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그릿 및 소진감의 영향

        권연희(Yeonhee Kwon),이희영(Heeyeong Lee),이경화(Kyeonghwa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그릿 및 소진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그릿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소진감 변인이 조절 및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B지역의 유치원․어린이집 22곳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α,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해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및 그릿은 정적 상관관계를, 소진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소진감은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즉, 유아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소진감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그릿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소진감 변인이 부분 매개하였다. 결론: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및 그릿과 같은 심리적 요인은 문제행동지도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이러한 영향력은 소진감 변인의 조절 및 매개적 역할을 통해 완화된다.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문제행동지도전략 사용을 위해서 이들의 소진감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grit and burnou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in order to underst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burnout in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Methods: Two hundred twenty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burnout moderated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The positiv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level of burnout were low. Finally, burnout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Conclusion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have positively influenc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this influence was alleviated through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of burnout. This results suggest that every effort needs to be made to reduce burnout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desirabl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바이지 애착전략의 조절효과

        박민주 ( Park Min Ju ),진미경 ( Jin Mi K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바이지 애착 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병원 내 놀이치료실, 대학 부설 놀이치료실,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전문아동상담센터 등에서 종사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71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수퍼바이지 애착 전략 척도(SASS) 그리고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수퍼바이지 애착전략(회피, 거절) 그리고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수퍼바이지 애착 전략의 총점과 그 하위요인 모두가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바이지 애착 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퍼바이지 애착 전략 총점과 그 하위요인인 회피 애착 전략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심리적 소진에 위험요인임을 검증하였고, 특히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 전략이 심리적 소진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수퍼바이지의 애착 전략을 고려한 수퍼비전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burnout. Additionally,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total and sub-factors(avoidance, reje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otal score of th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and its sub-factor(avoidance) had moderating effec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is a meaningful and real risk factor when it comes to psychological burnout. In particular, the results indicate that any unstable attachment strategies of the supervisee could serve as a factor in deepening psychological burnout, suggesting the need for supervision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attachment strategy of the supervisee.

      • KCI등재

        관광서비스 종사원의 소진 현상과 대처 전략

        김판영(Pan-Young Kim),송성인(Sung-I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

        연구의 목적은 소진 현상과 대처전략에 대한 모형을 국외여행업체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소진현상(감정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과 직무만족, 이직 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고, 대처 전략의 각 유형들이 소진 현상과 직무 태도와의 영향 관계에 어떠한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조절 변수로 사용된 대처전략의 변수로는 사회적 지원, 자아 존중감, 그리고 여가 활동의 참여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여행사 직원들이 겪게 되는 소진 현상과 대처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에서는 국외여행업체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증 조사를 통한 연구 결과에서는 소진 현상을 경험하는 종사원들은 직무 불만족을 경험하게 되며, 회사를 옮기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 유형(사회적 지원, 자아 존중감, 여가 활동)은 소진현상과 직무만족과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현상을 감소하기 위한 감정의 조절과 여가 활동의 참여 등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원 등의 대처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investigates a model of burnout and coping strategy employees in out-bound travel agency. So,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variables(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reduces personal accomplishment) a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tentions to resign. And we suggest that coping strategies will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attitude. We used social support, self esteem, and leisure involvement as a coping method. Data obtained from survey of frontline employees working in the several outbound travel agencies in Seoul, Korea. In the result, it has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burnout and job-relative components. Perceived burnout phenomenon has negatively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ositively effect on resign intention. Coping variables contro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practical implications, managers can take an action as like a social support to reduce employee's burnout. And employee has activity hobby for reducing the burnout.

