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D협력 활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범철(Beom Cheol Cin)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1 경영과 사례연구 Vol.43 No.1

        이 논문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6년 제조업 부문 한국기술혁신조사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R&D협력 활동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유형별 기술혁신, 혁신 장애, 기술정보의 원천으로 지식의 유입과 유출, 그리고 전유성의 조건이 R&D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모형에서 확률오차 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다변량 프로빗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모형의 확률오차 간 상관관계의 추정계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협력 모형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프로빗 기법에 따라 추정할 경우, 편의적 결과가 유발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3개의 연구개발 협력이 상호보완적으로 고려되어 동시적으로 결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기술혁신은 유형에 따라 R&D협력 활동에 달리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제품혁신은 R&D협력 활동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신제품혁신이 기업의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활동을 촉진하지만, 공정혁신은 기업의 수평적 협력 활동을 오히려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혁신의 장애요인이 R&D협력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의 유형과 장애요인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다. 기술혁신의 자금조달 애로와 과도한 기술혁신 비용의 부족은 수직적 협력을 촉진하는 반면 시장의 불확실성과 경쟁 심화에 의한 경제적 위험성의 상승은 대학과 연구기관의 협력을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혁신 보호 방법으로 전략적 방법은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의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학 및 연구기관의 R&D협력 활동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법률적 보호 방법은 대학 및 연구기관의 협력 활동에서만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편 외부 정보 유입은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가 산학연의 R&D협력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 보호 방법을 강화하여 기업의 전유성 확대하고 외부로부터의 혁신기술정보의 유입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다변량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는 유의수준 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계수의 크기는 다소 달리 나타났다. 특히, 다변량 프로빗 모형에서는 개별 수직적 R&D협력은 연구 비용과 전략적 전유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지만, 수평적 협력은 전략적 전유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determinant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using 2016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for manufacturing sectors. In doing so, multivariate probit procedure is employed to control for interdependence among three different types of cooperation activities such as vertical R&D cooperation, horizontal R&D cooperation, and R&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universit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Empircal results are summraized as follows. First of all, estimated coefficients for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he seperate estimation of the cooperation models by probit procedure should produce biased results. Next, the results show that new product innovation activities can lead to higher probability of participation in all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whereas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 can reduce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on only in R&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universit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Finally, other factors such as barriers to innovations, methods of protecting innovations and information flows a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electing the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 KCI등재

        R&D협력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능력의 조절효과 -

        박정수,허문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업 간 R&D협력과 제품혁신과의 관계를 실증분석 한다. 더 나아가 R&D협력의 유형을 공급사슬상의 협력(수직적 협력)과 경쟁사와의 협력(수평적 협력)으로 구분하여, 기업의 흡수능력과 R&D협력의 상호관계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 제조업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혁신조사(KIS) 자료를 이용했다. 연구결과,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이 제품혁신이 정(+)의 관계가 있다는 기본 가설을 지지되었으나, 수평적 협력이 수직적 협력보다 제품혁신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기업의 흡수능력을 잠재적 흡수능력과 실제적 흡수능력으로 구분하여 R&D협력과의 상호작용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나타났다. 잠재적 흡수능력과 수직적 협력의 상호작용효과는 제품혁신에 정(+)의 관계를 가졌지만, 잠재적 흡수능력과 수평적 협력, 실제적 흡수능력과 수직적 협력, 실제적 흡수능력과 수평적 협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흡수능력을 세부적으로 분류함에 따라 흡수능력을 논의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e develop the hypotheses which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ooper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absorptive capacity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R&D cooper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tudy classifies R&D cooperation into cooperation on the supply chain (vertical cooperation) and cooperation with competitors (horizontal cooperation). We examined the hypotheses using KIS (Korea Innovation Survey) data. The results show that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cooper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product innovation. However, the hypothesis that supposes horizontal cooperation should influence product innovation more than vertical cooperation was not supported. Also, this study classifies absorptive capacity into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 and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The specific hypotheses are as follow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cooperation and product performance is stronger when potential capacity is high. However other hypotheses are not supported.

