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전소설의 1인칭 서술상황에 대한 재고 -김연수 「뉴욕제과점」과 권여선 「K가의 사람들」을 중심으로-

        김민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3 교양교육과 시민 Vol.7 No.-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ider the first-person narrative situation of autobiographical novels that have different effects from the existing point of view theory. The first-person narrative situ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person protagonist narrative and the first-person observer narrative. In the existing point of view theory, the first-person protagonist narrative is clos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reader in that the reader can closely grasp the narrator’s inner self and the first-person observer narrative is far from the narrator in that the main character can vary depending on the observer’s description. However, autobiographical novels have a different effect from ‘general novel’. because they are created based on the writer’s experience and are meaningful in revealing the subject. In the case of the first-person protagonist narrative, the possibility of concealment due to the self-defense mechanism is implied in that it reveals its experience through the narrator, the alter ego of the author. In the case of the first-person observer narrative, the narrator return to the subject through others in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Therefore, the narrative situation of the first-person protagonist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 is more distant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reader than that of ‘general novel’, and the narrative situation of the first-person observer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 is clos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reader than that of ‘general novel’. 이 글은 기존의 시점론과 상이한 효과를 거두는 자전소설의 1인칭 서술상황을 재고하고자 한다. 1인칭 서술상황은 1인칭 주인공 서술상황과 1인칭 관찰자 서술상황으로나눌 수 있다. 기존의 시점론에서 1인칭 주인공 서술상황은 작중독자가 서술자의 내면을 면밀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술자와 독자의 거리감이 가깝고, 1인칭 관찰자서술상황은 주인공이 관찰자의 서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서술자와 독자의거리감이 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전소설은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되며 주체를 드러내는 데에 의미가 있기 때문에 ‘자전소설이 아닌 소설’과는 다른 효과를 거둔다. 1인칭 주인공 서술상황의 경우는 작중작가의 분신인 서술자를 통해 자신의 경험을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자기방어기제⋅자기보호기제로 인한 ‘은폐’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1인칭 관찰자 서술상황의 경우 서술자는 경험주체의 경험 속 타인을 경유하여주체로 회귀한다. 때문에 자전소설의 1인칭 주인공 서술상황은 ‘자전소설이 아닌 소설’ 에 비하여 서술자와 독자의 거리감이 멀어지고, 자전소설의 1인칭 관찰자 서술상황은‘자전소설이 아닌 소설’에 비하여 서술자와 독자의 거리감이 가까워진다

      • 박완서와 장졔 소설의 서술 상황 비교 연구

        방문정(Pang, Wenting),홍혜원(Hong, Hye-weon)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7 충청문화연구 Vol.19 No.-

        본 논문은 한국을 대표하는 여성 작가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인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와 중국을 대표하는 여성 작가 장졔의 무자를 대상으로 서술 상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작가의 작품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정신적 억압과 상처를 치유해나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그 구체적 구현 방법에 있어 시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박완서의 소설은 1인칭 서술 상황을 설정하여, 작가가 전쟁과 어머니로부터 받은 상처를 극복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경험자아와 서술자아 간의 거리에 의한 비판과 평가의 시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사건에 대한 ‘나’의 내면을 적절히 보여주고 있다. 평생 작가를 억눌렀던 전쟁의 고통과 타자의 욕망에서 해방되는 과정은 결국 자신의 욕망을 직시하고 자유롭게 살아가는 진정한 주체로 거듭나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1인칭 서술 상황을 기반으로 수행된 내면 묘사와 독백의 서사는 증언과 해방의 차원에서 상당히 유효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장졔의 경우는 사랑의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을 작가적 서술 상황과 인물적 서술 상황의 혼재라는 방식으로 형상화해 냈다. 이때 사랑의 상처는 남성과의 연애와 결혼이 모두 실패하면서 겪게 된 상처이기도 하지만, 또 어머니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의 상처이기도 하다. 더불어 장졔는 .무자.에서 여러 서술 상황을 경우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인물의 행동과 내면을 절실히 드러낼 수 있었다. 이는 장졔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전기(前期) 소설에 비해 확장되었음을 보여주며 포용력 있는 태도를 지니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작가의 작품 모두 여성의 삶을 형상화하는 데 가장 적절한 서술 상황을 선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compares the narrative situation of Korean female writer Park Wan - seo"s novel "Who Ate the Sorrels Having Been So Many?", "Was There The Mountain Really" and Chinese women writer Zhang-Jie"s novel "No words". I can confirm the common process of healing mental oppression and wound in two writers" works. However, the two works were a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point of view in the concrete description method. Park Wan-seo"s novel set up a first-person narrative situation, showing the artist" s process of overcoming wounds from wars and mothers. In particular, the distance between the experiential self and the narrative self actively utilizes the criticism and the viewpoint of evaluation. Thus, it shows appropriately the inside of "I" of various events. The process of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 of the war and the desire of the other, which has suppressed the artist for a lifetime, eventually transforms his desire into a true subject who can face his desires and live freely. In this sense, the narrative of inner depiction and monologue performed on the basis of first person narrative situation is quite effective in terms of testimony and liberation. In the case of Zhang-Jie, the process of healing the wounds of love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mixture of the artist "s narrative situation and the character narrative situation. At this time, the wound of love is a wound that suffered when both love and marriage with a man failed. It is also the wound of loss caused by mother"s death. In addition, Zhang-Jie was able to appropriately reveal the behavior and inner aspects of various characters by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narrative situations in the case of "No words". This shows that the viewpoint of Zhang-Jie is extended to the object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novel. And to have a tolerant attitude. Despite these differences, we can confirm that both writers" works have chosen the most appropriate narrative situation to shape the life of women.

