) showed good sign. This is not different from the birth of ‘Aryoung’(알영), who came to this world with sacred dragon's good sign in the well, ‘Aryoungjung’(알영정).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sacred dragon would be considered as an incarnation of West Mountain Goddess, Susul, in mythical symbolism of Shilla. So ‘Hyukuse’, known as being came from heaven in ⓐ type, can be united in same symbolic bundle, with ‘sacred dragon’, ‘Aryoung’, and the ‘Suhsul’ Holy Mother. In addition, Ilyeun(일연) connected even ‘white horse’(백마), which is a main symbol in ⓐ type, with the ‘Suhsul’ Holy Mother, as the reason why all the two mean west. Finally, We can understand the riddle that ‘Suhsul’ gave birth to Hyukuse and Aryoung, who were a couple as the King and Queen of Shilla dynasty. It means not biolgical birth, but mythological, symbolic birth. So the ‘Suhsul’ Holy Mother is the center symbol integrating bipolar symbols, like white horse and sacred dragon. In existing persepective oriented on ⓐ type, It is not easy to see ‘Suhsul’ as the phase of the center symbol, or as the Great Mother.

      • KCI등재

        백제 건국신화의 연구 -일본의 도모신화를 중심으로 한 고찰-

        김화경 ( Hwa Kyung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0

        백제의 건국신화로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해지는 온조 신화 이외에 중국의 『수서(隋書)』와 『북사(北史)』에 실려 있는 ``구태(仇台) 신화``, 그리고 일본의 『속일본기(續日本紀)』에 실려 있는 ``도모(都慕) 신화``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 도모신화가 백제왕의 후손들 사이에 전승되던 자료라는 점에 착안하여, 이것을 백제 건국신화의 원형으로 상정하고 중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그 원래의 형태를 재구하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백제 건국신화는 ㉮ 비정상적인 탄생과 ㉯ 고난과 고난의 극복, ㉰ 시련과 시련의 극복, ㉱ 건국, ㉲ 능력의 인정, (6) 나라의 융성 등 6 개 단락의 순차적 구조로 이루어졌을 것이란 추정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모신화는 부여의 동명 신화와 같은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고구려의 건국에 얽힌 주몽 신화는 부여의 동명 신화와 같은 계통이면서도, 그 집권세력이 남하할 때에 고아시아의 일족이었던 코리약족의 영향을 받아 난생신화로 바뀌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삼국사기 에 전해지는 온조와 비류 신화는 그 편찬자인 김부식의 중세적 합리주의 사고로 변화되었을 것이라고 간주하였다. 곧 전자는 백제의 왕들이 온조를 건국의 시조로 하면서도 동명묘(東明廟)를 세우고 거기에 참배했던 것을 근거로 온조를 주몽의 아들로 기술된 것이고, 후자는 왕실의 혈통을 북부여와 연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기술되었다는 것이다. The foundation myths of Baekje are Onjo Myth in Samguksagi(三國史記), Gutae(仇台) Myth in Suseo(隋書) and Buksa(北史) of China, and Domo(都慕) Myth in Sokilbongi(續日本紀) of Japan. Assuming that Domo Myth is a protype under the fact that Domo Myth is a material transmitted among the Kings of Baekje, this thesis is to try to reconstruct the original form of foundation myth of Baekje by using the materials of China. Consequently, this thesis examines out the fact that the foundation myth of Baekje consists of six paragraphs in its contents in a consecutive order: unusual birth, sufferings and overcome of suffering, hardships and overcome of hardships, foundation of a nation, recognition of competence, prosperity of the nation. Additionally, this thesis finds out that this Domo Myth is of a same story as Dongmyung Myth of Puyeo.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out that the Jumong Myth involved in the foundation of Koguryeo is of a same story as Dongmyung Myth of Puyeo, and also that when the governing group moved south the Jumong myth was changed into born-of-egg tale influenced by Koryaks, one of the Paleo Asiatic tribes. And it is assumed that Onjo and Biryu Myth of Samguksagi were changed by its editor, Kim Bu-Sik`s medieval rational way of thinking. Precisely speaking, the former described Onjo as Jumong`s son on the ground that not only Kings of Baekje thought of Onjo as a founder of Baekje but also they, building up Dongmyungmyo(東明廟), paid their respects at it. The latter was described as one of the methods to connect the royal family`s blood line to PukPuyeo.

