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서에 비추어 본 세계화와 선교적 함의

        유종근 한국구약학회 2014 구약논단 Vol.20 No.3

        I have attempted in this paper to review the socio-economic phenomenon of the globalization with regard to the biblical values and to explore its relationship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gospel as a vehicle for the Missio Dei, the salvation of the creation. The socio-economic phenomenon of the globalization has been much maligned for its alleged aggravation of the gaps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While this is indeed one of the noticeable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ization, there is also a countervailing tendency toward equalization in a global scale, which the New York Times columnist Thomas Friedman famously dubbed as "the world becoming flat." In addition, the globalization has made the overall income level steadily rise so a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standards of living for a great majority of people throughout the world. Perhaps, from the biblical point of view, the greatest achievement of the globalization is the near elimination of colonialism and delegitimization of the despotism,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through the spread of democracy and the increasing economic interdependence, in the likelihood of the global peace, even though sectarian and ethnic wars continue to rage today. Moreover, the increasingly fierce competition in the global markets has made it difficult to ignore the global standards not only in the business area but also in human rights and gender equality. All these phenomena reflect the values God has given us through his words in the Bible. But I am convinced that God, as the lord of history, has been the mover of the globalization processes in order that such socio-economic phenomena may serve as vehicles to spread the gospel throughout the globe, i.e., the globalization of the gospel. In the "fullness of the time" when the spread of Hellenis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ax Romana made it convenient to spread the gospel, God set in motion the globalization of his gospel by sending out to this world his first missionary Jesus Christ. The process of evangelical globalization began by Jesus picking out and training his disciples. After his resurrection, Jesus charged that his disciples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so that their disciples would each make more disciples and the number of disciples could grow exponentially. This process must continue until his second coming and each of us believers in Jesus Christ is charged with his Great Comission to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The rapid acceleration of the socio-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spread of the gospel that has transformed the former peripheries of the christianity into new heartlands has caused a new phenomenon in which the migrants from these new heartlands bring their evangelical zeal to the former heartlands of Europe and the North America and reignite the flickering flame there. Nevertheless, not all the migrants are christians, although many of them are. The church in the host nation must do all it can to make disciples of these non-christian migrants and send them back as missionaries. That is a far superior strategy to sending out missionaries who do not speak the native languages and fully understand the native culture. 이 논문에서 나는 세계화라는 경제·사회적 현상을 성서적 가치에 비추어 검토하고 모든 피조믈의 구원이라는 하나님의 선교를 위한 복음의 세계화와의 관계를 살펴보려고 했다. 경제·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세계화는 가진 자와 가지지 아니한 자 사이의 격차를 악화시킨다고 많은 비난을 받아왔다. 그것은 분명 세계화의 눈에 띠는 한 단면이기는 하지만 그와 반대로 글로벌 스케일에서 평준화로 수렴하는 경향도 존재하는데, 이를 뉴욕타임스의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은 ‘세계가 평평해지고 있다“는 말로 표현했다. 그뿐만 아니라 세계화는 전체적으로 소득수준을 꾸준히 상승시켜 전 세계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생활수준의 향상을 현저하게 개선시켰다. 아마 성서적 관점에서 보면 세계화의 가장 위대한 성과는 식민주의를 거의 멸종시키고 독재의 정당성을 제거한 것과 민주주의의 확산과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증가를 통해, 비록 종파 간 또는 종족 간 전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기는 하지만, 세계평화의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킨 점일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날로 극심해지는 세계시장에서의 경쟁은 기업경영에서만 아니라 인권과 양성평등에 있어서도 글로벌스탠더드를 무시하기 어렵도록 만들고 있다. 이러한 모든 현상들은 성서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우리에게 주신 가치를 반영한다. 그러나 나는 하나님이 역사의 주관자로서 세계화의 과정을 조종하시어 그러한 경제·사회적 현상이 복음을 온 세상으로 전파하는, 즉 복음을 세계화하기 위한 도구가 되도록 하시었다고 확신한다. ‘때가 차서’ 헬레니즘이 확산되고 팍스 로마나가 확립되어 복음을 전파하기에 편리하게 되었을 때 하나님은 자신의 첫 선교사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심으로써 복음의 세계화에 시동을 걸으셨다. 복음의 세계화 과정은 예수가 자신의 제자들을 택하시고 훈련시키심으로써 시작되었다. 부활 후 예수는 그의 제자들에게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 삼으라”고 명령하시어 그 재자들이 각각 더 많은 제자들을 훈련시킴으로써 제자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은 그의 재림까지 계속되어야 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우리 각 사람은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 삼으라”는 그 분의 지상명령을 받았다. 경제·사회적 세계화의 가속화와 전에 기독교의 변방이었던 지역들이 새로운 중심지가 되도록 변화시킨 복음의 확산은 이들 새 중심지에서 유럽과 북미대륙의 과거의 중심지로 이주해온 이주민들이 그들의 선교적 열성으로 거기에서 꺼져가고 있는 열정에 다시 불을 붙이고 있다. 그러나 이주민들의 대다수가 그리스도인들이라 해도 다는 아니다. 이주민을 받아들인 나라의 교회는 비그리스도인 이주민들을 제자로 훈련시켜 본국에 선교사로 보내기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한다. 그것은 파송지역의 언어도 모르고 문화다 잘 이해하지 못하는 선교사를 보내는 것보다 더욱 현명한 전략일 것이다.

