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 대상 일상 대화에서의 순서 교대 양상 연구

        황선영(Hwang, Sunyoung),하지혜(Ha, Jee-hye)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3 No.-

        이 연구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일상 대화에 나타나는 순서 교대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고급 학습자 3인의 일상 대화를 수집하여 전사하였다. 수집된 1시간 52분 29초의 자료 중 순서 교대가 활발히 이루어진 세 가지 주제에 대한 13분 26초의 대화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끼어들기와 반응하기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대화에서 끼어들기는 전체 순서 교대 횟수 대비 총 13.93% 나타났으며, 끼어들기가 나타났을 때 이전 화자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순서 유지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은 발화를 완결하려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서 교대는 모든 대화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모국어에의 경험이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순서 교대의 개념에 대해 가르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가 능동적인 대화 참여자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지점에서 전략적으로 끼어들기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자신의 순서에서 다른 대화 참여자의 끼어들기가 나타났을 때 적절히 반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실제 대화 상황을 반영한 실제성 높은 자료를 제공하며, 한국어로도 모국어와 같이 적절하게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연습시킬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gression of conversational changes in the everyday conversation of advanced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For this purpose, the daily conversations of 3 advanced Korean learners were collected and transferred. The interactions in 13 minutes and 26 seconds of recorded conversations on three alternating topics among the collected 1 hour 52 minutes 29 seconds of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interruptions in Korean advanced learner"s conversation was 13.93%. This confirms that Korean learners tend to complete the speech. As this progression occurs in all dialogs, the concept of order alternation does not need to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due to the learners own experience in their mother tongue. However, in order for the Korean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dialogs, they need to be able to react accordingly when the intervention of other participants in the order appea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data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reflects actual conversational situations and to correctly practice conversation in a manner that is accurate to native Korean speech patterns.

      • KCI등재

        드라마 대화에 반영된 갈등 표현 양상

        구현정 ( Hyun Jung Koo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2

        이 연구는 텔레비전 드라마 대화가 갖는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대인관계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대화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드라마 대화는 작가에 의해 쓰인 글이라는 점에서 문어성을 갖고 있지만, 극중의 시간과 장면에 따라 구성된 실제 세계의 대화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구어성을 갖고 있다, 비록 작가에 의해 우연성 요소들이 배제되고, 작가에 의해 다음 순서가 배당되며, 연기자에 의해 연습된 발화라는 점에서 진정한 구어와는 차이가 있지만,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대화분석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갈등 유발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드라마 속 대인 화법에서 갈등은 순서교대를 무시하고, 고의적인 방해를 하며, 대응쌍을 무시하는 것과 같은 대화의 구조 파괴에 의한 갈등과, 그라이스가 제시한 대화의 원리와 격률들을 위배하는 대화의 원리 위배에 의한 갈등, 부적절한 호칭을 사용하고, 높임법을 위배하고, 비속어를 사용하며, 노골적인 체면 손상행위에 의한 갈등 등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대화는 실제 대화를 모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갈등표현 양상들은 일상 대화에서도 장애가 되고, 이것들은 결과적으로 대화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화법 연구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discursive factors that cause conflict in interaction, based on conversations in television dramas. Conversations in dramas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the features of written language as they are written by playwrights. At the same time, they carry the features of spoken language as they are constructed in the temporal and situational frames to represent interactions in the real world. However, they depart from the authentic spoken language in that all contingent elements are intentionally eliminated and all the speaker-turns are planned and assigned by the playwright, and further the lines spoken by the interlocutors are non-spontaneous, memorized speech. Despite these limiting factors, drama conversations are based on interactions and thus qualify as source texts in an exploration into the conflict-inducing factors with respect to research methodologies in discourse analysis. An analysis reveals that conflict-inducing factors in drama conversations are diverse including violating speaker-turns, intentional interruptions, non-compliance of adjacency pairs leading to deviant discourse structures, violations of Gricean principles and maxims, violations of conversational code of conduct by intentionally performing face-threatening acts, uses of improper terms of address, violations of honorification, uses of slang and vulgar language. Since the conversations in dramas are constructed dialogues based on real-life conversations,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such conflict-inducing factors as found in dramas are in fact conflict-inducing factors in real-life conversations as well. Such conflict inducers in constructed situations may be generalized as the conflict inducers in conversations in general.

