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한중일(韓中日) 블룬칠리의 민족·국민 개념의 수용과 변용 : 가토 히로유키/량치차오/나진·김상연을 중심으로

        정혜정(Jung, Hye-J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3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중일은 서세동점의 위기의식 하에 ‘인민은 있어도 국민은 없다’는 국가 부재의 현실을 타개해 나가고자 하였다. 그 위기 극복을 위해 비중 두어졌던 것이 서구 국가사상의 수용을 통한 신 국가건설이었다. 당시 다양한 서구 국가사상이 동북아 한중일에 소개되었지만 이 가운데서 가장 주목받았던 것은 블룬칠리의 국가사상이었다. 블룬칠리는 국가의 성립조건을 민족과 국민에 두었다. 국가의 기원은 단체를 이루는 인간의 천성에 있고, 동일한 종교와 언어 등이 이루는 공동정신에서 민족은 형성되며 민족이 정치적 단결을 이룰 때 국민이 된다. 따라서 한중일 모두는 신 국가건설을 모색함에서 민족과 국민을 주목했다. 가토 히로유키는 블룬칠리가 말한 ‘나치온(nation)’을 ‘民種’으로 번역했고, 량치차오는 ‘民族’으로, 나진/김상연은 ‘人民’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 용어의 차이는 국가론을 접근하는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 가토 히로유키는 지배계급의 입장에서 民種과 국민의 관계를 규정하여 천황제 중심의 입헌국가로 지향해 나갔다면, 량치차오는 블룬칠리가 제시한 국가성립조건으로서 민족개념을 발전시켜 소민족주의와 대민족주의를 함께 주창하여 다민족의 혼합국가를 지향했다. 이는 한족(漢族)이 중심이 되는 대민족 국가를 이루어나가고자 함이었다. 한편 나진/김상연은 인민의 공동정신을 강조했고, 국민은 인민의 정치적 단결로 이루어지는 정치적 결합체라는 것에 주목하여 국민주권을 지향해 나갔다. 또한 만국 모두가 동귀일체가 되는 대동국가 건설을 이상으로 삼았다. The modern Korea, China, and Japan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the absence of the state under the sense of crisis that there are not nation but people. One strategy to overcome this crisis was the use of Western national ide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state. At the time, various western national ideologies were introduced to Northeast Asia, but the most notable of them was the national ideology of Bluntschli. Japanese scholars went directly to Europe to study the national thought and came back to their own country to lead the discourse of stat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national ideology. China has developed Western theories through Western missionaries such as Martin who have come into the country, or by translating Japanese translations. In the case of Korea, indirect acceptance was achieved through Japan and China. Bluntschli placed the conditions of state on people and nation. The origin of the state lies in human nature. People and nation are the product of history. A people comes into being by a slow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a mass of men gradually develop a type of life and society which differentiates them from others. The rise of a nation implies merely a political process, the creation of a state, and may therefore be brought about quickly by a new constitution, but not with real safety unless built upon a basis of nationality. Kato Hiroyuki(加藤弘之) translated the concept of nation and volk in Bluntschli as race of people(民種) and nation, Liang Qichao(梁啓超) translated to people(民族) and nation. Also Na Jin(羅瑨) & Kim Sang-yeon(金祥演) translated to peoples(人民) and nation. The difference in terminology is related to the way of approaching theory of state. In the case of Kato Hiroyuki, which is translated “race of people(民種),” there is an aspect that imposes the ruling class perspective. Also Liang Qichao, translated “people(民族)”, literally has a context that puts weight on ethnic issues. In addition, the case of Na jin / Kim Sang-yeon, which is translated as “peoples(人民)” suggests that the human nature and common spirit of peopl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uling class, Kato Hiroyuki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ce of people and nation and headed toward the emperor-centered state. Liang Qichao advocated minor nationalism and large nationalism together, aiming for a mixed state of multi-ethnics. Also Na jin / Kim Sang-yeon, meanwhile, puts the origin of the state on an individual, not a nation. They insisted on moving forward as "oneness of the world" of universal, with emphasizing the collective nature of individual.