      • KCI등재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세계화 윤리

        김일방(Kim Il-bang)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8 No.-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둘러싸고 의견들이 분분하다. 세계화 지지론자들은 세계화가 환경문제의 가장 큰 적으로 간주되는 빈곤의 해소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 기술 또한 개도국으로 널리 확대·이전함으로써 환경문제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에 세계화 비판론자들은 세계화가 오히려 선·후진국 간의 빈부격차를 확대해 왔고, 초국가기업들의 세계 시장 지배를 위한 과잉 생산을 불러왔으며, 개도국으로 공해산업 기술을 이전하게 함으로써 환경파괴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양측의 의견 대립의 각이 너무 커 어느 쪽의 입장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 판단하기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이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대체로 비판론자들의 입장이 우세함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 우리의 현실이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을 거부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허락하지도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으로 필자는 세계화의 부정적 유산은 과감히 수정·개혁하면서 긍정적 유산은 더욱 신장시켜 나가는 것을 제안하였다. 환언하면 기존의 승자독식의 세계화를 청산하고 ‘생태적 세계화’의 길로 세계화의 흐름을 바꿔 나가자는 것이다. 이를 위한 과제로 필자는 세계화를 추동하고 있는 선진국가들의 윤리적 반성에 기초한 세계화 윤리의 형성을 주장하였고, 그 구체적 내용으로서 책임의 윤리와 공평성의 윤리를 제안하였다. We find a wide and diverse range of opinions on the influence which the globalization exercises on the environment. Globalization supporters maintain that the globalization can solve the poverty which is regarded as the greatest enemy of the environment problems, and can spread up-to-date and communing with nature environment technology of the advanced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On the other hand, globalization critics advocate that the globalization produces benefits on the advanced countries, bur increases poverty on the developing countries therefore the environment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s growing from bad to worse. Like this, because the angle of opinion oposition between the globalization supporters and the globalization critics is too wide,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which side’s position has the strong persuasive power or not. But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synthetically the various opinions on this problem, we can find that the position of the globalization critics has the strong persuasive power. For all that, we are placed in surroundings that can’t refuse or avoid the globalization. Under this like situation, I suggested the best alternative plan that make a revision, reformation the negative heritage of the globalization and make a extension the affirmative heritage of the globalization. In other words, it is that liquidate the globalization that a winner makes a monopoly of all benefits and adopt ‘the ecological globalization’, ‘the green globalization’. As the task for us to achieve this, I suggested we should take ‘globalization ethics’ or ‘global ethics’ that is based on the moral self-examination of the advanced countries.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globalization ethics include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and equity.