      • KCI등재

        김탁환 『나, 황진이』의 서사담론 연구

        김종호 ( Jong-ho K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0

        이 글은 김탁환 『나, 황진이』의 서사담론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술 방식의 특징적인 흐름을 검토하고, 그 특징적인 서술의 흐름에서 만들어지는 양상을 서술적 자아와 경험적 자아의 존재 방식을 통해 서사 전개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나, 황진이』는 일인칭 시점의 고백적 서술방식을 바탕으로, 지천명의 나이에 위치한 화자 ‘나’가 과거에 경험한 사건을 반추하면서 현재의 ‘나’를 성찰하여 새로운 삶의 이정표를 제시하는 서사구조를 보여준다. 『나, 황진이』가 여타의 황진이류 소설들과 다른 점은 고백적 서술방식을 액자소설의 틀로 활용하여 문답식으로 서술하는 한편 그 스토리를 순환적 구조로 제시하는 데 있다. 『나, 황진이』의 서술상황은 서사의 서두는 서술적 자아가 중심이 되어 서술되고, 서사의 서두를 뒷받침하는 문장은 경험적 자아가 중심이 돼 서술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서술상황의 특징을 해명하기 위해, 서술적 자아의 우위와 자기성찰, 경험적 자아의 우위와 자기 정체성의 탐색, 서술적 자아와 경험적 자아의 혼재 양상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서술적 자아의 우위와 자기성찰’은 현재 시점에서 서술하고 있는 화자의 위치가 중심이 되면서 과거의 사건을 회상하는 방식으로, 과거에 경험한 사건들이 현재의 화자 ‘나’의 불안정한 상태를 반추하는 방식을 통해 새로운 ‘나’의 자기성찰을 발견하는 데 있다. ‘경험적 자아의 우위와 자기 정체성의 탐색’은 화자가 과거의 어떤 사건과 행동 속에 있었던 자아에 초점을 맞춰 고백을 하는 서술상황이다. 화자는 과거 사건 속의 주인공들의 존재를 드러내면서 과거 주인공의 의식세계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 이유로 화자의 목소리는 과거주인공의 의식이 기준이 돼 서술되면서 자기 정체성을 모색하게 된다. ‘서술적 자아와 경험적 자아의 혼재’는 일인칭 소설에서 화자이자 고백자의 초점이 서술적 자아와 경험적 자아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서술상황으로, 문답식의 서술방식을 통해 화자가 고백을 하면서 자기 변화를 끊임없이 모색하고, 현재의 불안정한 내면 갈등을 해결하여 새로운 자아로 거듭나고자 하는 갈등 양상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some aspects of the narrative discourse of Kim, Tak-hwan``s I, Hwang Jin-yi, for which its specific narrative methods have been analysed and examined through differentiating the narrating self and the experiencing self made from each method. I, Hwang Jin-yi is composed of a narrative structure to present a new way of life through the rumination and the reflection of the narrator, I, who is fifty years old, based on the confessional narration of the first person``s viewpoint. What differentiate I, Hwang Jin-yi from similar novels dealing with Hwang Jin-yi is that it uses the confessional narration as its main flame and presents a circular structure with the narration of question and answer. The main aspect of narrative method of I, Hwang Jin-yi is that the beginning of the narrative is narrated mainly by the narrating self and the sentences supporting its beginning by the experiencing self. To investigate some aspects of the narrative discourse, the superiority of the narrating self and the self-reflection have been differentiated and examined from the superiority of the experiencing self and the searching for self-identity.