      • KCI등재

        선도성모 담론의 신화학적 조명

        천혜숙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6

        이 연구는 선도성모의 신화가 중세-근세의 여러 문헌들에서 상호텍스트적인 담론의 관계로 전승되어 왔음에 착안하고, 그 신화 담론의 양상과 의미를 조명한 것이다. 특히 유교적 합리주의에 입각한 신화의 해체와 아울러 일정한 요소를 중심으로 새로운 신화 만들기가 공존해 온 양상을 주목했다. 선도성모의 일 자체를 황탄한 괴설로 치부하는 반신화 담론 외에, 사실을 추구하는 역사담론이나 성모신의 성 정체에 관한 시비와 논쟁의 담론들은 일견 탈신화화를 지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신화 만들기를 은밀히 수반하고 있다. 이를테면 조선조의 문헌들이 혁거세의 ‘天降卵’ 모티프보다 ‘聖母所誕’의 모티프를 선호한다거나, 성모의 ‘中國 帝室女’설을 강조하는 것은 사실적 합리의 추구로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신화적 異界가 중국으로 대체되는 중세신화 만들기의 한 양상이기도 하다. ‘夫餘 帝室女’ 설은 성모신화의 민족신화 만들기로서, 재신화화의 또 다른 국면이다. 그 밖에 혁거세의 ‘天降卵’과 ‘聖母所誕’이 결합하여, ‘성모가 알을 낳은’ 것으로 바뀌거나, 중국제실녀인 성모가 天命에 의해 해동으로 와서 시조를 낳은‘ 것으로 바뀌는 변이도 결국 중세적 세계관에 입각한, 보다 합리적인 신화 만들기로 볼 수 있다. 선도성모 신화담론의 전개양상은 탈신화와 새로운 신화, 반신화와 새로운 신화, 또는 역사와 신화가 순환적으로 공존 반복되어 온 것임을 보여주는 모형적 사례라 할 만하다.

      • KCI등재

        ‘韓國 古代 建國神話’ 연구의 동향과 과제

        문창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논총 Vol.42 No.-

        神話는 역사적 경험에 대한 집단 기억이라는 점에서 역사성을 내포하지만, 신화에서 역사적 사실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建國神話의 전승 자료에 관한 역사적 탐색은 그 원형을 복원하고 그것을 통한 초기국가의 형성과 사회상에 접근하려는 노력으로 전개되었다. 실제로 건국신화의 형성과 변천과정을 初期王系의 변화와 결부시키면서 건국의 주체 세력과 그 계통을 해명하려는 작업으로 이어졌으며, 건국신화를 만들어내고 전승시켰던 고대인들의 세계관에까지 관심의 영역이 확대·심화되었다. 그리하여 건국신화는 初期國家의 실상에 대한 접근뿐 아니라 주변과의 문화 전파 및 교류 양상 등 그 계통성을 추정하는 실마리로 기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건국신화와 긴밀하게 연결된 제의는 왕권의 정당성을 합리화하려는 지배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갖게 되므로, 건국신화와 祭儀에 대한 역사적 접근은 한국 고대의 국가 및 지배 권력의 기원과 정치적 목적의식 등을 해명하는데 자주 활용되어 왔다. 건국신화에 대한 연구가 보다 충실하려면 지금까지 이루어진 구체적이고 개별적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상호 비교·분석을 통한 총체적이고 구조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의 특수한 문화양상에서 내재되어 있는 보편성을 추구하는 면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접근이라 하겠다. 하나의 건국신화는 그것이 독자적으로 형성·전승되기 보다는 한국 고대의 문화와 사회구조 속에서 다른 건국신화와 서로 얽히면서 전승되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화와 제의의 상징을 그 문화 속에서 해석하는 노력과 함께 그것을 배태한 사회생활에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접근이 요구된다. 앞으로 종교학 내지 신화학적인 접근에 보다 유의하면서 비슷한 시기의 중국이 나 일본의 건국신화와의 비교·분석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삼국시대 이후 각국의 建國始祖에 대한 인식이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어떤 모습으로 변화하고, 후대의 자료에 그 편린이 어떻게 남았는지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특히 무덤의 벽화나 제사 유적 및 청동 제기 등의 유물이나 유적 자료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단군신화에서의 구조 및 특성 연구

