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 인문학 연구를 위한 제언

        박정호(Park Jeong-H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

        본고는 오늘날 환경 문제의 시급성과 중요성에 비추어 ‘생태 인문학’이라는 새로운 인문학 분야를 연구할 필요성과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환경 문제에 대한 기존의 인문학적 담론은 심층 생태학에서 보듯 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집중되어 왔고, 대체로 자연 친화적인 생활을 하거나, 인간 중심주의를 버리고 자연 중심주의ㆍ생태 중심주의 세계관을 갖는 것을 해결책으로 제시하여 왔다. 하지만 이는 현대가 처한 복합적인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근대 산업 혁명 이후 우리는 기술의 산물, 즉 인간이 만든 기계, 건물, 도로, 공장, 댐, 항만 등 자연을 가공한 물리적 인공 환경에 둘러싸여 살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엄청난 양의 지식과 정보가 인터넷 연결망으로 연결되어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어서 인류 전체를 망으로 연결하는 제3의 환경 층위가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환경 문제는 인류가 자연, 기술, 지식 등과 같은 다차원의 환경에서 어떻게 조화롭고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 인문학의 새로운 대응을 ‘생태 인문학’(Eco-humanities)으로 개념화했다. 생태 인문학은 모든 생물체가 자연이라는 하나의 커다란 집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생태학적 사고와 인간 삶의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는 인문학을 결합한 것이다. 즉 생태 인문학은 인간 삶의 의미와 가치를 다루되, 인간을 그 자체로서 고립적으로 고찰하지 않고 환경과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고찰하는 학문이다. 이때 전근대 전통 사회에서는 ‘자연’이, 근대 산업 사회에서는 ‘기술’이, 탈근대 지식 사회에서는 ‘지식’이 인간의 주된 환경 층위로 부상하는 것으로 본다. 그렇지만 모든 시대에서 자연, 기술, 지식의 세 층위를 추출할 수 있고 이것들은 중층적으로 얽혀 있는데, 다만 시대별로 주도적 층위가 달라질 뿐이고, 주도적 층위로 부상하기까지는 인간의 사회와 역사를 규정하는 힘으로서 표면에 드러나지 않을 뿐이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학제적 연구, 통시적 접근, 공시적 접근, 비교학적 접근, 한국적 시각 등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 제안된 생태 인문학은 확립된 이론틀이라기보다는 ‘작업 가설’의 성격을 갖는다. 그리고 생태 인문학은 인간과 생태계의 더 나은 삶, 더 좋은 삶에 대한 도덕적 관심을 갖고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a new branch of the humanities named 'eco-humanities', The eco-humanities combine the ecological thinking with humanistic concern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thinking, all organisms live in the nature-home(oikos)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 humanities search for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life. The eco-humanities search for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life viewing human beings not isolated from but interrelated with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includes not only nature but also technology and knowledge. The main layer of environment varies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n pre-modem traditional societies it was nature, in modem industrial societies it was technology, and in post-modem societies it is knowledge. So eco-humanities' ultimate concern is how human beings live in harmony with the multi-layer environment such as nature, technology and knowledge. The eco-humanities suggested here is not an established framework but a working hypothesis.

      • KCI등재

        『玆山魚譜』의 해양생태인문학적 가치와 융합연구 제언

        남진숙(Nam, Jin-Sook),이영숙(Lee, Young- Suk)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2