      • KCI등재

        소설에서 초점화의 이해와 교육 ― 「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 「타인의 방」, 「유예」를 중심으로 ―

        김경애 ( Kim Kyung-a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4

        이 글에서는 소설 교육에서 초점화 개념이 효용성 있게 쓰이지 못한 까닭을 초점화를 시점을 대치하는 개념으로 여겨 그 자체를 서술 전반을 설명하는 용어로 오도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슈탄젤의 내부시점 영역을 중심으로 초점화 개념을 재고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점화에 대한 연구와 교육은 서술자와 초점자의 거리 관계를 염두에 두고 그 전형적 양상을 밝히는 데서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연구 대상의 재고가 시급하다고 보고, 초점화의 양상이 가장 전형적으로 드러나는 작품군을 대상으로 초점화의 양상을 펼쳐 보이는 논의를 수행하였다. 인격화된 서술자가 여러 초점자를 통하여 의미를 적산(積産)하는 양상을 보이는 「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 서술자가 삼인칭의 반영자-인물 뒤로 물러나 인물의 의식을 전경화하여 주제를 전달하는 전형적인 인물적 서술 상황인 「타인의 방」, 일인칭과 삼인칭이 교차하는 서술 상황을 지닌 「유예」를 대상으로 삼았는데, 「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과 「타인의 방」의 경우 초점화가 의미 생산과 형상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중심으로, 「유예」의 경우 초점의 변화가 서술 자체에 어떤 문제를 초래하였는지를 중심으로 이 문제를 구명하였다. 소설의 서술적 상황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유동적인 측면이 있으므로, 단선적이거나 획일화된 관점으로 접근하면 해석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술자의 다양한 위치가 검토된 연후 살펴야 하는데, 이렇게 접근해야 ‘의도를 헤아리며 읽기’ 뿐 아니라, ‘징후적 읽기’와 ‘적용하며 읽기’까지 나아갈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초점자를 활용한 서술 상황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서술의 다양한 양상을 살피기 위해서는 제시한 서술 상황을 제외한 나머지 상황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고 본다. 이는 이후 과제로 미루어둔다. In this paper, regarded the reason why the concept of focalization on fiction education is not being used effectively is the result of failing to properly focus on the various aspects of distance between 'focalizer' and 'narrator' and studied the focus patterns revealed paying attention to the various aspects of the narrator and the focalizer.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works as follows.;「The Special and Great Lover」 showing the accumulation of meaning through multiple focusers, 「The Room of Other People」 having a typical character-statement situation in which a narrator steps back behind a figure and conveys the subject, and 「The Delay」 having a clossed descriptive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person narration. This demonstrated that the concept could be more accurate and properly presented only when the various positions of the narrator were reviewed later. Since the narrative situation of a novel is constantly changing and has a fluid aspect, approaching from an open or uniform perspective can cause various problems in interpretation. As it turns out in the main theory, the focusing patterns must be examined after the various positions of the narrator are reviewed before the concepts can be explained more appropriately. In addition, this approach not only allows one to read the book with a sense of intent, but it also allows one to proceed with ‘symptomatic reading’ and ‘adaptive reading’.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scriptive situations using focalization, but I believe that studying the rest of the situations, except for the descriptive situations presented,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현대시에 나타난 서술성의 양상