      • KCI등재

        학급풍토와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최현주(Choi, Hyunj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학업소진은 학업중단, 우울, 자살사고 등을 유발하는 심리적 고갈상태로, 한국 고등학생들은 과중한 학업요구로 인해 높은 수준의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을 심화시키는 조직수준 변인으로 부정적 학급풍토를, 이를 완화시키는 개인수준 변인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선정하고, 각각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9개 학급으로부터 총 463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통제적 학급풍토와 무기력한 학급풍토는 학업소진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냉소는 통제적 학급풍토와 무기력한 학급풍토 모두에 영향을 받았고, 무능감은 통제적 학급풍토에만 영향을 받았다. 둘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는 학업소진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결중심사고를 많이 할수록 학업소진의 총점 및 각 하위요인이 모두 감소했다. 마지막으로 학급풍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준 간 상호작용 효과(cross-level interaction)가 검증되었다. 소진 총점에 대해서는 균형 있게 바라보기(putting into perspective)와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가, 하위요인 중 탈진에 대해서는 긍정적 재평가(positive reappraisal)와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가 높으면 부정적 학급풍토에서도 소진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용(acceptance)의 경우 수용을 많이 할수록 학생은 통제적 풍토가 높아짐에 따라 학업소진도 높아지지만, 수용을 적게 할수록 통제적 풍토가 높아져도 학업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academic burnout.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63 high school students from 39 classrooms. Using multilevel analysis, the main effects of classroom climate (controlling the classroom atmosphere, lethargic climat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putting things into perspective, refocusing on planning, acceptance) on academic burnout were examined, respectively. Moreover, 10 pairs of interaction effects (classroom climate ×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tested. Our results showed that both controlling and lethargic classroom atmospheres tended to exacerbate academic burnout, whereas refocusing on planning alleviated academic burnout. In addition, the cross-level interaction between the classroom atmosphere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verified. More specifically,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being able/willing to put things into perspective, refocusing planning, or positive reappraisal showed low level of academic burnout even when faced with a negative classroom atmosphe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work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미국의 군사혁신과 “상쇄전략” : 장기 경쟁전략으로서의 기술우위와 비용부과

        손한별 ( Sohn Hanbyeol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1 한국국가전략 Vol.6 No.3

        탈냉전 이후 유일한 패권국으로 남은 미국은 변화하는 안보환경 속에서도 자국의 우세를 유지하기 위해 세 번째 "상쇄전략"을 내놓았다. 이미 두 차례 상쇄전략을 통해 상대에 대한 우위를 유지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었지만, 3차 상쇄전략은 "네트워크 국가"로서의 미국의 포괄적 군사혁신 노력을 잘 보여준다. 미국의 위협인식과 대응전략은 철저히 강대국 중심의 고전지정학의 영역에 머물러있지만, 대내적 군사혁신 거버넌스, 국제협력과 대외적 네트워크를 통해 확대된 영역에서의 우위를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2차 상쇄전략으로부터 3차 상쇄전략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미국 위협인식의 지속과 변화를 살펴본다. 상쇄전략은 기술혁신을 통해 달성한 우위를 바탕으로 비용을 부과하여 적극적인 소진전략을 추구해 온 미국 군사혁신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미국 군사전략의 목표는 장기 경쟁관계에서 우위를 달성하는 것이었으며, 군사혁신은 이러한 목표의 구현을 제약하는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과 수단의 혁신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상쇄전략은 기술혁신, 작전혁신, 조직혁신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의 최첨단 기술을 통해 상대에 대한 압도적 우위를 추구하며, 민간분야의 성과를 활용하기 위해 역동적인 민군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둘째, 첨단기술을 운용하기 위한 작전혁신의 측면에서 다양한 합동 및 각군의 작전개념을 내놓고 미래전 수행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셋째, 조직혁신 차원에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문화를 조직에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국방혁신센터와 전략능력실이 대표적 사례이다. The United States, which remains the only hegemony after the post-Cold War, has come up with its third "offset strategy" to maintain its dominance despite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s the US already had the experience of maintaining an advantage over his opponent through two offset strategies, the third offset strategy illustrates the United States' comprehensive military innovation efforts as a "network country." The U.S. threat perception and response strategy remain strictly in the realm of classical geopolitics centered on strategic rivalry, but are pursuing an edge in the expanded areas through internal military innovation governanc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xternal net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US threat percep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from the 1st and 2nd offset strategies to the 3rd offset strategy. The offset strateg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US military innovation, which has been pursuing active exhaustion strategies by imposing costs based on the advantages achieved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ends of the U.S. military strategy is to achieve superiority in long-term competition, and military innovation is found to be an innovation of ways and means to overcome the factors limi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se goals. The US offset strategy can be divided into technological innovation, operation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First, through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pursues an overwhelming advantage over its opponents and promotes a dynamic civil-military cooperation program to utilize the results of the private sector. Second, in terms of operational innovation to operate high-tech technologies, various joint and services’ operational concepts are presented and the concept of future warfighting is being developed. Third, efforts are being made to strengthen R&D capabiliti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establish an innovative culture in the organization, and the Defense Unit Innovation and the Strategic Capabilities Office are representative exampl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소진감이 유마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홈혜림,문혜련 순천향대학교 201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6 No.3

