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중학생에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문선,이무식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c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ert narcissism had a high influence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Third, convert narcissism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ed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con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all youth. Future research need to be continued and compared to ensure that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when the population is surveyed nationwide.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groups. Second, onl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except set variables.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various variables in depth and generally. Third, in future research there be an should attempt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6년 일개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의 특성에 맞게 집락무작위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5개 구별 1곳을 선정하여 각 학년별 각 40명씩 총 600명 을 선정하였으며, 최종 자료 분석에 이용된 설문은 총 489부였다.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인 배경변인으로 성, 학년, 가족관계를, 독립변인으로는 자기애 성향으로 하고 매개변인으로는 대인관계 지향성을 종속변인으로는 스마트폰 중독을 설 정하였다. 연구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 적응 요인 높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인관계 지향성은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적응 요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는 대 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지향성을 통해 스마 트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내현적 자기 애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상일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3

        The rapid spread of smart phone has changed the trend of daily life is going. The research on smart phone that play a key role in these changes are actively being made. But characteristics or behavioral research related with usage of smart phones is not enough in previous studies. And the studies on behavior after the acceptance of smart phone are not sufficient. We try to find and prove the factors affected the using intention of smart phone and the difference of influence rel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software by expand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e added the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reliability in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The hypothesi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H1: The perceived usefulnes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ing intention of smart phones. H2: The perceived ease-of-us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ing intention of smart phones. H3: The perceived playfulnes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ing intention of smart phones. H4: The perceived reliabil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playfulness. H5: The perceived ease-of-us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H6: The perceived ease-of-us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playfulness. H7: The relationship of cognitive factors and using intention h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dopted operating system software. In order to collect data, a survey was collected with 213 users of smart phone. Most measurement items for the latent variables were adap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some are modified to fit the context of this research. They are measured with a five-point Likert scale. The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the software used for the analysis was AMOS ver. 18.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for all factors were check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all factors have adequat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The reliabilities of all factors also reached the acceptable levels. The loadings of all items on their respective factors were also quite high. And path coefficients were examined for the structural model. Smart phone users’ degree of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using intention(β=.531, p=.001). There was also an effect of the perceived ease-of-use on using intention(β=.428, p=.001). And the perceived playfulness has a positive and potent impact on the using intention of smart phones(β=.532, p=.001). There was an effect of the perceived reliability on using intention of smart phones(β=.385, p=.001). And the perceived ease-of-use has a positive impact for each of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perceived playfulness(usefulness -β=.583, p =.001; playfulness -β=.713, p=.001). Based upon the statistics above,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This empirical analysis proves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perceived ease-of-use, the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reliability give positive effects to the using intention. And the factor representing the difference of relationship by the operating system was found to be the perceived reli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ese results means that user feels useful and fun by using smart phone. And this paper indicates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that various and useful applications and the easy user interface can help to increase the degree of using intention.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일상생활의 트렌드가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행태적 연구나 특성 연구는 미비하고 논의 또한 정책적, 기술적 차원에 집중되어 스마트폰 사용자의 특성을 밝히는 포괄적인 연구의 한계가 있고, 스마트폰의 수용 후 행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스마트폰에서 채택하고 있는 운영체제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관계가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의 수용 및 사용 형태를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모형으로 알려진 기술수용모델에 기반을 두고 여기에 인지된 유희성과 신뢰성을 추가하여 기술수용모델을 확장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설계한 연구모형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한다. 검증결과는 스마트폰의 사용의도에 인지된 유용성․용이성․유희성․ 신뢰성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으며, 운영체제에 의해 영향관계의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신뢰성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미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유지하고 높이기 위해서는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유용하고 재미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서 유용성과 재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 KCI등재

        스마트폰 보안위협과 대응기술 분석

        전웅렬(Woong-Ryul Jeon),김지연(Jee-Yeon Kim),이영숙(Young-Sook Lee),원동호(Dong-Ho W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2