        지주현 ( Ju Hyun J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현대시의 서술성에 대하여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연구의 전제로서 모든 현대시가 정도의 차이는 보일지언정 공통적으로 서술적인 요소를 담보한다는 선행 연구의 견해를 수용하였다. 현대시의 보편적 속성으로서의 서술적인 성격을 ``서술성`` 이라 칭할 때, 필자는 이를 이야기 측면의 강화를 지시하는 의미와 나레이션 측면의 강조를 지시하는 관점으로 나누어 조명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준거로 삼아 특히 서술성이 잘 구현된 현대시의 유형을 ①이야기가 전경화되고 나레이션이 후경화 되었으면서 화자가 객관적 태도를 지닌 경우, ②이야기가 전경화되고 나레이션이 후경화되었으면서 화자가 주관적 태도를 지닌 경우, ③나레이션이 전경화되고 이야기가 후경화되었으면서 화자가 세계에 대한 동일시의 태도를 보이는 경우, ④나레이션이 전경화되고 이야기가 후경화되었으면서 화자가 세계에 대하여 비판적 태도를 보이는 경우 등의 4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처럼 현대시 중 특히 대표성을 띠고 서술성을 구현한 것으로 판단되는 4가지의 범주를 설정하고 각 유형의 양상과 미감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점을 확인하였다. (1)이야기가 전경화되고 나레이션이 후경화되었으면서 화자가 객관적 태도를 지닌 서술시는 사건의 밀도있는 진행을 통해 구체적인 현실 세계를 표상한다. 이때 시임에도 불구하고 화자의 서술자적 역할이 부각되었으며, 이미지의 경우 감각적 쓰임이 주를 이루고 환유 중심의 비유가 우세하게 드러났다. (2)이야기가 전경화되고 나레이션이 후경화되었으면서 화자의 태도가 주관적인 서술시는 설화적 시공간을 형상화한다. 이때 갈등의 성격은 약화되거나 희화화 되었으며 개연성의 확보를 위한 장치로서 특별히 신빙성을 더해줄 수 있는 화자가 선택되었다. (3)나레이션이 전경화되고 이야기가 후경화되었으면서 화자가 세계에 대한 동일시의 태도를 보이는 서술시는 시편 전체 의미의 조화와 통일성을 표방하면서 자연스레 이완된 상황을 드러냈다. 이때 시적 탄력의 보강을 위하여 관형어와 부사어의 중첩 및 이미지의 극대화가 이루어졌으며, 시의 특정 부분에서는 의도적인 정서의 토로가 부각됨으로써 서정성이 보충되었다. (4)나레이션이 전경화되고 이야기가 후경화되었으면서 화자가 세계에 대하여 비판적 태도를 견지한 유형의 서술시는 부분들 간 의미의 해체를 표방하면서 파편적으로 이완된 상황을 나타냈다. 이때 시는 포스트모더니즘적인 개성이나 자유연상 및 환상의 경향과도 쉽게 결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narrative property which is appeared in modern poetry. Before getting into work, the study has accepted the opinion of the precedent study which every modern poem has included any narrative element in the contents. On the assumption that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modern poetry is referred to as ``the narrative property`` as a general commonness, the researcher thought that it would be effective if the property is discussed through two aspects which, first, emphasizes a story itself and second, a narration, Based on such idea, the researcher divided modern poetry with the good narrative property into four categorizations which are ① the one with a narrator taking an objective attitude in a work with the story as a foreground and the narration as a background, ② the one with th narrator taking a subjective attitude in a work with the same structure as in ①, ③ the one with the narrator taking the same constant attitude towards the world in a work with the narration as the foreground and the story as the background, and lastly, ④ the one with the narrator who has a critical idea for the world in a work with the narration as the foreground and the story as the background. In other words, this study has begun with a thesis considering that the narrative property is a definition which is capable of including the whole modern poetry at a time. The study, afterwards, established four poetic categories which are determined to have particularly well realized the narrative property in modern poetry. The followings are what the study has confirmed through the investigations into the narrative property of each category and its effect. (1) The narrative poetry with the objective narrator based on the story as the foreground and the narration as the background turned out to present the real world through a dense development of an incident. Here, the role of the narrator which the speaker is told to play was emphasized while for the image, there basically used sensual expressions. In addition, the metaphor based on metonym appeared to be frequently applied. (2) For the narrative poetry with the story as the foreground and the narration as the background as well as the narrator who shows the subjective attitude, it was verified that the narrative space-time is embodied. In this kind of poetry, the conflicts get weakened or caricaturized while a narrator who would add authenticity is selected to secure probability. (3) The narrative poetry with the narrator with the same constant attitude in a structure with the narration as the foreground and the story as the background was proved to naturally come up with a relaxed situation as it adopts harmony and unity of meanings. Reiteration of modifiers and adverbs as well as the image maximization were conducted in order to reinforce the poetic elasticity. And, for a certain part of a poem, as an intentional effusion of emotions is etched, the narrative property is eventually supplemented. (4) The narrative poetry with the structure of the narration as the foreground and the story as the background as well as the narrator who has a critical idea for the world was shown to describe a partially relaxed situation as it adopts the dissolution of meanings. Here, the poetry reveals an characteristic of post-modernism while it easily combines with free association, fantasy and abstraction.