      • KCI등재

        헨리 휘튼과 J. C. 블룬칠리의 네이션 개념과 마틴의 번역서 『만국공법』·『공법회통』 : 국제법과 식민주의적 폭력, 네이션 개념의 관계를 중심으로

        윤영실 ( Youn Young-shil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69 No.-

        본고는 네이션의 번역이 네이션의 자격을 둘러싼 정치적 계쟁의 장이었음을 살펴보는 연속 연구의 일환으로, 19세기 중후반 국제법과 제국주의의 법정초적 폭력 사이의 내재적 관계가 네이션 개념을 어떻게 변모시켰는지 살펴보았다. 유럽의 국제법은 먼저 자연법의 보편주의를 벗어버림으로써 비서구의 타자들을 법 바깥으로 밀어냈고, 이후에는 유럽의 국제법이야말로 보편적임을 주장하면서 그들을 법 바깥에서 붙들었다. 동아시아에 번역되어 큰 영향을 끼쳤던 헨리 휘튼과 J.C.블룬칠리의 국제법 저작들은 서구 국제법의 ‘보편화’ 과정이 nation의 함의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잘 보여준다. 휘튼은 nation을 people과 마찬가지로 모든 인간 사회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했지만, 국제법을 오로지 문명화된 nations 사이의 실정법으로 정의함으로써 비서구를 법 바깥으로 배제한다. 반면 블룬칠리는 국제법이 보편적 인륜성에 기초한다고 전제하지만, 국제법의 주체인 nation을 people 일반과는 달리 ‘보편적’ 인륜성(서구적 문명)을 향한 진보에 기여할 자격을 지닌 정치적 집단으로 제한한다. 그러나 이들의 저작을 번역한 마틴의 『만국공법』과 『공법회통』에서 nation은 독자적 개념으로 포착되지 못한 채 삭제되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국제법의 유래인 제국주의의 법정초적 폭력을 은폐하는 역할을 했다. This article is a part of a series essays on the concept of ‘nation’ as a field of political struggles over the qualification of the nation. This article, relying on the postcolonial reinterpretation of the ‘sovereignty’, examined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the international law and law-founding violence of the Western imperialism. European international law first excluded others from the law by breaking itself from universalism of the natural law and then captured them outside the law by declaring that the European law itself is ‘universal’. Henry Wheaton’s and J.C.Bluntschli’s works on the international law, which were translated in East Asia by A. P. Martin and exerted great influence on the region, apparently show how the ‘universalization’ of the European international law changed the concept of nation. Wheaton used ‘nation’ as a synonym of ‘people’ which refers to any cultural society of the world, defining the international law as the positive rules confined to the nations of the civilized Europe. On the other hand, Bluntschli insisted the jurisdiction of the international law reach all the world but restricted the definition of nation to the equal legal subjects qualified with presumably universal, European civilization. However, in A. P. Martin’s translations of their works, 萬國公法 and 公法會通, nation was not grasped and translated as a concept, which resulted in concealing law-founding violence of the European international law.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구 논문 : 『대한협회회보』의 국가관과 "복종" -어휘사와 개념사적 관점에서-