        이철우 ( Cheol Woo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8 No.-

        본고는 현재 우리의 가장 오래된 신화적 원형을 지닌 단군신화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기본적으로 신화에는 비현실이 현실로, 불가능이 가능으로 이야기 속에 등장하고 용인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런 보편적인 특성이 단군신화에서도 보인다. 그렇다면 단군신화의 어떤 점이 이런 것을 용인하게 하는가. 이를 구조화하면 신화적 특성과 신화적 구조가 동시에 내재되면 앞서의 특성이 용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5,6장의 잠재적 삼각구조로 된 단군신화를 이항 대립구조로 해석되는 대부분의 서계 신화론과 비교(3장)하면서 논의하고 단군신화의 잠재적 삼각구조 설정이유가 서계 신화적 특성보다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성향의 확보에 목적이 있었다는 점에 대하여도 논의한다. 단군신화의 구조인 잠재적 삼각구조는 단군신화의 서사특성과 맞물려 신화의 목적인 대중성을 성취하였고 부수적으로 신화의 정치성도 성취한 것으로 보인다. 신화를 만들어 낸 사람들의 문화와 철학, 그리고 서사구조를 전개하는 양상에 따라 서계 신화 해석의 근간인 이항 대립의 변개가 달라진다. 변개는 설화적 구성력에 따라 내용을 달리하게 된다. 신화에서의 설화적 구성력은 신화의 대표적 구조인 이항 대립구조를 갖추고 그 위에 덧붙여 변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초월성과 우연성 그리고 신이와 현실감과 사회적 관계성이 어울려 대중적인 전승과 재미를 이끌어내게 되는 요소로 작용한다. 더하여 단군의 신성을 위해 하늘의 절대성이 단군에게 미치도록 했다. 타당성까지 고려한 것이다. 상반되는 두 성질을 한 곳에 융합시키는 신화적 서사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신화적 특성은 여러 가지로 규정될 것이나 본고에서는 신성성을 중심으로 이에 부수되는 신화의 대중성, 정당성, 당위성, 정치성, 종속성의 측면도 살폈다. 종속적인 측면을 상술하지 못한 것은 다양한 관점이 포함될 수 있는 여지가 많아 논의의 확대를 경계하고자 약술의 방식으로 언급하였다. 결국 이런 종합적 시각으로 추후의 현대희곡의 서사와 연결하고 재생산하려는 의도이기 때문이다. 또한 신성성은 시간이나 공간적 제한 등이 일상적이지 않다. 그리고 이런 신화속에 신성을 드러내는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은 이항 대립의 구조 속에 놓여진다. 단군신화에서 드러나는 초월적 존재에게 다가서는 두 동물의 인간이 되고픈 욕망의 구현은 인간을 중간자로 설정한 후에 초월자를 통해 하등 관계의 존재가 중간적 존재 혹은 그 이상이 되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국가의 기반을 지닌 사람 역시 상대적으로 심리적 보상을 받게 되며, 지배층의 존재는 단순하게 동일한 계층을 넘어서는 특별한 존재로 부각된다. 결국 신화의 향유계층이 모두 만족하게 되는 양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작용한 점이 되는 것이다. The sample the present time when boils investigates about structure and quality of the Dan-gun myth which us keeps the oldest mythical circle. To myth the unreality with actuality, appears basically in impossible this possibly talk inside and there is a case which is tolerated. And like this the quality which is universal is visible Dan-gun myth. If is like that and does what kind of point of Dan-gun myth do to make like this thing tolerate. When structure this the mythical quality and mythical structure are immanent simultaneously, with the fact that the quality from before is tolerated. The sample from this world-wide myth theory of the most which is interpreted the Dan-gun myth which has opposing structure and comparison (3 chapter) does and discusses and the tripodal structural set reason of Dan-gun myth is popular world-wide mythical quality and universal discusses. The latent tripodal structure which is a structure of Dan-gun myth goes in gear and with nanative quality of Dan-gun myth the popularity which is a goal of myth and accomplishes also political of myth accomplishes number of copies with the fact that. Creates a myth and according to the aspect which develops the culture and a philosophy and a narrative structure of the people arm triumph of the transposition opposition which is a foundation of world-wide mythical interpretation changes. The narrative composition power from myth above that and equips the transposition opposing structure which is a fact that. In order for to respect Dan-gun`s godless the absoluteness of are contrary to use the mythical narrative technique which amalgamates in one place. The mythical quality observed being provided with the various branch the sample from, godless characteristic breaks hereupon in the center but popularity, justifiability, justification, political and the subordinate sincerity profile of myth Does not state above the side which is subordinate the margin the viewpoint which is various could be included the magnification of discussion under guarding against should have boiled referred in the method of the medicinal wine many. The fragrant class of myth all satisfactorily finally, means that beconrs piece which operated in the method which distinguishes the aspect which becomes.