      • KCI등재

        二二八小說과 四三小說의 敍述 比較≪彩血祭≫와 ≪땅울림≫을 중심으로

        조홍선 ( Hong Sun Cho ) 한국중문학회 2005 中國文學硏究 Vol.31 No.-

        ≪彩妝血祭≫在作家敍述的同時, 一直出現人物敍述情况. 但間或冒出的()敍述也同樣可以認爲是另一個敍述者的存在. 一邊通過自由間接文體主敍述者隱藏在人物的後面, 與人物形成一體, 同時又將讀者的注意力吸引到人物的一側, 另一邊()敘述者十分鮮明地突出自己是敘述者的同時, 向讀者展示自己與人物、時間是分開的. ≪沸騰的大地≫以第一人稱敍述的同時, 又不斷地指向作家的敍述情况. 敍述者‘我’很不容易看到, 與其說是玄容直的口述經過‘我’整理的, 還不如說是存在於與作品人物不同世界的作家敘述者的更加貼切. 但是通過表現敍述者存在的尾註, 更加突出了第一人稱敍述者的存在. 何况尾註所表現的內容不僅是客觀的史實, 而且還充滿了敍述者的個人感情. 這也是證明兩部作品存在的中某些因素妨碍著作家敘述意圖的一種證據.

      • KCI등재

        김일엽 초기 소설의 서술 방식 연구-『신여자』에 수록된 네 편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경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This article discusses Kim Il-yeop’s early four novels included in 『New Woman』 : 「Revelation」, 「One Girl’s Death」, 「I Go」 and 「The Life of a Young Widow」 which, it argues has been created in the tension of the author’s desire of creating literary narrative and her desire of ideological enlightenment. In order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wo extremes, the author experimented with a number of narrative techniques. At the beginning of the writing, she seemed to have established her identity as a social reformer rather than a literary writer. This is why her first novel 「Revelation」 focused on the plot or theme and neglected aesthetic elements. In 「One Girl’s Death」 she experimented with the technique of “showing” with a literary consideration, but she still failed to control ideological motivation and confused narrative and viewpoint operation. Subsequently, she then adopted a first-person narrative format to adjust the will of her social transformation to the extent that it would not undermine the aesthetic hierarchy. First-person novels are classified into ‘peripheral first-person novels’ and ‘similar autobiographical first-person novels’. The difference comes from th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between narrative-subject ‘I’ and other persons as experience-subject. 「I Go」 and 「The Life of a Young Widow」 while they are both written in the first person narrative, but they produced different narrative effects with different arrangements of narrator and character. The reason that 」「I Go」 adopted the former typ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author’s trust – the author was unable to give the role of narration to the experience-subject. The social discourse in which the value of the new and the old collide and the enlightenment becomes the good, established a hierarchy between the enlightened narrative-subject and the traditional experience-subject and embraced the initiative of the narrative-subject. As a result, the narrator exceeded her narrative range limit, and the experience-subject was silenced and ostracized. It is an example in which the excessive emphasis on the narrative-subject weakened the personality of