        전성규 ( Seongkyu Jeon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5

        이 글은 1908∼1909년 사이 발행된 『대한협회회보』의 국가관을, 당시 『대한협회회보』 안에서 이루어졌던 독일 공법학의 수용 및 서구 정치학에 대한 독해와 ‘복종’이라는 어휘와 함께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대한제국의 수립 후, 그전에 일련의 개혁에 참여했던 조선 지식인들은 일본으로 대다수 망명한다. 그들은 일본에서 일본 메이지헌법에 큰 영향을 끼친 블룬칠리(J. C. Bluntschli), 옐리네크(Georg Jellinek) 등 독일 공법학자들의 책을 직간접적으로 접했고 1905년 통감부정치가 시작된 후 조선으로 돌아와 일본 지식인들에 의해 번역된 이 책들을 중역하거나 역술하였다. 이들은 조선으로 돌아와 『대한 협회회보』의 필진으로 다수 참여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보호정치 시기 조선이 하나의 독립한 ‘국가’로 설 수 있는 기대가 없어지고 있을 때, 근대국가체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진 것이었고 『대한협회회보』가 논의의 장이 되었다. 『대한협회회보』의 국가관 및 사회관을 드러내는 기사들에는 루소와 독일 공법학자 중 특히 블룬칠리의 영향이 두드러져 보인다. 이들의 논의를 『대한협회회보』가 어떤 식으로 수용했는가에 이 글은 초점을 둔다. 『대한협회회보』는 국가, 군주, 인민의 법인화를 주장하며 전제주의적 입헌군주제를 합법적으로 정당화하였다. 『대한협회회보』의 글들은 군주·인민·사회의 제(諸) 관계를 법치화하기를 강력하게 주장하였는데, 여기에는 왕의 절대권력을 법으로 제한하고 인민을 법에 묶어 법에 의한 통치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실제로 대한협회는 급변하는 정세를 틈타 입각하려는 노력을 열심히 하였다. 또한 대한협회가 갖고 있었던 사회의 법인화에 대한 생각 때문에 국가와 사회의 관계, 법과 인민의 관계에 대해 논할 때 ‘복종’이라는 어휘가 빈번히 등장한다. 여기에서의 복종은 단순히 강제적 의미의 복종이 아니라 한문맥적 맥락과도 접속한 복잡한 의미를 갖는다. This paper examines the view of the state as presented by Daehan- hyeophoe-Hoebo (Korean Association Journal, 1908-1909) which was built on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Deutschen Offentliches Recht(German Public Law) and Western politics. The use of the term “ Bokjong (복종, servitude)” is employed as a means to investigate this perspective. After the formation of the Korean Empire (大韓帝國), most reformist officials were sent into exile in Japan, where many of them studied public law as articulated by such German-speaking jurists as J.C. Bluntschli and Georg Jellinek.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 Japanese Protectorate on the Korean Peninsula, in 1905, these exiles returned to Korea and translated or retranslated various books about public law; Daehanhyeophoe-Hoebo was the forum in which they expressed their ideas. Ironically, it was just at the time when the Korean Empire had hardly any possibility of surviving as an independent nation that such discussions on the modern nation-state system were at their most vigorous. Articles in Daehanhyeophoe-Hoebo which dealt with the nature of the state make frequent reference to Bluntschli and Rousseau, from which it is clear that the Korean writers accepted this foreign discourse, and also adapted it. They proposed the incorporation of nation, monarch and people into a constitutional monarchy, which they justified in legal terms. The contributors to Daehanhyeophoe wanted to create institutional legal structures to restrict the power of the King, and to secure the rights and freedoms of the people, which they hoped would facilitate the creation of a system based on party politics. Actually, they were struggling to obtain power at a time when the political situation was rapidly changing. In these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society, and between the law and the people, an interesting term was often used which sheds some light on these struggles:“ Bokjong (복종, servitude),” can be translated as “servitude” but in fact this expression has a complex field of meaning, with the context implied by the Chinese characters suggesting more than mere compulsory submission.