        스마트폰은 일반폰보다 진보한 성능을 지닌, PC와 유사한 기능의 모바일 단말을 의미한다. 최근 아이폰 및 안드로이드폰의 성장을 바탕으로 세계적으로 모바일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국내 역시 2010년을 기점으로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은 휴대폰의 통화 및 메시지 기능 뿐만 아니라 강력한 컴퓨팅 성능을 바탕으로 이메일, 일정관리, 문서작업,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외부로 전송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은 다양한 정보를 집적하여 저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분실이 쉬운 휴대폰의 특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기 때문에 분실할 경우에 대비한 내부에 저장된 정보의 보안이 매우 중요하다. 또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보안도 중요하다. 현재 스마트폰의 보안과 관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위협이 무엇인지, 대응하는 방법은 또 무엇인지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안전한 스마트폰 활용이 어렵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의 사용환경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에 존재하는 다양한 위협들을 도출하고 대응기술을 설명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이어질 스마트폰의 다양한 보안기술 연구 및 스마트폰 보안기준 마련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martphone is a mobile device which can perform better than feature phone. Recently, growth in demand for advanced mobile devices boasting powerful performance, market share of smartphone is increasing rapidly in mobile device market, for example, iphone and android phone. Smartphone can provide many functionalities, e-mail, scheduler, word-processing, 3D-game, and etc, based on its powerful performance. Thus, various secret information is integrated in smartphone. To provide service, sometimes, smartphone transmits informations to outside via wireless network. Because smartphone is a mobile device, user can lose his/her smartphone, easily, and losing smartphone can cause serious security threats, because of integrated information in smartphone. Also data which is transmitted in wireless network can be protected for privacy. Thus, in present,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secure smartphone. In this paper, we analyze threats and vulnerabilities of smartphone based on its environments and describe countermeasures against threats and vulnerabilities.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의 즉각 반응 및 선택 충동성의 양상†

        임종민,이종환,곽호완,장문선,구본훈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patterns of Rapid-Response Impulsivity (RRI) and Choice Impulsivity (CI)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 smartphone addic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subjects. Prior to the study, 30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618; these participants performed a Continuous Performance Task (CPT), a Stop Signal Task (SST), and an Experiential Discounting Task (EDT) through both a computer and a smartphon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neuropsychological task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suggesting that it is possible to use CPT, SST, and EDT wth a smartphone. In the study,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n=27) and the control group(n=28) were selected among 618 students, based on their results on the SAS-B, and performed the CPT, the SST, and the EDT.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 showed more commission errors in the CPT, higher SSRT in the SST, and lower AUC in the EDT. In particular,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 showed increased ommission errors in the CPT, and SSRT in the SST on the smartphone than the computer,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have difficulties in refraining from action initiation or stopping an ongoing action, as well as difficulties in delaying gratification or exerting self control; we conclude that smartphone addiction might be regarded as a subtype of behavioral addiction.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서 즉각 반응 충동성(RRI)과 선택 충동성(CI)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대학생 6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30명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연속 수행 과제(CPT), 멈춤 신호 과제(SST),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EDT)를 컴퓨터 및 스마트폰 웹기반으로 모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웹기반 과제의 결과는 컴퓨터 웹기반 과제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져, 스마트폰 웹기반 실험과제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SAS-B)를 기준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27명)과 통제집단(28명)을 선정하여 CPT, SST, ED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은 컴퓨터 및 스마트폰 웹기반 모두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CPT의 오경보율과 SST의 SSRT 값이 유의하게 높고 EDT의 AUC 값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행동의 시작을 억제하거나 진행 중인 행동을 멈추는데 어려움을 겪고 충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은 컴퓨터 웹기반에 비해 스마트폰 웹기반에서 CPT의 누락오류율과 SST의 SSRT 값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진행 중인 행동을 억제하고 주의력을 유지하는 것에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이 행동중독의 하위유형으로 간주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 KCI등재

        자기통제고갈이 스마트폰 중독자의 스마트폰 사용욕구 증가에 미치는 영향

        송채현(Chae-Hyeon Song),이장한(Jang-Han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1