persons. Complementing the above weakness, 「the Life of a Young Widow」 was written in ‘similar autobiographical first person’ point-of-view, and the person suitable for this type was selected to lead the story. In order for a experience-subject to be a narrative-subject, or to narrate the experience of the first person ‘I’, ‘I’ need to have not only the experienced oppression of the old regime, but also the cognitive ability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oppression and contradiction at the same time. The narrator who was experienced as the ‘young widow’ of this novel becomes a narrator who was awakened by the a glance experience with a man, and was able to narrate her life. This means that she was a person of judgment and cognitive ability who was able to view her experience from objective distance and also in social context with its implications. As a subject who learns, and who narrates, this woman symbolizes the ideal that the artist intended to portray through 『New Woman』. After repeated experiments, Kim Il - yeop found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enlightenment will and novel aesthetic will. By decreasing the intervention of the narrator in particular, it became possible to get closer to the figure that she was trying to portray in the 『New Woman』. 본고는 『신여자』에 수록된 김일엽의 초기소설 「계시」 「어느 소녀의 사」 「나는 가오」 「청상의 생활 」이 작가의 문학적 서술욕망과 이념적 계몽욕망의 긴장 속에서 창작되었다고 본다. 작가는 두 극단 사이의 균형 지점을 찾기 위해 매번 다양한 서술기법을 실험하였다. 집필 초기에 작가는 자신의 정체를 문학가보다 사회 개혁가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첫 소설 「계시」가 줄거리나 주제에 주력하고 미학적 요소에 소홀했던 것은 이런 까닭이다 . 「어느 소녀의 사」에서 문학적 고려로 ‘보여주기’ 기법을 실험하지만 작가는 여전히 이념적 의욕을 제어하지 못해 서술과 시점의 운용에서 혼란을 보인다. 이후 당시 우리 문단을 풍미한 일인칭 서술 형식을 채택하여 미학적 층위를 크게 훼손하지 않는 범위로 자신의 사회 개조의 의지를 조정해 간다. 일인칭 소설은 ‘주변적 일인칭 소설’과 ‘유사 자전적 일인칭 소설’로 구분되며 그 차이는 서술주체 ‘나’와 경험주체 간의 배치와 구도에서 비롯된다. 「나는 가오」와 「청상의 생활 」은 동일한 일인칭 소설이지만 서술자와 인물의 배치를 달리하며 다른 서술효과를 낳는다. 「나는 가오」가 ‘주변적 일인칭 소설’의 유형을 채택한 것은 경험자아에게 서술을 맡길 수 없었던, 작가의 인물에 대한 신뢰의 문제와 직결된다. 신·구의 가치가 대립하고 계몽이 선이 되는 사회 담론은 개화된 서술자아와 전통적 경험자아 사이에 위계를 설정하고 서술자아의 주도성을 용인했다. 결과적으로 서술자아가 자신의 서술범위 한계를 초과하고, 경험자아는 침묵 속에 타자화되었다. 서술자아의 과도한 위상 강화가 인물의 주체성을 약화시킨 것이다. 위 약점을 보완해 「청상의 생활 」은 ‘유사 자전적 일인칭’ 형태로 구성되었고 이 형식에 적합한 여성인물이 선별되었다. 주체로서의 경험자아가 동시에 서술자아가 되려면, 즉 일인칭 ‘나’가 자신의 경험을 스스로 서사화하려면, ‘나’는 구시대 억압의 경험을 보유하면서 그 억압과 모순을 이해하고 서술할 수 있는 인식적 능력을 겸비해야한다. 이 소설에서 ‘청상’으로서의 경험자아는 한 남성과의 일별의 경험으로 자각된 서술자아가 되어 자기 삶을 서사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그녀가 자기 경험을 객관적 거리에서 바라볼 수 있으며 그에 내포된 사회적 맥락까지 직시하는 판단력과 인지 능력은 갖추었다는 의미이다. 배움의 주체, 서술적 주체로서의 이 여성이야말로 작가가 『신여자』를 통해 목표하던 이상적 인물이라 말할 수 있다. 여러 차례의 실험을 거듭한 끝에 김일엽은 계몽적 의욕와 소설 미학적 의지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발견하였다. 특히 서술자의 개입을 축소하면서 오히려 자신이 『신여자』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던 인물상에 더 근접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긔록』에 나타난 일상적 생애 서술의 특징과 효과