      • KCI등재

        혁신의 장애요인이 R&D협력에 미치는 영향

        박정수,허문구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2

        본 연구는 기업이 직면한 혁신의 장애요인을 자금부족과 정보부족으로 조명하 고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제조업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혁신조사(KIS)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의 장애요인인 자금부족은 수 직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하지만, 정보부족은 수직적 협 력과 수평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기존 연구들은 R&D협력의 선행요인으로서 기업 내부의 활동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혁신 의 장애요인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경쟁의 구도가 기업과 경쟁사 사이의 기업 간 경쟁에서 서로 다른 협력 집단들 간의 경쟁구도로 변화함에 따라 R&D협력 유형을 범위를 수평적 협 력까지 확장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tors hampering innovation on firm’s R&D cooperation. We classify the obstacles to innovation into lack of money and information, and also distinguish between horizontal cooperation and vertical cooperation. We argue that different obstacles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the types of R&D cooperation. We examined the hypotheses using KIS (Korea Innovation Survey) data. The results show that deficiency of inform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cooperation, however, lack of money is not related to firm’s R&D coope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rom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韓国における経済近代化と日本

        김영근 한일경상학회 2016 韓日經商論集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economic modernization of Korea. It aims to analyze a process of cooperat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out the modernization. What is Korean economic modernization that had been proceeded under the rapid geopolitical shift of post-war? And what is the similarity and distinction of economic modernization of Korea and Japa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 had understood the diverse concept of modernity and modernization, and how its flow of economic modernization had been developed. Distinctions in the mechanism and process of modernization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modernization is the relative concept that indicates the subjective change of modernity, or the evolution (or shift) of areal components, such as politics (democratization), economy (industrialization), socio-culture (liberalization and rationalization), and historical cognition (peace theory). To understand the flow of change in Korea-Japan relations from the pre-war to the post-war in terms of economic modernization of two countries, this paper categorizes the post-war relationship into the 4 different stages of analytic frame. Korea and Japan (1) start from the post-war regime (1945- ) out of the pre-war. Their (2) relationship of vertical division of labor (subordinate developmental model) from the 1960s to 1980s had reshaped to the (3) relationship of vertical competition (autogenous developmental model) in the 1990s. This relationship has been on its progress to become the horizontal symbiotic relationship (cooperative developmental model) since from Global Financial Crisis of the mid-2000s. The post-war Korea concentrated to accomplish its economic modernization and to develop its global competitiveness. Korea has been focused to alter its global position in the system of international trade, by focusing on the trade of industrial products in the 1960s to improve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By clinging to its plan for economic modernization, Korea, therefore, has achieved the development of heavy industry and resulted to increase its share in the global market. However, differed from Japan, the pre and post-war Korean modernization had multiple vulnerabilities, which include the colonial period, for the progress of modernity. Trade policies of Korea and Japan show similarity in their pursuit of modernity on FTA (Free Trade Agreement) stance under the economic perspective. Both countries have been pushing economic policies that give priority to a FTA into force with a large and advanced economy since from 2010. A creative acceptance and practice appear as the important tasks of Korean modernization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proliferation of governance for modernization. It is indeed important to manage risks from the disaster (securing peace) for people to enjoy their economic life in the Security Revolution (safety-centered world of today). Economic development for human security and other issues of disaster recovery must be concerned as a part of new modernity. Furthermore, the need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understanding on surrounding elements of international politics on domestic issues, such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disaster governance, became more apparent for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economic moderniz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경제근대화를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과 일본의 협력과 대립 프로세스를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전후의 급격한 지정학적 환경 변화 속에서 진행된 한국의 경제근대화란 무엇인가? 또한 한국이 다양한 근대성 및 근대화를 어떻게 받아 들였는지, 경제근대화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일본과 한국의 경제근대화에 관한 교차점(차이와 유사점)은 무엇인가? 즉, 근대화 과정과 메커니즘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우선 근대화란 상대적 개념으로, 근대성의 주체 변화 혹은 정치적(민주화), 경제적(산업화), 사회문화적(자유화․합리화), 역사인식(평화사상) 등 영역별 구성요소가 진화(변화)한다는 의미이다. 한일 경제근대화 과정에 있어서 전전(戦前)에서 전후(戦後)에 이르기까지의 관계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전후에 관해서는 다음 4단계로 구별하여 분석한다. 우선 한일 양국은 ① 전전(戦前)에서 벗어나 전후체제(1945년-)에서 출발하여, ②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의 <수직적 분업관계(종속적 발전모델)>는 ③ 1990년대에 들어서 <수직적 경쟁관계(자생적 발전모델)>로 전환되었다. 이후 ④ 2000년 중반 세계적 금융위기를 전후로 하여 <수평적 공생관계(협력적 발전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경제근대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후 한국은 산업의 근대화와 경쟁​​력 강화(확보)를 목표로 하였다. 1960년대 들어 한국은 공산품 무역을 중심으로 세계시장에서 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국제무역체제에서의 지위 변화를 도모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경제근대화 계획에 따라 중공업 발전을 실현하였고, 나아가 한국의 세계 시장점유율 확보(회복) 증진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전전과 전후 한국의 ‘근대화’는 일본과는 달리 식민지 시기 등 여러 취약성으로 인하여 진행속도 및 근대성의 진전을 위한 여러 저해 요인(과제)을 안고 있었다. 한편, 한국과 일본의 통상정책에 관해 살펴보면 양국이 2010년 이후 거대시장 및 선진경제권과의 FTA 체결을 우선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관점에서의 근대성 추구는 거의 유사하다. 한국의 근대화에 관한 과제로는 근대화 거버넌스의 국제적인 파급과정에서 창조적인 수용과 실천(진화)이 중요하다. 특히, 오늘날 인류가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재난 및 재해 등 위험으로부터 관리(평화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안전혁명> 시대에 있어서, 새로운 근대 영역 및 근대성으로서의 <인간의 안전보장을 위한 경제발전>과 재해 부흥 이슈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경제근대화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재해 거버넌스의 국제협력 등 국내 정치체제를 둘러싼 국제 정치적 요인을 이론적으로 한편 경험(사례분석)적으로도 이해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KCI등재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고찰: 조합원 간 협력과 연대를 중심으로