        본 연구는 만 4, 5세를 담당하는 유아교사의 소진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소진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연구대상은 용인시에 위치한 유치원(사립) 9곳과 어린이집(국공립, 민간) 11곳에 근무하고 있는 만 4, 5세반 담당교사 186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나 유아와 관련된 소진감보다 개인적인 소진감이 높게 나타났다 . 둘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중 긍정적 예방전략 Ⅱ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은 직무와 관련된 소진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교사의 직무와 관련된 소진감이 낮을수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기 전에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교사가 예방적이고 긍정적인 지도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전략이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신소희 ( So Hee Shin ),장금성 ( Keum Seong Jang ) 대한보건협회 2016 대한보건연구 Vol.42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전략,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전략 행위에 따라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 2011년 12월 5일부터 2012년 1월 20일까지 G광역시와 J도에 위치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중 정신과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직무소진, 직무열의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에 적합한 23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감정노동전략 중 표면행위와 직무소진은 정적 상관관계(r=.32, p<.01)이며, 직무소진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이 표면행위(β=.305,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간호사의 내면행위는 직무열의와 순 상관관계(r=.31, p<.01)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에 가장 주요한 예측 변인은 내면행위(β=.228, p<.00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전략이 그 형태에 따라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간호사의 직무소진을 자극하는 표면행위를 최소화하고, 직무열의를 높이는 내면행위를 이끌 수 있도록 구조화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유효한 수단의 하나로 풀이 될 수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psychiatric nurses` emotional labor strategy,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level and to verify the impacts of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on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Methods :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emotional labor strategy, job burnout, job engagement tools from the nurses who were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psychotherapy in medical institutions in a level higher than a hospital,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from December 5, 2011 through January 20, 2012 and analyzed 239 copies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Results : It turned out that, of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surface acting and job burnout had positive correlations(r=.32, p<.01), and the major variable that could predict job burnout was surface acting(β=.305, p<.001). It turned out that the psychiatric nurses` deep acting had a pure correlation with job engagement(r=.31, p<.01), a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job engagement was deep acting(β=.228, p<.001). Conclusion : It was noted that the psychiatric nurses` emotional labor strategy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according to the form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et up structured strategies in order to minimize the surface acting that might stimulate the psychiatric nurses` job burnout and to induce deep acting that could increase their job engagement,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hat can enhance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소진감이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홍혜림(Hong, Hye-Rim),문혜련(Moon, Hae-Lyu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6 No.3

        본 연구는 만 4, 5세를 담당하는 유아교사의 소진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소진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용인시에 위치한 유치 원(사립) 9곳과 어린이집(국공립, 민간) 11곳에 근무하고 있는 만 4, 5세반 담당 교사 186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나 유아와 관련된 소진감 보다 개인적인 소진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중 긍정적 예방전략 Ⅱ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은 직무와 관련 된 소진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교사의 직무와 관련된 소진감이 낮을수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기 전에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교사가 예방적이고 긍정적인 지도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overall trend of burnout feelings and the teaching strateg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f five and six year old children for their problem behavior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nd between the burnout feelings and the teaching strategi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186 teachers of 5 and 6 year-old children classes who are working in 9 kindergarten(private) and 11 daycare centers(public, private) located in Yongin-si, Gyeonggi –do.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urnout feelings for personal reasons was higher than those associated with job duty or children. Secon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Ⅱ was the highest among the teaching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s Third, the problem behavior teaching strategi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urnout feelings related to the job du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lower the burnout feelings related to the job duty of the teachers, the more the teaching strategies for problem behavior have been used.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implement preventive education before they experience psychological burnout feelings, and one should help teachers to develop a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preventive and positive teaching strategies could be effectively used.

