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데라 헬릭스 식물의 적외선 열영상에 의한 저온 및 한풍피해에 관한 연구

        성부근,Seong, Bu-Geu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Hedera helix의 저온에서의 피해 및 생육진단을 위하여 적외선서모그라피에 의해 측정한 적외선 열영상으로 부위별 체표면온도를 해석하였다. 노지재배품 첨단부와 기부의 엽신에 대한 실험설정온도 $-6^{\circ}C$구와 $-12^{\circ}C$구의 온도분포를 각각 비교해보았다. 결과 노지재배품 첨단부의 $-6^{\circ}C$실험구에서의 엽면온도는 $-2^{\circ}C{\sim}-7^{\circ}C$의 분포를, $-12^{\circ}C$실험구에서는 $-2^{\circ}C{\sim}-15^{\circ}C$까지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었다. 한편 노지재배품 기부의 엽면온도는 $-6^{\circ}C$실험구에서의 엽면온도는 $-2^{\circ}C{\sim}-11^{\circ}C$의 분포를, $-12^{\circ}C$실험구에서는 $-1^{\circ}C{\sim}-12^{\circ}C$까지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를 보면 $-6^{\circ}C$실험구에서는 첨단부쪽이, $-12^{\circ}C$실험구에서는 기부쪽이 보다 광범위한 온도분포를 보여 주었다. 이는 대체적으로 기부 쪽보다는 첨단부 쪽의 엽신이 저온감수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한풍피해를 규명하기 위하여 노지재배품의 평균엽면온도를 측정한 결과 $0^{\circ}C$실험구에서 $-6.2^{\circ}C$, $-2^{\circ}C$실험구에서 $-6.8^{\circ}C$, $-4^{\circ}C$실험구에서 $-7.5^{\circ}C$를 나타내어 각각의 설정온도(공기온도) 보다도 $3.5{\sim}6.2^{\circ}C$ 저온이었으며 부위별로 온도가 다른 점으로 보아 저온감수성이 상이한 것으로 추론하였다. The experiments, which analyze the injury symptoms and diagnose growth conditions utilizing IRVT and analyzing each parts of H. helix L., had been held under a low temperature. Greenhouse and outdoor growing Genus hedera had been prepared and compared with each Genus hedera's peak and bottom leaves' surface temperature under the experimental categories $-6^{\circ}C$ and $-12^{\circ}C$. As results, analyzing the surface thermal property of peak part leaves' of outdoor growing Genus hedera, at experimental categories $-6^{\circ}C$, $-12^{\circ}C$ were ranged from $-2^{\circ}C{\sim}-7^{\circ}C$ and $-2^{\circ}C{\sim}-15^{\circ}C$.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thermal property of bottom part leaves at experimental categories $-6^{\circ}C$, $-12^{\circ}C$ were ranged $-2^{\circ}C{\sim}-11^{\circ}C$ and $-1^{\circ}C{\sim}-12^{\circ}C$. It appears that the thermal properties of leaves' surface on $-6^{\circ}C$ peaks and $-12^{\circ}C$ bottoms were more broadband than bottoms and peaks. It means that the peaks were more sensitive than bottoms, as like $-2^{\circ}C{\sim}-15^{\circ}C$, $-1{\sim}-12^{\circ}C$. Moreover, as similar results had seen to leaves surface temperature added to cold wind conditions. How the cold wind damaged the outdoor growing Genus hedera, analyzed the surface thermal property by IRVT data under $0^{\circ}C$, $-2^{\circ}C$, $-4^{\circ}C$ condition, it resulted to $-6.2^{\circ}C$, $-6.8^{\circ}C$, $-7.5^{\circ}C$. It appeared more $3.5{\sim}6.2^{\circ}C$ low temperature than experimental setting point. In addition, each parts thurmal property of peaks and bottoms was not similar, it referred to each parts' sensitivities of low temperature were different on the peak and bottom leaves surface temperature.