      • KCI등재

        초,중등 학생의 화법 양성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담화 유형을 중심으로 ; 국정 감사 담화에 나타난 정치인의 화법 양상

        이민형 ( Min Hyoung Lee ),박종훈 ( Jong Hoon Park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3

        본 연구에서는 국정 감사 담화의 질의에 나타난 정치인의 화법 양상을 분석하여 의회 화법 문화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담화 분석 및 국회 언어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되 연구 성과의 실용적 전이를 고려하여 분석의 차원을 크게 형식, 내용, 표현으로 설정하고, 각 차원별로 대표적이고 특징적인 분석 항목 및 각 항목에 대한 판단 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항목별로 부합하는 사례와 바람직하지 않은 사례들을 한 가지씩 제시하고 각 사례에 나타난 화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형식 차원에서는 의사진행발언 및 순서교대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내용 차원에서는 질의 내용이 국정 감사의 목적에 부합하며 논리적으로 구성되었는지를, 표현 차원에서는 표현을 의사소통의 효과를 높이며 참여자들 간의 관계를 원만하게 조절하는 데 적절히 사용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국정 감사에 참여하는 정치인이 국회 화법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얻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의 규칙을 숙지하고 준수해야 한다. 둘째, 자신의 발화가 국정 감사의 목적에 부합하는지 점검하며 발화해야 한다. 셋째, 담화의 내적 완결성을 추구해야 한다. 넷째, 참여자들 간의 원만한 관계 유지가 의사소통 목적 달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발화해야 한다. 다섯째, 듣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politicians` speech in inquiry for parliamentary inspection and drew some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parliamentary speech culture. Considering practical application we set dimension for analysis as form, contents, and expression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on discourse and parliamentary language. We presented both good and bad example for each analysis items and investigated aspects of speech. On the dimension of form, request about proceeding and turn taking were analyzed. On the dimension of contents, relevance of contents and logical structure were analyzed. On the dimension of expression, effectiveness for communication and relation management were analyzed. The suggestions for politicians are as follows: (1) Politicians should know and obey the rule of communication, (2) they should check if their speech is relevant to parliamentary inspection, (3) they should pursue inner completion of discourse, (4) they should communicate considering the effect of good relation with counter-parts on achievement of goal, and (5) they should succeed in listening to other participant`s speech.

      • KCI등재

        갈등적 대화의 원리와 구조 연구 : TV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녀의 대화를 중심으로

        손달임 이화어문학회 2008 이화어문논집 Vol.26 No.-

        본고는 TV드라마에 등장하는 갈등적 의사소통 상황에서 수행되는 대화의 특징과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대화는 화행 목적과 관계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목적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화자와 청자는 일반적인 대화의 원리나 격식을 준수하게 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화는 대부분 일정한 구조를 보여주게 된다. 그러나 때로는 화자와 청자의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일반적인 대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그 특징 및 구조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 나타나는 대화의 특징 및 구조가 무엇인지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는 화자와 청자 간의 의견이나 이해관계가 상충되고 이러한 의견 대립이 언어 표현으로 나타나며, 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협동의 원리’, ‘공손성의 원리’ 등의 일반적인 대화의 원리나 ‘순서 교대의 원칙’, ‘선호적 대응쌍의 구도’ 등의 대화 구조가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 시작 단계와 종료 단계가 자주 생략되며 특히 종료 단계에서 대화 참여자들의 합의 없이 대화가 일방적으로 중단되거나 대화 참여자가 대화장을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는 ‘요구, 명령’과 ‘비난’ 화행이 자주 발견됨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 conversation by analyzing the TV dramas. The participants have 'speech act' and 'relationship' as an object in conversation situation, and they keep to the regular forms and principles in order to attain thess two objects of conversation. Conversation we used our daily life appears regular structures. But sometimes speaker and listener have opposite views, conversation appears the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s and structures in this cas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ificant character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 conversation. As a result, I examined that the interests of the conversers conflict and the difference of opinion is expressed during conversation. And I discussed that the participants violate the 'co-operative principle' and the 'politeness principle' in discord situation, and they disobey the 'rule of turn-taking', 'principle of preferred adjacency pairs'. In addition to, I argued that 'starting step' and 'ending step' is omitted, and conversation is interrupted without mutual agreement or one of the conversers get out of the place especially in the 'ending step'. Lastly, I discussed that 'demand', 'order, and 'blame' are used very well in conflict conversation.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수 학습 분석