        본 연구는 정약전(1758~1816)의 『자산어보』(『玆山魚譜』)를 해양생태인문학적 관점에서 현대적 가치를 재인식하고, 나아가 학제간 해양생태문화콘텐츠 융합연구의 방향을 제언한 논문이다. 흑산도는 정약전의 『자산어보』가 집필된 공간으로, 해양문화콘텐츠의 문화원형을 가진 곳이다. 『자산어보』는 정약전의 삶과 학문적 철학이 담겨있고 생물학, 인문학, 민속학, 음식학 등 다양한 학문의 영역을 내포 있어, 해양생태인문학적 도서로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자산어보』의 문화원형 가치를 살려 ‘인문학, 예술학, 공학’등 융복합의 연구결과를 현실화, 실현화, 실용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자산어보에 나오는 물고기의 속성 및 특징을 파악하여 캐릭터 하고, 그것을 토대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토리텔링과 콘텐츠의 시각화 및 에셋(Asset) 연구,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 해양생태지도 구현기술 연구의 융합이 그 지점이다. 이는 섬을 물리적으로 개발하는 것보다 그 섬이 가진 문화원형의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섬과 바다를 보존하고, 더불어 해양생태계와 인간이 공존하는 방향이다. 본 논문은 자산어보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인식하고, 단선적인 기존의 연구를 넘어서 융복합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폭넓게 시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is a paper to reconsider the modern values from marine ecohumanistic viewpoints on Jeong Yak-jeon’s Jasan-eobo , book on the fish species of Heuksan Island, and furthermore proposes the direction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marine eco-cultural contents convergence. Heuksando(island) is a place where Jeong Yak-jeon’s Jasan-eobo was written, and it has a cultural prototype of marine cultural content. Jasaneobo has meaning and values as a book of marine eco-humanities because it contains Jeong Yak-jeon’s life and academic philosophy, and covers various fields such as biology, humanities, folklore and food science. Therefore, if we take advantage of the cultural prototype value of Jasan-eobo , the research results of convergence of humanities, art studies, engineering and so on, could be realized and put into practice. For this purpose, it is to characterize the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of fish appearing on Jasan-eobo , and to develop various contents based on them. For example, the convergence of storytelling and content visualization, asset research, VR(virtual reality) and marine ecological mapping technology research are the point. Utilizing the island’s cultural prototype resources rather than physically developing the island is more about preserving the island and the sea. In addition, it is the direction in which humans coexist with the marine ecosystem.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value of Jasaneobo in a modern way, and has extensivel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research beyond the one-sided existing research. 본 연구는 정약전(1758~1816)의 『자산어보』(『玆山魚譜』)를 해양생태인문학적 관점에서 현대적 가치를 재인식하고, 나아가 학제간 해양생태문화콘텐츠 융합연구의 방향을 제언한 논문이다. 흑산도는 정약전의 『자산어보』가 집필된 공간으로, 해양문화콘텐츠의 문화원형을 가진 곳이다. 『자산어보』는 정약전의 삶과 학문적 철학이 담겨있고 생물학, 인문학, 민속학, 음식학 등 다양한 학문의 영역을 내포 있어, 해양생태인문학적 도서로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자산어보』의 문화원형 가치를 살려 ‘인문학, 예술학, 공학’등 융복합의 연구결과를 현실화, 실현화, 실용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자산어보에 나오는 물고기의 속성 및 특징을 파악하여 캐릭터 하고, 그것을 토대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토리텔링과 콘텐츠의 시각화 및 에셋(Asset) 연구,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 해양생태지도 구현기술 연구의 융합이 그 지점이다. 이는 섬을 물리적으로 개발하는 것보다 그 섬이 가진 문화원형의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섬과 바다를 보존하고, 더불어 해양생태계와 인간이 공존하는 방향이다. 본 논문은 자산어보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인식하고, 단선적인 기존의 연구를 넘어서 융복합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폭넓게 시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is a paper to reconsider the modern values from marine ecohumanistic viewpoints on Jeong Yak-jeon’s Jasan-eobo , book on the fish species of Heuksan Island, and furthermore proposes the direction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marine eco-cultural contents convergence. Heuksando(island) is a place where Jeong Yak-jeon’s Jasan-eobo was written, and it has a cultural prototype of marine cultural content. Jasaneobo has meaning and values as a book of marine eco-humanities because it contains Jeong Yak-jeon’s life and academic philosophy, and covers various fields such as biology, humanities, folklore and food science. Therefore, if we take advantage of the cultural prototype value of Jasan-eobo , the research results of convergence of humanities, art studies, engineering and so on, could be realized and put into practice. For this purpose, it is to characterize the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of fish appearing on Jasan-eobo , and to develop various contents based on them. For example, the convergence of storytelling and content visualization, asset research, VR(virtual reality) and marine ecological mapping technology research are the point. Utilizing the island’s cultural prototype resources rather than physically developing the island is more about preserving the island and the sea. In addition, it is the direction in which humans coexist with the marine ecosystem.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value of Jasaneobo in a modern way, and has extensivel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research beyond the one-sided existing research.