      • KCI등재

        개인이 인식하는 세계의 크기와 세계화

        김은희(Kim, Eun-H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7 No.-

        우리는 매일 세계를 경험한다. 그리고 세계화라는 단어는 이제 일상용어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이 익숙한 세계화 시대에 세계시민의 부재를 또한 어렵지 않게 경험할 수 있다. 우리가 상상하는 세계화는 그 자체로 윤리적인 세계화임에도 불구하고, 자본을 중심으로 재편이 완성되어가는 세계화는 그렇지 못할 때가 많다. 논문은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정의들을 살펴본 다음, 세계화 명명 이전에도 세계화가 존재했음을 이해하고, 오늘날의 세계화가 이주와 감염의 특성을 지닌 자연스러운 세계화가 아닌 인위적인 세계화임에 대한 자각과, 윤리적 세계화로의 회복을 위한 세계시민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과거 계몽주의 시기에 개인을 발견했던 것처럼, 우리 안의 세계시민을 발견하고, 그 방법으로 더욱더 풍부한 세계화 담론이 생산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We experience the world every day. And the term, globalization has now become everyday words. However, it is not much difficult for us to experience the absence of the citizen of the world as well. Even though the globalization we imagine is ethical itself, the globalization which is being reorganized revolving around the capital is often not. In this paper, I aim to explore a variety of views and definitions on the globalization, note its existence before its denomination, bring awareness in its characteristics which is not natural with the traits of diaspora and contagion but articial and finally examine the role of the citizen of the world towards the recovery of ethical globalization. I also aim to discover the citizen of the world within us as we did discover the individual in the Enlightenment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duce more abundant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in the same manner.

      • 세계화와 양극화 : 흐름과 전망

        김영화(KIM Young-Hwa)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6 비판사회정책 Vol.- No.22

        선진국 중심의 통합된 세계 경제체제에서 이루어지는 신자유주의적 세계 질서는 자유화, 규제철폐, 민영화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신자유주의는 국제 금융자본의 세계 칠서를 강화함으로써 개별 국민국가의 자율성을 약화시키고 자국의 사회복지적 개입, 민주주의 원칙의 적용을 어렵게 만들어 점차사회복지정책을 경제정책에 예속시키는 것으로 생각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여러 나라에서 관찰된 바에 의하면 세계화는 부정적이지도 긍정적이지도 않은 다양한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화는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실(social fact)이다. 세계화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그 경험과 성격이 다르며, 국가의 역할이 어떻게 설정되는가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진다. 세계화는 역으로 인간복지를 위한 하나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복지확대를 위한 하나의 가치로서 세계화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국민국가(nation-state)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하며, 양극화를 해소하고 사회적 균형유지를 위해서는 신자유주의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통합의 원리로서 국가의 적극적 재분배 기능이 전제되어야 한다. 경제적 세계화와 신자유주의는 그대로 방치하면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빈부격차와 양극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국가는 분배와 공평성의 원리를 더욱 철저하게 적용하는 사회적 세계화로서의 국가정책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The neo-liberal world order which is carried by the global economy of most developed countries, contains it's characteristics of the liberalization and privatization. It looks that the neo-liberalism strengthens the order of financial capital, so that the neo-liberalism makes the autonomy of a nation-state weak. make the application to the principle of democracy difficult and subordinates the social welfare policy to economic policy gradually. But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n the several cases of country, globalization has various aspects, neither negative nor positive, and found that it is definitely social fact as social phenomena.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have totally different characte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n different spacio-time conspiracies. On the contrary globalization could become rather a good chance for developing human welfare. To make globalization useful, all the more the role of nation-state should be consolidated, and the positive role of state-redistribution as a principle of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premised for solving social polarization and continuing social balance. Economic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have an intrinsic attribute to deepen the social polarization unless nation-state intervenes. Therefore for dissolving the gap of the rich and poor, the function of the nation-state has to be more stressed and have it's own welfare policies as social globalization which contains social distribution and justice.