        본 연구는 중독 발현과 유지에 중요한 자기통제 자원이 고갈된 상태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의 자극갈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에게 인지적 자원을 고갈시킨 후 중독 자극을 얼마나 빠르게 탐지하는지 확인하였다. 전체 352명 중에서 성인 스마트폰 중독 척도로 선별한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 집단(30명)과 스마트폰 일반사용 집단(30명)을 자기통제 고갈조건(5분 동안 ‘e’ 글자 지우기 조건)과 비교조건(대기)에 무선 할당한 후, 스마트폰 갈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go/no-go 과제로 스마트폰 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과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비교조건보다 자기통제 고갈조건에서 반응 정확성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자기통제 고갈조건에서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 집단이 일반사용 집단보다 스마트폰 관련 사진에 대한 go 시행의 반응 시간이 더 빨랐다. 즉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 사용자가 자기통제 자원을 소진하게 되면 중독 자극을 갈망하여 스마트폰 사용 욕구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자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통제자원이 고갈되거나 실행 통제기능이 약화되면 스마트폰 사용 욕구가 증가되므로 스마트폰 중독자의 자기조절력을 키우는 것이 사용 욕구를 줄이는 데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smartphone craving in individuals prone to addiction under depleted self-control conditions. Participants (N=352) were categorized into a high-risk addiction group (30 individuals) and a general usage group (30 individuals) using the Adult Smartphone Addiction Scale. They were subjected to self-control depletion (deleting the letter 'e' for 5 minutes) or a control condition. Wireless devices were then provided, and smartphone craving was assessed using a go/no-go task measuring reaction time and accuracy. Results revealed higher accuracy and faster reaction times for smartphone-related pictures in the high-risk group under self-control depletion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In essence, when high-risk individuals depleted self-control, they exhibited heightened craving, indicating increased smartphone usage desire.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self-regulation in smartphone addicts, especially when self-control resources are depleted or executive functions are compromised in stressful condi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

        최아름(A-Ruem Choi),김현수(Hyun-Soo Kim)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질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을 선정하였고, 관련 문헌에 기반하여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가 기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만 12세~18세 청소년들 중 스마트폰 중독에 문제가 있다고 자가보고 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에서도 기준점을 넘는 경우 등록되었다. 총 147명 청소년(남 87명, 여 60명)의 기질, 스마트폰 중독, 가족기능성의 하위차원인 가족적응성 및 가족응집성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 모두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로는, 자극추구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 주효과를 나타냈으나 가족기능성의 두 하위 차원인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 각각과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위험회피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주효과뿐 아니라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 모두와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절의 양상을 세부 분석한 결과, 위험회피기질의 스마트폰 중독에서의 정적 영향은 가족적응성이 융통과 혼돈의 수준 그리고 가족응집성이 연결과 밀착의 수준에 있을 때에만 유의한 반면, 가족적응성이 구조와 경직의 수준, 가족응집성이 분리와 이탈의 수준에 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취약한 기질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고,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이 높은 상태에서만 기질이 청소년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유효했고 이러한 조절 현상은 자극추구가 아닌 위험회피 기질에서만 발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on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effect of adolescent temperament on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Adolescents identified as exhibiting smartphone overuse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nd 147 adolescents (87 males and 60 females, age M=14.42 years old) compl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novelty seeking (NS) and harm avoidance (HA) temperaments,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Results: Both NS and H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HA and each of the two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NS and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Subsequent analyses for clarifying the interaction pattern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with high HA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han adolescents with low HA to become addicted to smartphones if their family’s adaptability and cohesion were each in flexible and chaotic levels and in connected and enmeshed levels. Conclusions: This study reconfirmed the importance of NS and HA temperament i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and further illuminating that malleability of temperament from the influence of family on its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emperament.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기숙형 치유 프로그램 개발

        김범구,이창호,전미진,이미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effects of a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for female adolescents with high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In this study, based on a reanalysis of results of Usage Habit of Internet and Smart-phone survey and focused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of addiction-related field, the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ed adolescents was developed. The program includes individual counseling, group counseling, parents and family counseling and alternative activities for 7 nights and 8 days.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ested after a pilot operation with female students and their family. It resulted in the lower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positive changes in belief of smartphone us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ported that the program brought positive changes in their child's smartphone use.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is new intervention program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adolescents with high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found to be helpful in alleviating smartphone addiction.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 수준이 높은 여자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감소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폰 중독 여 자 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실태조사 연 구를 재분석하고, 스마트폰 중독 관련 전문가 대상 포커스그룹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 기숙형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숙형 치유프로그램은 집단상담, 개인상담, 부모상 담, 수련활동 등을 포함하여 총 7박 8일로 구성하였고,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군 여자 청 소년을 대상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사전-사후-추후 검증 결과, 프로그램 참가 청소년 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및 스마트폰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이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으 로 드러났고, 부모 보고 결과 역시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여자 청소년들의 특성을 반영한 최초의 기숙형 치유프로그 램 개발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추기 위한 새로운 개입방안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중독 : 우울, 충동성이 중독에 미치는 영향 및 중독이 대인관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주아 ( Ahn Jooah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6 언론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스마트폰 이용행태를 알아보고, 스마트폰 이용량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격 및 심리적 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우울과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은 스마트폰의 주요 사용용도는 `SNS 이용`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인터넷 검색`, `음악감상`, `전화걸기`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구입이유는 `전화 및 문자 이용`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위해서`, `정보검색`, `오락 및 여가`가 뒤를 이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은 응답자들의 82.2%는 일반적인 사용자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위험 사용자가 4.6%, 잠재적 위험 사용자가 13.2%로 나타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응답자들이 1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위험 사용자와 잠재적 위함 사용자의 경우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선행변인으로 알려져 있는 우울과 충동성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특히 우울보다는 충동성이 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 구성요인 중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 지향, 금단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으로 친구와 다툼이 생기거나 직접 만나서 하는 대화가 줄어드는 등 대인관계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상생활에서의 장애와 내성은 대학생활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research is about that (1) smart phone use behave-ior and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2) smart phone addi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depression and low self-control), and (3) the impact of smart phone addic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 Survey of 371 university students were conducted to do research. The research found that, first, respondents have used about 6.8 hours a day and purpose of use of their smart phone was SNS. The reason to buy smart phone was on-line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Second, smart phone addiction point of respondents was 15~60 and high-risk users were 4.6%, risk of potential users were 13.2%. High-risk users and risk of potential users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Depression, and low self-control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Especially low self-control more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than depression. The last, smart phone addi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Results also reveal that smart phone addiction has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face-to-face communica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prevention and education about smart phone addiction.