      • KCI등재

        하절기 고품질 토마토 공정묘 생산을 위한 차광제의 이용

        김영진,김혜민,황승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하절기 고품질 토마토 공정묘 생산을 위한 차광제 종류와 처리 농도에 따른 소형 간이온실 내부의 온도 하강 효과와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차광제는 Greenshade(Daesung C & S Co. Ltd., Korea)와 Redusol, Reduheat(Mardenkro Co. Ltd., Netherlands)를 각각 30%(water:shade agent = 7:3, v/v)와 60%(30%×2회)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차광제 처리에 따른 식물체 온도는 Greenshade(GS) 3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초장은 처리별 유의차가 없었으며, 경경은 대조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장과 엽폭은 GS 30% 처리구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록소 값 역시 GS 30% 처리구에서 가장 높아 Greenshade가 광 선택적 차광제로써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엽록소 형광은 3주차 GS 6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스트레스 수치가 높았다. 근장과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차광제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무게 비율인 T/R율은 대조구와 GS 30%에서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다. 따라서 Greenshade 30%를 처리하는 것이 식물체의 온도 저감과 생육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hade agent type and concentration for high quality tomato plug seedling production on summer season in simple greenhouses on plant growth and environmental changes. Shade agents using by Greenshade (Daesung C&S Co. Ltd., Korea), Redusol, and Reduheat (Mardenkro Co. Ltd., Netherlands) were applied on the plastic film of simple greenhouses as 30% (water:shade agent = 7:3, v/v) and 60% concentration (30% × 2 times). The plant temperature treated with Greenshade (GS) 30% shade agent was the lowest. The plant height was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affected by shading treatment, and the stem diameter was the highest under the non-shading treatment. The leaf length and width were increased in GS 30% treatment. SPAD value was the highest under the GS 30% treatment that was considered to effect by photo-selective shading agent. Chlorophyll fluorescence was the lowest under the GS 60% at three weeks that period shows the highest stress level in plant. Root length, leaf area, and fresh and dry weigh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reatments. T/R ratio means shoot dry weight per root dry weight of plant that was the lowest under the non-shading and GS 30% treat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Greenshade 30% treatment was effective for plant growth and reducing the plant temperature.

      • KCI등재

        파프리카 여름재배시 차광방법이 생육과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하준봉(Jun Bong Ha),임채신(Chae Shin Lim),강효용(Hyo Yong Kang),강양수(Yang Su Kang),황승재(Seung Jae Hwang),문형수(Hyung Su Mun),안철근(Chul Geon A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1 No.4