      • KCI등재

        신화와 예술의 창조

        홍명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4 No.-

        La créativité et l’originalité sont les ressources fondamentales des arts depuis ses apparitions dans l’histoire humaine. Cette ressource des arts se définissait en deux directions opposées: l’une est celle qui se fondait sur le talent inné, l’autre un acquis à travers de l’effort personnel. Mais les résultats créatifs de l’homme ne sont que possibles sur les sédiments de l’histoire humaine. C’est le mythe, le sédiment de l’histoire humaine, qui avait influencé sur la création des arts. Depuis son apparition, le mythe était la ressource des arts par lui-même, et les arts ont nourri et renouvelé le mythe. Pour comprendre la créativité de l’art, donc, il nous faut comprendre d’abord l’inhérence de l’imaginaire mythique. Tous les mythes sont les histoires de la création primitive. L’artiste est un homme qui est attiré dans le champs de création primitive d’où il trouve un espace créatif du monde. Le mythe est une narration sociale qui contient une conscience latente. En ce sens, le mythe est tout d’abord une histoire anonyme errante dans une société. Il est commencé depuis le passé immémoriale et circule, en présent, en tant que histoire acceptée par les membres de société. Le mythe se change et se développe sans fin par sa répétition. Il se diffuse en divers variantes et divers versions selon leurs environnements géographiques et historiques. L’originalité et la créativité se confondent dans ces processus des changements de mythe. Le mythe constitue donc une source vivante, une ressource inépuisable de thèmes et motifs des œuvres artistiques. Mais la plupart du temps une «re-création» ne se limite pas à une simple reprise d’un récit mythique. Elle en assure au contraire une transformation dialectique, qui incorpore même des processus de démythologisation. Le paradoxe de la création est que le mythe ne devient créatif qu’en faisant l’objet d’une démythologisation. Au lieu de n’être qu’un exemple ou qu’un déclic pour l’invention d’une œuvre, le mythe offre une structure universelle, à partir de laquelle peuvent être engendrées toutes sortes d’œuvres. L’artiste ne devient imaginatif, créateur, qu’à partir du moment où l’espace mythique devient un espace de jeu, libère ses possibles, accède à une sorte de désacralisation. L’écriture romanesque peut, à cet égard, être considérée comme l'activité exemplaire, par laquelle le mythe est arraché à sa sacralité originelle, pour se métamorphoser en œuvre ouverte. Elle suspend la répétition sans fin du mythe, et elle le fait entrer dans le corps d’une œuvre définie, dans des signes et dans un texte. Le mythe est un des formes de l’imaginaire créative. Cette créativité fondé sur le caractère métamorphosant du mythe subit le plus grand changement, et renaît en tant que nouveau mythe lorsqu’il rencontre la créativité des arts. 예술작품이 다른 일반적인 유사작품들과 차별성을 보이는 것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독창성에 있다. 예술작품이 가지고 있는 독창성은 우리로 하여금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우리 삶의 새로운 의미를 찾을 수 있게 해준다. 그러한 의미에서 예술은 일종의 문화현상이라 말할 수 있다. 그것은 예술이 일반 문화현상으로 수렴된다는 뜻이 아니라 문화를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가는 창조의 결과라는 뜻이다. 인류가 살아오면서 축적해 온 이 문화의 대표적 유산 중의 하나가 바로 신화이다. 신화는 사실 단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여러 모듈로 구성되어있다. 즉 신화들은 이야기들의 최소 단위인 신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중적이고 민담적인 이야기들 속에서 신화소들은 의미의 전달자로써 그 자체로 살아남으며, 다른 신화소들과 자유롭게 연결되어 전적으로 새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각각의 신화는 신화소라는 부분들의 단순한 합이 아니다. 신화의 조각들인 신화소들은 스스로 형태가 변형되기도 하고 다른 조각들과의 조합에 의해 또 다른 신화소가 되기도 하면서 새로운 전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부분과 전체는 항상 상호의존적이고 상보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신화의 의미는 서로 다른 신화소들의 조합을 통하여 전체를 관통하는 내적 움직임에 의해 형성된다. 신화가 새로운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탈신화의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것은 바로 이런 차원에서이다. 예술 창조의 과정에서 예술가의 의식에 의해 탈신화화된 신화는 이러한 새로운 신화소들로 분해되고, 예술가의 창작의식은 그것들을 자신의 예술의 매체로써 사용하면서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상상력의 힘이다. 예술가의 상상 활동을 통하여 구현되는 새로운 신화의 조합은 일견 개인적인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상상력의 근원이 되는 몽상 자체는 가장 개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반대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왜냐하면 ‘몽상은 인간을 자신의 우주에 단단히 뿌리박게’ 만들기 때문이다. 몽상가로써의 예술가는 항상 세계와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몽상을 통해 세계를 꿈꾼다. 이때의 세계는 예술가에게 있어서 인식이나 관념의 대상이 아니라 참여의 대상, 즉 창조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신화를 차용한 예술작품이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익숙한 이야기의 옷을 입은 것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 신화를 예술적 관점에서 재신화화 해냈기 때문이다. 신화는 스스로 변화하고 진화하는 창조적 상상계의 한 형태이다. 신화의 변동성에 근거하는 이 창조성은 예술의 창조성과 만날 때 더욱 큰 변화를 겪게 되고, 새로운 신화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신화의 IP 애니메이션 창작에 관한 연구 -〈Legend of Deification(姜子牙)〉를 중심으로