      • KCI등재

        세계화시대에서 규제개혁의 법적 쟁점에 대한 소고

        鄭夏明(Jeong Ha Myou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9 No.-

        오늘날 우리는 세계화된 시대에 살고 있다. 세계화된 시대에서는 규제개혁은 어쩌면 필연적 현상으로 보아야할 것이다. 교통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각국의 정부에 의해서 세계화가 진전되어 왔고 그 속에서 기업자본주의(corporate capitalism)가 형성되었는데 오늘날에는 기업자본주의가 세계화를 주도하게 되었다. 기업자본주의(corporate capitalism)가 오늘날 각종 사회문제와 인간의 문제에 지배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기업자본주의(corporate capitalism)를 대표하는 다국적기업들(Multi-National Companies)이 현대 생활의 다양한 측면에 깊숙이 개입하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세계화는 기업자본주의(corporate capitalism)가 여러 가지 목표들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제 세계화(economic globalization), 사회적 가치의 세계화, 정치적 가치의 세계화, 법적 가치의 세계화(legal value globalization)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기업자본주의(corporate capitalism)는 자유, 경제발전, 독립 등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를 억제하고 세계화를 이윤추구의 기회로 악용하다는 부정적 견해도 있다. 세계화 시대에는 국가들 사이에서 외국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고 여러 국가들은 다국적 기업(Multi-national Companies)의 직접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 경제나 사업활동 부분에서 규제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저성장국가의 경제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국제금용기관은 신자유경제적, 정치적, 법적 체계들의 개혁을 통하여 수출자본에게 길을 열어주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우리나라는 1997년 금융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끊임없이 규제개혁의 요구를 받아왔다. 금융위기가 극복되고 소위 IMF 시대가 종식된 이후에도 우리나라는 끊임없이 거대 자본을 내세운 다국적기업들(Multi-National Companies)이나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은 국제기구들로부터 규제개혁의 압력을 받아 오고 있다. 세계화 시대에서는 이렇게 외국 기업들이나 국제기구들이 자본의 투자를 내세워 우리 정부에 대해 끊임없이 규제개혁을 주문하고 설득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나라의 규제개혁의 주요한 추진세력 중의 하나가 이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외국자본 등이 한 국가의 정부 등에게 규제개혁을 요구하였지만 실패하는 경우에는 소극적으로 자신들의 투자의 철수, 혹은 투자계획의 취소라는 정책을 취할 것이고 자신의 투자에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규제를 대상으로 하는 사법구제를 구하는 방법으로 자신들의 투자를 보호하는 방안들을 강구할 것이다. 좀 더 적극적으로는 해당국가를 상대로 이른바 투자자-국가소송(Investor-State Disputes)을 제기하여 자신들의 투자를 보호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게 될 것이다. 세계화 시대에는 규제개혁의 또 다른 추진세력으로 세계은행(World Bank), 다국적 기업(Multi-national Companies), 기업자본주의(corporate capitalism) 등 외생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수 없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자신의 이익에 방해되는 규제에 대한 개혁을 끊임없이 주장할 것이 예상되고 하지만 규제개혁의 진정한 목적은 규제의 질을 향상시켜서 국민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oday we live in a globalization era. In the globalization era, regulation reforms should be seen as inevitable. Advances in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ve led to advances in world governance, and corporate capitalism has led to global domination. Today corporate capitalism has become a predominant role in various social issues and human issues, and multinational enterprises representing corporate capitalism have become deeply involved in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life. If foreign capital has demanded reforms in host country, but fails to pursue its investment plans, it will take measures to protect its investment by discouraging its investment plans. The foreign capital sometimes tries to protect its investment by relying on an investigator-state disputes resolu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other initiatives of regulatory reform are alien variables such as the World Bank, multinational corporation, and corporate capitalism. They are expected to constantly assert reforms in regulations that hinder their interests in pursuing their own interests, but the true aim of regulatory reforms should be to improve the quality of regulations and improve Korean’s the health and public welfare.