      • KCI등재

        네이션, 국민자격, 식민지 민족 - 20세기 전환기 제국주의적 국민 담론의 계보학(1)

        윤영실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7 No.-

        J.C.Bluntschli’s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nation(Volk) and people(Nation) excludes colored peoples(races) as well as proletariat and women from the priviliged category of nation. He and his theoretical successors, John William Burgess and Conrad Bornhak, regarded political capacity, which colored races presumably lack, as a qualification for becoming a nation. Their racist, imperialist theories on state were tranlated into East Asian countries around the 20th century and provided them with the necessary knowledges for building a modern nation-state against western imperialism. Imperial Japan, semi-colonized China and colonized(protectorate) Korea grappled with these western knowledge-power in different ways, based on each’s different political situations. This essay is a part of the research on those aspects of East Asian countries’ encounter with racist and imperial knowledges of modern state. As a first part of the research, this essay analyzed Burgess’ and Bornhak’s state theories, focusing on their articulation of ‘nation’ as a concept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In Japan, which developed itself as the only Asian imperial state, Takada Sanae and others actively translated those western knowledges and appropriated them as its own imperial discourse to colonize the other East Asian peoples. 본고는 ‘국민자격’이 블룬칠리의 nation/people 개념 구분에 각인된 서구중심적 네이션 개념 및 근대국가론의 동아시아 번역 과정에서 형성된 독특한 조어임을 푸코의 계보학적(geneological) 관점에서 탐사하는 기획의 일부이다. 본고에서는 그 첫 단계로서 한국 최초의 근대국가학 단행본인 나진·김상연의 국가학 에 중요 저본이 되었던 서양과 일본의 국가학 저술들을 분석했다. 19세기말 버지스(2장)와 보른하크(3장)는 블룬칠리 국가학을 각기 미국과 독일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용하면서 nation의 문턱을 새롭게 분절했다. 그러나 이들은 근대국가를 구성하는 ‘정치능력’을 백인종 민족(튜톤족, 독일민족)들에 고유한 자질로 특권화하는 인종주의적, 제국주의적 관점을 공유했다. 이들의 국가론은 1900년대초 다카다 사나에의 주도로 미국발 제국주의론(폴 라인슈)과 함께 번역되면서 일본의 제국주의적 국체론과 제국적 국민자격 양성론에 밑바탕이 되었다(4장). 이러한 제국주의적 국가학들은 보호국 하의 한국에서 나진·김상연의 국가학 번역을 통해 종합적으로 소개되었던 바, 국가학 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통해 제국 지식과 식민지적 현실 사이의 간극을 살펴보는 것은 후속연구의 과제로 남겨둔다.

      • 구가 가쓰난(陸羯南)의 “국민” 문화

        표세만(Pyo Se-Ma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5 No.-

        일본 제국헌법과 제국의회가 개설되었던 1890년대 일본의 “국수”를 주장하며 새롭게 등장한 정교사 멤버들은 현대 일본 내셔널리즘의 원형을 이룬다. 특히 블룬칠리의 “내셔널리티” 및 문화 공동체로서의 나치온(Nation), 정치적 통합체인 폴크(Volk)의 개념을 일본에 적용시킨 구가 가쓰난은 그 대표적 인물이다. 가쓰난은 “국민의 통합”과 “국가의 독립”을 위한 일본 내셔널리티를 천황과 황실문화에서 찾았다. 천황가에서 출발한 일본 나치온의 전통문화와 폴크를 기반으로 하는 근대적 입헌 시스템의 결합을 통하여 일본 특유의 천황제 국민국가를 완성시킨 것이다. 그러나 국민과 세계를 향해 열려 있어야 했던 천황제 국민국가 시스템은 조약개정 문제와 같은 대외관계 속에서 초기의 “건전함”을 상실한다. 현실논리에 대한 안이한 시인과 현실과의 거리를 통한 균형감각의 상실은 결국 구가 가쓰난이 추구하였던 이상적 “국민주의”의 파탄을 초래했다. In the 1890s, in the wake of the promulgation of the Meiji Constitu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Imperial Diet, the Seikyosha put forth the idea of "kokusui"(national essence), which became a prototype of modern Japanese nationalism. Among its members, Kuga Katsunan stands out in his domestication of Blunrschli's notions of "Nationalitat", "Nation"(as cultural community), and "Volk"(as political synthesis) for the contemporary Japanese setting. Kuga sought Japan's putative nationality in the Emperor(tennO) and the Imperial Household, all for the sake of "national un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By combining the modern constitutional system with Japan's traditional culture(as originating in the Imperial Household), Kuga sought to complete a nation-state based on the emperor system unique to Japan. However, amidst the treaty revision and other thorny issue in Japan's relations with the outside world, the constitutional national polity that Kuga had envisioned came to lose its political legitimacy. In the end, amidst the inexorable realit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his acknowledgement of those realities, Kuga ideal of nationalism(kokumin shugt) went bankrupt.