      • KCI등재

        ‘코로나’시대의 『페스트』 읽기를 통한 생태 문해력의 확장과 인문학의 의무

        이명희(Yi, Myoung 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5 No.-

        본고는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했음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생태 문해력과 인문학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앞으로의 인문학은 기존의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벗어나 사회적 관여(Engagement)와 윤리 감수성(Ethics)이 대두되는 시기로 접어들었다. 이에 1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를 맞이하여 인문학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불안과 공포의 코로나 시대에야말로 실천적 성찰과 통찰이 절실하기에 인문학의 시작은 현실을 직시하는 데서부터 출발할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이때 다원적 시각이 내재된 인문학은 사람들에게 성찰과 공감을 이끌었다. 3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에 다원적 인문학으로서의 ‘생태인문학’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건국대학교 ‘창조적사고와표현’ 수업에서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페스트〉 작품을 읽고 이를 코로나와 그들의 전공을 바탕으로 뉴노멀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작품을 통해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삶이 분리될 수 없음을 인지하였다. 질병의 시대에도 ‘연대’만이 살 길이라는 것을 작품을 통해 미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언택트 세상에서 마주하는 개인과 공동체간의 연대에 관한 심층적 고민이야말로 인문학이 지녀야 할 다원적 시선임을 공감하였다. 4장과 5장에서는 생태적 감수성과 생태문해력의 필요성을 통해 인문학의 확장과 의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 이후의 인문학은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통합할 진리와 기준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여야 한다. 또, 오늘날 인문학은 철학, 문학, 예술을 포괄하는 표현인문학에서 과학까지 모두 포함하는 통합인문학이어야 하기에 이제부터 인문학은 학문의 벽을 허무는 일을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This study acknowledges the advent of a new paradigm in the wake of the new normal era and explores the need for ecological literacy in humanities. Current humanities have moved away from the existing capitalist system and have entered a period in which social engagement and ethical sensitivity are emerging. Chapter 1 of the paper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humanities in the era of COVID-19. Chapter 2 states that the beginning of humanities starts from confronting reality, as practical reflections and insights are desperately required in the anxious and fearful COVID-19 era. The pluralistic view inherent in the humanities attracts introspection and empathy from people. Chapter 3 discusse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humanities" as pluralistic humanities in the COVID-19 era. To this end,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read the book The Plague in a Konkuk University class called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ng." They then sought implementation measures in the new normal of the COVID-19 era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majors. Thus, through the book,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could not separate their individual and community lives. They were able to simulate the future conditions and ascertain that "solidarity" is the only way to survive in the pandemic era. Students agreed that in-depth attention to the solidarity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e intact environment is the pluralistic view that humanities should hold. Chapters 4 and 5 examine the expansion and duty of humanities through the need for ecological sensitivity and literacy. Post-COVID-19 humanities should present truths and standards of integration that mankind can share. In addition, today"s humanities must aim to integrate expressive humanities, such as philosophy, literature, art, and science, and undertake the task of breaking down the barriers of the study of fields.