      • KCI등재

        세계화의 신학, 신학의 세계화, 그리고 교회

        문시영 한국구약학회 2014 구약논단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balanced reflection on the issue of ‘globalization’ in a context in which negative views on it prevail. In fact, a majority of scholars blame globalization as a seriously troubled issue which harms the whole world. It is also true that globalization is the matrix of our tim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eeks to present a balanced reflection on globalization, based on the public theology of M. Stackhouse as follows: (1) Theology of globalization: It needs to be balanced between globalization as ‘another Fall’ and ‘providential grace’. According to Stackhouse, the most important question on this topic is not whether globalization is acceptable or not, but ‘How can Christianity contribute to establish the publicness of the globalization?’(2) The globalization of theology: Stackhouse urges that theology has to be concerned about the issues of human rights, fair trade, technology,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globalization of Christian ethics is urgently needed. Moreover, providing moral guides for the globalized world is a very important task of theology in our times. Of course, there are some critics of Stackhouse’s view. For example, some say that Stackhouse has a tendency to evaluate globalization positively. Others think although he finally arrived at a contextual theology, nevertheless he himself maintained the importance of a non-contextual view. In my opinion, Stackhouse has little concern about the ecclesiastical horizon. It is never to be ignored that the church is very important in the realization of moral tasks in the global era. 세계화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지배적인 가운데, 균형 잡힌 이해와 실천적 대안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세계화가 오늘날 문제들의 원죄 격에 해당한다면, 거부해야 마땅하겠지만 세계화가 삶의 매트릭스로 자리 잡은 정황에서, 반대와 거부가 능사는 아닐 듯싶다. 세계화에 대해 균형 잡힌 신학적 성찰을 위해, ‘세계화의 신학’을 통해 ‘신학의 세계화’를 추구한 공공신학자 스택하우스의 관점을 다루었다. ‘세계화의 신학’이란, 세계화에 대한 균형 잡힌 신학적 성찰 필요성을 말하는 것으로서, ‘글로벌’이 삶의 매트릭스가 된 정황에서 공공성 성찰이 긴요하다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세계화를 ‘또 다른 타락’으로 간주하는 관점과 ‘섭리적 은혜’로 해석하는 관점 사이에서, 스택하우스는 긍정과 부정의 관점들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통해 기독교가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성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학의 세계화란, 세계화에 대한 신학의 적극적 참여와 공공성의 확립을 제안하는 관점을 말한다. 세계화를 신학의 이슈로 상정하고 세계화의 명암을 평가하는 단계를 넘어서, 적극적으로 인권과 공정무역의 문제 등을 신학의 주제로 삼아야 한다는 뜻에서, ‘기독교윤리의 세계화’(Globalization of Christian ethics)라고 할 수 있겠다. 세계화에 대한 도덕적 가이드를 제시하는 일에 신학이 적극적이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스택하우스의 관점에 비판의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세계화의 명암을 균형 있게 평가하기를 제안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밝은 면을 부각시키는 데로 흘러가서 마치 자유주의 정치와 경제에 세례를 주는 듯 느껴진다는 반응도 있다. 비상황적(non-contextual) 신학으로서의 공공신학을 제안하면서도 또 다른 의미의 상황적 신학이 되어 버렸다는 비판도 있다. 필자의 관점으로는, 세계화에 대한 관심을 교회의 책무로 격상시키는 노력에 소홀했다는 사실에 한계가 있어 보인다. 세계화에 대한 성찰은 교회로 하여금 세계화시대의 윤리를 모색하는 일에 적극 동참하게 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 세계화, 젠더 그리고 지구적 전략

        안숙영(Sook-Young Ah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0 젠더와 문화 Vol.3 No.1

        세계화의 해석에서 이론적 헤게모니를 주장하는 신자유주의는 세계화 과정을 성, 계급 및 인종이라는 카테고리와 무관하게 전개되는 중립적인 과정으로 바라본다. 이러한 ‘젠더관계의 탈주제화’라는 상황에서, 세계화가 ‘젠더에 따라 특수하게 구조화된 과정’임을 드러내기 위한 페미니즘적 분석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먼저 경제의 세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생산경제 혹은 생산노동의 세계화 및 재생산경제 혹은 재생산노동의 세계화로 나누어 접근함으로써 세계화가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경제의 세계화가 복지국가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함으로써 생계노동은 남성의 일, 가사노동은 여성의 일이라는 ‘성 특수적 노동 분업’이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는 위기이자 기회로서의 양면성을 가진 세계화 속에서 민족국가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새로운 페미니즘의 전략을 간단히 스케치한다. Neoliberalism assumes a hegemonic position regarding the theoretical explanation of globalization. It describes globalization as a neutral process which has no relation to categories of gender, class and race. In this situation of ‘dethematization of gender relationship’, feminist analyses which emphasize that globalization is a ‘process specifically structured according to gender’ are lively develop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ly examines how globalization influences the lives of women, mainly focusing on the two major aspects of economic globalization, that is, globalization of productive economy or productive work, and of reproductive economy or reproductive work. Secondly, it examines effects of globalization on welfare state and analyses the related changes in a ‘gender-specific division of labour’. Lastly, it draws a brief sketch of new feminist strategies which attempt to get over the limits of a nation-state.

