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그릿 및 소진감의 영향

        권연희(Yeonhee Kwon),이희영(Heeyeong Lee),이경화(Kyeonghwa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그릿 및 소진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그릿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소진감 변인이 조절 및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B지역의 유치원․어린이집 22곳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α,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해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및 그릿은 정적 상관관계를, 소진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소진감은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즉, 유아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소진감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그릿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소진감 변인이 부분 매개하였다. 결론: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및 그릿과 같은 심리적 요인은 문제행동지도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이러한 영향력은 소진감 변인의 조절 및 매개적 역할을 통해 완화된다.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문제행동지도전략 사용을 위해서 이들의 소진감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grit and burnou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in order to underst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burnout in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Methods: Two hundred twenty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burnout moderated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The positiv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level of burnout were low. Finally, burnout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Conclusion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have positively influenc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this influence was alleviated through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of burnout. This results suggest that every effort needs to be made to reduce burnout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desirabl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 KCI등재

        관광서비스 종사원의 소진 현상과 대처 전략

        김판영(Pan-Young Kim),송성인(Sung-I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

        연구의 목적은 소진 현상과 대처전략에 대한 모형을 국외여행업체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소진현상(감정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과 직무만족, 이직 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고, 대처 전략의 각 유형들이 소진 현상과 직무 태도와의 영향 관계에 어떠한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조절 변수로 사용된 대처전략의 변수로는 사회적 지원, 자아 존중감, 그리고 여가 활동의 참여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여행사 직원들이 겪게 되는 소진 현상과 대처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에서는 국외여행업체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증 조사를 통한 연구 결과에서는 소진 현상을 경험하는 종사원들은 직무 불만족을 경험하게 되며, 회사를 옮기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 유형(사회적 지원, 자아 존중감, 여가 활동)은 소진현상과 직무만족과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현상을 감소하기 위한 감정의 조절과 여가 활동의 참여 등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원 등의 대처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investigates a model of burnout and coping strategy employees in out-bound travel agency. So,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variables(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reduces personal accomplishment) a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tentions to resign. And we suggest that coping strategies will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attitude. We used social support, self esteem, and leisure involvement as a coping method. Data obtained from survey of frontline employees working in the several outbound travel agencies in Seoul, Korea. In the result, it has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burnout and job-relative components. Perceived burnout phenomenon has negatively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ositively effect on resign intention. Coping variables contro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practical implications, managers can take an action as like a social support to reduce employee's burnout. And employee has activity hobby for reducing the burnout.

      • KCI등재

        학급풍토와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최현주(Choi, Hyunj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학업소진은 학업중단, 우울, 자살사고 등을 유발하는 심리적 고갈상태로, 한국 고등학생들은 과중한 학업요구로 인해 높은 수준의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을 심화시키는 조직수준 변인으로 부정적 학급풍토를, 이를 완화시키는 개인수준 변인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선정하고, 각각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9개 학급으로부터 총 463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통제적 학급풍토와 무기력한 학급풍토는 학업소진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냉소는 통제적 학급풍토와 무기력한 학급풍토 모두에 영향을 받았고, 무능감은 통제적 학급풍토에만 영향을 받았다. 둘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는 학업소진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결중심사고를 많이 할수록 학업소진의 총점 및 각 하위요인이 모두 감소했다. 마지막으로 학급풍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준 간 상호작용 효과(cross-level interaction)가 검증되었다. 소진 총점에 대해서는 균형 있게 바라보기(putting into perspective)와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가, 하위요인 중 탈진에 대해서는 긍정적 재평가(positive reappraisal)와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가 높으면 부정적 학급풍토에서도 소진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용(acceptance)의 경우 수용을 많이 할수록 학생은 통제적 풍토가 높아짐에 따라 학업소진도 높아지지만, 수용을 적게 할수록 통제적 풍토가 높아져도 학업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academic burnout.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63 high school students from 39 classrooms. Using multilevel analysis, the main effects of classroom climate (controlling the classroom atmosphere, lethargic climat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putting things into perspective, refocusing on planning, acceptance) on academic burnout were examined, respectively. Moreover, 10 pairs of interaction effects (classroom climate ×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tested. Our results showed that both controlling and lethargic classroom atmospheres tended to exacerbate academic burnout, whereas refocusing on planning alleviated academic burnout. In addition, the cross-level interaction between the classroom atmosphere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verified. More specifically,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being able/willing to put things into perspective, refocusing planning, or positive reappraisal showed low level of academic burnout even when faced with a negative classroom atmosphe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work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소진감이 유마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홈혜림,문혜련 순천향대학교 201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6 No.3