      • KCI등재

        고전문학을 활용한 융합교양의 실제사례와 생태인문학의 의의

        이명희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3 No.-

        The definition of Ecological Humanities is still a vague term while the discussion is on the table. The Ecological Humanities is a fusion studies which is a combination of liberal arts and ecology that is under a natural science category. It is a study that has started as a practical efforts to solve multiple issues of our planet in varies perspectives, which is almost impossible to approach with a single perspective of studies Therefore, the Ecological Humanities is a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ecology and liberal arts that anchors the perspective of liberal arts in order to attract more attention on our issues of not only the survival of our species but also the future prosperity of entire species of our planet. This paper is as aforementioned looking at the process of a ritual through the re-telling of classic literatures as a study of fusion liberal arts. It is a progress of exploration of a possibility of having the ecological Humanities perspective requested by our age by re-telling of classic literatures. It means that the re-telling of classic literatures would possibly be used in a modern fusion study of 'the Ecological Humanities' and it also means a start of possible excavation of 'Self Narratives' in a meaning in a literature therapy. This paper discusses <the Story about Rabbit> and <Tiger Brother>. The re-telling of the stories reiterate the perspective of human-centered from the view of 'the Ecological Humanities' or it disagrees from the customary themes of classic literatures having navigated the themes toward environmental issues. The two stories are presentative cases of having fusion perspectives in liberal arts area. In case of students wit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re-telling of classics points toward the ocean pollution and they have scientific evidences and cases. Furthermore, the theme of the story <Tiger Brother> is altered to life-centered by highlighting the lines of the main character which is radically human-centered. This regurgitates and activates the classics ever more, not just reading the stories but having re-telling the stories recognizing the modern issues of humanities. The start of the Ecological Humanities are not hard nor are in examination of natural science. It could be an empathy of present issues reviving the classics, that have been considered not relevant to us, to our day-to-day lives. As the Literature Therapy indicates that the classics are not the text but the epic itself, the re-telling of classics is the process of refocusing to realistic modern epic. At the end of the day, the classics could be used as a brilliant fusion study epics that anchors the Ecological Humanities. 생태인문학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생태인문학’이라는 용어는 명확하게 수립되어 있지 않다. 생태인문학은 자연과학의 범주인 생태학과 인문학의 융합학문이다. 이는 한 가지 학문영역으로는 풀기 어려운 전 지구적 난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풀어 보려는 실천적 노력에서 시작한 학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생태인문학’은 인간의 생존뿐만이 아닌 전 지구적 생물체의 공존의 문제와 이를 위한 환경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기 위해 인문학적 관점을 견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과 인문학의 간학문적 성격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융합교양으로서 고전작품의 리텔링(re-telling)을 통해 그 의식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고전문학작품 의 재독이 시대가 요구하는 생태인문학의 시각을 견인한다는 차원에서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 이는 고전문학의 다시 읽기(再讀)가 현대의 융합학문인 ‘생태인문학’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문학치료에서 의미하는 ‘자기서사’의 발견 가능성의 출발이다. 본고에서 논한 작품은 <토끼전>과 <호랑이형님>이다. 두 작품의 리텔링은 모두 ‘생태인문학’적 입장에서 인간중심주의적인 시각을 재해석하고 있거나, 환경문제로 주제를 전환시키고 있어 고전문학의 전통적 주제와는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들 두 작품의 리텔링은 교양과목에서의 융합적 시각이 전개된 경우의 대표적 예이다. 환경문제를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의 경우 고전 개작 내용도 바다 쓰레기와 관련된 이야기로 리텔링하였으며, 자연과학적 근거와 예시를 활용하였다. 또한 인간중심주의적 생각에 사로잡힌 주인공의 대사를 통해 <호랑이형님>은 만물생명 중심주의로 주제가 전환되었다. 이로써 두 문학작품을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현대의 인류가 마주하는 난제를 인지하고 다시 읽어냄으로써 고전문학은 살아있는 작품이 되었다. 생태인문학의 출발은 어려운데 있거나 자연과학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에 있지 않다. 이것은 현대와 상관없다고 생각한 고전을 다시 우리의 삶으로 끌어냄으로써 현재의 문제로 공감하는데 있다. 문학치료학이 말하는 문학이 단순한 ‘텍스트’가 아닌 ‘서사’를 가리키는 것이기에 고전의 리텔링은 살아있는 현재의 서사로 집중하는 과정이다. 결국, 고전문학은 생태인문학을 견인하는 융합교양의 훌륭한 서사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지역 인문학 생태계 활성화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노영희,박종희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지역 인문학 생태계 조사와 지역 인문학 활용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민들을 위한 인문 학 생태계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으로 첫째, 지역 인문학 지원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둘째, 지 역 인문학 발전을 위한 연구인력 활용사업 방안을 찾고자 하였고 셋째, 지역 인문학 생태계 발전 연구인력 양성 방안을 연구하였다. 넷째, 지역 인문학 발전을 위한 일자리 창출 방안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지역만의 고유 한 문화와 특수함이 부여된 지역 인문학 생태계 연구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확립하는 데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cal humanities ecosystem and the application of local humanities. A plan(measures) was suggested to vitalize the humanities ecosystem for local residents through this stduy. First, We looked at the support measures for local humanities. Second, we tried to find a measure to utilize research manpower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humanities. Third, We study ways to train research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humanities ecosystem. Fourt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job creation plan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humanities.This analysis aims to establish a support plan for vitalizing research on the regional humanities ecosystem that reflects the local culture and regional specificity.