        판덩(Pan, Deng),이종한(Lee, Jong-ha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1

        오랫동안 계승되어 온 신화의 서사는 전통적이지만 이를 표현하는 방식은 현대적이어야 한다. 신화의 존재 의미는 신화 서사의 끊임없는 연속성이다. 서로 다른 사회 맥락에서 신화의 서사는 행동 주체로서 현대인들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리는 주로 창의적인 방식으로 신화를 설명해야 한다. 글로벌화의 흐름에 따라 애니메이션은 전파하는 매개체로서 신화 이야기를 담는 중요한 경로이다. 미디어를 통해 신화의 전파 속도를 크게 가속화 시켰고 신화지식 재산권(IP)은 애니메이션의 창작에 대량의 소재를 제공해 주었다. 이와 동시에 다양한 애니메이션으로 창작할 수 있는 지식 재산권(IP)의 활용 역시 뚜렷해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전통 신화 지식 재산권(IP)으로 애니메이션을 각색 제작하는 것이 최신 트렌드가 되었고, 그 중 입소문을 타고 박스 오피스 성적이 우수한 영화들이 나타나면서 중국 애니메이션의 부흥을 기대하게 한다. 더불어 일부 학자들은 “봉신 유니버스”를 만들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Legend of Deification(姜子牙)〉는 광선 미디어(ENLIGHT MEDIA)의 “신화 3부작” 중 하나로 개봉 초반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와는 완전히 다른 창작 스타일로 인해 두 영화에 대한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렸다. 중국신화 지식 재산권(IP)으로 애니메이션을 어떻게 창작할 지에 대한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우선 최근의 중국 애니메이션 박스오피스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 후〈Legend of Deification(姜子牙)〉를 주요 대상으로 영화 창작에서의 발전 방향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애니메이션의 신화 IP 창작에 대한 참고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essence of myth is traditional, but its presentation should be modern. The significance of myth lies in the continuous continuation of myth narration. In different social contexts, as the main actors of myth narrative, we need to actively and creatively narrate myths to meet the psychological needs of contemporary human beings. In the tide of globalization, animation,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way to spread fairy tales. This media greatly accelerates the speed of the spread of myth, and myth IP also provides a lot of materials for animation creation. In recent years, the trend of adaptation and creation of Chinese animation with mythical IP has become more and more obvious. Some films with excellent reputation and box office have appeared, which let the audience see the hope of the revival of Chinese animation. Many Chinese scholars have also put forward the long cherished wish of creating "apotheosis universe". As one of the "myth Trilogy" of ENLIGHT MEDIA, 〈Legend of Deification〉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the beginning of its release. The film presents a completely different creative style from 〈Ne zha〉, which also leads to the polarization of reputation of 〈Legend of Deification〉. In order to study how to create Chinese mythical IP animation,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creation of myth IP theme on the box office of Chinese animation in recent years. Then, taking 〈Legend of Deification〉 as the main object, this paper analyzes the breakthrough in the creation of the film, so as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myth IP creation of Chinese animation.