      • KCI등재후보

        신채호의 근대국가사상 연구

        우남숙(Woo, Namsook)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6 문화와 정치 Vol.3 No.2

        본 논문은 신채호가 이른바 「자강」·「독립」사상 시기에 제시한 「입헌공화제」국가론에 관한 연구이다. 신채호의 국가사상이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적 국가 기원론, 량치차오의 정치체제 진화론, 루소의 공화주의, 블룬칠리의 국가유기체론 등의 중층적인 기원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정치사상사적으로 해명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 본 신채호의 근대국가사상의 특질은 국가를 정치공동체로서 인식하고 국가의 기원을 생존경쟁에 의한 사회진화, 국가진화는 정체진화론으로 인식한 점이다. 이는 국가를 유교의 혈연적인 가(家)의 확대 개념으로 이해하는 종래의 국가발생론에서 벗어나 전근대적 요소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신채호는 근대 국가의 진화 모델로서 루소의 공화주의에 기반한 대내적 주권국가로서의 국민국가론을 제시하였고, 대외적 주권의 확립을 위해서는 「국가주의」(민족주의 nationalism)에 기반한 「민족」국가 재건론을 주장하였다. 특히 이민족을 배제하는 종족적 순수성에서 출발하고 있어 종족적 민족주의(ethnic nationalism)의 성립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었다. 따라서 세계사적으로 보면 그의 근대국가사상은 19세기에 전개된 정치적 단위의 국가와 민족적 단위의 국가를 동일한 궤적에 놓은 이른바 근대 국민(민족)국가에로의 편성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multiple grounds of Shin Chaeho’s theory of constitutional republic.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s we can find Shin Chaeho’s theoretical bases: Spenser’s theory of socio-evolutionary origin of nation, Rangchichao(梁啓超)’s evolutionary theory of governmental forms, Rousseau’s republicanism, J. K. Bluntschli’s theory of national organism. His theory of nation might be presented in several aspects. With no difficulty he accepted western modern thoughts of nation, broke away the concept of blood-tied nation,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Confucian viewpoint that nation is no more than a big family. Rather, he thought that the origin of nation is a struggle for existence, believing that the evolution of nation might be realized by the form of government. To establish the internal sovereignty of a nation he developed the theory of people’s nation from Rousseau’s republicanism. On the other hand, for the establishment of external sovereignty, he asserted an ethnic nationalism influenced by Bluntschli’s theory of national organism. His thought of n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ethnic nationalism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ethnic concept in modern nation. He used to equate the people’s nation and ethnic entity.

      • KCI등재

        우드로우 윌슨의 self-determination과 nation 개념 재고 - National self-determination을 둘러싼 한미일의 해석 갈등과 보편사적 의미(1)