      • KCI등재후보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반성과 제언

        명법 ( Myeongbeop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6 No.1

        2002년 한일 월드컵 대회를 계기로 본격화된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은 1990년대 이래 한국 사회에서 발생한 세계화에 의해 추동된 대응 담론의 하나이다. 그것은 글로벌시대에 살아남기 위하여 한국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세계화 기획에 발맞추어 조계종단에서 불교포교를 위해 기획된 것이다. 그러나 한국불교의 세계화라는 방향 못지않게 세계불교의 한국화도 존재한다. 1990년대 이래 세계 여러 불교전통이 유입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남아시아 불교전통과 티벳 불교전통의 유입이 두드러진다. 한국불교와 남아시아,티벳불교 사이의 직접 교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발단은 서양에서 불었던 남방불교와 티벳불교의 열풍이므로 이 현상은 지역문화의 상호 교류라기보다 주류문화의 세계화로 해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들 지역불교의 세계 성은 서양에서 형성되고 세계화된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불교가 해외에 알려지게 된 계기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이지만 한국불교는 이민사회나 미국의 주류 사회에서 소수에 불과하다. 한인 이민사회에서 기독교가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한국불교는 주류사회에서의 불교 붐에 힘입어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재외한인에 대한 포교는 한국 인의 정체성 확립과 한국문화의 세계화, 그리고 한국 사회에 끼치는 이민자들의 종교적 사회적 영향력 때문에 소홀히 되어서는 안 된다. 서양의 주류사회에서 불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불교는 숭산 스님의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불교를 서양에 알리기 위해서는 1960년대의 한 사람의 카리스마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서양문화를 이해하고 그에 맞추어 한국불교를 변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태도를 지양하고 미국인 불교지도자들과 세계적인 문제들을 함께 해결하는 연대를 맺어 지속가능한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중에서 한국불전의 영역사업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 무엇보다 난해한 직역체에서 벗어나 서양인이 이해할 수 있는 번역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 한글로 쓴 법문을 영역하는 것도 대중화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번역 작업이 스즈키가 했던 것처럼 국가주의적 의도로 한국문화를 신비화시켜서는 안 된다. 그것은 한국불교를 왜곡할 뿐 아니라 또 다른 타자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이 간화선이며 그것이 우수한 방법이라고 하더라도 그 우수성을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불교의 세계화는 한국불교를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 한국불교가 처한 다종교, 다문화적 상황 속에서 새로운 불교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불교에 하나의 전범이될 수 있다. 전통과 현대, 지역문화와 주류문화가 만나고 충돌하고 혼융되는 세계화의 보편적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이 문제의 해결을 통해 한국불교는 세계불교를 위한 롤 모델이 될 수 있다. 그 밖에 서양 대학생을 초청하여 한국불교를 체험하게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비구니승가의 복원이나 환경문제 등의 사안에 대하여 서양불교인들과 연대하는 방법, 간화선 외에 염불, 사경, 예참 등을 소개하는 것이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불교를 세계화하려면 무엇 보다 한국불교 내부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전통과 현대를 조화시키고 다종교·다문화 속에서 불교적 가치를 확립하며, 시대와 소통하는 새로운 승가상 확립이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해 요청되는 선결과제이다. 2002 FIFA World Cup Game initiated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s a counter-discourse of globalization which widely influenced South Korea since 1990s. It is a project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which aims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to other foreign countries, in an accordance with the Korean government who wants to globalize Korean culture in order to survive at the era of globalization. There is, by the way, another trends which introduced various other Buddhist traditions into Korea. Buddhisms in South Asia and Tibetan Buddhism are now most popular in Korea. They could not have been introduced into Korea without the boom of Vipasyana meditation and that of Tibetan Buddhism in western countrie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direct relations between Korean Buddhism and those Buddhist traditions. Therefore,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 effect of the globalization of western mainstream culture rather than a kind of interchange between regional cultures, because the spread of those regional Buddhisms is indebted to the activities of Buddhists in the U.S. and Europe. Although ``the Korean Diaspora`` has Korean Buddhism gotten known to foreign countries, it is still a minor religion among American Buddhist groups as well as among Korean American. The most Korean American is Christian so far, but the boom of Buddhism in mainstream society in the U.S. opened new entry opportunity to Korean Buddhism. It is very critical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among Korean immigrant community in order to build up their identity as a Korean and it will be an effective way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Even though the interest in Buddhism in western mainstream society is getting higher, Korean Buddhism is not that known except Master Sung-san`s great success. Only one hero, at present, can`t lead Korean Buddhism in foreign countries like 1960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estern culture and modify Korean Buddhism to harmonize with western culture. To take this goal, stopping depending on personal charisma, Korean Buddhism have to establish sustainable relation with western Buddhist leaders. Among the measures to ``globalize Korean Buddhism``, the translation of Korean Buddhist writings into English is the most important. Breaking from the word-for-word translation, it should make sense to westerners as well as Korean. It is also necessary to interpret Korean Dharma talks into English to popularize. It, nevertheless, should not mystify the Korean Culture with nationalistic intention like what D. T. Suzuki did in his translation; because which will not only distort Korean Buddhism but also make other another ``Other``. Even though Korean Buddhist leaders believe ``Ganhwa-seon``, a typical Korean Buddhist meditation, is superior to other buddhist practices, they have to demonstrate its superiority.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an be achieved-not by one-sided allegation-on the way of creating new Buddhism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etting of Korean society. Because conflic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culture, and regional and mainstream culture are common problems in the course of globalization, Korean Buddhism can give a role model for World Buddhism in solving those problems. Many other methods can be presented to globalize Korean Buddhism like; developing temple-stay programs for foreign college students to experience Korean Buddhism, joining with western Buddhist groups in some issues, like rebuilding Bikkhuni Sangha in South Asia and Tibet,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so on, and introducing Korean traditional Buddhist chanting, calligraphy, some ceremony for repentance. But, most of all, the problems in Korean Buddhism should be resolved, because it is prerequisit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to modify traditional Buddhism into modern society, to establish buddhist value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modern society, and to make new model for monastic to communicate with current stream in Korea and in the world.