      • KCI등재

        한국 고대건국신화의 역철학적 연구의 타당성

        이선행(Sun Haeng Yi) 한국양명학회 2007 陽明學 Vol.0 No.18

        한국의 고유사상에 대한 연구는 자료의 부족으로 신화와 주변국의 기록을 참고하여 연구할 수밖에 없다. 신화란 민족이나 문화권의 형성과 함께 형성되었으며, 신화인들의 사유를 은유를 통한 상징으로 표현하였다. 신화는 기원에 대해 설명하는 것인데, 한국 고대건국신화의 경우 건국의 정당성과 건국의 이념이 잘 표현되어 있다. 신화의 상징은 신화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의 문화를 통해 풀어야 한다. 한국 고대건국신화의 성립당시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면, 만주와 요동반도 그리고 한반도를 연결하는 환발해만 일대에는 신석기 시대 이후 문화적인 공통성이 적잖이 발견된다. 비파형 동검, 다뉴경 등의 청동기, 지석묘를 비롯한 묘제, 도작농으로 대표되는 경제생활 등이다. 또한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천숭배사상ㆍ상제신앙ㆍ성신신앙ㆍ토템ㆍ수목신앙ㆍ옥문화ㆍ제사ㆍ점복문화 등이 공통적인 요소이다. 점복신앙은 은주교체기에 상제신앙과 천명사상의 결합으로 『주역』으로 집대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제신앙과 천명사상의 형태는 부여와 고구려 등의 문화에서도 보이며, 특히 수골을 이용한 점복문화는 환발해만 일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또한 내용상으로도 한국 고대신화에 상징으로 나타난 통치자인 군자의 모습과 인격적 존재인 천ㆍ신, 삼재사상, 그리고 선후천변화의 원리가 『주역』과 동일하게 나타나 있다. 따라서 한국 고대건국신화의 상징의 의미와 한국 고유사상의 원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역철 학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가장 주요하다. In the study on Korean native thoughts, you cannot but depend on referring to Korean myths and records of neighboring countries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sources. A myth was originated from the formation of a people or a culture and the ideas of the characters from a myth was expressed by the symbols through the metaphor. A myth is what explains an origin and Korean ancient kingdom's foundation myths justify the beginning of a new dynasty and represent the ideas of the foundation. The symbol of a myth should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by the culture of the characters from a myth. If you look at the cultural background establishing Korean ancient kingdoms' founding myths, cultural similarities after the Neolithic Age are easily found our across the circum-Be Hai that connects Manchuria, the Yodong Peninsula and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bronze ware like a Korean lute shaped bronze sword and mirror, grave pattern like a dolmen and econonomy represented with rice farming.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thoughts, in common are Heaven worship, God worship, worship of heavenly bodies , totemism, dendrolatry, culture of prison, a religious service and augury. Especially dendrolatry was integrated into the book of changes combined with God worship and the idea of Providence over the time of change from Yin Dynasty to Ju Dynasty. Interestingly this God worship and Providence are shown through the culture of Buyeo and Goguryeo. In particular, the augury using animal bones is found out extensively across the Pan Bo Hai. Besides, even in the contents, they are in common with the book of changes, the description of a man of virtue as a ruler, personified Heaven and God, the thought of three organization elements composed of Universe and the principle of changes of pre-Heaven and post-Heaven symbolized in Korean ancient myth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pproach it with the Yi Philosophy the study of the meaning of the symbols from Korean ancient countries' founding myths and the origins of Korean native ideas.