      • KCI등재

        생태주의 음악과 인문학 강의 운영 방안

        황혜영(Hwang, Hyeyoung),김혜진(Kim, Heyj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이 연구는 음악 전공과 인문학 전공 두 교수자가 코티칭 강좌로 운영하는 음악과 인문학 수업에서2020학년도 1학기부터 새롭게 도입한 생태주의 주제 수업 사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심각한 생태위기는 인간이 생태계의 다른 생명체나 자연을 도구와 수단으로 여기는 인간중심적 가치관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이기주의적 인간중심사상과 무분별한자연 개발에 대한 반성과 실질적인 환경개선 방안 모색과 함께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이 생태계 다른구성원들과 조화와 상생을 추구하는 생태적 가치관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수업에서는 표층적 생태관과 심층적 생태관 두 관점에서 음악과 인문학에 접근해보고 자연 친화적인 시와 동요, 자연을 테마로 하는 음악 작품들을 감상하였다. 또한 2020년 급작스러운 코로나 19 사태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야 되는 상황에서 음악과 함께 오감을 활용하여 자연을 느껴보는 체험시간을 가지도록 오감마인드맵으로 자연 체험 소감과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 수업후의 설문에서 생태주의 테마 음악과 인문학 수업이 정서적인 회복을 도모하고 몸의 감각을 통해생태주의 사고를 갖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의견을 주었다. 우리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 수강 환경에서이러한 생태 체험 오감마인드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직접 선정한 음악을 감상하며 오감을열고 자연에 다가가는 체험에서 느낀 생생한 감각을 신선하고 독창적인 인상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친화적인 사고와 감성을 함양하고 자연에 가까이 다가가고자 한 것과 더불어코로나 위기 속에서 음악과 자연, 인문학적 성찰로 자아를 어루만져주는 기회를 가진 점에 이번 자연과가까워지는 생태주의 음악과 인문학 수업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asses conducted by two professors in the music major and the humanities major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who introduced a new themes of ecological music and humanities. Today, the ecological crisis due to the damage to natur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getting serious. The ecological crisis is attributed to human-centered values in which humans regard other lives in the ecosystem as merely tools and means.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sis, it is necessary for us to reflect upon selfish, human-centered thoughts and the reckless development of nature, as well as to seek pract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s and solutions. Fundamentally, humans must restore ecological values that seek harmony and coexistence with other members of the ecosystem. In music and humanities classes, we first looked at the seriousness of the ecological crisis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ok time to reflect on ecological problems, all while listening to environmental music. Furthermore, while listening to nature-friendly music, we shared the ecological-oriented values which state humans should respect and live in harmony with other living organisms in the ecosystem listening to nature-friendly music.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that began earlier this year, we guided the students to take the time to try to heal themselves while experiencing nature with spring-themed music. The two professors encouraged the students to create a five-sense mind map for the experience of feeling nature with music, thereby inducing an emotional recovery and promoting the reinforcement of ecological thinking. The significance of ecological music and humanities classes is that they try to cultivate nature-friendly thinking and sensibility, bring students closer to nature, and provid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touch emotions through music, nature, and reflection on the humanities.

      • KCI등재

        생태인문학을 활용한 자기서사 치유 및 평생교육의 가능성 -실버 인문학 강독모임을 중심으로-

        이명희 ( Yi Myou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2 No.-

        본고는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적 비전을 통해 실천인문학을 모색하기 위해 8개월 140시간(총22주) 동안 진행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평생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생태인문학의 진행을 위해 남산과 같이 생태공간의 탐방이 용이하여 접근성을 고려한 강독공간인 카페를 만들고 실험적으로 생태인문학에 관심 있는 수강생을 모집 후 다양한 강독과 강연을 병행한 후 내용과 관련된 지역을 탐방하여 설명과 야외수업을 융합하여 실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지역사회와 연관된 커뮤니티나 지역기관을 교육의 장으로 이용할 경우 교육자의 접근성의 편이성으로 수업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심약한 실버세대들에게는 심신활동을 병행하기에 우울증을 비롯한 정서의 함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생태인문학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자아성찰을 비롯하여 현실적 문제의 해결의지를 고취시키며 당면한 현실문제에서 나타나는 불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를 제공하여 자녀와의 관계성 회복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균형 잡힌 수업과 함께 스스로가 학습 참여의지를 북돋을 수 있도록 강독함으로써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스스로가 인지하게 된다는 점에서 잠재력을 타진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활동과 접목시킨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평생교육으로써의 발전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possib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based on a program that continued every other weeks for 8 months and 140 hours (22 weeks) exploring practical approaches to humanities through the converging view points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For better flow of ecological humanities education courses, we used a cafe considering the place`s accessibility, and visits to ecological spaces such as Mt. Namsan. After recruiting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ecological humanities, we also educated them with various lectures and texts and visited related places, which was a base for the research. The senior generation, after living much of their lives, often tries to communicate with contemporary people by learning new information and taking time for introspection. Often brave members of the elderly generation came to register for classes for these reasons. This being so, humanities for the senior generation has high potential for developing into "practical humanities" that resembles reality and real life problems. Ecological humanities classes for the elderly include mental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can be effective for building up emotions and preventing mental illnesses such as depression. Moreover, students who took ecological humanities class demonstrated an enthusiastic attitude and the will to solve real-life problems that they faced everyday, which ultimately led to self-examination. Realizing that humans and nature have the same problems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recovery. With this, we examined self-epic and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Apart from humanities, ecological humanities points to a positive future for the practice of humanities, as students by themselves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by experiencing the logic of natural science. For the next few years, we can expect high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converged lifelong education.