        파프리카(‘Cupra’, ‘Coletti’) 여름작기 재배시 고온기 극복을 위해 내부 차광 스크린(외부광이 700W ·m<SUP>?2</SUP> 이상일 때 차광스크린 작동하여 10~20% 차광률 유지)과 차광제 처리(차광제와 물을 1 : 4의 비율로 희석하여 온실 외부 지붕을 살포 30% 정도의 차광률 유지)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PPFD는 차광제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30%,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 비해 20%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차광제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 비해 PPFD의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여 차광제의 차광효과가 더 높았고, 차광제 처리에 의해 온실 내 온도감소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습도 부족분 변화는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의 경우 오전 9시에 최대 허용범위인 8g · m<SUP>?3</SUP>을 벗어나 각각 오후 2시에 최고 16.6g · m<SUP>?3</SUP>와 13.8g · m<SUP>?3</SUP>까지 도달 했지만, 차광제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보다 2시간 뒤인 11시에 8.6g · m<SUP>?3</SUP>으로 허용 범위를 벗어났고, 오후 4시에 최고 12.1g · m<SUP>?3</SUP>까지 상승하여 생육환경 조건이 더 양호해졌다.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엽온이 2℃, 과실의 온도가 5℃, 그리고 꽃의 온도가 3℃ 정도 낮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초장이 두 품종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분지수, 경경, 잎크기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잿빛곰팡이의 발생률은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에서 품종에 따라 14.7~22.1%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과실크기는 차광처리에 의해 두 품종 모두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심실수, 과피 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육의 무게는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10~15g 증가하였지만,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에 따른 색도는 차이가 없었고, 경도는 차광 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상품율이 11.7~22.6% 증가하였고, 상품과수는 4.0~12.2개로 증가했다. 따라서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에서 여름철 고온기의 극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shading methods, shading agent spray on the glasshouse and internal shading screen treatment,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and ‘Coletti’) in summer season cultivation. In the shading agent treatment, a commercial shading agent diluted with water at a ratio of 1 : 4 was sprayed on the roof of a glasshouse. In the internal shading screen treatment, a 10~20% shaded screen was used during the day time when the sun radiation was greater than 700W· m<SUP>?2</SUP>. Compared to the unshaded control,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decreased in the greenhouse in the shading agent (SA) and shading screen (SS) treatments by 20% and 30%, respectively. Lower air temperatures and higher relative humidities were observed in the SA than in both the control and the SS treatment. Time to reach the break point of humidity deficit 8 g · m<SUP>?3 </SUP>was 2 hours late in the SA than in both the control and the SS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both the SA and the SS treatments showed lower instantaneous temperatures of leaf, fruit, and flower by 2℃, 5℃ and 3℃,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umber of branches, stem diameter, and leaf size among treatments although both shading treatments promoted plant height in both cultivars. Botrytis infection ratio declined with the SA treatment by 14.7% in ‘Cupra’ and 22.1% in ‘Coletti’ a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Shading increased fruit size in both cultivars, wherea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number of locules and thickness of fruit tissue among treatments. Shading treatment increased mean fruit weight by a range of 10 to 15 g per fruit, while it decreased soluble solids contents a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Similar Hunter valu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while fruit firmness increased slightly in shading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shading treatments improved marketable fruits by 11.7~22.6% and increased the number of fruits per plant by 4~9.2 in both ‘Cupra’ and ‘Coletti’.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hading agent application on the roof of glasshouse would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options to reduce heat stress imposed on the paprika crop in summer cultivation, resulting in improved crop growth and fruit yield.

      • KCI등재

        LED 보광이 파프리카(Capsicum annuum ‘Cupra’) 생육에 미치는 영향

        안철근(Chul Geon An),황연현(Yeon Hyeon Hwang),안재욱(Jae Uk An),윤혜숙(Hae Suk Yoon),장영호(Young Ho Chang),손길만(Gil Man Shon),황승재(Seung Jae Hw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0 No.4

        LED 보광이 파프리카의 착과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파프리카 생육기간동안 일몰 후부터 5시간 동안 red(660nm), blue(460nm) red + blue(4 : 1)광을 작물의 50cm 상단에서 조사하였다. 광원별 광합성유효광량자속(PPF)은 red광 79μ㏖ㆍm?²ㆍs?¹, blue광 75μ㏖ㆍm?²ㆍs?¹, red + blue광 102μ㏖ㆍm?²ㆍs?¹였다. 파프리카 엽온은 LED 보광한 것이 무보광에 비하여 높았는데 blue광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과실 온도는 무보광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엽온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 파프리카 초장은 무보광에서 가장 길었고 blue LED에서 가장 짧았다. 잎 크기는 무보광에 비해 LED 보광한 것이 컸다. 과실무게는 LED 보광한 것이 무거웠으나 주당 과실 수와 상품과 수량은 무보광에 비해 적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irradiation on the growth of paprika (Capsicum annuum ‘Cupra’). The plants were irradiated by red (660 nm), blue (460 nm) and red + blue (4 : 1) light emitting diodes above 50 cm for 5 hours after sunset.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irradiated by red, blue and red + blue LED were 79 μ㏖ㆍm?²ㆍs?¹, 75 μ㏖ㆍm?²ㆍs?¹ and 102 μ㏖ㆍm?²ㆍs?¹ respectively. Leaf temperature of paprika grown under blue LED irradiation was the highest of 18.6oC. Fruit temperature was the highest under in the control (no irradiation) but it was lower than leaf temperature. There was influence of LED irradiation on the paprika plants height; under blue irradiation the plant height was the shortest, while under in the control plant height was the highest. The leaf size of under different LED irradiation was bigger than that of in the control. Mean fruit weight under different LED irradi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number of fruits and marketable yield per pla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