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설시조의 여성을 향한 두 시선 : 저항과 욕망, 그 대립을 넘어서

        박상영(Park, Sang-Young) 한국시조학회 2019 시조학논총 Vol.50 No.-

        본 연구는 사설시조 속 대담한 여성들을 향한 연구사적 시선을 추적하고 각각의 논리적 근거와 간극을 통찰하는 과정을 통해 사설시조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 문제는 사설시조 속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 이면에, ‘근대(성)’, 조선후기를 바라보는 관점, 문학 연구(고전시가)의 방법론적 접근, 연행/욕망-저항/권력 등 굵직한 문제가 어떻게 연결되어, 학술 담론의 場을 형성해 왔는가를 탐색해 본 것이다. 사설시조에는 性에 관해 대담한 면모를 보여주는 독립적·능동적인 여성들이 등장하는데, 연구사에서는 이들을, 개인의 정욕을 표출한 ‘욕망 주체’로 보아왔거나 기존 질서에 대항하는 사회사적인 ‘저항 주체’로 보아왔다. 전자는 〈춘화〉나 음사 소설의 성행, 동성애에 대한 관심, 계급을 초월한 애정, 일상에서 발견되는 양반들 혹은 농민들 간의 성적 농담 등 조선후기 문화 현상을 근거로 도출된 시선이라면, 후자는 푸코의 권력 이론, 문화보편주의, 사설시조 전편에서 발견되는 저항적인 여성들, 기생들의 당대 제도권에 대한 저항과 이에 대한 사대부들의 동조 여론 등을 근거로 도출된 시선이다. 이처럼 욕망의 기호만을 새기려는 쪽과 저항의 기호까지 새기려는 쪽 간에는, ‘유흥, 통속성, 일상성’과 ‘근대-전 근대’의 관계망에 대한 입장 차이가 복잡하게 얽혀있지만, 연행환경이 갖는 축제의 역할과 기능에서 그 접점 가능성을 찾을 수 있기도 했다. 즉 사설시조가 불린 놀이판은 유흥/향락/소비성뿐만이 아니라, 상하질서를 뒤집는 변혁적 전도가 일어날 때도 있었고, 그 과정에서 공감적 신명풀이로서의 커뮤니타스가 형성될 때도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사설시조 놀이판을 주도한 계층들이, 다른 문화를 향해 개방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취했을 가능성마저 고려한다면, 이들에 의해 놀이판으로 소환된 여성들을 ‘타자화 된’ 여성으로만 볼 수 없는 면도 있다. 마지막으로 또 하나 짚고 갈 것은, 사설시조의 여성 담론에서 배제된 또 다른 여성군들-특히 노년 여성과 장애 여성-에 대한 ‘시선’의 부재 문제이다. 진정한 여성문학은, 여성 담론 안에서조차 소외된 타자이자 잉여적 존재들인 이들 여성들의 처지와 감성을 오롯이 보듬어 안을 때에야 오롯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w directions of Saseolsijo research through the process of tracing two conflicting gazes for bold women in the history of Saseolsijo research and insighting each logical basis and gap. The topic is connected with unsolved problems in this field, such as ‘modernity’, a viewpoint toward the late Chosun Dynasty,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literature research (classical poetry), desire- resistance, power, etc. There are a number of women in the Saseolsijo who show independent, active, and boldness about sexuality. Researchers have seen them as ‘desire subject’ expressing individual lust, or ‘subject of resistance’ against the existing social order. The former is based on the cultural phenomenon of late Choson Dynasty, such as 〈Chunhwa〉, the enlightenment of sexual novels, the interest of homosexuality, transcendental affection, or sexual jokes among farmers/upper classes. The latter is based on the Foucault’s theory on power, cultural universalism, resistive women found in the whole Saseolsijo and Gisangs’ resistance to the contemporary system and upper classes’s sympathy on this movement. There is a complicated interplay between the two, ‘one to engrave only the sign of desire’ and ‘one to engrave the symbol of resistance’, about ‘entertainment’, ‘popularity’, ‘everyday life’ and ‘Modern and pre-modern’. However, the contact point of two different gazes could be also found in the role and function of performance like festivals. In other words, the space in which Saseolsijo was performed was not only entertainment, consumption, but also transformative evangelism that reversed the upper and lower order, forming communities that bring liberation from norms. In addition, the men who lead the Saseolsijo performance show a flexible attitude not only to “exclude” other cultures but also to “open” them, so women who were summoned by them can be regarded differently not as “stuffed women”. Finally, this study also raised the issue of the absence of a ‘gaze’ on other women - especially older women and women with disabilities - that were excluded from Saseolsijo women research. It is meaningful not only to look at women as feminist perspectives but also to establish genuine women’s literature when they embrace the sadness and emotions of these women who are marginalized and extravagant beings even in the discourse of women.