        본 연구는 만 4, 5세를 담당하는 유아교사의 소진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소진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연구대상은 용인시에 위치한 유치원(사립) 9곳과 어린이집(국공립, 민간) 11곳에 근무하고 있는 만 4, 5세반 담당교사 186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나 유아와 관련된 소진감보다 개인적인 소진감이 높게 나타났다 . 둘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중 긍정적 예방전략 Ⅱ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은 직무와 관련된 소진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교사의 직무와 관련된 소진감이 낮을수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기 전에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교사가 예방적이고 긍정적인 지도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이직무소진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남인수,이석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job burnout and job attitude of special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ritten by a sample of 241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Stress Coping Strategy Scales by Kim(2008), Job Burnout Scales by Kim(2009), and Job Attitude Scale by Lee(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ccording to teacher groups,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ived higher stress coping strategy and job attitude than regular school teachers. But, regular school teachers perceived higher job burnout than special school teachers. In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difference partly between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in the job burnout and job attitud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e stress coping strategy. Second, among the subscales of stress coping strategy, self- blame positively influenced depersonalization. And both self-blame and self-encour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emotional exhaustion, but both strategic․affirmat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pursuit negatively influenced emotional exhaustion. And both strategic․affirmative coping and self encouragement negatively influence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Third, among the subscales of stress coping strategy, both self blame and self encour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But strategic․affirmative coping nega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And strategic․affirmative coping negatively influenced job involvement. And tension-release․wishful thinking coping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Forth, among the subscales of job burnout, both depersonaliz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posi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but emotional exhaus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negatively influenced job involvement. And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nega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스트레스대처전략이 직무소진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초․중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일반학교 교사 127명, 특수학교 교사 135명으로 총 262명을 편의상 무작위표본추출법에 의해 표집하였으며, 그 중에서 21부를 제외한 241부를 실제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그룹별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는 전략적․긍정적 대처, 자기비난적 유형, 긴장완화․소망적 사고, 사회적지지 추구에서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그리고 직무소진은 정서적 고갈에서 일반교사가 특수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직무태도는 직무만족에서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는 남교사와 여교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직무소진은 비인간화와 개인성취감 상실에서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직무태도는 조직몰입에서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둘째, 스트레스대처전략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을 많이 이용할수록 비인간화에 부정적이며, 자기비난과 자기격려를 많이 이용할수록 그리고 전략적․긍정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를 적게 이용할수록 정서적 고갈에 부정적이며, 전략적․긍정적 대처와 자기격려를 적게 이용할수록 개인성취감 상실에 부정적이다. 셋째, 스트레스대처전략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자기격려를 많이 이용할수록 전략적․긍정적 대처를 적게 이용할수록 이직성향에 긍정적이며, 전략적․긍정적 대처를 많이 이용할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이며, 그리고 긴장완화․소망적 사고를 많이 이용할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이다. 넷째, 직무소진과 직무태도와의 관계에서 비인간화와 정서적 고갈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성향이 높으며, 정서적 고갈과 개인성취감 상실의 수준이 낮을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이며, 비인간화와 개인성취감 상실의 수준이 낮을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이다.

      • KCI등재

        교사의 자원과 대처전략 그리고 소진의 관계

        한광현 한국경영교육학회 2008 경영교육연구 Vol.49 No.-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s factors(task variety, task autonomy, social support) and burnout outcomes, and the mediating roles of copying strategies in those relationship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33 teachers in highschool. The data collection instrument for the burnout used Maslach Burnout Inventory. This study measur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pying strategies using the hierarchic regression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regressions showed that task variety related to the depersonalization and task autonomy related to the emotional exhaustion, but social support strongly related to all of the burnout outcomes. Second, all of the copying strategies(active and passive copying) related to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autonomy related to the all of the copying strategies. Third, the copying strategies almost didn't mediat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ources factors and the burnout outcomes.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업무수행과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원들과 그들이 취하는 대처전략 유형 그리고 소진결과 등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통하여, 이들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아울러 대처전략의 유형이 교사들의 보유자원과 소진 간 관계에 매개효과를 지니는지의 여부를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자원은 사회적 지원 변수로 밝혀졌으며, 대처전략의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변수는 자율성으로 확인되었다. 자원과 대처전략 및 자원과 소진 간 관련성은 확인되었으나, 자원과 소진 간 대처전략 변수의 매개효과에 대한 일관된 결론을 찾아내는 것은 어려웠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지원에 따른 적극적 대처전략 선택, 그리고 적극적 대처에 따른 소진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역할갈등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심리적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