      • KCI등재

        세계화 시대 한국 민속학의 현실적 과제와 자각적 전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0

        학문이 생명력을 지니려면 역사의식과 함께 현실인식을 갖추고 상아탑의 학문에서 시계탑, 감시탑, 조명탑의 학문으로 나아가야 한다. 외국학문 인용주의를 극복하고 자문화를 독창적으로 읽는 통찰력을 발휘함으로써 학문주권을 확립할 수 있어야, 세계화시대이자 문화의 세기에 부응하는 민속학을 개척할 수 있다. 세계화는 서구화가 아니라 세계 각국이 유기적 관계를 이루는 것이라는 현실인식 아래, 세계사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포착하고 문화의 세기를 포착해야 미래의 전망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민속학이 가능하다. 통시적으로 보면 세계사는 두 갈래의 흐름 속에 있다. 영역 중심으로 지방화시대에서 국가화 시대, 세계화시대로 나아왔으며, 국제관계 중심으로 무력전쟁의 시대에서 무역경쟁의 시대, 문화교류의 시대로 나아왔다. 따라서 21세기를 세계화시대 또는 문화의 세기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문화가 세계화되려면 자문화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처럼, 학문이 세계화되려면 학국학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학문적 독창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것은 곧 문화주권과 학문주권을 확보하는 일이다. 문화주권은 자문화로서 정체성이 뚜렷한 민속문화가 확보해 주는 것이며, 학문주권은 자기사회의 민속현상을 귀납적으로 해석하고 일반화 가능한 민속학 논리를 개척할 때 확보되는 것이다. 민속학은 현장학과 전통학, 민중학의 특징을 살려 문화주권론을 펼침으로서 스스로 학문주권을 확립해야 세계화된다. 현장학으로서 민속학은 현재 세계화 수준의 한류문화를 자문화의 논리로 해명하고, 미래의 문화적 전망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전망은 비판적 현실인식에 서 출발한다. 현실은 생태위기 속에 놓여 있다. 이 위기는 세계화나 문화로 극복할 수 없으므로 생태주의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20세기의 경제주의와 21세기의 문화주의에서 22세기의 생태주의 체제를 표방하는 것이 민속학의 전망이다. 민속문화는 자연친화적인 생태문화로서 지속 가능한 미래의 대안문화로 제기되고 있으며, 문화되돌이 현상이 그러한 문화적 가치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민속학은 현실 체제의 모순을 극복하고 대안문화를 제시하는 미래학문으로서 입지를 전망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 민속학의 세계화는 한국학으로서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서 출발한다. 해외학계와 횡적 교류가 아니라 한국 민속학으로서 독창성을 발휘하여 학문주권을 누리게 되면 세계화는 자연스레 이루어진다. 민속연구를 통해 문화주권 이론을 확대시킨 것이 학문주권론이다. 민속학이 문화주권을 의식하고 학문주권을 자각하며 한국학으로서 독자성을 추구할 때 한국 민속학은 세계화 수준을 밝게 전망할 수 있다. In order for a field of study to be revitalized, the applicabl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be equipped with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along with historical sense, and evolve the vision of the study from an image of ivory tower to that of monitor or enlightenment. Also th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establish the academic sovereignty by overcoming the extravagantly widespread practices of quoting overseas academic circles and demonstrating the insight to read the native culture uniquely in order to develop the folk study of this nation Korea that complies with the global era and culture century. To that end, th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capture the flow of the world history and culture and ultimately propose the future prospect precisely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that globalization is not westernization but the formation of organic relations among each country of the world. In diachronical perspective, the world history has progressed in two directions. In area perspective, it has evolved from localizing era to nationalizing era and globalizing era, an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moved from an era of military war to an era of trading competition and an era of cultural exchange. Therefore, the 21st century is establishing itself as an era of globalization and cultural promotion. Just as globalization of cultural promotion requires acquisition of the nation’s own identity,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lk study requires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 nation, and demonstration of the academic uniqueness with high quality, ultimately acquiring the cultural sovereignty and academic sovereignty. Cultural sovereignty is when folk culture is established with clear identity as the nation’s native culture, and academic sovereignty is when the academic circle excavates the logic of the folk study that can interpret and generalize the society’s own folk phenomena. The folk study can be globalized only when cultural sovereignty and thus academic sovereignty are exercis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study, tradition study and populace study enhanced. The folk study as field study should be able to clarify the ‘Hanryu’ Korean wave culture of globalized level and also the cultural prospect of the future with the logic of the nation’s own culture. Such prospect begins from the critical recognition of the reality. Since the reality lies in ecological risks, and such risks put obstacle to globalization or cultural promotion, the folk study should pursue ecology. Therefore, the folk study is anticipated to pursue ecology in the 21st century when it pursued economy and culturalism in the 20th century. Folk culture is proposed as an eco-friendly sustainable form of future alternative culture, and cultural reversion phenomenon is proving such cultural value. Therefore, the Korean folk study is desired to cope with the contraditions of reality system and pursue future oriented study.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lk study begins from acquiring the qualitative standard as the study of Korea. Once this field of study accomplishes to relish the academic sovereignty by demonstrating the uniqueness as the study of Korea rather than through horizontal exchanges with overseas academic circles, then globalization will come naturally. The academic sovereignty of the Korean folk study is to extend the theories of cultural sovereignty through the folk study. The Korean folk study will be able to prospect brighter future for globalization when the academic circle gains consciousness of cultural sovereignty and academic sovereignty and pursue the uniqueness as the study of Korea.