      • 정진규 시의 ‘정원’ 과 생태인문학

        정효구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人文學誌 Vol.57 No.-

        이 글은 정진규 시인의 시집 전체를 대상으로 삼아 그의 첫 시집부터 마지막 시집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나타나면서 시의 물리적 공간이자 정신적 공간으로 작용한 ‘정원’의 문제를 탐구해본 것이다. 정진규의 시에서 ‘정원’은 세 단계를 거치면서 생태적 세계와 인문학적 세계를 상호 성장시키고 고양시키는 발전의 장이 된다. 그 첫째 단계는 소위 ‘서울 시절’ 혹은 ‘수유리 시절’이라고 칭할 수 있는 196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뜨락’을 통한 정원의 발견과 生長의 시기이다. 여기서 정진규 시인은 그의 거주지의 작은 ‘뜨락’에 의지하여 생태적 감각과 인문학적 감성 및 정신세계를 탄생시키고 발전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2000년 중반에 고향이자 생가터인 ‘안성’으로의 회귀가 이루어진 이후의 이른바 ‘안성 시절’을 통한 ‘정원’의 비약적인 성장 단계이다. 정진규 시인은 회귀한 고향이자 생가터에 ‘夕佳軒’이라는 당호의 집을 짓고 새 차원의 ‘정원’을 가꾸고 구축한다. 이 석가헌에서 가장 큰 비중을 갖는 것은 석가헌을 구성하는 건물로서의 집이 아니라 그 전체를 아우르며 토대와 중심지대가 되어주는 ‘마당’ 혹은 ‘정원’이다. 이 ‘안성 시절’의 ‘석가헌/마당’의 ‘정원’은 정진규의 시 속에 나타난 정원의 역사에서 ‘熟成’의 단계이다. 끝으로 정진규 시인은 안성 시절의 ‘석가헌/마당’을 ‘律呂精舍/마당’으로 전변시킴으로써 또다른 차원의 정원을 가꾸고 열어간다. 이 율려정사의 마당 혹은 정원에서 정진규 시인은 영성적 생태학 또는 생태적 영성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근대적 의미의 인문학 너머의 세계까지 창조한다. 여기서 시인은 정원을 가꾸는 사람으로서의 우월적이며 의도적인 인간적 작위성을 내려놓고 우주적 이치의 본원상인 ‘율려’가 스스로 작동하는 평등하며 자생적이고 우주적인 정원의 청취자가 된다. 그는 이 단계에서 더 이상 일반적 의미의 정원사나 정원의 주인장이 아니라 정원이 스스로 정원을 만들어가는 것을 보게 된, 자생정원이자 우주정원의 청지기이다. 그러한 그는 자신의 정원을 받아 적는 겸허한 필사자가 된다. 정진규의 시인생활 전체를 통하여 나타난 ‘정원’과의 동행, ‘정원’에 대한 탐구, ‘정원’을 통한 공부는 생태감각을 원체험으로 지닌 시인이 아주 작은 "뜨락’에서부터 보다 큰 "마당’과 정원으로 물리적인 확대를 이루어 나아가는 길과 더불어 그 크기와 무관하게 ‘정원’의 심층과 본질을 보다 심오하게 만나면서 마침내 인문정신의 高處와 영성적 세계를 읽고 향유하며 전달하는 한 시인정신의 아름다운 결실을 보게 한다. This article examined issues related to ‘gardens’, which appear consistently in the 18 poetry collections of poet Jeong Jin-Gyu from his first collection to his last and which act as the physical space and mental space of poetry. In the poetry of Jeong Jin-Gyu, such ‘gardens’ go through three stages, mutually developing and edifying the ecological world and the world of the humanitie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of garden discovery and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ddurak (garden)’ from the mid-1960s to the early 2000s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Seoul years’ or 'Suyuri years’. Here, the poet Jeong Jin-Gyu relies on the small ‘ddurak' of his residence and gives birth to an ecological sense along with humanistic sensibility and a mental world and he makes these grow in abundance. The second stage is the rapid developmental stage of ‘gardens’ through the ‘Anseong period’ in the early 2000s after the return to ‘Anseong’, which was his hometown and place of birth. The poet Jeong Jin-Gyu builds a house called "Seokgahun" in his returned hometown and birthplace and cultivates and builds a "garden" of a new level. The largest part of this Seokgahun is not the house as a building that forms the Seokgahun, but the yard’ or ‘garden’, which encompasses the whole and acts as the foundation and center. The garden’ of 'Seokgahun/yard’ during the ‘Ansung period’ is the stage of ripening’ in the history of ‘gardens’ in Jeong Jin-Gyu’s poetry. Finally, the poet Jeong Jin-Gyu cultivates and opens a garden of another level by changing the ‘seokgahun/yard’ of the Anseong period into 'yulliujeongsa/yard’. In this yuliujeongsa yard or garden, the poet Jeong Jin-Gyu creates a world beyond the humanities of modem meaning, can be called spiritual ecology or ecological spiritualism Here, the poet puts down his superior and intentional human composition as a gardener and becomes a listener of an equal, self-sustaining, and cosmic garden in which “yulliu,” the origin of cosmic logic, works itself. Thus, he is no longer a gardener or garden owner in a general sense at this stage, but a steward of a self-sustaining and cosmic garden who has seen the garden make its own garden. The accompaniment of ‘gardens’ that appear throughout the entirety of Jeong Jin-Gyu’s poetic life, explorations of gardens, and studies through “gardens” look upon the beautiful results of a poetic mind that reads, enjoys, and passes on the path upon which a poet who originally experienced ecological senses achieves physical expansions from a very small ‘ddurak’ to a larger ‘yard’ and garden along with the heights of a humanistic spirit and spiritual world as they profoundly meet the depths and essence of ‘gardens’ regardless of size.