      • KCI등재

        신화의 문학교육적 의미

        이강엽 ( Lee Kang-yeop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글은 신화의 문학교육적 의미에 대해 탐구한 것으로, 먼저 신화를 보는 시각에 대해 살핀 후, 문학교육에서 유의할 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신화를 보는 시각은 대체로 역사적 접근, 제의적 접근, 구조적 접근, 심리적 접근으로 나뉘어졌으며, 그에 따라 신화의 문학교육적 의미로 상징적 해석 능력 확장, 정체성 찾기, 서사구조의 학습 등이 도출되었다. 첫째, 신화를 상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신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언어의 내적 의미를 파악해야만 한다. 흔히 신화에서 인격체나 자연현상, 동식물로 나타나는 많은 것들이 특수한 신성 체험과 관련되는 것들이다. 이런 상징적인 해석능력을 키우이 위해서는 설명을 시도하기보다는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탐구해보도록 유도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이다. 둘째, 신화 주인공은 신비 체험을 거친 후 완전히 거듭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과업을 깨닫는데 그것이 바로 정체성 확인이다. 학습자가 먼저 신화 내용을 잘 파악한 후, 신화 주인공에 동일시하고 자신의 삶을 가다듬도록 한다면 특히 성장기의 학생들에게 주는 교육적 의미가 크다. 이 정체성은 성적(性的) 정체성이나 집단적 정체성까지 확장될 수 있다. 셋째, 신화 역시 서사문학이라는 점과 특히 유사한 내용의 작품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사구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신화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신화가 현세에 없는 질서를 희구하고 그 질서가 처음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핵심적 내용을 지식으로 일러주기보다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깨닫도록 유도하는 편이 효과적이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meaning of myth from a standpoint of the literary education. To achieve the aim, first of all, I investigated the point of view about myth. The viewpoints of myth were classified into history approach, ritual approach, structural approach and psychological approach. It leaded the meanings of myth in literary education, i.e. expansion of ability through symbolic interpretation, inquiry of identity and the studying of narrative structure. First, in order to interpret myth by symbol, we must grasp inner meaning of the language which appears frequently in myth. The many things appearing with personality body, natural phenomena and the animal and plant in myth are related with the special sacredness. So as to raise that ability, it is important to guide students in reaching subjective study, compared to the studying sleeping. Second, mythical hero after mysterious experience is completely newborn, and he recognizes what is his task. This process rightly is true identity characteristic confirmation. After grasping a myth, if students could identified oneself in the mythical hero and in order to set in good order the life of oneself, specially education meaning which it gives to the students of growth period is big. This can be expanded to sexual identity and group identity. Third, from the point which myth is a narrative literature, students are able to study a narrative structure more efficiently. Through process students studied myths, it will be able to verify that myth desires the order of an ideal land, and it shows the process which that order comes to make initially. But, it is effective to make students recognize the kernel of myth by various study activity more than teaching directly.

      • KCI등재

        의례를 통한 단군신화의 와해 :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박성혜(Park, Seong Hye)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7