        李京和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6 No.-

        국어과 교육 분야에서도 최근 들어 창의성에 관심을 둔 연구들이 많이 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국어 사웅 현상과 국어 교육 현상 속 에서 창의성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구성 요인을 어느 정도 밝혔을 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 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아직 그 논의 수준은 총론 수준에 머문 채, 구체적인 각론 수준으로는 나아가지 못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어교육의 본질 에서 창의성과의 관련성을 이끌어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국어과 창의성 프로그램이나 교수 학습 자료들만으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색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창의성 신장을 위해 개발된 자료와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 사이의 불일치라는 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해 연구자는 4개의 국어 수업을 교사의 질문, 교사의 반응, 수업 참여 구조의 기준에 따라 국어 교수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 기술하였다. 교사의 질문 양상에서는 창의력을 돕는 질문보다 창의력을 저해하는 칠문 유형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질문으로는 개방적 질문을 하는 경우, 판단 유보 과정을 부여하는 질문이 있었다. 창의력을 막는 질문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저해하는 질문, 독창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질문, 정교성을 제해하는 질문이 많았다. 교사의 반응 양상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돕는 교사의 반응은 극히 적었고, 창의력 신장을 저해하는 교사의 반응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반응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촉진하는 반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교사의 적절하지 못한 반응으로 참의적인 언어 활동이 제대로 이투어지지 못했다. 예를 들면, 동기성과 판단유보가 결여된 반응, 동기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반응, 독창성을 방해하는 반응 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교사와 학생간의 수업 대화 구조를 살펴보면, 주로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학생의 질문이 매우 적었다. 주로 정답판을 가진 교사 주도 참여 구조나 비개방적인 교사 주도 참여 구조가 이와 같은 수업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에 참의적인 수업에서는 화제 선택권이 학생에게 개방되어 있고, 순서 교대도 학생에게 개방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보였다. 그것은 개방성을 지닌 학생 주도 참여 구조와 활동성과 융통성을 촉진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형성하였다. 창의성 교육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창의적인 수업을 하고자 하는 국어 교사는 창의성을 자극하는 철문 기법을 수업 상황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반응이 창의적인 쪽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이끌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창의격인 교사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개성을 존중하고 개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춰 학생 주도의 수업 참여 구조를 통해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해야 할 것이다. Lately, there are also many researches on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researches shows us not only what creativity means and what it is composed of, in Korean language usage and education, but al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creativity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Creativity promoting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lay emphasis on factors which can increase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in teaching process. But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these materials and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o I monitor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s in 4 elementary schools. my check points in observation were the question of the teacher, the reaction of the teacher and talk interaction which occurred by the criteria of exchange of the topic and turn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hen I analyzed the questions of the teacher, those affected more often as obstacles rather than as incentives to promote the creativity. In the analysis of the reactions of the teacher, those also affected negatively in promoting the creativity. when I studied the content of the lecture, the teachers played the main role and the student's participations were rar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start in the creative and a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y the teacher. We should reflect ourselves in the aspects of promoting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rrect ourselves.