      • KCI등재

        영상 시퀀스의 언표 가능성

        김태진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4

        존재는 시선의 잉여를 부여잡거나 포기하려는 이중적 태도를 견지하는 가운데 개방성을 갖는 자율적 존 재로 거듭날 수 있다. 관계항의 바깥으로부터의 사유를 검토하는 이 논의는 변화의 불가피성과 필연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시퀀스의 흐릿함에 대한 다음의 논의에서 그 진동하는 장으로서의 속성을 우회적으로 해명한다. 영화 속에서 사용되는 흐릿함의 기술은 시퀀스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 즉 대상에 부 여된 안정된 지위를 거부하고 서사의 구조를 이완시키며 정서가 개입하도록 함으로써 장면이 유동적인 상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일반 언어학과 영화 기호학의 논의를 이 연구에 접목한 것은 장으로서의 시퀀 스가 갖는 총체적 성격을 이해하도록 해 주었다. 이미지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언어와의 관계 안에서 검 토하는 가운데 도출한 개념은 언표 상황, 그리고 언표 가능성이다. 언표 가능성은 그러나 어떠한 해석 가능한 시퀀스의 언어적 속성을 수립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지 않는다. 언어 자체는 가능성이나 잠재성을 갖지 않으며 발화된 그 자체로 이미 실재성의 조건이 된다. 반면, 이미지로서의 시퀀스는 언어와 같이 이중분절에 의한 의미 창출이 불가능한 영역이고, 그러므로 시퀀스의 조건으로서의 언표 가능성을 논하 는 것은 비언어적 순수 질료로서의 영상 시퀀스가 갖는 잠재성을 다루기 위한 것이 된다. The self becomes able to remain as the self only when it resists being sympathized by the other because the self has a surplus of vision whenever it looks at the other. As far as the self struggles between accepting this surplus of vision or forsaking it to be sympathized by the other, the self can break the border of itself and depart from the circle of being. Discussions of the idea that occurs from outside of relatum stresses upon the inevitability of change can also indirectly explain how sequences function as fields of resonance. Blurriness as a film technique lowers tension, enforcing an object to be definitive in sequences. Denying the stable status of objects, the technique of blurriness promotes the sequences to be flexible by creating the affection involved in a relaxed structure of a narrative. The potency of the statement refers to ideas from general linguistics, and the semiotics of film, enabling us to understand the totality of sequences. While investigating image-based sequences and the relationships with languages, the notions of a ‘situation of statement’ and the ‘potency of statement’ are deduced. Potency of statement does not have such a purpose as establishing certain explicable, linguistic characteristics. Language becomes a condition of reality itself when it is uttered, and it certainly has no potency or possibilities. On the other hand, because image-based sequences are territories which do not signify through double articulation, reflecting on the potency of statement as a condition of sequences is therefore all about understanding the potency of moving image sequences as non-linguistic pure materials.

      • KCI등재

        윤리적 주체 형성과 글쓰기

        이재기(Lee, Jae-ki)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5 No.-

        This thesis was composed during the process of answering three questions. First, where does ethical duty (what one should do) of a subject lie? For example, is in the theoretical world or the world of life? Second, what relationship does writing have with the formation of an ethical subject? Third, what is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an ethical subject? I have answered these questions with Bakhtin’s argument as its basis and have tried to form a new perspective and sensitivity on the ethical side of writing through this. In Chapter II, the place in which ethical duty exis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an ethical subject and writing was discussed. Based on Bakhtin’s initial writings, Toward a Philosophy of the Act, an emphasis was put on the fact that the place in which ethical duty exists is not the theoretical world but the world of life. Duty of subject was thought to be composed by the responsible participation of the subject on the existing event. Writing is a process in which the subject participates in the existing event and is also an event in which the theoretical world and the world of life is mutually checked upon and penetrated. Thus, I discussed the fact that writing can becom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form the ethical judgment ability and ethical sensitivity of the subjectivity. In chapter III, I discussed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an ethical subject. First, there is a need to emphasize writing that strongly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and outsideness of the author. When writing to maintain such characteristics, I can wholly express myself in depth through others and the others can do so as well through me. Second, writing must be a place to self-examine in depth about the way we meet with others. Writing is a process of meeting with so many others. And the opportunity or potential of forming an ethical subject that writing has lies in the process of self-examination on the way of meeting others.

      • KCI등재

        시적 주체의 소외와 불안의 증상

        정금철(Chung, Kum-Ch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문학과 정신분석학은 ‘언어구조’를 공유한 상호포함관계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시적 화자의 언술(discourse)에 동반하는 언술 주체의 무의식과 불안의 증상을 읽고자 하였다. 윤동주의 시 ?길?(1930년대)의 화자는 원초적 쥬이상스의 주체(S⊃A/ )로부터 ‘부끄러움’의 불안으로 거세되어 욕망의 주체(S/ ⊂A)로 분리된다. 신경림의 시 ?농무?(1960∼70년대)의 화자는 산업사회에서 소외된 농민주체로서(S/ ⊂A) 주체소멸의 불안증상(죽음충동)으로부터 ‘신명’의 잉여 쥬이상스에 빠져드는 (S/ ◇a) 주체형성을 보여준다. 기형도의 시 ?빈집?(1980∼90년대)의 화자는 ‘사랑’의 환상(이마고)을 해체하고 기표(사랑)가 지닌 무의미를 통해 사랑의 담론에 대한 환상 가로지르기(S/ ∩A/ )를 감행하고 있다. 이처럼 시대에 따른 주체형성의 변모과정은 사회적 변화와 주체의 구조가 상호 동반관계임을 시사한다. Literature and psychoanalysis can share a method for analysis in that they both work on ‘linguistic structure’. In this respect, I tried to analyse the poetic narrator"s unconsciousness and the symptom of anxiety through his discourse in poetry. A narrator in Yun Dongju"s poetry ?The Road?(1930"s) transfers from a subject of basic instinct( jouissance ) (S⊃A/ ) to a subject of desire (S/ ⊂A) when he is castrated by anxiety, stirred by ‘a sense of shame’. A narrator in Sin Gyeongrim"s poetry ?The Agricultural Affairs?(1960∼70"s), as a subject of farmer alienated from industrial society(S/ ⊂A), is fascinated by a surplus jouissance ‘Sinmyeong’(S/ ◇a) in order to escape from a symptom of anxiety(a death drive) that he would become extinct. A narrator in Gi Hyeongdo"s poetry ?An Empty House?(1980∼90"s) dares to deconstruct and cross the fantasy of ‘love’(imago)(S/ ∩A/ ) by signifier(love) which is absence of meaning. In conclusion, I showed in this paper that the formation of a subject goes with soci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