      • KCI등재

        양육태도의 일관성, 스마트폰 사용 빈도,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열의의 관계 : 학교급에 따른 차이

        김혜준(Kim, Hae June),임규연(Lim, Kyu Yo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2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스마트폰 과의존에 노출된 청소년 역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육태도의 일관성, 스마트폰 사용 빈도(게임, 영상시청, 정보검색),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열의 간 관계가 학교급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탐색하였다. 이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데이터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청소년 4,940명을 대상으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육태도의 일관성, 스마트폰 사용 빈도(영상시청, 정보검색), 스마트폰 의존도는 학업열의를 유의하게 예측했고, 스마트폰 의존도는 양육태도의 일관성, 스마트폰 사용 빈도(게임, 영상시청)와 학업열의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 집단에서는 게임의 예측력, 중학생 집단에서는 영상시청의 예측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 학교급에 따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목적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지도와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nsistency in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use (e.g., game, video, information), smartphone dependency, and academic engagement. We focused on exploring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y school level (i.e., primary vs. secondary school). We used the data of 4,940 teenagers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nd conducted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onsistency in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dependency predicted academic engagement significantly. Smartphone dependency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istency in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use purpose, and academic engagement. Results also showed that smartphone use (game)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predicts smartphone dependency in primary school students, whereas smartphone use (video) is the most significan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Drawn on thes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s on smartphone use and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school level.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이용 실태 연구

        김기태(Kim, Ki-tai)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6 No.-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한국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스마트폰의 과다이용으로 인한 각 역기능적 폐해가 급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한국의 광주광역시 소재 6개 중․고등학교 학생 2,130명이 응답한 설문지 중 최종적으로 1,796명의 응답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조사 결과인데,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초등학교4-6학년 사이가 가장 많았고(49.9%) 초등학생 시절에 처음 스마트폰을 시작한 청소년 비율은 61.3%이다.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간대는 오후 9시부터 12시까지이며(63.2%),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분야는 SNS서비스이고, 월 스마트폰 사용 요금은 3-4만원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응답자들 중 중독군에 포함된 청소년의 비율은 19.9%(357명)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계가 있는 변인들에 대한 조사 결과는 성별, 학업성적별 변인이 스마트폰 중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중독군에 포함된 비율이 높고,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중독군에 포함된 비율이 낮게 나타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이용 행태 또는 중독 결과가 이들의 시민 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목하고 그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It has almost become a cliché to say that the influence of the smartphone has become more crucial than ever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martphone usage among adolescents in Gwangju, Korea. This study was focused on smartphone addiction, considering that the overuse of the smartphone could result in some serious problems. A total of 1,79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comple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round half of responders answered that the first time of smartphone use was 4~6 grades of elementary school; 61.3% of adolescents first used a smartphone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st frequent time period and area of smartphone use were from 9 pm to 12 am and SNS, respectively. The monthly expense of smartphone use was 30,000~40,000 KRW. The proportion of addicted adolescents was 19.9% (n = 357).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girls were more addicted than boys whil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showed lower addiction than othe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