      • KCI등재

        관계 중심 듣기 반응의 양상

        소미영 ( Mi Young So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2

        본 연구는 비공식적인 일상대화를 녹음하여 실제 담화상황에서 나타나는 ‘듣기의 반응 요소’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관계 중심 듣기 반응요소’를 제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관계 중심 듣기 관점 척도표’를 활용한 설문내용을 토대로 ‘관계 중심 듣기’의 특성이 높은 청자 2인의 대화와 ‘관계 중심듣기’의 특성이 낮은 청자 2인의 대화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녹음 자료를 분석하였다. ‘관계 중심 듣기 반응’을 분석한 결과 ‘관계 중심 듣기’의 ''구조면’에서는 ''관계 중심 듣기’의 특성이 높은 청자는 화자의 말을 충분한 기다려 주고, 끼어들기가 적으며, 협력적 중복현상과 인접쌍의 적절한 일치 현상, 화제의 일관성이 보였다. ''관계 중심 듣기’의 특성이 낮은 청자는 기다림이 부족하며 빈번한 끼어들기에 의한 순서교대와 중복현상, 인접쌍의 불일치, 화제의 일관성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관계 중심 듣기’의 ''전략면’에서는 재진술하기와 맞장구치기?동조하기가 많이 나타났으며 질문하기, 느낌 표현하기, 긍정적 행동언어로 요구하기가 나타났다. ‘관계 중심 듣기’의 특성이 낮은 청자는 평가하기와 부정의 발화표지가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듣기 연구의 기초를 마련함은 물론 이론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줄였다. 둘째, ‘관계 중심듣기’에서 지향해야할 구체적인 반응의 요소를 밝혔다. 셋째, 듣기 반응의 ‘구조’와 ‘전략’을 모두 살폈다. 넷째, 듣기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 the grounds for suggesting a desirable ''factor of relation-centered listening response'', analyzing a responsive factor of listening which appear in a real discourse situation with informal everyday conversation recording. For this study, I analyzed recording materials through conversations of two listeners in high relation-centered characteristics and conversations of two listeners in low relation-centered characteristic which are based on the contents of survey, making use of a criterion diagram of relation-centered listening viewpoint. In analyzed result of relation-centered listening response, I can find that listeners in high relation-centered characteristics waited for fully the talk of the speaker, butted rarely in his conversation and appeared co-operative overlap, a suitable synchronicity of adjacency pair and a consistency of the topic in compositional aspect of relation-centered listening. Listeners in low relation-centered characteristics lacked waiting and appeared turn-taking and overlap, disagreement of adjacency pair, and a scarcity in a consistency of the topic due to frequent turn interruption. It is appeared that restating, chiming in and sympathizing were more common in the strategy of relation-centered listening and questioning, expressing feelings, asking for with a positive motion lexicon were common. appraising and negative locution indicator were more common in listeners in low relation-centered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as follows: Firstly, preparing for the foundation of listening study reduced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Secondly, a factor of a concrete response which will have to aim for in relation-centered listening was revealed. Thirdly, both ''structure'' and ''content'' of listening were all examined. Fourthly, it was prepared for the grounds which can compose a course of listening education and an educational centered.

      • KCI등재

        수업대화에서의 학생 상호작용 능력 체계화 연구

        황현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0 No.-

        This study attempts to systematize the interactional ability of the student to assist interaction in classroom discourse. The interactional ability of the student means the ability to operate the speech act process of participants are going to co-constructing meaning. And the knowledge and skills and attitude related to language of the users based on the interactional ability to operate the speech act process. Research results, topic development, repair, turn-taking were extracted as main categories of the interactional ability of the student in classroom discourse. The interactional ability of the student can be configured as content element and format element. The content element are configured as topic development and repair. And The format element are configured as turn-taking. First, the topic developmen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pic is deployed. Topic development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receiver(agree·accept, Opposition·disavowal). Second, the repair means the process of removing misunderstandings or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expressing or understanding. Type of the repair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Who raised the issue of repair and Who take repair. Third, turn-taking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people in a conversation decide who is to speak next. Turn-taking can be classifie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type of interac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 confrontations, Competition)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that foster a interactional ability of the student. 연구는 수업대화에 필요한 학생 상호작용 능력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업대화에서 상호작용 능력이란 ‘수업 참여자가 수업 담화에 대한 언어 사용지식과 기능과 태도를 바탕으로, 서로 언어 행위를 주고받으며 공동의 지식을 구성해 가는 언어 사용 능력’이다. 연구 결과, 수업대화 구조를 바탕으로 학생 상호작용 능력을 내용과 형식 범주로 나누고, 내용 요소로 화제 전개와 수정을, 그리고 형식 요소로는 순서 교대를추출하였다. 첫째, 화제 전개는 발화 연속체에서 발신자와 수신자에 의해 화제의 내용이 진행 되는 양상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화제 전개를 수신자의 반응(동의·수용 또는 반대·거부)을 기준으로 5개 유형으로 나누었다. 둘째, ‘수정’은 상호작용을 수행할 때 오해 혹은 표현이나 이해의 어려움 등과같은 문제가 나타날 때 그러한 문제를 제거하는 과정(박용익, 2003:57)으로 로스트의 교정 모형을 토대로 누가 수정을 제기하고 누가 수정을 하느냐에 따라 4개의유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셋째, 순서 교대는 대화에서 다음 말을 누가 할지 결정하는 말하기 차례로, 상호작용의 협력 관계, 대립 관계, 경쟁 관계에 따라 6가지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