        윤영실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科學 Vol.115 No.-

        이 논문은 윌슨 사상의 핵심 개념들인 ‘자결(self-determination)’과 ‘네이션(nation)’의 의미를 개념사적 관점에서 재검토함으로써, 1차 대전 후 national self-determination을 둘러싸고 한일 간에 벌어진 해석들의 갈등을 조명할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윌슨의 사상은 통상 ‘민족자결’로 번역되어 한국의 3·1 운동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졌지만, 1910년대 말의 시점에서 윌슨의 자결론 및 네이션 개념과 식민지 민족의 자결(분리독립)은 결코 자명하게 연결될 수 있는 개념쌍이 아니었다. 윌슨의 전후 유럽질서 구상은 외적주권을 승인받은 ‘nations의 평등’과 내적주권상 ‘people의 동의에 입각한 통치’라는 두 가지 원리를 핵심으로 삼았다. 윌슨 사상에서 ‘자결’은 people이 스스로의 내적주권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라는 뜻일 뿐, 식민지민족이나 소수민족들의 분리독립(secession)이라는 외적주권을 지시하는 개념이 아니었다. 이때 people은 미국혁명 전통에서의 정치적 ‘인민’을, nation은 이미 대외적으로 주권을 승인받은 국가의 ‘국민’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대내적 주권에서의 ‘자결’권, 즉 인민(people)의 동의에 기초한 통치라는 원리를 일반화할 때, 식민통치를 거부하며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식민지 민족들(peoples)의 대외적 주권 요구마저 정당화하는 해석상의 난점이 생겨났다. 미국 국무부장관 랜싱은 인민의 자결권이 문명화되지 못한 민족들(peoples)과 인종들(races)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못박음으로써 이러한 해석상의 혼란을 봉쇄하고자 했다. 윌슨이 학자 시절에 남긴 강의록과 저술은 그 역시 자결, 곧 인민의 자기-통치(self-government)란 문명의 오랜 훈련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윌슨의 자기통치 개념은 블룬칠리와 헤겔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기적 국가론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으며, 이런 맥락에서 nation(Volk)은 시민사회 구성원들의 주관적 의지와 자유라는 이념 실현을 향한 이성적 의지가 통일된 상태로서의 고도로 문명화된 국민을 뜻했다. 결국 어떤 정치체가 문명적, 주권적 nation임을 결정하는 열강들의 대외적 ‘승인’이야말로 한 정치체에 속한 people의 ‘자결’의 권리를 결정하는 최종심급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윌슨 사상은 다양한 민족들의 주권 주장과 national claims 을 힘의 강약을 떠나 ‘인류의 법정’(국제연맹 규약 11조)에서 공평하게 논의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나름의 ‘보편주의적’ 이상을 품고 있었다. 또한 ‘영토의 보전’(국제연맹 규약 10조) 원칙이 기존에 승인된 주권국가들에 대한 ‘외적’ 침략을 막는 것일 뿐 한 국가 내 people의 혁명을 막는 것이 아님을 강조함으로써 ‘승인’과 ‘자결’의 결정 심급이 전도될 수 있는 여지를 열어놓았다. 윌슨 자신은 여전히 서구중심적 문명론과 발전론적 역사관이라는 한계 안에 머물러 있었지만, 윌슨의 말이 품고 있었던 해방의 잠재력은 2차 대전 후 피식민자들이 혁명적 봉기를 통해 자결의 권리를 선포하고 마침내 외적주권의 승인마저 쟁취했던 역사 속에서 일정 정도 실현되었다. 이러한 역사의 전개 과정은 보편적 이상이 지배자에 의한 계몽과 시혜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억압받는 people의 저항과 법정초적 폭력 속에서 선포되고 갱신되는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This essay explores Woodrow Wilson’s thoughts by reexamining the key concepts of ‘self-determination’ and ‘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ual history. His plan for the post-war international order focused on ‘equality of nations’ and ‘the government based on the consent of the governed.’ ‘self-determination’ meant people’s right for determining the sovereignty form on the level of the inner sovereignty, not any right for seccession of the colonial peoples or minorities on the level of the outer sovereignty. ‘People’ refers to the political people(人民) in the tradition of the American Revolution(“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while ‘nation’ is confined to the state-nation(國民). However, there still remains the interpretative aporia that if people’s right for self-determination is applied in general, it might justify colonial peoples’ demand for the outer sovereignty by resisting against the colonial government. Wilson’s academic writings show us that he didn’t agree with any idea of colonial peoples’ right for self-determination because he, following Hegel and J.C. Bluntcshli, regarded self-determination or self-government as the property which can be obtained only through long training of civilization. In this respect, the ‘recognition’ of the outer sovereignty by the international order was presupposed as the ultimate instance which ‘determines’ the people’s right of ‘self-determination.’ Despite the limitations of Wilson’s West-centrism, however, his thoughts include a ‘universal ideal’ in that he suggested any national claims should be publicly discussed and fairly judged in ‘the court of humankind’ regardless of power difference of each participant. Moreover, he opened the way to the reverse of the instances of ‘determination’ by highlighting that the principle of ‘the integrity of territories’, just preventing a strong country’s invasion of a weak country, would never prevent the revolution of the people in any country. The possibility was realized when the colonized peoples declared their own right for self-determination in the revolutionary uprisings against the colonial governments and finally forced the international society to ‘recognize’ their self-determination right. The court of history, however teaches a lesson that any universal ideal was declared and renewed over and over again by the law-founding violence of the oppressed who resisted against the oppressive regime, not by any enlightenment and dispensation by the oppressor.