        홍인숙 ( In Sook Ho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18세기 여성이 자신의 삶을 회고적으로 기록한 생애 서사물인 『□긔록』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긔록』을 흥미롭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가 조선후기 양반 가문 여성의 생활적 면모, 즉 일상성이라는 특징에 있다고 보고, 그러한 일상적 생애서술의 특징과 효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작품의 전체 흐름과 내용을 서술단락별로 정리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긔록』의 서술단락의 특징은 단락별 내용 구분이 매우 뚜렷하며 구성도 정교하게 구획되어 있으며, 중요한 화제에 대해서는 단계적으로 자세한 상황 제시를 덧붙이는 심층 서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친정 인물에 대한 묘사가 유독 생동감 있게 입체적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작품의 주요 내용이 남편의 병을 둘러싼 것임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친정 관련 서술의 비중이 매우 크게 나타난다는 점도 서술상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긔록』은 시부모 봉양 방식, 부부간의 대화, 음식과 간병 등에 대한 일상적인 생활의 면모를 생생하게 담고 있다. 그런데 『□긔록』은 이러한 일상적 상황들에 대한 작자의 일련의 판단을 보여주고 있어 흥미롭다. 작자는 친정의 일상에 대해서는 심리적 긴밀함과 자부심을 드러내는 한편, 시집의 가풍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의문과 반감의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시부모 봉양이나 부부간의 태도에 대한 규범적인 유교적 태도에서 약간 벗어난, 자신만의 고유한 평가와 생각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또한 『□긔록』의 일상 위주의 서술은 작자의 상황이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망 속에 있음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일상 속에서의 관계를 관계망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적인 것으로 보면서, 주요한 등장인물인 시모, 부친, 언니와의 관계가 각각 어떤 구체적인 상황에 놓이느냐에 따라 그 심정적인 거리와 친밀도가 달라짐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작자가 일상적인 상황의 맥락과 그 속의 역학 구도를 민감하게 포착하고 있었음을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긔록』의 일상 중심의 서술은 결국 작자의 삶의 중심축이 ``친정``이며, 혼인 후에도 자기 정체성의 주요한 근원이 ``친정 가문``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작자는 친정 가문에 대해 단순히 심리적 친밀성을 느끼고 있는 것을 넘어서, 친정의 존재가 자신을 보호하는 배경이자 권력임을 인식하고 있는 서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 and the effect of description of dailiness of Jakirok(□긔록), an autobiographical essay of Madame of the family of PungyangCho(豊壤趙氏夫人). Jakirok showed a woman`s dailiness of the late of Chosun Dinasty vividly and diversly. It described about living with her parents-in-law, convers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ways of attending a patient, preparing foods. Especially Jakirok disclosed Madame PungyangCho(豊壤趙氏夫人)`s point of view and her personal opinion. It makes this essay unique and rare because confucianism in Chosun Dinasty didn`t admit woman`s sppech fundamentally. She expressed a deep affinity with her parents` family, meanwhile exposed an attitude of disapproval with her parents-in-law`s family. The other characteristic of this autobiographical essay was describing her daily life in the view of network. She knew well that the power of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changed every moment. She also recognised the context and the dynamics of dailiness among people of her parents-in-law`s family delicately. It means that Madame PungyangCho considered her parents` family the center of her life and the source of identity. Finally the essay shows that she regarded her parents` family as the important background and power which protected herself.