      • KCI등재

        평생교육으로서의 생태인문학의 가능성과 의의 -실버 생태인문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명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Ecology Humanities program has dynamic lectures consisted of book recommendation, visual and video materials provided by lecturer and field studies. The semester's program starts with a planning of possible field study places a such as a literary museum, art gallery and a historical site which provide study opportunities on Ecology Humanities average twice per semester. The literature lecture of Ecology Humanities for the retired provides benefits as below: First, an increasing number of proactive readers via field study is inevitable. Second, it will give much a greater understandings of other generations and perspectives. The study of liberal arts by the retired would provide positive influence toward the next generations. It also has an added benefit to interconnect one's life style by the experience of humanistic knowledge. Third, the keyword of ecology humanities is 'network'. It helps individuals reflect to criticize human-centers perspectives and evaluations via the interconnection with other life forms. As some experts of ecology humanities argue that 'all life forms interact and do co-evolution,' it would open up a possibility of co-evolution having a satellite view of the entire ecosystem and away from a self-centered thought. ‘생태인문학’의 프로그램은 책을 권하는 권독과 독서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강연자의 시각자료와 동영상 제공, 그리고 야외 체험학습이라는 입체적 수업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학기에 평균 2번의 야외학습은 문학관, 미술관, 역사체험이 가능한 장소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생태학습이 가능한 공간을 기획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실버세대의 생태인문학 강독은 첫째, 체험학습을 통해 적극적 독서인구로의 유입을 촉진시킨다. 둘째, 세대 간의 이해 및 타자를 이해를 돕는다. 실버세대들의 교양학습은 자식이나 손자세대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긍정적 요소가 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태인문학을 인문학적 생각과 연관시킴으로써 자신의 삶에 자연스럽게 연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생태인문학’이 지향하는 키워드는 ‘관계(network)’이다. ‘생태인문학’은 인간중심주의적인 사고 및 평가를 성찰하고 생명체와의 관계성을 통해 자기를 돌아보게 한다. 또,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자와 다른 생명체까지 살필 수 있는 혜량을 기른다는 면에서 공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실천인문학의 의의 연구 -박경리 유고시집에 나타난 ‘여성’,‘죽음’,‘자연’의 의의-