      • KCI등재

        교사의 자원과 대처전략 그리고 소진의 관계

        한광현 한국경영교육학회 2008 경영교육연구 Vol.49 No.-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s factors(task variety, task autonomy, social support) and burnout outcomes, and the mediating roles of copying strategies in those relationship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33 teachers in highschool. The data collection instrument for the burnout used Maslach Burnout Inventory. This study measur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pying strategies using the hierarchic regression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regressions showed that task variety related to the depersonalization and task autonomy related to the emotional exhaustion, but social support strongly related to all of the burnout outcomes. Second, all of the copying strategies(active and passive copying) related to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autonomy related to the all of the copying strategies. Third, the copying strategies almost didn't mediat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ources factors and the burnout outcomes.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업무수행과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원들과 그들이 취하는 대처전략 유형 그리고 소진결과 등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통하여, 이들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아울러 대처전략의 유형이 교사들의 보유자원과 소진 간 관계에 매개효과를 지니는지의 여부를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자원은 사회적 지원 변수로 밝혀졌으며, 대처전략의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변수는 자율성으로 확인되었다. 자원과 대처전략 및 자원과 소진 간 관련성은 확인되었으나, 자원과 소진 간 대처전략 변수의 매개효과에 대한 일관된 결론을 찾아내는 것은 어려웠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지원에 따른 적극적 대처전략 선택, 그리고 적극적 대처에 따른 소진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이직무소진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남인수,이석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job burnout and job attitude of special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ritten by a sample of 241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Stress Coping Strategy Scales by Kim(2008), Job Burnout Scales by Kim(2009), and Job Attitude Scale by Lee(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ccording to teacher groups,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ived higher stress coping strategy and job attitude than regular school teachers. But, regular school teachers perceived higher job burnout than special school teachers. In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difference partly between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in the job burnout and job attitud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e stress coping strategy. Second, among the subscales of stress coping strategy, self- blame positively influenced depersonalization. And both self-blame and self-encour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emotional exhaustion, but both strategic․affirmat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pursuit negatively influenced emotional exhaustion. And both strategic․affirmative coping and self encouragement negatively influence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Third, among the subscales of stress coping strategy, both self blame and self encour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But strategic․affirmative coping nega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And strategic․affirmative coping negatively influenced job involvement. And tension-release․wishful thinking coping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Forth, among the subscales of job burnout, both depersonaliz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posi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but emotional exhaus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negatively influenced job involvement. And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nega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스트레스대처전략이 직무소진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초․중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일반학교 교사 127명, 특수학교 교사 135명으로 총 262명을 편의상 무작위표본추출법에 의해 표집하였으며, 그 중에서 21부를 제외한 241부를 실제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그룹별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는 전략적․긍정적 대처, 자기비난적 유형, 긴장완화․소망적 사고, 사회적지지 추구에서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그리고 직무소진은 정서적 고갈에서 일반교사가 특수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직무태도는 직무만족에서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는 남교사와 여교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직무소진은 비인간화와 개인성취감 상실에서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직무태도는 조직몰입에서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둘째, 스트레스대처전략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을 많이 이용할수록 비인간화에 부정적이며, 자기비난과 자기격려를 많이 이용할수록 그리고 전략적․긍정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를 적게 이용할수록 정서적 고갈에 부정적이며, 전략적․긍정적 대처와 자기격려를 적게 이용할수록 개인성취감 상실에 부정적이다. 셋째, 스트레스대처전략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자기격려를 많이 이용할수록 전략적․긍정적 대처를 적게 이용할수록 이직성향에 긍정적이며, 전략적․긍정적 대처를 많이 이용할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이며, 그리고 긴장완화․소망적 사고를 많이 이용할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이다. 넷째, 직무소진과 직무태도와의 관계에서 비인간화와 정서적 고갈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성향이 높으며, 정서적 고갈과 개인성취감 상실의 수준이 낮을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이며, 비인간화와 개인성취감 상실의 수준이 낮을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