      • KCI등재

        〈萬福寺樗蒲記〉의 敍述技法과 人物 性格의 形象化 方式 硏究

        김용기(Kim Yong-ki) 우리문학회 2007 우리文學硏究 Vol.0 No.22

        〈만복사저포기〉를 비롯한 초기 전기소설에서는 소위 '환상성'이라는 수식이 붙어 다닌다. 旣刊의 논의들이 나름의 미학적 근거에 의해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게 되었겠지만, 필자가 보기에 미진한 감이 없지 않다. 이에 필자는 〈만복사저포기〉를 통하여 초기 전기소설에 드러나는 독특한 서술기법과 인물 형상화 방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이들 작품군의 '환상성'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초기 전기소설에 드러나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才子佳人的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문제적 상황'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삶은 순탄치 못하고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들 작품에는 현실계의 남자와 異界의 여자가 기이한 만남을 이루어 자신들의 '문제적 상황'을 드러내는데, 이러한 기이한 만남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는 기법이 바로 '격차에 의한 서술기법'이다. 이 기법은 서사 전개의 비논리성과 비약적인 서사의 간극을 메워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독자는 이러한 비약적인 서사를 기이하게 생각하면서도 부정하지 못하고 오히려 환상성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만복사저포기〉를 비롯한 초기 전기소설에서는 인물이 지닌 '문제적 상황'을 '요약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작품의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고 그 인물의 '문제적 상황'을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인물들이 지닌 내면을 '作詩'로 표출하는데, 이는 단순한 삽입시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내면을 하나의 '장면으로 제시'한다는 점이었다. 이 두 방식은 '격차에 의한 서술기법'이 실제 서사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하는 형식상의 표현방식이며, 서사 전개상의 시간과 장면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또 작품 후반부에서는 '격차에 의한 서술기법'과 어우러져 작가의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표현방식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글은 〈만복사저포기〉를 비롯한 초기 전기소설의 환상성이 연출되는 기법에 대한 고민과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글이라 할 수 있다. Fantasy has been mentioned in the early romantic novels includingManboksajeopogi (萬福寺樗蒲記). But I don't think it is enough to trump up even if some of mentions are based on the aesthetics. Thereupon I studied the unique techniques of description and the depiction of characters in the early romantic novels through the study on Manboksajeopogi (萬福寺樗蒲記). And also I tried to make clear that they are the primary factors to give rise to a fantasy. The characters of the early romantic novels have good abilities and external features over and above. However, They can't live a smooth and humdrum life due to their situation of the problem in the same breath. Accordingly, the man of the real world discloses the situation of the problem through the meeting the woman of the different world. The description of the gap makes the odd meeting like this into the natural connection. This technique of description has a function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absurdit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tory. The readers can't deny the rapid development of story even though they think it's not natural. Rather, they can experience the fantasy. The novelists of the early romantic novels including Manboksajeopogi (萬福寺樗蒲記) used the techniques that they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problem briefly. That gives the readers the tense atmosphere and maximize the character's situation of the problem. And they used a poem to express the inner description of character's mind. On this occasion, that is not a mere poem but a mean to present the character's inner world as a scene. They could save time and scenes in describing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by using two techniques. And also these are an important metho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gap to express the theme at the latter of the novel. Accordingly, this is the study on the techniques of expression of fantasy in the early romantic novels including Manboksajeopogi (萬福寺樗蒲記)

      • KCI등재

        낭독 상황과 서술 방식의 연관성에 관한 시론(試論) -17세기 고전소설의 향유 과정을 중심으로-

        이기대(Lee, Gi-Dae)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8

        고전소설의 향유 방식은 묵독보다는 낭독을 통한 듣기가 보편적이었다. 고전소설의 낭독과 관련해서는 전기수에 의한 낭독법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전기수의 등장도 이전부터 있었던 낭독을 상업화한 결과이다. 고전소설의 낭독 상황은 17세기의 관련 기록에서부터 드러나며, 이러한 기록에는 작품의 창작과 향유 과정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의 작자들은 한문을 배우는 과정에서 낭독에 익숙했고, 이들의 낭독소리는 가족 모두가 듣던 소리였다. 따라서 고전소설의 낭독도 이전부터 익숙하게 낭독하던 방법들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변별되는 새로운 방식이었다고 하기는 어렵다. 한편 낭독의 상황은 작품의 서술을 통해서도 연관성이 드러난다. 작품에 삽입된 기존의 문학 장르나 대화적 장면 등은 독자들이 낭독 상황을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귀를 기울이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기억을 환기시키거나 예언하는 방식의 서술들은 들으면서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고전소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던 시점에서의 낭독 상황에 대한 관심은 고전소설의 서술 방식과 이에 대한 향유 과정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단서가 된다. Listening through reading rather than silent reading is a method adopted universally to enjoy a classical novel. In this regard, the reading style of Jeon Gi-su is widely known. Though Jeon Gi-su commercialized recitation, this method of reading was already in existence. Relevant records from the 17th century reveal recitations of classical novels. Though being writers, Jo Seong-gi and others are also known as reciters. The writers in those days were accustomed to recitation. Their sound of reading was the one to which everyone listene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recitation of a classical novel as a new method that is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other genres, which had been recited similarly. In addition, recitation discloses a correlation through describing a work. The existing literary genre or conversational scene, which is inserted in a work, is effective for readers when l istened to. Moreover, the descriptions in the way of evoking memory or predicting is a narrative style that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remembering contents. Hence, an attention to the reciting situation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lassical novel had appeared in earnest provides clues so as to understand the classical novel and the recitation method of re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