        남경희(Nam, Kyoung Hee),조경자(Jo, Gyeong Ja) 한국육아지원학회 2021 육아지원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남, 대전, 세종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414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역할갈등,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심리적 소진 척도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포함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역할갈등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역할갈등과 심리적 소진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역할갈등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소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역할갈등을 줄이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ing effect of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ample was 414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Chungnam, Daejeon, and Sejo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n, their role conflict,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sychological burnout scal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ole conflict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burnout.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h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burnout: role conflict had an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s needed to reduce role conflicts and help them to better utiliz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ch can prevent psychological burnout.

      • KCI등재

        군 간부의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한 정서지능의 매개된 조절효과

        김해성,이재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군 간부의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지능이 조절하는 이유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로인한 것임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군 간부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소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정서지능 척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상관분석 등 기초적인 통계처리는 SPSS/WIN 25.0을 사용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3.4를 이용하여 Hayes(2018)가 제안한 MODEL 15를 분석하였다.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은 Muller 등(2005)이 제시한 단계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한 정서지능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의 정적인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절효과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나는 이유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활용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정서지능이 높은 조건에서는 직무 스트레스가 발생할 때 긍정적인 정서조절전략을 활용하는 것을 통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지만, 정서지능이 낮은 조건에서는 직무 스트레스에 적절한 정서조절전략을활용하지 못하여 소진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군 간부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을 줄여 주기 위해서는 정서지능을 높여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북 군사전략 개념의 확장 : 소진전략을 중심으로

        박민형,김강윤 세종연구소 2018 국가전략 Vol.24 No.2

        The debate on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eems to be progressing rapidly and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it seems higher than ever. However, even if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are resolved, North Korea's large-scale conventional military power will be South Korea's most serious security threat. Therefore, Korea needs to prepare for North Korean conventional power until the day when peaceful reunification takes 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Korea is currently building an effective strategy to achieve military superiority in North Korea. ROK forces are trying to develop advanced weapons systems and asymmetric strategies to counteract the numerical advantage of North Korean conventional forces.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North Korea's "low-cost and low-tech" system has led to South Korea's "high cost" preparations, which have not show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reat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for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ilitary strategy for the future by advocating the necessity of Exhaustion Strategy that can induce the "high cost" preparation of the North Korean forces by utilizing the "low cost and high technology" ability of Korea. 현재 한반도는 역사상 가장 평화로운 시기를 지나고 있는 듯하다. 북한의 비핵화 논의가 급진전 되고 그 해결 가능성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 보인다. 하지만 북한의 핵 위협이 해결된다고 해도 북한의 대규모 재래식 군사력은 상당기간 한국의 가장 심각한 안보 위협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는 그날까지 북한의 재래식 전력에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한국은 현재 대북군사력 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과연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군은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의 수적우세를 상쇄하기 위해 첨단 무기체계와 비대칭 전략의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현 상황은 북한의 “저비용·저기술” 체계가 한국의 “고비용” 대비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대비 위협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저비용·고기술” 능력을 활용하여 북한군의 “고비용” 대비를 유도할 수 있는 군사전략의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미래 대북군사전략의 개념의 확대를 주장한다.

      •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 :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와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의 조절된 매개효과

        홍소정,심명정,이윤수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지향 기업문화(혁신지향 기업문화, 과업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와 HR부서의 전략적 파트너 역할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에 수집된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model 8을 적용하여 응답자 10,0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절변수인 HR부서의 역할은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의 정(+)적 관계와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의 부(-)적 관계를 모두 촉진시켰다. 또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은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외부지향 기업문화가 커뮤니케이션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HR부서의 전략적 파트너 역할이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업문화와 조직 구성원의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전략적 파트너로서 HR부서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