        본고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이곳에서 전승되는 의례가 단군신화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군사묘는 전국적으로 약 40여개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그 중 와우리 단군전은 현전하는 단군전 중에서 그 유래가 가장 오래되고, 단군 영정을 보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매년 두 번씩 단군전에서 의례를 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금까지 신화와 의례의 관계를 다룬 논문들은 주로 무속신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고, 건국신화의 경우 현재적인 사례를 확인한 경우는 없다. 따라서 21세기에 단군 의례가 단군 신화와 서로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와우리 단군전은 1910년대에 한 대종교인이 단군영정을 가지고 와서 제향을 드리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의례를 제대로 수행할 수도 없었고, 영정을 보관하는 것도 어려웠으나 해방 이후 지역민들이 단군전을 세우고 단군 영정에 제향을 하다가 1987년 현재의 단군전을 중건하기 시작하고, 의례도 유교식으로 재정비하여 지금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이곳에 봉안된 단군영정은 20세기 초반에 대종교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단군신화에 형상화 된 것으로 신화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군신화와 비교했을 때 신화도상은 단군으로 의미가 집약되는 것이 특징이다. 단군전은 어천제와 개천제가 지켜지는 것, 영정이 봉안된 것을 근거로 단군영정을 봉안하던 천진전의 전통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의례의 참여자들은 일상과 다른 정형적인 행동의 반복을 통해 신화보다 초점화된 신화적 관념(mythical concept)의 단군을 만나고, 단군이 구현한 세계의 당위성을 행위로 추인하며, 의례의 참여자들에게 이를 현시한다. 행동을 통해 강화된 신성성의 감각은 이미 신화도상이라는 형식을 통해 의미가 집약된 신화적 관념(단군)을 한번 더 응집시키고, 고양시킨다. 그러나 의례의 통해 고양된 신화적 관념은 단군신화와 함께 전승되지 못한다. 단군이라는 신화적 관념이 의례를 통해 고양되는 과정에서 천신에서 국조로 그 의미가 바뀌었고, 신화적 관념에 필요한 형식을 신화적 서사 대신 단군영정과 의례를 수행하는 행위가 대체했기 때문이다. 의례와 관련해서 신화는 와해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서사(mythical narrative)가 완전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단군전의 의례는 단군전이라는 장소의 유래와 의례라는 행위의 타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증거물인 단군영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단군영정은 이제 그 자체로 영정의 역사성과 단군전 의례의 연원을 설명해주는 유래담의 핵심 증거물이 된다. 그리고 단군신화가 와해된 자리에 단군 영정의 유래담이 확장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ritual performed around the Wawoori Dangun Shrine in Unsan-myeon, Seosan-si, South Chungcheong Province, crafts meaning in the context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Dangun myth. The Wawoori Dangun Shrine originated in 1910 when a Daejonggyo believer brought the Dangun portrai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hrine and gave an offer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not possible to properly perform any rituals, nor was it easy to preserve the portrait, but after the liberation, locals erected the Dangun shrine and gave offerings before the portrait. In 1987, repair work on the shrine began, and the ritual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Confucian ideals into the ritual that continues to be passed down today. The portrait enshrined in this place is a visualization of the Daejongism-centered Dangun myth that was transmit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such, it can be considered a mythical icon. In comparison to the Dangun myth, this mythical icon concentrates its focus on Dangun himself. As evidenced by the preservation of the Dangun portrait and the observation of Eocheonjeol and Gaecheonjeol, the Dangun Shrine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Cheonjinjeon (Dangun Portrait houses), which enshrined Dangun portraits.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ritual encounter a more focalized mythical concept of Dangun than in the myth through a series of fixed actions that are a departure from the ordinary, endorse the rightfulness of the world realized by Dangun through their actions, and make this manifest to the other participants of the ritual. The sense of sacredness intensified through such actions once again enhances and binds together the mythical concept (Dangun) that has already been focalized through the mythical icon. However, the Dangun myth is not transmitted alongside the mythical concept that is enhanced through the ritual. This is because, as the mythical concept Dangun became enhanced through the ritual, its significance was transformed from that of a divine entity to that of a founding father, and the mythical narrative was replaced by the Dangun portrait and the act of ritual performance as forms necessary for the mythical concept. Although the myth collapses in relation to the ritual,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arrative disappears altogether. This is because the ritual of the Dangun Shrine, which is sustained for the sake of transmitting tradition, possesses the Dangun portrait, which acts as evidence of the validity of the origin of the Dangun Shrine and the performance of the ritual. The Dangun portrait is now in itself a key piece of evidence in the origin tale that explains the source of the Dangun Shrine ritual and the historicity of the portrait. In place of the collapsed Dangun myth, the folktale of the Origin of Dangun portrait is grow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