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

        김효수,진용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 개선 프로그램과 달리 수업자의 성찰을 돕는 방향으로 동료교사들과 공동체성을 구축하고 단위학교에 수업협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8개 학교에 실행해보고, 그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협의문화 변화를 추동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단위학교 적용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과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수업나눔 프로그램의 의미와 한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수업나눔의 의미는 개인적 측면으로 수업의 본질 추구, 수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 교사의 자존감 회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증가 등이 나타났고, 관계적 측면으로 격려와 지지의 공동체 경험, 학생과의 관계와 일상의 삶으로 확대, 마음의 연결됨을 경험, 존재로의 만남 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계로는 시간부족, 강제성, 직면 단계의 어려움, 여전히 부담스런 수업공개가 두드러졌다. 수업나눔을 통한 수업협의문화를 추동하게 하는 영향요인 도출 결과 자발성, 관계, 시간, 학교분위기, 관리자 마인드, 교육청의 지원 등이 있었다. 첫째, 자발성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에 비해 휠씬 수업나눔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성이 높았고, 수업나눔 적용 수준이 높았다. 둘째,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원활하였다. 셋째, 교사들이 충분한 관계성이 형성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촉진되었다. 넷째, 외부촉진자와 내부촉진자의 선순환 역할이 중요했다. 외부촉진자인 수업코치와 단위학교 내에 수업협의 문화 변화를 선도하는 사람 혹은 그룹인 내부촉진자가 있을 때 좀 더 수업나눔이 잘 정착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기반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8개학교를 대상으로 비교적 장기간 실행해보고 이에 대한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의 수업협의문화 변화 양상과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suggests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instructional coaching'. This progra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rograms to improve class in a way that it helps a teacher consider his or her class, building up a community with other teachers and changing the customary class criticism at schools. The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coaching of teaching and apply that at 8 schools, and to compare the processes at schools to find factors of changing school culture, then to consider how to conduct the program at school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were able to be found by surveying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First, in terms of advantages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a teacher can seek the essence of class, understand the class better, build self-esteem, get self-confidence in class.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relation, a teacher can benefit from a encouraging and supporting community, have out-of-classroom fellowship with students, have open hearts each other, and have personal and informal fellowship wi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time, unwillingness, tendency of avoiding objectively facing oneself as a teacher, negative feeling on showing one’s class to others. The promoting factors of the discussion-on-class-culture throughout the instructional sharing are one’s willingness, relation, time, school environment, the philosophy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 assistance from an education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unit schools and to implement them for a long time in 8 schools. Based on thi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change and factors of school culture that teachers perceive.

      • KCI등재

        공안협의소설과 문화콘텐츠—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 기획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모델을 중심으로

        박명진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4 No.-

        Culture contents in the 21st century are attracting attention in areas of convergence that can be combined with humanities. Gong’an novels and Gong’anxiayi novels went beyond literary works to form a character called ‘Baoqingtian’ in the field of the cultural industry. The most prominent literary feature of the novel is the creation of a typical Baoqingtian figure symbolized by the character of impartial and incorruptible(鐵面無私). Baogong has a formula of ‘historical person-fiction character-character content’. The narrative of the novel deals with the story of Gong’an and the story of the Baogong-chivalrous Swordsman. In the case of existing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Baozheng, notable cultural contents appeared in dramas and tourism and cultural contents. As a project class model for planning Gong’anxiayi novels, especially Baoqingtian character-based cultural contents, we presented a class model that combines theory and project classes. Theory classes aim to acquire major knowledge, and project-based classes aim to improve learners creative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participatory cooperation skills, discover cultural archetypes related to Gong’anxiayi novels and plan cultural contents. 21세기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s) 산업은 인문학의 우수성을 흡수하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중국고전소설 중 공안협의소설은 문학작품을 넘어 문화산업의 영역에서 ‘판관 포청천’이라는 독특한 캐릭터를 제공하고 있다. 포공을 서사의 중심인물로 다루고 있는 포공소설에서 가장 두드러진 문학적 특징은 바로 鐵面無私의 성격으로 상징되는 전형적인 청관 인물형상의 창조일 것이다. 포공의 캐릭터는 ‘역사 인물―소설 주인공―캐릭터 콘텐츠’라는 형성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소설의 서사에 있어 ‘공안 이야기’와 ‘포공―협객 이야기’는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핵심 내용이다. 포청천 관련 기존 문화콘텐츠 사례에서는 드라마와 관광문화콘텐츠에서 주목할 만한 문화콘텐츠들이 등장하였다. 또, 대학의 중국고전소설 수업에서는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 기획을 위해 이론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병행하는 이론―프로젝트 혼합형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론 수업은 전공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기반 수업은 학습자의 창의적 역량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 및 참여협동 능력 향상에 목표로 두고, 공안협의소설 관련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캐릭터 콘텐츠를 기획하도록 설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