        조혜진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科學硏究 Vol.46 No.-

        코로나 사태로 가속화된 혐오와 차별 문제 해결을 위해 유고시집에 이르기까지 박경리 문학에 나타난 말년의식으로서 ‘여성’, ‘죽음’, ‘자연’의 의의를 연구, 시민인문학의 실천을 통해 디스토피아적인 세계의 문제에 응답하는 실천인문학으로서 지속가능한 인문학의 실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를 통해 포스트코로나로 인한 위기의 시대, 협력적 창의성을 지향하는 실천인문학으로서 인문학의 타자성 회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 인문학은 이제 전공자와 연구자들을 위한 대학 인문학의 학제적인 장벽을 넘어 학교 밖 집단지성을 만들기 위한 시민인문학을 통해 한 걸음 더 실천인문학의 장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포스트코로나 시대, 혐오와 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문학은 인문학법에서 논의한 것처럼 ‘인간과 인간 간의 근원문제와 인간의 사상과 문화를 아우르는 융⋅복합 학문’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원주 박경리 문학공원과 박경리 문학관에서 <청소년 토지학교> 및 <소설 토지학교>, <토지 문화학교>를 통해 청소년들을 비롯해 다양한 연령대의 시민강연을 나눈 경험을 토대로 연구자는 대학 교양교육의 장을 확대하여 시민인문학의 실천을 모색해왔다. 2020년부터 코로나 팬데믹 이후 사회적 문제로 부상한 혐오와 차별의 문제에 응답하기 위해, 연구자는 위기의 시대, 사회적 문제에 응답하는 환대의 인문학으로서 인문 서사의 힘을 경험, 실천인문학으로서 인문학의 의의를 재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대학 교육의 외연을 시민강연의 장으로 확대할 뿐 아니라,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위기에 응답하는 환대의 인문학으로서 지속가능한 실천을 모색하려는 일환으로 2021년 지역 시립도서관 및 작은도서관과 협약하여 <청소년들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자존감 독서치료> 및 <4차 산업 시대, 초등학생을 위한 융⋅복합 독서지도>를 기획, 실천인문학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의 공포 속에서 전 세계에 만연된 차별과 혐오는 예방과 방역으로 인한 고립감과 소외감, 나아가 양극화로 인한 분노와 우울감 속에서 자녀학대 및 노인혐오, 여성 혐오와 젠더 폭력 등에 대한 사회적 문제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에 취약한 대사증후군을 지닌 장년 혹은 노년들에 대한 시선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세대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이 아니라 꼰대의식과 같이 비합리적 세대로서 노년세대를 인식, 이십대 청년 세대의 미래를 방해하는 걸림돌로서 각인되기에 충분했다. 이에 연구자는 감염병 시대의 차별과 혐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될 혐오 문제 해결을 위하여 유방암 투병으로 죽음을 눈앞에 둔 삶을 살다가 작고한 박경리 작가의 유고시집『버리고 갈 것만 남아 참 홀가분하다』에 나타난 말년의식을 중심으로 ‘여성’, ‘죽음’, ‘자연’에 대한 의의를 통해 죽음의 공포와 고립감, 혐오의 시대를 살아가는 외로운 노년기 및 중장년의 시민들에게 인문학의 치유적 경험과 생태적 공동체로서 삶의 회복을 염원하였다. 이때 예술가가 평생을 몰입했을 체현물로서 예술가의 삶을 관통하는 동시에 동시대인들에게 정상적으로 참조된 시의성을 넘어서는 부정의 힘으로서 에드워드... The humanities need to move beyond the interdisciplinary barriers for majors and researchers to the field of civic education to create collective intelligence outside of school as a popular humanities. However, in order to spread the humanities in the field of civic educatio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utilize a literary space to plan humanities contents and to collaborate with expert groups and local governments, but also to discuss and develop new contents to solve real problems as a public humaniti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giving literary lectures for citizens of various age groups, including teenagers, through <Youth Land School>, <Novel Land School>, and <Land Culture School> at Wonju Bakgyeongni Literature Park from 2015 to 2021, the researcher studied the popular humanities.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fiel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by expanding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within the university through citizen lectures as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students. Through these efforts, in the 2020 Corona situation, through a non-face-to-face video lec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ve narrative of Park Kyung-ri's novel 『Land』 as the humanities of 'hospitality' were dealt with, and on May 29, 2021, the fear of disease and death due to Corona.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s an 'undisclosed community' that comforts the exhausted lives beyond hatred and discrimination in the midst of life, and unites citizens who have reached old age or are experiencing the crisis of middle age through the power of humanities narratives. As a researcher who develops citizen lecture contents, I tried to newly discover and spread the role of a humanities researcher beyond the barrier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provide a new opportunity for productiv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