      • KCI등재

        세계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지자체의 대형할인점 진입관련 교통영향 평가제도의 운영을 중심으로

        모창환 한국행정학회 2005 韓國行政學報 Vol.39 No.4

        This study established a hypothesis that globalization weakened the power of nation states and strengthened that of local governments. It analyzed a local government's operation of the traffic-impact evaluation system for the entry of wholesale stores in the local areas.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local governments prevented multinational wholesale stores from entering into local markets by imposing indirect regulations when they operated the traffic-impact evaluation system. Against the entry of wholesale stores, local governments implemented several strategies such as the imposition of direct and indirect regulations and a coalition between local and central politicians so that they could protect local retail and wholesale stores. In contrast, the central government had been reduced the discretionary power of local governments in light of the operation of the traffic-impact evaluation system. The analysi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lobalization, local governments implemented various strategies to block multinational wholesale stores from entering local markets so that they could improve local autonomy. Since the argument cannot be generalized when it reviews previous studies on the impacts of globalization on local governments, it argues for the contingency theory of globalization: The impacts on globalization on the power of local governments depend on the situation and condition that the local governments are facing. 본 연구는 중앙집권체제에서 “세계화가 국가의 권한을 약화시키고 지방정부의 권한을 강화시킨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네 개의 세계화모형을 제시한 후 다국적 대형할인점 진입에 따른 지자체의 대응을 교통영향평가제도의 운영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지자체가 교통영향평가제도 운영에 있어 간접규제를 강화하여 세계화의 흐름을 어느 정도 억제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지자체가 세계화의 흐름에 무조건 종속된다는 세계화론자의 지적은 타당하지 않다. 지방자치권은 약화되는 것이 아니고 세계화의 압력에 대응하여 다양한 전략을 폄으로써 그 형태가 변하고 있다. 지자체의 대응전략은 지자체의 직간접적 규제강화 및 지방정치인의 중앙정치인과의 연대 등 다양한 전략이 모색되고 있다. 이에 반해 중앙정부는 교통영향평가제도의 폐지나 축소를 추구하여 세계화의 흐름에 동조하였다. 중앙정부는 세계화의 확장에 따라 세계화의 압력에 순응하고 지자체는 세계화의 압력에 맞서 자치권의 확대를 모색하는 대응적 세계화를 추구하였다. 따라서 세계화는 국가의 권한은 약화시키나 지방정부의 권한을 강화시킨다는 가설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가설의 일반화를 위해 세계화가 지방자치권에 미치는 영향은 각 국가가 처한 상황과 각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상황적 세계화론'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