        장종익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2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7 No.-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Hansmann’s theory on the emergence and sustainability of cooperatives and proposes the concept of cooperation and solidarity among members as an essential source of cooperatives’ sustainability. It claims that the proposed concept may explain the divergent path of development among cooperatives which have the similar market failure environments and collective decision making costs. The paper argues that the source of the sustainability of cooperative business can be found from the concept of people’s union itself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cooperatives, and suggests related policy implications. 본 논문은 협동조합의 출현과 지속가능성에 관한 기존 이론 중에서 가장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온 한스만의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보완하는 설명 개념으로서 조합원 간 협력과 연대에 대하여 서술하고 대표적 실천 사례를 소개하였다. 한스만이 설명하는 시장실패의 정도가 유사하고, 집단적 의사결정비용이 유사한 수준의 협동조합 간에도 발전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 조합원 간 협력과 연대 개념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협동조합의 중요한 특성으로서의 ‘인적 결합체’개념으로 부터 협동조합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의 원천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소공급업체 공정성 지각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김도헌,김상덕 한국유통과학회 2011 유통과학연구 Vol.9 No.2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factors leading to intercompany win-win by find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that affect a supplier’s fairness perception. We assume that the antecedent factors of a supplier’s fairness perception are vertical coordination, cooperation support, information sharing, and legalistic plea. We assume that the consequential factors of a supplier’s fairness perception are supply chain dependence and supply chain flexibility. The object industry is an electronic parts manufacturing company. We tested our model by using the SPSS 17.0 and the LISREL 8.5. For measurement validation, we verified by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reliability analysis. For hypothesis analysis, we did a path analysis with the LISREL 8.5. By checking the modification index and expecting parameter changes, we modified the model. First, the buyer’s vertical coord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pplier’s distributive fairness perception and procedural fairness perception. Second, the buyer’s cooperation support had no effect on the supplier’s distributive fairness perception and procedural fairness perception: we suppose that the buyer’s requests were burdensome, although they cooperated with the supplier. Third, the buyer’s information sharing had a positive effect on distributive fairness perception but had no direct effect on procedural fairness perception. Fourth, the buyer’s legalistic plea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upplier’s distributive fairness percep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supplier’s procedural fairness perception at a 0.1 significance level. Fifth, although procedural fairness perception had no direct effect on supply chain dependence, fairness perception had an effect on supply chain dependence and supply chain flexibil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 KCI등재
      • KCI등재

        사법권한 배분의 기준과 모델

        김하열 ( Ha Yurl Kim ) 안암법학회 2012 안암 법학 Vol.0 No.37

        The Constitutional Court, like ordinary courts, exercises judicial power. Concerning how to allocate judicial powers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ordinary courts, two standards of allocation might be suggested: one is that based upon principle, the other, upon policy. Issues particular to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hould be left to the Constitutional Court With regard to particularity, dichotomy that divides constitutional issues from sub-constitutional issues cannot be intact sustained. Issues arising from conflicts betwee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can be properly handl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ndividual control over ordinary and administrative power can be properly exercised by ordinary courts. However, institutional control over political power should be left to the Constitutional Court. Two models of allocation might be conjured up. One is horizontal division model, the other, vertical coordination model. Although each model has its own strong and weak points, the latter seems better alternative in three aspects. The func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ordinary courts resemble; Watershed to divide tasks of the both judiciaries is not easy to find; Organizational and human resources abound in ordinary courts can be made use of while supplementary character of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us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