      • KCI등재

        근대 일본의 블룬칠리 수용과 한계에 관한 고찰 -가토 히로유키의 경우를 중심으로-

        김도형 동아시아일본학회 2020 일본문화연구 Vol.0 No.73

        Bluntschli's national theory does not seem to have such a great impact on national science compared to its fame. One reason is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his national theory, and the other is that there was a divergence in its application to the reality of Japan at that time. From this, this study firs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Bluntschli State Theory, and the meaning of Bluntschli National Theory in Modern Japan by focusing on the acceptance process of Bluntschli in Modern Japan and the conflict between theory and reality.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Blundchill theory reveals the dilemma of must removing the nature of Patrimonial monarch in turning the emperor into a modern monarch. The rise of the Free civil rights movement at that time in Japan could represent another limitation of Bluntschli's national theory, it was a criticism of Bluntschli's Rousseau. In other words, Bluntschli's theory of sovereignty was based on Rousseau's criticism of democracy, but this conflicted with the civil rights movement based on Rousseau. Kato noticed that Bluntschli's national theory did not match the reality of modern Japan because of these limitations, and after that he decided to focus on a new national theory that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Bluntschli.

      • KCI등재

        자유주의 통치성, 제국주의, 네이션 -블룬칠리 국가론과 nation(Volk)/people(Nation) 개념의 정치적 함의-

        윤영실 ( Youn Youngshil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0 No.-

        As one of the serialized essays to examine the trace that the translation of ‘nation’ has been process of political ‘disagreement’ in Rancière’s term over the ‘qualification’ of the nation, this focuses on J.C.Bluntschli’s theory on modern state. Chapter Ⅱ, based on Foucault’s insights on ‘liberal governmentality’, analyzes how Bluntschli posited freedom as the principle of governmentality of modern states. Chapter Ⅲ highlights racist implications of Bluntschli’s state theory in terms of imperial transformation of liberal governmentality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Chapter Ⅳ analyzes political significance of Bluntschli’s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nation and people. He tried to distinguish ‘nation’ from the multitude on one hand and from racialized peoples on the other hand by positing it as a privileged collective identity sharing political capacity and the civilizational idea of freedom. His thoughts examplify ‘national unity’ projects of western countries in the era of imperialism which tried to alleviate class conflicts and unify the masses into a nation by accelerating their imperialist expansion into ‘the rest’ of the world and justifying the hierarchical and discriminative distribution of rights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peoples.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existence of the colonized as the other operated as an internalized and contemporary element i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western concepts of governmentality and nation. It also suggests new approaches to East Asian conceptual history be needed, which cannot be reduced to a mere acceptance of the western archetypes but should be reassessed as a simultaneous format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East and West. Such perspective can lead us to make a step toward criticizing and overcoming coloniality embedded in modernity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